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묘는 중국 산둥성 취푸에 위치한 공자를 기리는 사당이다. 공자는 노나라 애공 사후 2년 뒤 묘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역대 황제들이 제례를 거행하는 등 중요하게 여겨졌다. 수나라 때 철거된 후 여러 차례 재건되었으며, 명나라 시대에 현재의 규모를 갖추었다. 문화대혁명 시기에 훼손되었으나 복구되어 현재에 이른다. 공묘는 중국에서 자금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건축물 단지이며, 9개의 뜰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건물로는 령성문, 대성전, 행단 등이 있으며, 석비가 다수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취푸시 - 공림
    중국 취푸에 위치한 공림은 공자의 능묘를 중심으로 원나라 시대부터 명, 청 시대를 거치며 확장된 20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묘지림으로, 문화대혁명 시기 훼손을 겪었으나 현재는 1만 그루 이상의 나무와 4,000기가 넘는 묘비가 보존되어 있다.
  • 취푸시 - 삼공 (유적)
    삼공 유적은 중국 취푸시에 있는 공묘, 공부, 공림을 아우르는 유적으로, 공자와 관련된 중요한 유적지이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지닝시의 건축물 - 공림
    중국 취푸에 위치한 공림은 공자의 능묘를 중심으로 원나라 시대부터 명, 청 시대를 거치며 확장된 20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묘지림으로, 문화대혁명 시기 훼손을 겪었으나 현재는 1만 그루 이상의 나무와 4,000기가 넘는 묘비가 보존되어 있다.
  • 지닝시의 건축물 - 삼공 (유적)
    삼공 유적은 중국 취푸시에 있는 공묘, 공부, 공림을 아우르는 유적으로, 공자와 관련된 중요한 유적지이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공자묘 - 문묘
    문묘는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을 기리는 사당으로 동아시아에 존재하며, 한반도에서는 유교 교육기관과 사림의 근거지로서 기능했고 현재도 의례가 이어진다.
  • 공자묘 - 문묘 (하노이)
    하노이 문묘는 1070년 리 왕조 시대에 공자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원으로, 베트남 최초의 대학교인 국자감이 함께 있었으며, 과거 시험 합격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진사제명비는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된 베트남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공묘
개요
공묘 대성전
공묘의 주요 성소인 대성전
중국어 (간체)孔庙
중국어 (번체)孔廟
병음Kǒng miào
로마자 표기 (표준 중국어)Kǒng miào
로마자 표기 (광둥어)Hung2 miu6
로마자 표기 (상하이어)Húng miuh
로마자 표기 (월어)Hung2 miu6
로마자 표기 (민난어)Khóng biō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
위치취푸, 산둥성, 중국
일부취푸의 공자 유적
기준(i), (iv), (vi)
ID704
좌표35°35′48″N 116°59′3″E
등재 연도1994년
공묘
"공묘" 간체 (위) 및 번체 (아래) 중국어 문자
상세 정보
문화관광부 등급국가 AAAAA급 관광지
관련 유적취푸의 공자 유적 (삼공)

2. 역사

노나라 애공공자가 세상을 떠난 지 2년이 되던 해에 그의 집을 묘(廟)로 삼았다.[2] 기원전 205년, 전한을 세운 유방은 노나라에서 공묘에 제물을 바치고 공자를 제사 지내는 의례를 실시하였다. 그는 이후 황제나 고관들에게도 전례를 따르도록 하였다. 황제는 즉위한 뒤나 전쟁에서 승리하는 등 중요한 때에 취푸를 방문하게 되었다. 12명의 황제가 공자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취푸에 직접 방문하였으며, 그 외 100명 이상의 황제가 제례를 위해 대리인을 파견한 것이 196회 이상이다.

