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골더스 그린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더스 그린 역은 1907년 6월 22일 개통된 채링 크로스, 유스턴 & 햄스테드 철도 (현재 노던 선)의 역이다. 20세기 초 철도 개통으로 주변 지역의 인구 증가를 이끌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헨든과 에지웨어까지의 노선 연장 계획이 있었으나, 전쟁으로 연기되어 1923년 헨든 센트럴 역까지 연장되었다. 1950년까지 철도 수기 신호기를 사용했다. 현재는 세 개의 선로와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8년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런던 버스 및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와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닛구의 지하철역 - 브렌트 크로스역
    브렌트 크로스역은 1923년 "브렌트"라는 이름으로 개통된 런던 지하철 노던선의 섬식 승강장 형태의 역으로, 브렌트 크로스 쇼핑 센터 개장 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주변 지역 재개발 및 경전철 건설 계획이 제안되고 런던 버스 노선 112, 210, 232번이 운행된다.
  • 바닛구의 지하철역 - 콜린데일역
    콜린데일역은 1924년에 개통되어 런던 대공습 피해를 겪었지만 복구되어 운영을 재개했고, 주변 재개발로 이용객이 증가하여 재건축 계획이 추진 중이며, 런던 공군 박물관과 인접해 있고 노던선 열차 및 런던 버스 노선으로 환승 가능하다.
  • 노던선 - 초크 팜역
    초크 팜 역은 1907년 개통한 런던 지하철 역으로, 레슬리 그린이 설계한 쐐기형 건물이며 짧은 엘리베이터 통로를 가지고 있고, 현재 등재건축물 2급으로 지정되었으며, 매드니스의 앨범 커버 촬영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
  • 노던선 - 벨사이즈 파크역
    벨사이즈 파크 역은 1907년에 개통되어 찰링 크로스-골더스 그린 구간에 속하며, 붉은색 차양 외관을 특징으로 하고, 런던 심층 방공호가 설치된 지하철역 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피소로 사용되었으며, 소설 및 뮤직 비디오에 등장한다.
  • 1903년 개업한 철도역 - 고후역
    고후역은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주오 본선과 미노부 선의 역으로, 두 노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중심지이며 고후성의 옛 내성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 1903년 개업한 철도역 - 메헬렌 네커르스풀 역
    메헬렌 네커르스풀 역은 벨기에 철도역으로, 브뤼셀과 안트베르펜을 잇는 다양한 IR, IC, S 노선과 뢰번을 연결하는 IC Q 노선이 운행되며 메헬렌 역과 인접해 있다.
골더스 그린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골더스 그린 역
관리런던 지하철
요금 구역3
지역골더스 그린
자치구바넷 구
운영 정보
개업일1907년 6월 22일 (종착역)
통과역 전환일1923년 11월 19일
승강장 수5
선로 수3
접근성지원
접근성 참고단계별 무료 튜브 가이드 맵
노선 정보
노선노던 선
이전 노선명차링 크로스, 유스턴 앤드 햄스테드 철도
통계 정보
출구 승객 수 (2010년)7,970명 (증가)
출구 승객 수 (2011년)7,810명 (감소)
출구 승객 수 (2012년)7,640명 (감소)
출구 승객 수 (2013년)7,400명 (감소)
추가 정보
구조교상역
튜브 코드ZGG
인접 정거장
노던 선 (북행)핀칠리 로드 역

2. 역사

골더스 그린 역은 1907년 6월 22일 차링크로스 유스턴 햄프스테드 철도(현재 노던 선의 일부)의 역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아치웨이 역과 함께 해당 노선의 북부 종착역 중 하나였으며, 차량기지가 위치했다. 20세기 초, 골더스그린 지역은 집 몇 채가 모여 있는 작은 시골 촌락이었으나, 철도 개통으로 급격한 건설 붐이 일어 주택 수와 인구가 급격히 늘어났다.

