고양군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군 (1950년 선거구)는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양군의 일부 지역이 서울특별시로 편입됨에 따라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제2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파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고양군·파주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최국현, 한동석, 이성주, 유광렬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정치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고양시의 정치 - 고양시 을
고양시 을은 20대 총선에서 신설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일부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부터 22대 총선까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당선되었으며 22대 총선에서는 한준호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며 진보적 성향을 나타낸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고양군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고양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기도 |
연도 | 1950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고양군 을 |
이후 선거구 | 고양군·파주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1949년, 고양군의 일부 지역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머지 고양군 지역을 하나의 선거구로 신설하였다.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파주군 선거구와 통합, 고양군·파주군 선거구를 형성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최국현 민주국민당 6,274 100.00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한동석 자유당 12,344 52.62 유광렬 무소속 11,111 47.37 한동석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 195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당 이성주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이성주 자유당 15,905 58.43 이양훈 민주당 11,314 41.5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유광렬 무소속 6,634 22.72 백효선 무소속 6,385 21.87 김수길 민주당 4,444 15.22 이성수 4,149 14.21 정준채 무소속 2,168 7.42 이철화 1,787 6.12 김성숙 사회대중당 1,093 3.74 오인환 무소속 803 2.75 이용제 무소속 731 2.50 백남홍, 성낙진 무소속 994 3.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