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골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침은 게리 라슨의 만화 "The Far Side"에서 유래된 용어로, 검룡 꼬리에 있는 가시를 지칭한다. 이 용어는 덴버 자연과학 박물관의 고생물학자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비공식적인 해부학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고생물학에서는 골침이 방어용 무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알로사우루스 꼬리뼈에서 발견된 상처가 이를 뒷받침한다. 스테고사우루스는 4개의 골침을 가지고 있었으며, 형태와 진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수학과 분자생물학 분야에서도 "골침"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룡해부학 -
    뿔은 다양한 동물의 머리에 생기는 돌기로, 특히 포유류와 곤충에서 흔히 발견되며 무기, 지위 경쟁, 짝짓기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
  • 공룡해부학 - 모이주머니
    모이주머니는 곤충과 조류의 소화 기관에 있는 근육 주머니로, 곤충은 액체 음식 저장 및 영양 교환, 조류는 모이주머니유 생성과 같이 종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문학 및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스테고사우루스과 - 켄트로사우루스 (검룡)
    켄트로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 탄자니아에서 서식한 몸길이 4~5m의 비교적 작은 검룡류 공룡으로, 스테고사우루스와 유사하지만 크기, 갑옷 형태, 유연성에서 차이를 보이며 꼬리 가시로 방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스테고사우루스과 - 우에르호사우루스
    우에르호사우루스는 약 1억 3천만 년 전 전기 백악기 아시아에 서식했으며 넓은 몸통과 확장된 골반이 특징인 최대 7m 길이의 검룡류 공룡 속으로, 한때 스테고사우루스와 같은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재분류되었다.
  • 검룡하목 - 켄트로사우루스 (검룡)
    켄트로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 탄자니아에서 서식한 몸길이 4~5m의 비교적 작은 검룡류 공룡으로, 스테고사우루스와 유사하지만 크기, 갑옷 형태, 유연성에서 차이를 보이며 꼬리 가시로 방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검룡하목 - 스테고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초식 공룡으로, 등에 두 줄로 솟은 골판과 꼬리 끝의 골침이 특징이며, 골판 배열과 기능, 꼬리 가시 용도에 대한 논쟁이 있고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 콜로라도주의 상징 공룡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골침
명칭
학명Thagomizer (비공식)
어원만화가 게리 라슨의 "The Far Side"에서 유래
특징
설명스테고사우루스류 공룡의 꼬리 끝에 있는 4개 또는 그 이상의 가시를 지칭하는 비공식적인 용어이다.
기능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수단으로 추정된다.
역사
명명 유래1982년, 게리 라슨의 만화에서 스테고사우루스의 꼬리에 난 가시에 찔려 죽은 동굴인 캐릭터 "Thag"에서 유래되었다.
공식 용어 채택1993년, 커크 존슨에 의해 학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논쟁 및 연구
손상 연구스테고사우루스의 골침 화석에서 발견된 손상 흔적을 통해 생전에 사용되었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있다.
논쟁일부 과학자들은 "thagomizer"라는 용어가 비공식적이고 유머러스한 기원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학술적 글쓰기에서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 어원

A cartoon of a group of cavemen. One points at a diagram of a dinosaur's tail with four spikes. The caption reads,
이 ''The Far Side'' 만화는 "골침"이라는 용어의 기원이다.


"골침"이라는 용어는 게리 라슨이 농담으로 만들었다. 1982년 ''The Far Side'' 만화에서 한 무리의 동굴인들이 한 동굴인 강사로부터 검룡의 꼬리에 있는 가시는 "고(故) 태그 시몬스(Thag Simmons)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는 것을 배운다.

이 용어는 덴버 자연과학 박물관의 고생물학자였던 케네스 카펜터가 1993년 척추 고생물학회 연례 회의에서 화석을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했다. 이후 "골침"은 스미소니언 협회, 공룡 국립 기념물, 책 ''The Complete Dinosaur'', BBC 다큐멘터리 시리즈 ''플래닛 다이노소어'' 등에서 사용되는 비공식적인 해부학 용어로 채택되었다. 이 용어는 검룡 및 관련 공룡을 설명하는 일부 기술 논문에도 등장한다.

