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 로켓 부스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체 로켓 부스터는 로켓의 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체 추진제 기반의 로켓 엔진이다. 19세기 말 니트로글리세린의 발견 이전에는 흑색화약이 유일한 추진제였으며, 현재는 균질 추진제, 복합 추진제로 분류된다. 고체 로켓 부스터는 액체 로켓에 비해 단순한 설계로 큰 추력을 제공하고, 군사적 효용성이 높지만, 점화 후 제어가 불가능하고,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다. 우주왕복선, 아리안 5, 누리호 등 다양한 발사체에 사용되며, 대한민국은 차세대 소형 발사체에 고체 로켓 부스터를 사용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켓 - 파즈르-5
파즈르-5는 이란에서 개발 및 생산하는 파즈르 로켓 제품군의 최신 하이브리드 로켓으로, 중국 WS-1 다연장 로켓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파편 고폭탄두를 탑재하고 이란군 외 여러 단체에서 운용되어 분쟁 지역에서 사용된 역사를 가진다. - 로켓 - 역추진 로켓
역추진 로켓은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추력을 생성하여 속도를 감소시키는 로켓 엔진으로, 우주선 착륙, 발사체 단 분리, 항공기 제동 등에 사용되며 재사용 발사 시스템 개발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에서 처음 개발되어 우주 개발의 핵심 기술이 되었다. - 우주 개발 - 창백한 푸른 점
창백한 푸른 점은 보이저 1호가 60억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0.12픽셀 크기의 푸른 지구 사진으로, 칼 세이건은 이를 인류의 겸손함과 책임감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으며, 지구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 우주 개발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고체 로켓 부스터 | |
---|---|
개요 | |
![]() | |
유형 | 고체 로켓 부스터 |
제작 | Thiokol (현재 노스롭 그루먼의 일부)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 (현재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의 일부) |
역사 | |
최초 발사 | 1977년 (고체 로켓 부스터) |
마지막 발사 | 2011년 (고체 로켓 부스터) |
설명 | |
역할 | 로켓의 추력 증강 |
특징 | |
추진제 | 고체 추진제 |
크기 및 무게 | |
전체 길이 | 37.8 미터 |
직경 | 3.7 미터 |
무게 (추진제 포함) | 590,000 킬로그램 |
무게 (연소 후) | 87,000 킬로그램 |
성능 | |
연소 시간 | 123 초 |
추력 (해면) | 14,676 킬로뉴턴 |
비추력 (해면) | 239 초 |
활용 | |
사용 로켓 | 스페이스 셔틀 아리안 4 |
기타 정보 | |
참고 | 우주 왕복선 고체 로켓 부스터 아리안 4 에는 액체 추진 부스터도 사용됨 |
2. 정의
고체 로켓 부스터는 고체추진제를 사용하는 로켓 엔진을 의미한다. 초기에는 흑색화약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질산칼륨이 산화제, 황과 숯이 연료 역할을 했다. 흑색화약은 낮은 비충격과 연소 온도를 가졌지만,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니트로 폭발물이 등장하면서 더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작동하는 추진제 개발이 가능해졌다.[1]
19세기 말 니트로글리세린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다양한 조성의 흑색화약이 유일한 추진제 원료였다. 질산칼륨은 니트로글리세린의 산화제이며, 황과 숯은 연료로 사용되었다. 로켓 모터에서 흑색화약은 연소실 압력과 조성(대표적인 무게비: 질산칼륨 75%, 숯 15%, 황 10%)에 따라 50~70초의 비충격을 발생시킨다.[1] 화약의 불꽃 온도는 약 800~1,600℃이며, 혼합물은 연소실 압력이 7kg/cm2 이하일 때도 순조롭게 연소된다.[1] 생성 가스의 부피는 원래 장약 부피의 약 400배이다.[1] 니트로 폭발물이 등장하면서 고온 가스를 순조롭고 재생 가능하게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생겼고, 더 높은 연소 온도와 압력에 적합한 모터 설계 변화가 필요했다.[1] 니트로셀룰로오스를 바탕으로 한 로켓 추진제는 단일 바탕(single-base) 추진제로 알려져 있다.[1]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니트로글리세린의 혼합물은 2중 바탕(double-base) 추진제로 알려져 있다.[1]
고체추진제는 크게 균질 추진제와 복합 추진제로 나뉜다. 균질 추진제는 추진제나 그 혼합물이 밀접하게 연관된 고체 추진제 혼합물이다. 단일바탕 추진제와 2중바탕 추진제가 이에 해당한다. 복합 추진제는 미세한 가루로 만들어졌어도 물질들이 분리된 상으로 존재한다. 2중바탕 추진제는 순조로운 연소를 위해 최소한 35kg/cm2의 작동 연소실 압력이 필요하다. 이 압력보다 낮으면 불규칙적이고 진동하는 연소를 일으킨다. 불꽃 온도는 3000°C 정도이며, 비충격은 약 180~210초이다.
