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스팔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스팔트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주로 도로 포장, 방수, 방습 재료로 사용되는 역청 물질을 의미한다. 천연 아스팔트와 석유 아스팔트로 나뉘며,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접착제나 방부제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부터 어구 접착 등에 사용되었으며, 한국은 1878년 일본에서 수입된 천연 아스팔트를 사용한 것이 최초의 아스팔트 포장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팔트는 도로 포장, 방수, 공업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유제가 주요 재료로 활용된다.

2. 용어

아스팔트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한국에서는 주로 '역청'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6] 영어권에서는 '아스팔트(Asphalt)'라고 부르며, 유럽에서는 '비투멘(Bitume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비투멘은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더 넓은 범위의 물질을 지칭한다. 천연 비투멘은 프로페인에 녹는 기름 성분, 수지, 아스팔틴, 카빈으로 구성되는 유분의 고분자량의 탄화수소 형태와 비 탄화수소 형태의 혼합물이다.[16] 캐나다 앨버타주 아스바스카 지역에 영국 크기 면적으로 매장된 오일샌드는 고결되지 않은 모래, 비투멘, 점토 퇴적물, 물의 혼합체이다.[16]

3. 역사

비투멘을 새겨넣은 신석기시대의 입상


비투멘으로 만든 그릇 (기원전 20세기 수메르 문명)


역청은 유전에서 석유가 오랜 시간 동안 휘발하면서 자연적으로 생겨난다. 유전이 있는 지대에는 석기 시대부터 역청을 사용한 유물이 발굴된다.

창세기에는 노아의 방주의 방수 도료와 바벨탑의 벽돌 사이에 바르는 자재로 역청이 등장한다.

천연 아스팔트는 역청(비투멘)이라고 불리며, 고대부터 사용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원전 3800년경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천연 아스팔트가 접착제로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3000년경의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의 방부제로도 사용되었다.[9] 구약성서의 『창세기』에는 바벨탑의 건설을 위해 벽돌의 접착제로, 또한 노아의 방주의 방부제로 천연 아스팔트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0] 아스팔트라는 단어가 영어에 나타난 것은 원유의 이용이 일반화되기 시작한 18세기에 이르러서이다. 이 때문에 영어에서도 그리스어의 ασφαλτοςel(asphaltos)에서 유래한 외래어였다. a(하지 않다)와 sphalt(떨어뜨리다)라는 뜻이 있다.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 후기 후반부터 만기까지, 일본해 측의 아키타현이나 야마가타현, 니가타현 등에서 산출된 천연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석촉(돌 화살촉)이나 골병(뼈의 창) 등 어구의 접착, 조몬 후기의 아키타현요코테시・야기 유적의 사례로 그물에 사용되는 돌 추와 어망의 접착[11], 파손된 토기나 토우의 보수, 옻칠의 하도 등에 이용되었다. 산출지 외에 홋카이도오시마반도와 간토 지방에서도 아스팔트가 부착된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흑요석이나 히스이 등과 함께 조몬 시대의 교역을 나타내는 사료가 되고 있다. 이것들은 메이지 시대에 사토 덴조(佐藤伝蔵)에 의한 도쿄 대학 인류학 교실의 자료 조사에서 발견되어, 사토 하츠타로에 의해 아스팔트임이 확인되었다. 후지모리 미네조는 아키타현 쇼와정(현 가타가미시 쇼와)에서 조몬 시대의 아스팔트 산출지를 확인했으며, 현재 원산지를 특정하는 기술에 의해 광역으로 유통되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12]

『일본서기』에는 668년에 "불타는 물"과 "불타는 흙"이 에치고의 나라에서 덴지 천황에게 헌상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불타는 물이 석유이고, 불타는 흙이 천연 아스팔트라고 생각되고 있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아스팔트 포장이 시공된 곳은 나가사키현나가사키시의 글로버 가든 내의 보도라고 전해지지만, 성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확실하지 않다(수입품으로 포장된 듯). 따라서 일반적으로 1878년, 도쿄의 간다강에 걸린 쇼헤이 다리에 포장된 것이 처음이라고 여겨지고 있다.[13] 사용된 것은 아키타현의 도요카와(현재의 가타가미시, 후에 유전・천연 가스전으로 개발)에서 멀리 운반된 천연 아스팔트 200俵이었다.