역 남쪽 터널의 햄프스테드히스 지점에는 노스 엔드 역(불 부시 역)이 미완성 상태로 남아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골더스 그린에서 헨든과 에지웨어까지 노선을 연장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전쟁으로 인해 연장 공사가 연기되었다. 헨든 센트럴 역까지의 연장 구간은 1923년 11월 19일에 개통되었다. 골더스 그린 역은 1950년까지 노던 선에서 철도 수기 신호기를 사용한 마지막 역이었다.

2. 1. 초기 역사 (1907년 ~ 1920년대)

1907년 6월 22일, 채링 크로스, 유스턴 & 햄스테드 철도(CCE&HR, 현재 노던 선의 일부)의 역으로 개통되었다. 아치웨이 역과 함께 노선의 북부 종착역 중 하나였으며, 차량기지가 위치해 있었다. 철도 개통은 당시 한적한 시골 마을이었던 골더스 그린 지역의 급격한 발전과 인구 증가를 가져왔다. 이는 대한민국 수도권 전철 개통과 유사한 사례로, 교통망 확충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역 남쪽 햄프스테드히스 지점에는 미완성된 노스 엔드 역 (불 부시 역)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기 전에는 철도노선을 북쪽 방향으로 골더스그린에서 헨든과 에지웨어까지 연장하여, 미들섹스의 새로운 교외 지역이 개발되도록 하고 승객수를 늘리려는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전쟁 때문에 연장 공사가 연기되면서 1922년 6월 12일에야 시작될 수 있었다. 연장선의 첫번째 구간 (~헨든 센트럴 역)은 1923년 11월 19일에 개통되었다. 한편 골더스 그린 역은 1950년에 교체될 때까지 노던 선의 역 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철도 수기 신호기를 사용했던 역이기도 했다.

2. 2. 노선 연장과 발전 (1920년대 ~ 1950년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골더스그린에서 헨든과 에지웨어까지 북쪽으로 철도 노선을 연장하여, 미들섹스의 새로운 교외 지역 개발을 촉진하고 승객 수를 늘리려는 계획이 있었다.[1] 그러나 전쟁 때문에 연장 공사가 연기되어 1922년 6월 12일에야 시작될 수 있었다.[1] 1923년 11월 19일, 헨든 센트럴 역까지의 연장선 첫 번째 구간이 개통되었다.[1] 골더스 그린 역은 1950년에 교체될 때까지 노던 선에서 철도 수기 신호기를 사용한 마지막 역이었다.[1]

3. 현재

골더스 그린 역에는 자동 개찰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2]

3. 1. 역 구조

골더스 그린 역은 세 개의 선로와 한 개의 상대식 승강장, 두 개의 섬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승강장은 1~5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1번과 2번, 3번과 4번 승강장은 각각 같은 선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1번 승강장 (상행)은 현재 일반 승객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런던 지하철 직원들이 사용한다.[5][2]

3번과 4번 승강장은 골더스 그린 역 종착 열차들이 사용하는 회차 시설이다. 이곳에서 열차는 런던 시내로 방향을 바꾸어 돌아가지만, 일반적으로는 골더스 그린 차량기지에서 햄프스테드 역으로 이동하여 운행을 시작한다.[5][2]

2008년에는 2/3번 승강장과 4/5번 승강장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계단 없이 승강장 접근이 가능해졌다. 엘리베이터 근처에는 승차 가림막이 설치되어 있다.[5][2] 역의 유지 관리는 지정 관리자 제도에 따라 Tube Lines영어가 수행하고 있다.

3. 2. 환승 및 연계 교통

런던 버스 13, 83, 102, 139, 183, 210, 226, 240, 245, 260, 268, 328, 460, 631, H2, H3번과 야간 노선인 N5, N83번이 이 역을 경유한다.[3] 몇몇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도 이 역을 경유한다.

4. 갤러리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기 전의 5번 상행 승강장


참조

[1] 간행물 step free tube map
[2] 웹사이트 Where tubes start during the day http://londonist.com[...]
[3] 웹사이트 Buses from Golders Green https://content.tfl.[...] 2017-04-01
[4] 간행물 step free tube map
[5] 웹사이트 Where tubes start during the day http://londonist.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