니트로셀룰로오스 기반의 추진제는 단일바탕 추진제,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니트로글리세린 혼합물은 2중바탕 추진제로 불린다. 2중바탕 추진제는 더 높은 연소 온도와 비충격을 가지며, 균질 추진제의 일종이다. 반면, 복합 추진제는 물질들이 분리된 상으로 존재하는 형태로, 갈시트(GALCIT) 계열과 NDRC 혼합물 등이 있다. 현대에는 2중바탕 추진제와 복합 추진제가 미사일 및 우주발사체에 널리 사용되며, 과염소산암모늄이 주로 산화제로 사용된다. 연료 및 결합제로는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 합성고무 등이 사용되며, 알루미늄 분말이 첨가되기도 한다.[1]
3. 역사
2중 바탕 추진제는 순조로운 연소를 위해 최소한 35kg/cm2의 작동 연소실 압력이 필요하다.[1] 이 압력보다 낮으면 불규칙하고 진동하는 연소를 일으킨다.[1] 불꽃 온도는 3,000℃ 정도이며, 열량은 850~1,200㎈/g 정도이다.[1] 비충격은 약 180~210초이다.[1] 2중 바탕 추진제에서 생성되는 가스의 부피는 원래 추진제 부피의 약 1,500배이다.[1] 고체추진제는 크게 2종류로 나뉜다.[1] '균질' 추진제는 추진제나 이것의 혼합물이 밀접하게 연관된 고체 추진제 혼합물에 적용된다.[1] 단일 바탕과 2중 바탕 추진제는 균질 추진제의 예이다.[1] 복합(또는 불균질) 추진제는 비록 미세한 가루로 만들어졌어도 물질들은 분명하게 분리된 상(相)으로 되어 있다.[1] 복합 추진제의 예로는 화약이 있다.[1] 이들 가운데 하나는 75%가 과염소산칼륨이고 25%가 아스팔트 기름으로 된 혼합물인 갈시트(GALCIT) 계열이다.[1] 또 다른 계열은 NDRC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의 대표적인 예는 8%의 플라스틱 수지 결합제와 피크르산염 암모니아와 질산나트륨이 각각 약 46%씩 혼합된 것이다.[1] 1970년대 초 이후로 2중 바탕 추진제와 복합 추진제는 미사일과 우주 발사체에 사용되고 있다.[1] 복합 혼합물에서는 과염소산암모늄이 표준 산화제이다.[1] 사용되는 대부분의 연료(그리고 결합제)로는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 그리고 가끔 잘게 부서진 알루미늄이 첨가제로 들어 있는 합성고무를 쓴다.[1]
4. 종류
4. 1. 구성 성분
고체 추진제는 크게 균질 추진제와 복합 추진제로 나뉜다. 균질 추진제는 추진제나 그 혼합물이 밀접하게 연관된 고체 추진제 혼합물을 말한다. 단일 바탕 추진제와 이중 바탕 추진제가 이에 해당한다. 복합 추진제는 미세한 가루로 만들어졌어도 물질들이 분리된 상으로 존재한다. 복합 추진제의 예로는 화약이 있다.
19세기 말까지는 다양한 조성의 흑색 화약이 유일한 추진제 원료였다. 흑색 화약은 질산칼륨이 산화제, 황과 숯이 연료로 사용되었다. 로켓 모터에서 흑색 화약은 연소실 압력과 조성(대표적인 무게비: 질산칼륨 75%, 숯 15%, 황 10%)에 따라 50~70초의 비충격을 발생시킨다.