석유 산업과 자동차의 보급과 함께, 아스팔트의 수요도 변화하게 되면서, 일본 외, 선진 제국에서 도로 포장용으로 석유 아스팔트가 사용되게 되었다.

3. 1. 한국에서의 아스팔트 역사

1878년 서울 간다강(쇼헤이 다리)에 일본에서 수입된 천연 아스팔트를 사용한 것이 한국 최초의 아스팔트 포장으로 알려져 있다.[13] 일제강점기에는 도로 포장이 본격화되면서 아스팔트 사용량이 증가했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도로 복구 과정에서 아스팔트 포장이 ব্যাপকভাবে 시행되었다. 1960년대 이후 경제 개발과 함께 도로 건설이 활발해지면서 아스팔트 수요가 급증했다. 최근에는 친환경 아스팔트, 고기능성 아스팔트 등 다양한 종류의 아스팔트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아스팔트 재활용 및 친환경 아스팔트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사회 건설에 기여하고 있다.

4. 종류

아스팔트는 크게 천연 아스팔트와 석유 아스팔트의 두 종류로 분류된다.

== 천연 아스팔트 ==

비투멘(bitumen)은 샌드스톤, 실트스톤, 셰일, 탄산염 내에 점성 침투물로 존재하는 유기 잔유물로, 아스팔틱 비투멘, 아스팔트 등으로 불린다. 액상 석유로부터 중질, 점성 아스팔트를 거쳐 고상 아스팔타이트까지 걸쳐 있으며 이황화탄소 등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는 유기혼합물의 형태를 보통 비투멘이라고 한다. 천연 비투멘은 프로페인에 녹는 기름 성분, 수지, 아스팔틴, 카빈으로 구성되는 유분의 고분자량의 탄화수소 형태와 비 탄화수소 형태의 혼합물이다.

천연 아스팔트는 자연계에서 산출되는 역청의 대표적인 재료 물질이다. 종류에는 레이크 아스팔트, 록 아스팔트, 오일 샌드, 아스팔타이트 등이 있다. 레이크 아스팔트는 지하에서 솟아올라 호수가 된 것이며, 록 아스팔트는 석회암이나 사암과 같은 암석에 스며든 것이다. 오일 샌드는 모래에 스며든 것이며, 아스팔트 타이트는 암석에 스며든 석유가 열변성을 받아 생긴 것이다.

캐나다 앨버타주 아스바스카 지역에 영국 크기 면적으로 매장된 오일샌드는 고결되지 않은 모래, 비투멘, 점토 퇴적물, 물의 혼합체이다. 비투멘은 베네수엘라, 러시아, 미국에도 있지만 베네수엘라캐나다가 최대 매장국이며, 특히 캐나다는 전 세계 매장량의 40 % 정도를 차지한다. 이 아타바스카 비투멘(Athabasca bitumen)을 석유 대체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CANMET(Canada Center for Mineral and Energy Technology)에서 연구하고, 2000년 이후 국제 유가 상승으로 오일샌드 개발이 활발해졌다.

레이크 아스팔트의 산출지로 유명한 곳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피치 호수가 알려져 있다. 오일 샌드 산지로는 캐나다 앨버타 주에 있는 아사바스카 지역이 유명하며 대규모 노천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스팔트 타이트에서는 미국 유타 주의 유인타 분지에서 산출되는 유인타석이 있으며, 길소나이트라는 품명으로 흑와니스 도료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 석유 아스팔트 ==

석유 아스팔트는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마지막에 남는 잔유로 만들어진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로 크게 나뉜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원유 중 아스팔트 성분이 변하지 않도록 제조된 것으로, 주로 도로 포장에 사용된다. 원유를 상압 증류하여 LPG, 나프타, 가솔린, 등유, 경유가 유출되고, 남은 상압 중질유를 추가로 가열하여 감압 증류하여 중유, 윤활유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남은 감압 중질유(감압 잔유)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된다.

