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치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치제는 명나라의 제9대 황제로, 성화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만귀비의 음모로 낙태될 위기에 처했으나 환관의 도움으로 살아남아 황태자가 되었다. 홍치제는 즉위 후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법규를 정비하는 등 개혁 정치를 펼쳤으며, 도교와 불교 세력을 숙청하고 부패를 척결하려 노력했다. 그는 일부일처제를 유지하며 효성경황후 장씨에게 헌신했으나, 황후의 친정 세력은 권력을 남용하기도 했다. 홍치제는 자연재해 속에서도 경제를 부흥시키고 군사력을 강화했으며, 유교적 가르침에 따라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려 노력했다. 그는 1505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정덕제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화제의 황자 - 주우원
주우원은 명나라 황족으로 흥헌왕에 봉해졌으며, 아들 주후총이 황제가 되면서 예종으로 추존되었고, 그의 추존 과정은 대례의 논쟁을 일으켰다. - 16세기 중국의 군주 - 가정제
가정제는 명나라의 제11대 황제로서, 정덕제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대례의 의를 통해 생부를 황제로 추존하려 했으며, 북로남왜의 위협과 엄숭의 전횡, 도교 숭상으로 정치가 혼란스러운 가운데 단약을 복용하다 사망했다. - 16세기 중국의 군주 - 만력제
만력제는 명나라의 제14대 황제로서, 10세에 즉위하여 초기에는 정치적 안정을 이루었으나, 장거정 사후 정치 문란, 임진왜란 지원, 당쟁 격화 등으로 명나라 쇠퇴를 초래했으며, 후반에는 정치에 무관심하다가 만년에 사망했다. - 15세기 중국의 군주 - 건문제
건문제는 명나라의 제2대 황제로, 유교적 이상 정치를 추구하며 개혁을 시도했으나 숙부들의 반란으로 실종되었고 사후 복권되었다. - 15세기 중국의 군주 - 선덕제
선덕제는 명나라의 5대 황제로, 뛰어난 능력과 정치적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통치를 이룩하고 정화의 남방 항해를 재개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환관의 권력 강화는 비판받기도 하며, 문인화가로서 재능도 보인 그의 치세는 명나라 전성기로 평가된다.
홍치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묘호 | 효종(孝宗) |
시호 | 달천명도순성중정성문신무지인대덕경황제(達天明道純誠中正聖文神武至仁大德敬皇帝) |
휘 | 주우탱(朱祐樘) |
존호 | 황제 |
출생일 | 1470년 7월 30일 |
사망일 | 1505년 6월 8일 |
매장지 | 태릉, 베이징, 중국 |
아버지 | 성화제 |
어머니 | 효목황후 |
통치 | |
즉위일 | 1487년 9월 22일 |
연호 | 홍치(弘治) |
재위기간 | 1487년 9월 9일 – 1505년 6월 8일 |
가족 | |
배우자 | 효성경황후 (1487년 결혼) |
자녀 | 정덕제 위도왕 주후위 태강공주 |
기타 정보 | |
사후칭호 | 경황제(敬皇帝) |
사당 이름 | 효종(孝宗) |
2. 생애
1470년에 태어난 홍치제는 태아 상태일 때 만귀비에 의해 낙태약으로 독살당할 위기에 몰렸으나 무사히 태어났다. 성화제의 최측근 환관 중 한 명은 홍치제를 자신의 숙소에 잠시 숨겨 길렀다가 궁 밖으로 유출시켜 민가에서 키웠다.[2]
효목순황후 기씨(孝穆純皇后 紀氏)는 홍치제가 5살 되던 해에 아버지 성화제의 후궁인 만귀비(萬貴妃)에 의해 독살되었다. 홍치제는 즉위 후 대명률(大明律)을 개정하여 문형조례(問刑條例)를 반포하고,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정하여 법규를 정비했다. 서부(徐溥), 유건(劉健), 이동양(李東陽), 왕서(王恕), 마문승(馬文升), 구준(丘浚) 등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구준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수렴하고 마문숭의 개혁안을 받아들였다. 대경연(매달 2일, 12일, 22일)과 소경연(비정기적)을 개설하고 금의위를 효과적으로 관리했으며, 토지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했다. 무리한 공사를 자제하고 지방에 따라 세금(하세, 추세)을 감면하기도 했다.[1]
대외적으로는 건주여진(建州女眞)과 하미(哈密) 달단(韃靼)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명나라 중흥의 마지막 황제로 평가받고 있다.