3. 고생물학

골침의 기능에 대해서는 초기에는 과시용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방어용 무기라는 주장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1914년 길모어는 골침이 과시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3] 그러나 로버트 배커는 검룡류의 꼬리가 다른 조반목 공룡들보다 훨씬 유연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골침이 무기로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검룡류의 꼬리뼈에는 골화된 힘줄이 없어 꼬리가 유연했으며, 뒷다리가 앞다리에 비해 크게 발달하여 꼬리를 휘두를 때 버티거나 몸의 방향을 민첩하게 바꿀 수 있도록 진화했다고 설명했다.[14]

켄트로사우루스의 모델을 사용한 분석에서는 꼬리가 몸의 측면까지 구부러질 수 있어, 골침으로 포식자를 공격할 수 있었을 것으로 나타났다.[15] 2001년 맥위니 등의 연구에서는 골침이 상대에게 치명상을 입힐 정도의 위력이 있었음을 시사하며,[16] 골침이 전투에 사용되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했다.

알로사우루스의 꼬리뼈에서 발견된 자상은 스테고사우루스의 골침과 일치하며,[17] 이는 골침이 실제로 방어에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3. 1. 골침의 형태와 진화

연결된 검룡 갑옷의 발견을 통해, 적어도 일부 종에서는 골침이 수직으로 뻗어 있지 않고 수평으로 뻗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877년 마시가 기재한 스테고사우루스 아르마투스(''S. armatus'')는 꼬리에 8개의 골침이 있다고 했지만, 현재 연구에서는 4개였음이 밝혀졌다.[29][30] 스테고사우루스 스테노프스(''Stegosaurus stenops'')는 4개의 골침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약 60cm에서 90cm 길이이다.

4. 수학

2017년 논문에서, 완전 삼분 그래프 K1,1,n에 대해 타고마이저 그래프(그리고 관련된 "타고마이저 매트로이드")라는 용어가 도입되었다.[21]

5. 분자생물학

2023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RNA-단백질 결합 이벤트를 조사하는 방식인 ''Thagomizer''를 교차결합 면역침강법(CLIP-Seq) 데이터에서 발표했다.[22][23]

참조

[1] 서적 "Classification and Evolution of the Dinosaur Groups" St Martin's Press
[2] 논문 Evidence for predator-prey relationships: Example for Allosaurus and Stegosaurus Indiana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Watch Out For That Thagomizer! https://www.smithson[...] 2019-05-28
[4] 웹사이트 The word: Thagomizer https://www.newscien[...] 2006-07-08
[5]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6] 웹사이트 Stegosaurus Changes https://web.archive.[...]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Department of Paleobiology 2007-03-03
[7] 간행물 Stegosaur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12-11
[8] 간행물 Fight For Life https://vimeo.com/13[...] 2015-11-26
[9] 학술지 Defense capabilities of Kentrosaurus aethiopicus Hennig, 1915 https://www.uv.es/pe[...]
[10] 학술지 Dacentrurine stegosaurs (Dinosauria): A new specimen of Miragaia longicollum from the Late Jurassic of Portugal resolves taxonomical validity and shows the occurrence of the clade in North America 2019-11-13
[11] 학술지 Bizarre tail weaponry in a transitional ankylosaur from subantarctic Chile 2021-12-01
[12] 학술지 New thyreophoran dinosaur material from the Early Jurassic of northeastern Germany 2022
[13] 학술지 Osteology of the armored Dinosauria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enus Stegosaurus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14] 서적 The Dinosaur Heresies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15] 웹사이트 Heinrich's digital Kentrosaurus: the SJG stegosaur special, part II https://web.archive.[...] 2011-01-19
[16] 서적 The Armore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Carnivorous Dinosaurs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8] 학술지 Armor of Stegosaurus stenops, and the taphonomic history of a new specimen from Garden Park, Colorado
[19] 학술지 A new order of extinct Reptilia (Stegosauria) from the Jurassic of the Rocky Mountains https://zenodo.org/r[...]
[20] 서적 The Armore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21] 학술지 Kazhdan-Lusztig polynomials of matroids: a survey of results and conjectures https://www.emis.de/[...] 2017
[22] 학술지 GCLiPP: global crosslinking and protein purific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high-resolution occupancy maps for RNA binding proteins 2023-12-07
[23] 웹사이트 Thagomizer https://thagomizer.u[...] 2024-01-12
[24] 서적 "Classification and Evolution of the Dinosaur Groups" St Martin's Press
[25] 학술지 Osteology of the armored Dinosauria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enus Stegosaur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26] 웹사이트 Heinrich's digital Kentrosaurus: the SJG stegosaur special, part II http://scienceblogs.[...] 2011-01-19
[27] 서적 The Armore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Carnivorous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29] 학술지 A new order of extinct Reptilia (Stegosauria) from the Jurassic of the Rocky Mountains
[30] 서적 The Armore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31] 서적 "Classification and Evolution of the Dinosaur Groups" St Martin'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