원래 세 부분으로 된 공자의 집은 수나라 611년(대업 7년)에 묘소를 재건할 때 철거되었다. 송나라 때인 1012년1094년(소성 원년)에 3개의 전각군과 4개의 정원을 재건하고, 그 주위에 총 400개가 넘는 방을 지어 많은 궁전 건축이 추가되었다. 금나라 말기인 1214년(정우 2년)에는 화재와 약탈로 공묘는 파괴되었다. 그 후 원나라 초기인 1302년(대덕 6년)에 공묘가 재건되어 1331년(지순 2년)에는 공자묘가 궁전과 같이 벽으로 둘러싸이게 되었다. 1499년(홍치 12년)에 다시 화재로 소실되고, 그 후 재건되었을 때에 공묘는 현재의 규모로 재건되어 후년, 건물이나 비석과 장식 등이 추가되어 현재의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문화대혁명 때에 봉건주의의 상징으로서 파괴의 대상이 되었지만, 문화혁명 종료 후에 복구 공사가 진행되어 현재에 이른다.[2]

3. 건축

공묘 건축군은 중국에서 자금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역사적 건축물군이다. 부지 면적은 140000m2이며, 나무로 뒤덮인 광대한 부지에 높고 큰 지붕의 누각이 여러 개 솟아 있다. 궁전 건축의 기둥 간 수는 460개나 된다.

1499년 화재 이후의 대규모 개축에서는 명나라의 도성인 자금성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묘의 주요 부분은 9개의 정원을 둘러싸듯이 건물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정원과 건물들은 남북으로 향한 길이 1.3km의 직선상에 좌우대칭으로 놓여 있다.

처음 3개의 정원에는 작은 문이 있으며, 손님을 맞이하듯이 높은 소나무가 심어져 있다. 가장 남쪽의 문은 "영성문(欞星門)"이라고 부른다. 영성은 고대 전설에서는 하늘에 있는 별로, 고대 제왕을 제사할 때 이 별에 대해 의식을 치렀는데, 공자도 이들 제왕과 동격으로 취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나머지 정원을 둘러싼 건물군이 공묘의 심장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황제의 색인 노란색 기와를 덮은 주홍색 외벽의 궁전으로, 주변의 짙은 녹색 소나무와 색의 대비가 돋보여 매우 강한 인상을 주는 건물이다.

주요 건물은 석비 등을 놓은 전각(금나라에서 원나라, 1115년-1368년의 건축)이다. 규문각(奎文閣)은 1018년(천희 2년)에 조영되었으며, 1504년(홍치 17년)과 1985년에 대규모 개수된 건물로, 역대 황제로부터 하사받은 경서 등이 수납되어 있다. 대성문부터는 세 개의 궁전군이 좌우대칭으로 놓여 있다. 동쪽의 "동로(東路)"는 시례당 등을 중심으로 공자의 5대 전까지의 조상을 제사하는 묘이다. 서쪽의 "서로(西路)"는 금사당 등, 공자의 부모를 제사하는 묘로, 학문소이기도 하다. 거대한 "중로(中路)"의 건축군은 대성전을 중심으로 공자 및 선유·선현들을 제사하고 있다. 모든 묘는 오전·일사·일각·일단·이당·십칠비정·오십삼문방을 갖추고 있으며, 노란색 기와로 덮여 소나무 숲에 둘러싸여 있다. 또한 부지 내에 있는 다양한 비석은 2,000개가 넘는다.

3. 1. 주요 건물

공묘의 주요 건물들은 다음과 같다.

공묘는 중국에서 자금성 다음으로 큰 역사적 건축군이다. 부지 면적은 140000m2이며, 460개의 방이 있는 건물들이 숲으로 덮인 넓은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1499년 화재 이후 명나라의 자금성을 본떠 대규모로 재건되었다. 묘역은 남북으로 1.3km 뻗은 중심축을 따라 9개의 뜰을 중심으로 건물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처음 세 개의 뜰에는 작은 문과 함께 높은 소나무들이 심어져 방문객을 맞이한다. 가장 남쪽에 있는 문은 영성문(欞星門)으로, 하늘의 별을 상징하며 공자를 제왕과 동격으로 대우했음을 나타낸다. 나머지 뜰을 둘러싼 건물들이 공묘의 핵심을 이루며, 황제를 상징하는 노란색 기와와 붉은색 벽, 짙은 녹색 소나무의 강렬한 색 대비가 인상적이다.