홍치제는 현신을 등용하고, 전매법을 재검토했으며, 환관, 도사, 승려의 기강을 바로잡았다. 북쪽의 다얀 칸에 대한 방위 체제를 강화하는 등 여러 정책을 통해 명나라의 국세를 바로잡았다. 한때 불로장생을 설파하는 환관을 신임하기도 했지만, 곧 그 해악을 깨닫고 숙청하여 다시 정치에 힘썼다. 이러한 노력으로 후세 사가들은 그를 '''명나라 중흥의 조'''라고 칭송했다.
홍치 18년 36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감기에 걸렸는데, 태의가 처방을 잘못하여 맹독한 약을 사용해 코피가 멈추지 않아 위독해졌다고 한다(태의는 처형되지 않았다). 대신들에게 외아들인 동궁을 잘 보살펴 줄 것을 부탁하고, 태릉(명나라)에 유일한 황후 장황후와 함께 합장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1470년 성화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생모인 숙비 기씨는 광시성의 소수민족 야오족 토사의 딸로, 반란 진압으로 온 가족이 몰살당하고 포로가 되어 궁녀로 헌상되었다.[1] 성화제의 총애를 받던 만귀비는 질투심이 강하여 자신 이외의 후궁이 임신한 태아를 모두 낙태시켰지만, 홍치제는 환관에 의해 은밀히 길러져 성인이 되었다.[1]
태아 상태일 때 만귀비에 의해 낙태약으로 독살당할 위기에 몰렸으나 무사히 태어났다.[2] 성화제의 최측근 환관 중 한 명은 홍치제가 너무 불쌍하고 안타까운 나머지 만귀비에게 살해당할 위험을 무릅쓰고 홍치제를 자신의 숙소에 잠시 숨겨 길렀다가 기회를 틈타 궁 밖으로 유출시켜 민가에서 키우게 했다.[2]
어머니 효목순황후 기씨(孝穆純皇后 紀氏)는 홍치제가 5살 되던 해에 아버지 성화제의 후궁 만귀비(萬貴妃)에 의해 독살되었다.[2] 홍치제는 신체적으로 강하지 않아 만년에는 종종 병을 앓았다.[3]
1475년 12월 5일, 황태자로 책봉되었다.[3] 1487년 2월, 장씨 부인과 결혼했는데, 그녀는 베이징에서 남쪽으로 200km도 채 안 되는 대운하에 위치한 도시인 흥제(興濟) 출신이었다(현재의 칭 현, 창저우 관할).[3] 그는 아내에게 깊이 헌신했으며, 중국 역사상 유일하게 일부일처제를 유지한 황제였다.[3]
2. 2. 즉위와 개혁 정치
홍치제는 1470년(경인년)에 성화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생모인 숙비 기씨는 광시 성 소수민족인 야오족 토사의 딸로, 반란 진압 과정에서 포로가 되어 궁녀가 되었다. 성화제의 총애를 받던 만귀비는 질투심이 강하여 다른 후궁이 임신하면 낙태시켰으나, 홍치제는 환관의 도움으로 은밀하게 양육되어 성인이 되었다.[1]
1487년 성화제가 사망하고, 같은 해 9월 17일 주우성(홍치제)은 황위에 올라 연호를 홍치라 하였다. 즉위 후 가장 먼저 성화제가 중용했던 도사와 승려들을 추방하고, 그 수괴인 이자성과 승계효를 투옥 후 사형에 처했다.[1]
홍치제는 현명한 신하들을 등용하고, 전매법을 재검토했으며, 환관, 도사, 승려의 기강을 바로잡고, 북쪽의 다얀 칸에 대한 방어 체제를 강화하는 등 여러 정책을 통해 명나라의 국세를 바로잡았다. 한때 불로장생을 설파하는 환관을 신임하기도 했으나, 곧 그 해악을 깨닫고 숙청하여 다시 정치에 힘썼다. 이러한 노력으로 후세 사가들은 그를 '''명나라 중흥의 조'''라 칭송했다.[1]
