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렌트 크로스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렌트 크로스역은 스탠리 힙스가 설계하여 1923년 11월 19일 '브렌트'라는 이름으로 개통된 런던 지하철역이다. 햄스테드 & 하이게이트 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인근 강 이름을 따서 역명이 정해졌다. 1976년 지역 쇼핑 센터 개장과 함께 현재의 '브렌트 크로스'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08년에는 역 주변 지역 개발 계획과 북서 런던 경전철 제안이 발표되었다. 런던 버스 112, 210, 232번 노선이 이 역을 경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닛구의 지하철역 - 골더스 그린역
    골더스 그린역은 1907년 개통된 런던 지하철 노던 선의 역으로, 런던 북부 골더스 그린에 위치하며 2개의 승강장과 4개의 선로를 갖추고, 버스 및 코치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교통 약자를 위한 시설이 개선되었다.
  • 바닛구의 지하철역 - 콜린데일역
    콜린데일역은 1924년에 개통되어 런던 대공습 피해를 겪었지만 복구되어 운영을 재개했고, 주변 재개발로 이용객이 증가하여 재건축 계획이 추진 중이며, 런던 공군 박물관과 인접해 있고 노던선 열차 및 런던 버스 노선으로 환승 가능하다.
  • 노던선 - 초크 팜역
    초크 팜 역은 1907년 개통한 런던 지하철 역으로, 레슬리 그린이 설계한 쐐기형 건물이며 짧은 엘리베이터 통로를 가지고 있고, 현재 등재건축물 2급으로 지정되었으며, 매드니스의 앨범 커버 촬영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
  • 노던선 - 벨사이즈 파크역
    벨사이즈 파크 역은 1907년에 개통되어 찰링 크로스-골더스 그린 구간에 속하며, 붉은색 차양 외관을 특징으로 하고, 런던 심층 방공호가 설치된 지하철역 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피소로 사용되었으며, 소설 및 뮤직 비디오에 등장한다.
  • 1923년 개업한 철도역 - 군북역
    군북역은 경전선에 위치한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철도역으로,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7년 새 역사 준공, 2005년 화물 취급 중단, 2012년 역사 이전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1923년 개업한 철도역 - 함안역
    함안역은 경상남도 함안군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2012년 역사를 이전했으며, 현재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브렌트 크로스역
기본 정보
브렌트 크로스 역
관리런던 지하철
위치브렌트 크로스
자치구바넷 구
플랫폼 수2
요금 구역3
역사
원래 운영런던 전기 철도
개업1923년 11월 19일 (브렌트 역으로 개업)
개명1976년 7월 20일 (브렌트 크로스 역으로 개명)
문화재 지정 등급II
문화재 지정 시작일2011년 7월 20일
문화재 지정 번호1401123
이용객 통계 (연간, 백만 명)
2010년2.14
2011년2.21
2012년2.13
2013년2.14
노선 정보
노선노던 선
구조교상역
인접 역골더스 그린 역
요금 구역트래블카드 존 3

2. 역사

스탠리 힙스가 설계한 이 역은 1923년 11월 19일에 인근 강 이름을 따서 '''브렌트'''로 개통되었다.[3][4][19][20] 당시 햄스테드 & 하이게이트 선으로 알려진 노선의 연장선 상에 처음으로 개통되었으며, 미개발된 농촌 지역을 지나 에지웨어까지 연결되었다.

이 연장선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계획되었으며, 당시 역의 이름은 "우드스톡"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쇼핑 센터가 개장한 1976년 3월 2일에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역이 개통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급행 열차가 완행 열차를 추월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통과 루프가 건설되었지만, 이 추가 선로는 1930년대에 철거되었다. 하이필드 애비뉴(Highfield Avenue)를 지나는 교량은 이러한 넓이를 반영하고 있지만, 역의 북쪽과 남쪽 모두에서 선로 폭이 다시 좁아진다.