주요 건물로는 금나라와 원나라 시대(1115-1368년)의 석비 등이 있는 전각과 규문각(奎文閣)이 있다. 규문각은 1018년(천희 2년)에 지어져 1504년(홍치 17년)과 1985년에 크게 보수되었으며, 역대 황제들이 하사한 경서 등을 보관하고 있다. 대성문부터는 세 개의 궁전군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동쪽의 "동로(東路)"는 시례당 등 공자의 5대조까지의 조상을, 서쪽의 "서로(西路)"는 금사당 등 공자의 부모를 모시는 사당이며, 학문소 역할도 했다. 중앙의 "중로(中路)"는 대성전을 중심으로 공자와 선현들을 모시고 있다. 각 묘는 오전, 일사, 일각, 일단, 이당, 십칠비정, 오십삼문방으로 구성되며, 노란색 기와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부지 내에는 2,000개가 넘는 다양한 비석들이 있다.

행단문


대성전은 공묘의 중심 건물로, 가로 54m, 세로 34m, 높이 32m의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28개의 화려한 기둥이 건물을 지탱하고 있으며, 각 기둥은 높이 6m, 지름 0.8m로 현지에서 통돌을 깎아 만들었다. 정면의 10개 기둥에는 용 조각이 새겨져 있는데, 황제가 취푸(曲阜)를 방문했을 때는 황제의 질투를 우려해 덮개로 가렸다고 한다. 대성전은 공자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대성전 앞뜰에는 공자가 제자들을 가르쳤던 행단(杏壇)이 있다. 공자가 살구나무 아래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이야기에 따라 행단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3. 2. 기타

공묘 경내에는 많은 수의 석비가 있다. 취푸의 공자 석비에 관한 책에서는 공묘 부지에 약 500개의 석비가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목록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고 언급하고 있다.[3][4] 이 석비들은 공묘의 재건 및 개수를 기념하고, 공자를 칭송하는 글과 황제의 칙령을 담고 있으며, 공자에게 새로운 칭호를 부여하고 있다. 비석 대부분은 원래 공묘와 관련이 있었지만, 근대에 들어 곡부의 다른 지역에서 안전을 위해 공묘 경내로 옮겨졌다.[5]

석비의 비문은 대부분 한자로 되어 있지만, 일부 원나라청나라의 석비는 각각 중세 몽골어(파스파 문자)와 만주어로 된 글자가 있다.

가장 중요한 황제 석비 중 일부는 "십삼비정(十三碑亭)"에 집중되어 있다. 13개의 정자는 규문각(奎文閣)과 대성문(大成門) 사이의 좁은 뜰에 두 줄로 배열되어 있다.

북쪽 열에는 5개의 정자가 있는데, 각 정자에는 거대한 돌거북(''비희'')이 받치고 용으로 장식된 커다란 석비가 하나씩 있다. 이 비석들은 청나라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1683년~1748년)에 설치되었다. 이 황제 석비는 높이가 3.8~4m이고, 거북이의 길이는 최대 4.8m이다. 무게는 최대 65톤(석비, ''비희'' 거북, 받침대 포함)에 달한다.[6]

남쪽 열에는 8개의 정자가 있는데, 각 정자에는 더 작은 석비가 여러 개씩 있다. 이 중 4개에는 여진족의 금나라(1115-1234)와 몽골 원나라 시대의 석비가 있으며, 나머지는 청나라 시대의 석비이다.[7]

십삼비정 구역의 네 모서리 주변 "부속 건물"에는 다양한 시대의 비희 받침대가 없는 더 작은 석비들이 야외에 줄지어 서 있다.[8]