5. 장점
액체 연료 로켓에 비해 고체 로켓 추진체는 비교적 단순한 설계로 많은 양의 추력을 제공할 수 있었다.[4] 냉각 및 단열 요구 사항이 크지 않으면서 더 큰 추력을 제공하며, 크기에 비해 많은 양의 추력을 생산한다. 액체 추진 로켓으로 구동되는 차량에 분리 가능한 고체 로켓 부스터(SRB)를 추가하는 것은 단계 분리라고 하며, 필요한 액체 추진제의 양을 줄이고 발사 장비의 질량을 낮춘다. 고체 부스터는 동등한 액체 추진제 부스터에 비해 장기적으로 설계, 테스트 및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우주왕복선 조립과 같이 여러 비행에서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하드웨어 비용을 감소시켰다.[5]
고체 로켓 부스터가 제공하는 성능 향상의 한 가지 예는 아리안 4 로켓이다. 추가 부스터가 없는 기본 40 모델은 2175kg의 탑재체를 정지 천이 궤도로 올릴 수 있었다.[6] 4개의 고체 부스터가 있는 44P 모델은 동일한 궤도에서 3465kg의 탑재체를 가질 수 있었다.[7]
6. 단점
고체 로켓 부스터는 일단 점화되면 연료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연소해야 하기 때문에 제어가 불가능하다. 이는 액체 추진제나 콜드 가스 추진 시스템과는 다른 특징이다. 다만, 발사 중단 시스템이나 사거리 안전 파괴 시스템은 성형 폭약을 사용하여 추진제의 흐름을 차단하는 시도를 할 수는 있다.[8] 1986년 기준으로 고체 로켓 부스터(SRB)의 고장률은 1,000회 중 1회에서 100,000회 중 1회 정도로 추정된다.[9]
SRB는 예기치 않게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노즐이 막히거나 변형되면 과도한 압력 또는 추력 감소를 유발할 수 있고, 부스터 케이싱이나 연결 부위에 결함이 생기면 공기역학적 압력이 증가하여 부스터가 파손될 수 있다. 보어 막힘, 연소 불안정과 같은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10] 챌린저호 폭발 사고는 오른쪽 고체 로켓 부스터의 O-링 고무 씰(seal)이 파손되어 발생했다.
완전히 연료가 채워진 고체 로켓 모터는 지상에서 다룰 때 우발적인 점화 위험이 있다. 2003년 8월 브라질 알칸타라 발사 센터에서는 VLS 로켓 발사대에서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여 21명의 기술자가 사망했다.[11] 한편, (대한민국 관점) 고체연료 우주발사체는 군사 기술로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7. 고체 로켓 부스터를 사용하는 발사체
발사체 종류 | 부스터 개수 | 비고 | |
---|---|---|---|
고정된 수의 부스터 사용 | 우주왕복선 | 2개 | |
아리안 5 | 2개 | ||
우주 발사 시스템 | 2개 | ||
가변적인 수의 부스터 사용 | 아틀라스 V | 0~5개 | SRB |
델타 II | 주로 9개 | SRB (때로는 더 적은 수) | |
델타 IV 미디엄 | 0개, 2개, 4개 | 흑연-에폭시 모터(GEM 60s) 스트랩온 부스터 | |
PSLV | 2개, 4개, 6개 | SRB | |
아리안 6 | 2개, 4개 | SRB | |
벌컨 센타우르 | 0개, 2개, 4개, 6개 | SRB |
참조
[1]
간행물
Assets
http://www.lockheedm[...]
Lockheed Martin
2011-12-17
[2]
웹사이트
HSF - The Shuttle
http://spaceflight.n[...]
1999-04-21
[3]
웹사이트
Solid rocket boosters
http://science.ksc.n[...]
NASA
2009-08-09
[4]
웹사이트
What are the types of rocket propulsion?
http://www.qrg.north[...]
[5]
웹사이트
Doomed from the Beginning:The Solid Rocket Boosters for the Space Shuttle
http://www.tsgc.utex[...]
University of Texas
[6]
간행물
Ariane 4
http://www.astronaut[...]
Astronautix
2012-07-16
[7]
간행물
Ariane 44P
http://www.astronaut[...]
Astronautix
2011-05-13
[8]
학술지
Shock Initiation Studies of the NASA Solid Rocket Booster Abort System
http://oai.dtic.mil/[...]
1986-08-01
[9]
뉴스
NASA Estimate of Rocket Risk Disputed
https://www.latimes.[...]
1986-03-05
[10]
웹사이트
Solid Rocket Motor Failure Prediction - Introduction
http://ti.arc.nasa.g[...]
[11]
웹사이트
VLS
http://www.astronaut[...]
2005-08-12
[12]
간행물
Assets
http://www.lockheedm[...]
Lockheed Martin
[13]
간행물
Ariane 4
http://www.astronaut[...]
Astronautix
[14]
간행물
Ariane 44P
http://www.astronaut[...]
Astronautix
[15]
웹사이트
Solid rocket boosters
http://science.ksc.n[...]
NASA
2009-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