블로운 아스팔트는 제조 과정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산화시킨 것으로, 주로 틈새나 방수용으로 사용된다. 200 - 300℃의 고온에서 감압 중질유에 공기를 불어넣어 산화시켜 추출한다.

아스팔트의 성질은 원유 산지나 석유 정제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적합한 아스팔트를 선별하기 위해 다양한 성질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진다.


  • 침입도: 아스팔트의 굳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25℃에서 100g의 추를 단 규정 바늘을 5초 동안 관입시켰을 때의 관입량(0.1 mm 단위)으로 나타낸다.
  • 연화점: 아스팔트가 부드러워지는 온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규정된 조건에서 강구가 25.4 mm 침강했을 때의 온도로 측정한다.
  • 신도: 아스팔트가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규정된 조건에서 파단될 때까지 늘어난 길이(cm 단위)로 나타낸다.
  • 인화점: 아스팔트 증기에 불이 붙는 온도를 ℃ 단위로 나타낸다.
  • 점도: 아스팔트의 끈적거림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고온(120 - 200℃) 또는 60℃에서의 점도를 측정한다.
  • 터프니스・테너시티: 골재를 파악하는 강도(터프니스)와 큰 변형에 대한 저항(테너시티)을 나타내는 척도로, 개질 아스팔트의 품질 검사에 사용된다.


개질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성능을 개선하여 내구성과 접착성을 높인 것이다. 폴리머 개질 아스팔트와 세미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있다.

4. 1. 천연 아스팔트

비투멘(bitumen)은 샌드스톤, 실트스톤, 셰일, 탄산염 내에 점성 침투물로 존재하는 유기 잔유물로, 아스팔틱 비투멘, 아스팔트 등으로 불린다.[16] 액상 석유로부터 중질, 점성 아스팔트를 거쳐 고상 아스팔타이트까지 걸쳐 있으며 이황화탄소 등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는 유기혼합물의 형태를 보통 비투멘이라고 한다. 천연 비투멘은 프로페인에 녹는 기름 성분, 수지, 아스팔틴, 카빈으로 구성되는 유분의 고분자량의 탄화수소 형태와 비 탄화수소 형태의 혼합물이다.

천연 아스팔트는 자연계에서 산출되는 역청의 대표적인 재료 물질이다. 종류에는 레이크 아스팔트, 록 아스팔트, 오일 샌드, 아스팔타이트 등이 있다. 레이크 아스팔트는 지하에서 솟아올라 호수가 된 것이며, 록 아스팔트는 석회암이나 사암과 같은 암석에 스며든 것이다. 오일 샌드는 모래에 스며든 것이며, 아스팔트 타이트는 암석에 스며든 석유가 열변성을 받아 생긴 것이다.

캐나다 앨버타주 아스바스카 지역에 영국 크기 면적으로 매장된 오일샌드는 고결되지 않은 모래, 비투멘, 점토 퇴적물, 물의 혼합체이다. 비투멘은 베네수엘라, 러시아, 미국에도 있지만 베네수엘라캐나다가 최대 매장국이며, 특히 캐나다는 전 세계 매장량의 40 % 정도를 차지한다. 이 아타바스카 비투멘(Athabasca bitumen)을 석유 대체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CANMET(Canada Center for Mineral and Energy Technology)에서 연구하고,[16] 2000년 이후 국제 유가 상승으로 오일샌드 개발이 활발해졌다.