명나라 시대의 중요한 거북 받침대 황제 석비 4개는 규문각 남쪽 뜰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지역에는 두 개의 석비 정자가 있다. 동쪽 정자에는 홍무제 4년(1371)에 세워진 석비가 있는데, 지리적 방향 등과 관련된 신들을 지정하는 내용이다. 서쪽 정자에는 영락제 15년(1417)에 세워진 석비가 있으며, 공묘의 개수를 기념하고 있다. 다른 두 개의 석비는 야외에 있는데, 동쪽 정자 앞에는 성화제 4년 (1468) 석비가 있고, 서쪽 정자 앞에는 홍치제 17년 (1504) 석비가 있는데, 이 또한 공묘 보수 공사를 기념한다. 이 지역에는 이 외에도 수십 개의 더 작은, 거북이가 없는 석비가 있다.[9]

공묘 건축군은 중국에서 자금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역사적 건축물군이다. 부지 면적은 140000m2이며, 나무로 뒤덮인 광대한 부지에 높고 큰 지붕의 누각이 여러 개 솟아 있다. 궁전 건축의 기둥 간 수는 460개나 된다.

1499년 화재 이후의 대규모 개축에서는 명대의 도성인 자금성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공묘의 주요 부분은 9개의 정원을 둘러싸듯이 건물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정원과 건물들은 남북으로 향한 길이 1.3km의 직선상에 좌우대칭으로 놓여 있다.

처음 3개의 정원에는 작은 문이 있으며, 손님을 맞이하듯이 높은 소나무가 심어져 있다. 가장 남쪽의 문은 "영성문(欞星門)"이라고 부른다. 영성은 고대 전설에서는 하늘에 있는 별로, 고대 제왕을 제사할 때 이 별에 대해 의식을 치렀는데, 공자도 이들 제왕과 동격으로 취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나머지 정원을 둘러싼 건물군이 공묘의 심장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황제의 색인 노란색 기와를 덮은 주홍색 외벽의 궁전으로, 주변의 짙은 녹색 소나무와 색의 대비가 돋보여 매우 강한 인상을 주는 건물이다.

주요 건물은 석비 등을 놓은 전각(금나라에서 원나라, 1115년-1368년의 건축)이다. 규문각(奎文閣)은 1018년(천희 2년)에 조영되었으며, 1504년(홍치 17년)과 1985년에 대규모 개수된 건물로, 역대 황제로부터 하사받은 경서 등이 수납되어 있다. 대성문부터는 세 개의 궁전군이 좌우대칭으로 놓여 있다. 동쪽의 "동로(東路)"는 시례당 등을 중심으로 공자의 5대 전까지의 조상을 제사하는 묘이다. 서쪽의 "서로(西路)"는 금사당 등, 공자의 부모를 제사하는 묘로, 학문소이기도 하다. 거대한 "중로(中路)"의 건축군은 대성전을 중심으로 공자 및 선유·선현들을 제사하고 있다. 모든 묘는 오전·일사·일각·일단·이당·십칠비정·오십삼문방을 갖추고 있으며, 노란색 기와로 덮여 소나무 숲에 둘러싸여 있다. 또한 부지 내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로부터 기증받은 석비는 2,000개가 넘는다.

참조

[1] 웹사이트 Temple and Cemetery of Confucius and the Kong Family Mansion in Qufu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4-03
[2] 보고서 Advisory Body Evaluation of the Temple of Confucius, the Cemetery of Confucius, and the Kong Family Mansion in Qufu (ICOMOS) http://whc.unesco.or[...] ICOMOS 1994
[3] Luo2001 Luo Chenglie (2001)
[4] Luo2001 Luo Chenglie (2001)
[5] 문서 E.g., some stelae found in Jiuxian village, which was the site of the Qufu county seat during the Song, Jin, and Yuan Dynasties.
[6] Luo2001 The list of stelae in this row in Luo Chenglie (2001)
[7] Luo2001 The list of stelae in these pavilions in Luo Chenglie (2001)
[8] Luo2001 The list of stelae in these four areas in Luo Chenglie (2001)
[9] Luo2001 The list of stelae in these four areas in Luo Chenglie (2001)
[10] 웹사이트 中国三大宮廷建築 | テーマ別世界遺産 | 世界遺産オンラインガイド https://worldheritag[...]
[11] 웹사이트 济宁市曲阜明故城(三孔)旅游区 https://www.mct.gov.[...] 중화인민공화국문화관광부 2021-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