2. 1. 초기 역사 및 개통 (1923년)

스탠리 힙스가 설계한 브렌트 크로스 역은 1923년 11월 19일 '브렌트'라는 역명으로 개업했다.[3][4][19][20] 역명은 역 근처를 흐르는 강에서 유래했다. 당시 햄스테드 & 하이게이트 선으로 알려진 노선의 연장선 상에 처음으로 개통되었으며, 미개발된 농촌 지역을 지나 에지웨어까지 연결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이 연장선이 계획되었으며, 당시 역의 이름은 "우드스톡"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개업 후 수십년간 브렌트라는 역명이 쓰이다가, 1976년 7월 20일 지역 쇼핑 센터 개장에 맞춰 현재의 '브렌트 크로스'로 바뀌었다.[3][4]

역 개통 직후, 급행 열차가 완행 열차를 추월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대피선이 설치되었으나 1930년대에 철거되었다.[3][4] 하이필드 애비뉴(Highfield Avenue)를 지나는 교량은 이러한 넓이를 반영하고 있지만, 역의 북쪽과 남쪽 모두에서 선로 폭이 다시 좁아진다.

2. 2. 역명 변경 (1976년)

브렌트 크로스 역은 스탠리 힙스가 설계하고 1923년 11월 19일 근처의 강 이름을 따서 '브렌트'라는 역명으로 개업했다.[19][20][3][4] 당시 햄스테드 & 하이게이트 선이 에지웨어의 무개발 지역까지 연장되고 있었는데, 그 연장 구간의 첫번째 역이었다.

원래 에지웨어 연장선은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기 전에 처음 계획되었고 브렌트 역도 '우드스톡 역'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질 예정이었다. 브렌트라는 역명은 개업 후 수십년간 쓰이다가 1976년 7월 20일 지역 쇼핑 센터가 문을 열면서 지금의 '브렌트 크로스'로 바뀌었다.[19]

역이 문을 연 지 얼마되지 않아 두 개의 대피선이 역내에 설치되었다. 빠른 열차가 느린 열차를 추월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는데, 별로 쓰지는 못하고 1930년대에 철거되었다. 하이필드 애비뉴(Highfield Avenue)를 지나는 교량은 이러한 넓이를 반영하고 있지만, 역의 북쪽과 남쪽 모두에서 선로 폭이 다시 좁아진다.

2. 3. 대피선 설치 및 철거 (1930년대)

스탠리 힙스가 설계한 이 역은 1923년 11월 19일에 인근 강 이름을 따서 '''브렌트'''로 개통되었다.[3][4] 당시 햄스테드 & 하이게이트 선으로 알려진 노선의 연장선 상에 처음으로 개통되었으며, 미개발된 농촌 지역을 지나 에지웨어까지 연결되었다.

이 연장선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계획되었으며, 당시 역의 이름은 "우드스톡"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역이 개통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급행 열차가 완행 열차를 추월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통과 루프(대피선)가 건설되었지만, 이 추가 선로는 1930년대에 철거되었다. 하이필드 애비뉴(Highfield Avenue)를 지나는 교량은 이러한 넓이를 반영하고 있지만, 역의 북쪽과 남쪽 모두에서 선로 폭이 다시 좁아진다.

3. 지역 개발

2008년 3월, 역 근처의 브렌트크로스 지역에 대한 개발 신청이 등록되었다.[21][22] 이 개발 계획은 브렌트 크로스 역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 운행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으로, 역 주변의 주택을 철거하고 지하철역 바깥에 버스가 회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을 포함했다.[5][6][14][15]

같은 해 초, 더 나은 교통을 위한 캠페인의 런던 지부는 북서 런던 경전철 제안을 발표했다.[7][8][16] 이 계획에는 브렌트 크로스 지역을 경유하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으며, 브렌트 크로스 역을 종착 지점으로 삼는 방안이 제시되었다.[17][23][24]