레이크 아스팔트의 산출지로 유명한 곳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피치 호수가 알려져 있다. 오일 샌드 산지로는 캐나다 앨버타 주에 있는 아사바스카 지역이 유명하며 대규모 노천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스팔트 타이트에서는 미국 유타 주의 유인타 분지에서 산출되는 유인타석이 있으며, 길소나이트라는 품명으로 흑와니스 도료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4. 2. 석유 아스팔트

석유 아스팔트는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마지막에 남는 잔유로 만들어진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로 크게 나뉜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원유 중 아스팔트 성분이 변하지 않도록 제조된 것으로, 주로 도로 포장에 사용된다. 원유를 상압 증류하여 LPG, 나프타, 가솔린, 등유, 경유가 유출되고, 남은 상압 중질유를 추가로 가열하여 감압 증류하여 중유, 윤활유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남은 감압 중질유(감압 잔유)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된다.

블로운 아스팔트는 제조 과정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산화시킨 것으로, 주로 틈새나 방수용으로 사용된다. 200 - 300℃의 고온에서 감압 중질유에 공기를 불어넣어 산화시켜 추출한다.

아스팔트의 성질은 원유 산지나 석유 정제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적합한 아스팔트를 선별하기 위해 다양한 성질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진다.

  • 침입도: 아스팔트의 굳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25℃에서 100g의 추를 단 규정 바늘을 5초 동안 관입시켰을 때의 관입량(0.1 mm 단위)으로 나타낸다.
  • 연화점: 아스팔트가 부드러워지는 온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규정된 조건에서 강구가 25.4 mm 침강했을 때의 온도로 측정한다.
  • 신도: 아스팔트가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규정된 조건에서 파단될 때까지 늘어난 길이(cm 단위)로 나타낸다.
  • 인화점: 아스팔트 증기에 불이 붙는 온도를 ℃ 단위로 나타낸다.
  • 점도: 아스팔트의 끈적거림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고온(120 - 200℃) 또는 60℃에서의 점도를 측정한다.
  • 터프니스・테너시티: 골재를 파악하는 강도(터프니스)와 큰 변형에 대한 저항(테너시티)을 나타내는 척도로, 개질 아스팔트의 품질 검사에 사용된다.


개질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성능을 개선하여 내구성과 접착성을 높인 것이다. 폴리머 개질 아스팔트와 세미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있다.

5. 성분 및 구조

석유 아스팔트는 아스팔텐과 말텐으로 크게 분류된다. 아스팔텐은 노르말펜탄에 녹지 않는 성분으로, 헥산 등 경질 탄화수소에도 녹지 않으며 축합환 방향족 탄화수소가 가교 결합하여 만들어진 고분자 화합물이다. 아스팔텐은 말텐이라 불리는 다환 탄화수소의 기름과 레진 속에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되어 있다. 말텐은 레진과 유분으로 나뉘며, 레진은 비교적 융점이 높은 수지상 물질로, 아스팔트의 소성 변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유분은 포화 탄화수소( 파라핀, 나프텐)와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된다.

6. 물리적/화학적 성질

7. 용도

아스팔트는 방수 능력이 뛰어나 도로포장, 방수, 방습 재료로 쓰인다. 저온에서는 고체, 고온에서는 액체가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도로 포장용 골재의 접착제로 많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연료 및 원료, 방수재, 방부제, 열가소성 재료, 전기 절연 재료, 단열재, 고진공용 실링재, 충격 흡수재, 윤활제, 안료로도 사용된다.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것 이외의 아스팔트를 '''공업용 아스팔트'''라고 부른다. 아스팔트의 사용량은 포장용과 방수용으로 약 80%를 차지한다.

아스팔트 수송용 ISO 컨테이너. 점도가 높기 때문에 탱크로리 수송과 마찬가지로 외부 버너 또는 증기 압송으로 데우면서 배출할 수 있는 특수 보온 컨테이너。


;유제

도로포장의 표층(및 기층)을 시공할 때, 방수 효과를 얻거나, 혼합재와의 접착을 좋게 하기 위해 살포되는 갈색 액체이다. 또한 포장의 이음매에도 틈새로부터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흘려 넣어진다. 물과 아스팔트를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혼합한 것으로, 수분이 증발하면 검은색이 되어 아스팔트 성분만 남는다. 기층을 구축한 후, 표층을 시공하기 전에 기층 표면에 균일하게 살포되는 것을 '''택 코트''', 아스팔트 혼합물을 깔기 전에 노반 표면에 균일하게 살포되는 것을 '''프라임 코트''', 이음매에 흘려 넣는 것을 '''실 코트'''라고 부른다.