홍치제는 대명률을 개정하여 문형조례를 반포하고, 법규 정비를 위해 대명회전을 개정했다. 서부, 유건, 이동양, 왕서, 마문승, 구준 등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구준의 대학연의보를 수렴하고 마문숭의 개혁안을 받아들였다. 대경연과 소경연을 개설하고 금의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토지 제도를 개선했다. 무리한 공사를 자제하고 지방에 따라 세금을 감면하기도 했다.[1]
밖으로는 건주여진과 하미(哈密)의 달단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명나라 중흥의 마지막 황제로 평가받고 있다.[1]
홍치제 재위 기간 동안 환관과 관련된 정치적으로 중요한 사건은 두 건 있었다. 1489년 난징을 다스리던 장총은 특정 수입의 합법성을 두고 감찰관들과 분쟁을 벌였다. 황제는 장총의 편을 들었지만, 관리들의 공격은 계속되었고 결국 1494년에 장총은 폐위되었다. 다른 사건은 이광과 관련된 것으로, 그는 소금 면허 판매와 관료 승진 및 임명에 대한 대가로 자금을 조달하라는 황제의 지시를 받았다. 관리들은 그를 여러 번 비난했지만, 깎아내리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그러나 1498년 10월 28일, 이광은 자신이 건설한 정자가 풍수 원칙에 어긋난다는 의혹을 받은 후 자살했다.[2]
2. 3. 황후 장씨와 외척
홍치제의 황후 장씨는 1471년에 태어나 1541년에 사망했으며, 1487년부터 1505년까지 황후로 재위했다.[2] 그녀의 아버지는 창국공(昌國公) 장만(張巒)이고, 어머니는 창국부인(昌國夫人) 금씨(金氏)이다.홍치제는 아내에게 헌신적이었지만, 황후는 사치스러운 생활과 도교, 불교 승려들을 신봉하는 것에 더 관심이 많았다. 그 결과 조정은 사치와 유흥에 빠졌다.
1491년 황후가 아들을 낳은 후, 홍치제는 황후뿐만 아니라 그녀의 아버지, 형제들(장학령(張鶴齡)과 장연령(張延齡)), 그리고 다른 친척들까지 총애했다. 1490년 황후의 아버지는 이미 수녕백(壽寧伯)의 작위를 받았고, 1492년 홍치제는 어린 아들을 황태자로 책봉하여 장씨 가문의 권력과 영향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 그 직후, 황후의 아버지는 많은 관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전례 없는 후작으로의 승진을 요청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 그는 그 해에 사망했고, 창국공(昌國公)으로 추증되었다. 후작 작위는 그의 장남에게, 차남은 건창후(建昌侯)의 백작이 되었다가 후에 후작이 되었다. 두 형제는 베이징의 황실 창고 관리와 소금 거래 면허를 포함한 수많은 선물과 토지를 받았다. 장씨 가문의 먼 친척들까지도 다른 명나라 황후들의 친척들과 비교할 수 없는 작위, 관직, 토지, 그리고 부패의 기회를 얻었다.
관료들은 황후의 친척들, 특히 그녀의 형제들의 행위에 대해 자주 불만을 제기했다. 그들은 부패, 횡령, 그리고 베이징 남쪽에 있는 고향에서 이웃의 토지를 빼앗은 혐의를 받았다. 이러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황후와 그녀의 어머니는 항상 장씨 형제들을 옹호했다. 그들은 또한 장씨 가문과의 연줄을 통해 승진한 환관들과 관리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 결과, 홍치제는 비록 비판자들을 처벌하지 않는 편이었지만, 장씨 가문 전체를 어떤 처벌로부터도 보호했다.