3. 1. 브렌트 크로스 재개발 계획 (2008년)

2008년 3월, 역 근처의 브렌트크로스 지역에 대한 개발 신청이 등록되었다.[21][22] 이 개발 계획은 브렌트 크로스 역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 운행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으로, 역 주변의 주택을 철거하고 지하철역 바깥에 버스가 회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을 포함했다.[5][6][14][15]

같은 해 초, 더 나은 교통을 위한 캠페인의 런던 지부는 북서 런던 경전철 제안을 발표했다.[7][8][16] 이 계획에는 브렌트 크로스 지역을 경유하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으며, 브렌트 크로스 역을 종착 지점으로 삼는 방안이 제시되었다.[17][23][24]

3. 2. 경전철 계획 제안 (2008년)

2008년 3월, 역 근처의 브렌트크로스 지역에 대한 개발 신청이 등록되었다.[21][22] 이 개발 계획은 브렌트 크로스 역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 운행을 원활히 하기 위해, 근처 건물을 철거하고 지하철역 바깥에 버스가 회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을 포함했다.[5][6][14][15]

같은 해 초, 더 나은 교통을 위한 캠페인의 런던 지부는 북서 런던 경전철 제안을 발표했다.[23][7][8] 이 계획에는 브렌트 크로스 지역을 다니는 경전철 노선을 신설하여 브렌트 크로스 역을 종착 지점으로 삼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었다.[24][16][17]

4. 연결 교통

런던 버스 노선 112, 210, 232가 이 역을 경유한다.[9] 역 근처 하이필드 애비뉴에는 런던 버스 210번이 정차하며, 232번 버스 정류장은 하이필드 가든 측 역 출입구 부근에 있다.

4. 1. 버스 노선

런던 버스 노선 112, 210, 232가 이 역을 경유한다.[9] 역 근처 하이필드 애비뉴에는 런던 버스 210번이 정차하며, 232번 버스 정류장은 하이필드 가든 측 역 출입구 부근에 있다.

5.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Brent Cross Underground Station and parade of shops 2015-04-03
[2] 웹사이트 16 London Underground Stations Listed at Grade II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1-07-28
[3] 웹사이트 London Transport Museum http://www.ltmcollec[...]
[4] 웹사이트 London Transport Museum http://www.ltmcollec[...]
[5] 웹사이트 Developers' website http://www.brentcros[...]
[6] 웹사이트 London Borough of Barnet http://www.barnet.go[...]
[7] 웹사이트 London Campaign for Better Transport http://www.bettertra[...]
[8] 웹사이트 London Campaign for Better Transport http://www.bettertra[...]
[9] 웹사이트 Buses from Brent Cross https://content.tfl.[...] 2024-02-17
[10] 웹사이트 Brent Cross Underground Station and parade of shops http://list.english-[...] English Heritage
[11] 웹사이트 16 London Underground Stations Listed At Grade II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1-07-28
[12] 웹사이트 London Transport Museum http://www.ltmcollec[...]
[13] 웹사이트 London Transport Museum http://www.ltmcollec[...]
[14] 웹사이트 Developers' website http://www.brentcros[...]
[15] 웹사이트 London Borough of Barnet http://www.barnet.go[...]
[16] 웹사이트 London Campaign for Better Transport http://www.bettertra[...]
[17] 웹사이트 London Campaign for Better Transport http://www.bettertra[...]
[18] 웹인용 16 London Underground Stations Listed At Grade II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1-07-28
[19] 웹사이트 London Transport Museum http://www.ltmcollec[...]
[20] 웹사이트 London Transport Museum http://www.ltmcollec[...]
[21] 웹인용 Developers' website http://www.brentcros[...] 2010-03-29
[22] 웹사이트 London Borough of Barnet http://www.barnet.go[...]
[23] 웹사이트 London Campaign for Better Transport http://www.bettertra[...]
[24] 웹사이트 London Campaign for Better Transport http://www.bettert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