;도로 포장재

아스팔트를 결합재로, 골재(자갈이나 모래, 일부 용융 슬래그 등) 및 필러를 혼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장에 사용한다. '''아스콘'''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약칭), '''합재''' (아스팔트 혼합 재료의 약칭) 등으로 불린다.

;방수용 아스팔트

건축 분야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에 많은 평지붕이나, 주택 지붕의 하부 방수 공사에 사용되는 시트 형태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에 사용된다. 섬유를 원료로 한 부직포・천・종이 등에 아스팔트를 침투시켜 시트 형태로 만든 '''아스팔트 루핑'''은, 건물 내부로의 빗물의 침입을 막을 목적으로 옥상이나 주택 지붕의 밑깔개재, 벽면・욕실의 방수재로 사용된다. 아스팔트를 도포한 판상 심재의 양면에 광물질 분립이나 채색사립을 뿌려 붙인 '''아스팔트 싱글'''은, 목조 건축의 지붕 밑깔개재 외에도, 못에 더하여 접착제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지반이나 내화성 보드 등의 지붕 방수로도 사용되고 있다.

토목 분야에서는, 지하철, 공동구 등의 지하 구조물의 방수, 도로 교량 바닥판의 방수, 수리 구조물에서 사용된다.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빗물이나 지하수가 구조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 섬유 부직포・플라스틱 메쉬를 심재로 개질 아스팔트를 함침한 시트 형태의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구조물의 전면적으로 붙이는 공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로 교량에서도, 바닥판에 시트계나 도막계의 아스팔트 방수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강상판에서는 주로 구스 아스팔트 포장이 방수 겸 기층으로 채택되고 있다. 수리 구조물에서는, 필 댐 등의 표면 차수벽・내부 차수벽에 수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이 사용되며, 저수지나 수로의 누수 방지층 (라이닝)에는 판상으로 형성한 아스팔트 혼합물이나 시트 형태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가열 용해한 부로운 아스팔트를 살포하는 등의 공법으로 사용된다.

; 연소용 아스팔트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화력 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된다. 화학 제품 메이커의 C 중유의 대체품으로 연료로 사용된다.

; 기타 공업용 아스팔트

부로운 아스팔트를 크라프트지 등의 종이로 감싼 방습지 (타포린지), 산유지나 산탄지의 파이프라인에 사용되는 강관의 방청 도료, 건축용이나 자동차용의 제진・방음재의 원료, 가전 제품 등의 전기 절연 재료, 건물의 연약 지반 침하 대책으로 지하 말뚝의 표면 마찰 저항을 높이기 위한 도포제, 샤프 펜슬의 심이나 코크스 제조 시에 사용하는 결합재 (바인더), 사무실의 바닥 등에 깔려 있는 타일 카펫의 뒷면 붙임재, 폐기물의 고형화제, 전극용 탄소 재료 등에도 사용된다.

7.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아스팔트를 자갈, 모래 등의 골재의 결합재(바인더/binder영어)로 쓴 것을 '''아스팔트 콘크리트'''(줄여서 아스콘, 아스팔트)라고 부르며, 이 혼합재는 보통 포장 등에 쓴다.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은 "아스팔트 플랜트"라고 불리는 가열 장치 내에서 아스팔트와 골재를 가열·혼합하여 뜨거운 상태에서 수송 및 시공을 하고, 냉각되면 도로로서의 강도를 얻는 것이다. 아스팔트 용해 온도는 140 - 150℃, 골재 가열 온도는 130 - 190℃, 혼합 시간은 45 - 60초, 혼합물의 온도는 145 - 175℃이다.