홍치제는 아내와 함께 도교에 대한 믿음을 공유했는데, 이는 관리들에게는 좋지 않게 여겨졌고, 특히 그가 도교 승려들을 고위직에 임명했을 때 더욱 그랬다. 홍치제 통치 말기에, 정치가 이전의 성화 연간과 유사한 부정적인 패턴이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그 정도는 덜했다. 여기에는 황실 재산 설립, 이부를 거치지 않는 직접 임명, 소금 거래에서의 비호, 그리고 뇌물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성실하고 근면하지만 비효율적인 황제의 이미지를 손상시켰다.
2. 4. 도교와 불교 신앙
홍치제는 즉위 후 량팡 등 부패하고 인기가 없는 환관들을 강등시키고 유배 보냈다. 그는 황궁 환관 수장 역할을 비공식적으로 수행하는 예제감의 수장으로 유능하고 믿을 만한 후보자들을 임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리들은 계속해서 환관들을 비판하고 황제와 그의 가족이 불교와 도교를 편애한다고 비난했다.[1] 행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불교와 도교를 지지하는 데는 개인적인 이유와 정치적인 이유가 있었다. 두 종교 모두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를 받았고, 불교 라마승들은 베이징 몽골족과 티베트인들에게 높이 존경받았으며, 티베트와의 좋은 관계 유지를 위해 중요했다. 또한 종교적 칭호 판매는 황실 재무부의 중요한 수입원이었다.[1]홍치제는 즉위 초기에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부패한 환관이 운영하는 기관을 없애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2천 명의 임시 관료와 거의 천 명의 도교, 불교, 라마교 신자들을 해고하여 고향으로 돌려보냈고, 가장 부패한 불교 및 도교 승려들을 투옥하거나 처형했다.
성화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난 홍치제는 생모인 숙비 기씨가 광시성 소수민족 야오족 출신이었다. 만귀비는 질투심이 강해 다른 후궁이 임신하면 태아를 낙태시켰지만, 홍치제는 환관에 의해 은밀히 길러졌다.
즉위 후 홍치제가 처음으로 한 일은 성화제가 중용하고 조정에 공헌 없이 높은 녹봉을 받던 도사, 승려를 추방하는 것이었다. 그 수괴였던 이자성·승계효는 투옥되었고, 후에 사형에 처해졌다. 한때, 불로장생을 설하는 환관을 신임하기도 했지만, 곧 그 해악을 깨닫고 숙청했다.
2. 5. 경제와 문화
홍치제는 유교적 이상에 따라 통치하려고 노력했으며, 신하들의 말을 경청하고 백성의 복지를 우선시했다.[1] 1497년에는 정기적인 조회를 재개하여 문관들이 정치와 군사 작전을 주도하게 했다.[2][3] 그는 관료들에게 가혹한 처벌을 삼갔으며, 국가 행정을 효율화하기 위해 매일 아침 조회를 주재했다.[4]홍치 연간에는 ''대명회전(大明會典)''과 ''문형조례(問刑條例)''라는 중요한 법전이 편찬되었다. 1500년 3월에 완성된 ''문형조례''는 297개의 조항을 담고 있었다. 이러한 편찬 작업은 법제 개선을 목표로 한 관리들의 노력의 결과였다.
홍치제는 학문과 예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고전을 바탕으로 정치 토론을 조직하고, 숙련된 화가이자 서예가로서 예술을 후원했다. 여지와 같은 궁정 화가들이 황제의 후원을 받았다.
홍치제 시대에 중국은 1490년대 말에 특히 심각한 자연 재해를 겪었다. 1480년대에는 가뭄, 1490년대 초에는 북중국에 홍수가 발생했다. 1492년의 파괴적인 홍수로 황제는 350만 리터의 밀에 대한 세금을 면제했다. 1480년대 후반부터 계속된 황하의 홍수로 산둥 성의 댐이 붕괴되었고, 1493년 유대하(劉大夏)가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는 카이펑 시에서 강을 통제하여 쑤저우로 우회시켜 산둥 성의 홍수를 예방했다. 이 공로로 유대하는 병부 상서(1501–1506)로 승진했다.