7. 2. 아스팔트 유제

아스팔트 유제는 아스팔트와 물에 유화제를 혼합하여 아스팔트 미립자를 수중에 분산(유화)시켜 만든 액상 재료이다.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면 아스팔트의 점도 성능을 발휘한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나 블로운 아스팔트는 상온에서 반고형 물질이지만, 아스팔트 유제는 상온에서도 아스팔트의 점도를 낮춰 액상으로 만든 것이다. 골재 간의 접착제, 그리고 다른 구조물과 아스팔트 혼합물의 부착을 좋게 하는 역할로 도로 포장의 시공에 있어서 노반 표면 살포(프라임 코트), 아스팔트 혼합물층과 다른 구조물 간의 살포(택 코트)에 사용된다.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아스팔트 입자의 표면 전하가 다르며, 양이온계(양전하), 음이온계(음전하), 비이온계(대전 없음)로 나뉜다. 양이온계는 접착성이 우수하여 도로 포장에 많이 사용되며, 일본에서 도로용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 유제의 대부분이 양이온계이고, 음이온계 유제가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비이온계 유제는 시멘트·아스팔트 유제 안정 처리 혼합용으로, 기존 아스팔트 포장을 수선할 때, 그 자리에서 포장을 분쇄하여 기존의 노반 재료와 함께 혼합하여 노반을 재구축하는 노상 재생 공법에 사용된다.

유화제로는 양이온계는 소기름이나 야자유 지방산 유도체의 아민 염산 또는 초산염(pH2 - 5), 음이온계는 고급 알코올 황산염(pH12 - 13), 비이온계는 알킬기(노닐페닐 등)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것이 사용되며 중성 부근이 된다.

아스팔트 유제의 종류는 사용법이나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PK, MK, MN의 기호로 표시된다. P는 표면에 살포하여 스며들게 하는 침투식, M은 골재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식을 나타내며, K는 양이온계, N은 비이온계를 의미한다. 침투성을 향상시킨 고침투성 아스팔트 유제와, 아스팔트분을 많이 함유한 고농도 아스팔트 유제도 있다. 아스팔트의 성질을 개질한 개질 아스팔트 유제도 있으며, 접착성 개선을 위해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를 혼입한 고무 혼입 아스팔트 유제(기호: PKR), 골재·물·시멘트 등과 혼합한 슬러리상 혼합물을 기존 노면에 얇게 덮는 마이크로 서피싱에 사용하는 속경화형 개질 아스팔트 유제(기호: MS)가 있다.

7. 3. 방수용 아스팔트

8. 환경 문제 및 재활용

9. 한국의 아스팔트 산업

참조

[1] 서적 言泉:日本大辞典 "[[大倉書店]]"
[2] 서적 "[[大辞林|大辞林 4.0]]" "[[三省堂]]"
[3] 서적 "[[大辞林|大辞林 4.0]]" "[[三省堂]]"
[4] 웹사이트 ストレートアスファルト https://www.weblio.j[...] "[[weblio]]" 2019-05-12
[5] 웹사이트 溶剤抽出(法) https://www.weblio.j[...] weblio 2019-05-12
[6] 웹사이트 溶剤脱れき法 https://www.weblio.j[...] Weblio 2019-05-12
[7] 웹사이트 空気酸化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5-12
[8] 웹사이트 カットバックアスファルト https://www.weblio.j[...] weblio 2019-05-12
[9] 웹사이트 アスファルト利用の歴史,日本アスファルト協会 http://www.askyo.jp/[...]
[10] 문서 創世記11章3節
[11] 논문 石錘による網漁 同成社
[12] 뉴스 アスファルトの歴史 浮上する謎も http://www3.nhk.or.j[...] 2013-11-08
[13] 뉴스 天然アスファルトの道◇秋田・豊川でかつて採掘 油田の歴史伝える◇ https://www.nikkei.c[...] 2018-04-03
[14] 웹사이트 大阪製油所の精製停止へ JXTG、発電事業に転換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9-07-23
[15] 서적 石油のおはなし 日本規格協会
[16] 저널 연속攪拌 反應器를 사용한 Athabasca bitumen의 輕質化 198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