가뭄, 홍수, 흉작에도 불구하고 홍치제 통치 하에서 경제는 번성했다. 그러나 권력자들의 토지 집중이 심화되었고, 동남아시아와의 사적 무역은 번성했다. 쑤저우에서는 부유한 가문들이 예술 후원에서 귀족과 경쟁하여 오파가 번성했고, 선주, 문징명, 당인, 구영과 같은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2. 6. 군사 및 대외 관계
홍치제는 건주여진(建州女眞)과 하미(哈密)의 달단(韃靼)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명나라 중흥의 마지막 황제로 평가받고 있다.홍치제 재위 기간 동안 환관과 관련된 정치적으로 중요한 사건은 두 건이었다. 1489년 난징의 고관 장총은 특정 수입의 합법성을 놓고 감찰관들과 분쟁을 일으켰고, 1490년 황제는 장총의 편을 들었으나, 1494년 장총은 폐위되었다. 다른 사건은 이광과 관련된 것으로, 그는 소금 면허 판매와 관료 승진 및 임명에 대한 대가로 자금을 조달하라는 황제의 지시를 받았다. 1498년 10월 28일, 이광은 자신이 건설한 정자가 풍수 원칙에 따라 부적절한 위치에 있다는 의혹을 받은 후 자살했다.[1]
홍치제 치세 동안 명나라 남서부 지역은 계속 불안했다. 1499년부터 1502년까지 귀주와 윈난의 경계에서 뤄뤄족 출신 여성 미루가 이끈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 반란은 4개 성의 군대와 8만 명의 현지 부족민이 동원되어 진압되었다.[2]
이족이 1500년부터 1503년까지 하이난에서 일으킨 반란은 중국 관리들의 과도한 조치로 인해 촉발되었으며, 부족 지도자들이 이끌어 내륙 산악 지역의 반란군이 해안 평원에 거주하는 중국인을 공격하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반란은 군사력으로 진압되었으며, 중국군과 몽골군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3]
홍치제 치하의 신하들은 투르판의 술탄과 적대 관계를 맺었는데, 술탄은 중국 서쪽 실크로드의 중요한 도시인 하미를 점령했다. 1489년, 명나라는 대 투르판 계획을 시작했고,[4] 1495년에는 군사적으로 개입했다. 중국-몽골 연합군은 하미를 점령하고 위구르족 왕자를 옹립했다. 그러나 투르판은 같은 해 말 이전에 도시를 다시 탈환했다. 이에 명나라는 실크로드 무역을 완전히 중단하여 투르판이 양보하도록 강요했다. 1499년, 위구르족 왕자가 다시 하미에 옹립되었다. 그러나 위구르족 왕자의 무능함은 신하들 사이에 긴장을 야기했고, 이는 지속적인 불안정으로 이어졌다.
2. 7. 죽음과 유산
홍치제는 1505년 6월 1일에 병에 걸려 며칠 뒤인 6월 8일에 사망했다.[1],[2],[3] 그는 유교적 덕목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묘호는 효종(孝宗), 시호는 경제(敬帝)였다. 효종은 "효성스러운 조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4] 그는 베이징 근처의 명나라 황릉인 태릉에 묻혔다. 우연히 감기에 걸렸는데, 태의가 처방을 잘못하여 맹독한 약을 사용해 코피가 멈추지 않아 그대로 위독해졌다고 한다. (태의는 처형되지 않았다.) 그는 대신들에게 외아들인 동궁을 잘 보살펴 줄 것을 부탁하였다.
그의 열세 살 된 아들인 정덕제는 1505년 6월 19일에 그의 뒤를 이었다. 1492년에 아버지의 사랑과 일찍이 황태자로 지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들은 많은 문제에 대해 반대되는 견해를 가졌다. 정덕제가 유교적 가치를 거부한 것과 비교하여, 홍치제는 중국 지식인들에게 이상적인 통치자로 기억되었다.
''명사''는 16명의 명나라 황제 중 홍희제, 선덕제, 홍치제만이 홍무제와 영락제를 제외하고 칭찬할 만한 통치자로 인정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국경 방어가 강화되었고, 세금 행정이 개선되었으며, 정부 내에서 개방성과 협력 정신이 길러졌다.
홍치제의 통치는 전통적으로 황제와 정부 간의 조화로운 관계로 여겨진다. 유교 학자들은 그를 모범적인 통치자로 칭찬하며, 그의 결점, 특히 황후와 그의 부적절한 친척에 대한 편애를 축소했다. 황제는 적극적으로 관리들에게 조언하여 그들과의 관계를 개선했다. 그러나 최고 관직의 구조에는 변화가 없었고, 이는 이후의 정덕제와 가정제 시대에 환관 권력 남용이 급증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즉위한 홍치제가 처음으로 한 일은 성화제가 중용하고, 조정에 아무런 공헌도 없이 높은 녹봉을 받고 있던 도사, 승려를 추방하는 것이었다. 그 수괴였던 이자성·승계효는 투옥되었고, 후에 사형에 처해졌다.
홍치제는 현신을 등용하고, 전매법의 재검토, 환관·도사·승려의 기강 숙정, 북쪽의 다얀 칸에 대한 방위 체제 강화 등의 정책을 실시하여, 해이해져 있던 명나라의 국세를 바로잡았다. 한때, 불로장생을 설하는 환관을 신임하기도 했지만, 곧 그 해악을 깨닫고 숙청하여 다시 정무에 힘썼으며, 후세의 사가들로부터 '''명나라 중흥의 조'''라고 칭송받고 있다.
3. 가족 관계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재위 기간 | 생몰년도 | 국구(장인/장모) | 비고 |
---|---|---|---|---|---|---|
황후 | 효성경황후 | 장씨(張氏) | 1487년 ~ 1505년 | 1471년 ~ 1541년 | 창국공(昌國公) 장만(張巒) 창국부인(昌國夫人) 금씨(金氏) | [2] |
부인 | 경순부인 | 소씨(邵氏) | ||||
부인 | 안화부인 | 주씨(周氏) | ||||
부인 | 안순부인 | 유씨(劉氏) | ||||
부인 | 영순부인 | 맹씨(孟氏) | ||||
부인 | 영선부인 | 항씨(項氏) | 1426년 ~ 1497년 | |||
선시 | 심경련(沈璚蓮) | 심정례(沈廷禮) | [3] | |||
정금련(鄭金蓮) | [4] |
홍치제는 다른 황제들과 달리 장황후만을 황후로 두었다.[2]
3. 1. 자녀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정덕제 | - | 주후조 | 1491년 ~ 1521년 | 장황후 | 제10대 황제 |
울도왕 | 도(悼) | 주후위 | 1495년 ~ 1496년 | 장황후 | 요절 |
태강공주 | - | 주수영(朱秀榮) | 1494년 ~ 1498년 | 장황후 | 요절 |
홍치제는 다른 황제들과 달리 장황후만을 두었고,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으나 둘째 아들 주후위는 어린 나이에 사망하였다. 홍치제는 첫째 아들 주후조에게 많은 애정을 쏟았다.[2]
4. 기타
- 타키구치 린린의 만화 《신☆재생연 ~명나라 왕조 궁정 이야기》
- 2018년 중국 드라마 《명조황전 ~ 대왕으로 가는 길 ~》 (劉奕君|류이쥔중국어 분)
- 2020년 중국 드라마 《성화 14년 ~ 도시에 피는 비밀 ~》 (류스제 분)
참조
[1]
서적
Xiaozong Shilu
[2]
문서
황태자비(皇太子妃)/자수황태후(慈壽皇太后)/소성황태후(昭聖皇太后)/효강경황후(孝康敬皇后)
[3]
문서
심영동련(沈䖅燑蓮)/여학사(女學士)
[4]
문서
정왕여아(鄭王女兒)/정황아(鄭黃兒)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