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현은 청소년 인권 운동가이자 대학 거부 운동가이며, 병역 거부를 한 인물이다. 고등학생 시절 두발 제한 등에 반대하며 청소년 인권 운동을 시작하여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등에서 활동했으며, 2009년 대학평준화 플래시몹 참여로 공무집행방해죄로 기소되기도 했다. 2011년부터는 학생인권조례 제정 운동에 참여했고, 셧다운제 반대 운동,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 활동 등 청소년 인권 관련 활동을 이어갔다. 또한, 서울대학교 자퇴 후 대학 거부 운동을 펼쳤으며, 2011년 양심적 병역 거부를 선언하여 징역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 수감 중 서신 검열에 반대하여 국가인권위에 진정했으며, 출소 후 감옥 내 만화책 금지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다수의 저서를 통해 청소년 인권, 교육, 사회 문제 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2. 청소년 인권 운동

고등학생 시절 두발 제한 등의 문제와 부딪히면서 청소년운동의 필요성을 느꼈다. 학내에서 청소년인권 문제 등을 제기하며 활동하다가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에 가입했다. '청소년활동기상청 활기'에서도 활동했다.[1] '교육공동체 벗' 출판사 편집자로 일했으며, 2020년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출범을 준비했다.[2]

이후 학생인권조례 제정, 셧다운제 반대, 청소년 참정권 보장 및 학생인권법 제정 요구 등의 활동을 했다.[3][4][5][6]

2. 1. 청소년 인권 운동 참여

고등학생 시절 두발 제한 등의 문제와 부딪히면서 청소년운동의 필요성을 느꼈다. 학내에서 청소년인권 문제 등을 제기하며 활동하다가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에 가입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청소년활동기상청 활기'에서 활동했다.[1] 2009년 11월에는 서울 광화문에서 대학평준화를 외치는 플래시몹을 했다가, 공무집행방해죄로 법정 다툼을 벌이기도 했다.[3] 2011년에는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 서울본부에서 활동하면서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위한 활동을 했다.[3][4] 청소년 온라인게임 셧다운제를 반대하는 활동을 했다.[5] 2017년부터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에서 청소년 참정권 보장, 학생인권법 제정 등을 요구하는 활동을 했다.[6]

2. 2. 청소년 인권 운동의 주요 내용

고등학생 시절 두발 제한 등 여러 문제와 부딪히면서 청소년운동의 필요성을 느꼈고,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에 가입해 활동했다.[1]

2009년 11월에는 서울 광화문에서 대학평준화를 외치는 플래시몹을 진행하다 공무집행방해죄로 법정 다툼을 벌였다.[3]

2011년에는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 서울본부에서 활동하며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위한 활동을 펼쳤다.[3][4]

청소년 온라인게임 셧다운제 폐지 운동에 참여했다.[5]

2017년부터는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에서 청소년 참정권 보장과 학생인권법 제정을 요구하는 활동을 전개했다.[6]

3. 대학 거부와 병역 거부

공현은 2011년부터 '투명가방끈' 단체에서 대학 거부 운동을 하며 서울대학교를 자퇴했다.[7][8][9] 같은 해 11월 29일 양심적 병역 거부를 선언하면서, 획일적인 국가주의에 반감을 느꼈고 오정록, 오태양 등 초창기 병역 거부자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10][11][12]

병역 거부로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고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수감 생활을 했다. 수감 중 서신 검열 대상자로 지정된 것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하고 행정소송을 냈다.[13] 출소 후에는 만화책 금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여 만화책 허용에 기여했다.[14]

3. 1. 대학 거부 운동

공현은 2011년부터 '투명가방끈' 단체에서 대학 거부 운동을 했다. 서울대 사회과학대 학생이던 그는 2011년 학교를 자퇴했다. 그는 서울대 내에 붙인 대자보에서 "입시경쟁, 학벌 사회와 대학 교육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주시면 좋겠다"며 "이 자명한 입시와 교육, 대학 체제에 물음표를 던지고 싶었다"고 말했다.[7][8][9]

3. 2. 양심적 병역 거부

2011년 11월 29일, 공현은 입대 예정일이었음에도 군에 입대하지 않고 양심적 병역 거부를 선언했다.[10] 공현은 선언문에서 획일적인 국가주의에 반감을 느꼈으며, 오정록, 오태양 등 초기 병역 거부자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11][12]

공현은 병역 거부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고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수감 생활을 했다. 그는 수감 중 편지를 통해 SNS에 수감 생활 관련 내용을 올렸다는 이유로 서신 검열 대상자로 지정되었고, 이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하고 행정소송을 냈다.[13] 출소 후, 공현은 감옥에서 만화책을 금지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여 만화책이 허용되는 데 기여했다.[14]

4. 저서

제목출판사출판 연도ISBN비고
《머리에 피도 안마른 것들 인권을 넘보다》메이데이2009년공저
《청소년인권수첩》양철북2010년공저
《인권, 교문을 넘다 - 학생인권 쟁점탐구》한겨레에듀2011년공저
《가장 인권적인, 가장 교육적인 - 학생인권이 교육에 묻다》교육공동체벗2012년공저
《우리는 대학을 거부한다》오월의봄2015년공저
《인물로 만나는 청소년운동사》교육공동체 벗2016년공저
《우리는 현재다 - 청소년이 만들어온 한국 현대사》빨간소금2016년공저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 가르치는 민주주의를 넘어》교육공동체 벗2017년공저
《소년소녀, 정치하라!》우리학교2017년공저
《삐딱할 용기》교육공동체 벗2018년공저
《그런 자립은 없다》교육공동체 벗2019년공저
《세월호라는 기표》교육공동체 벗2019년공저
《체벌 거부 선언》교육공동체 벗2019년공저
《유예된 존재들 - 청소년인권의 도전》교육공동체 벗2020년
《민주시민교육, 어떻게 할까》민들레2020년공저
《아동·청소년의 권리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2020년공저
《능력주의와 불평등 - 능력에 따른 차별은 공정하다는 믿음에 대하여》교육공동체 벗2020년공저
《나를 지키는 법, 내가 고치는 법 - 청소년을 위한 법 설명서》교육공동체 벗2021년공저
《한국 교육의 오늘을 읽다 - 22개의 키워드로 보는 교육계 지형》교육공동체벗2023년공저
《학교를 바꾼 인권 선언 - 학생인권조례의 거의 모든 것》교육공동체벗2024년공저


참조

[1] 뉴스 대학도 군대도 거부한그, 청소년에 꽂히다 http://www.pressian.[...] 2013-11-10
[2] 웹인용 "[주목! 이 사람]청소년 인권 주제 〈유예된 존재들〉 낸 공현씨 “법률·제도로 학생인권 보장해야”" http://weekly.khan.c[...] 2021-01-26
[3] 뉴스 성숙한 청년, 꼰대들을 타이르다 http://h21.hani.co.k[...] 2011-05-26
[4] 뉴스 모의권총 쏴 학생 체벌한 '위험한' 교사 http://www.mediatoda[...] 2011-04-17
[5] 뉴스 “강제적 게임 셧다운제는 어른들의 독재”- 문화연대, ‘강제적 게임셧다운제 위헌보고서’ 발간 http://www.zdnet.co.[...] 2014-04-08
[6] 뉴스 “촛불집회 때 목소리 키웠지만 청소년 인권, 달라진 게 없어” http://news.khan.co.[...] 2019-06-27
[7] 뉴스 "나는 '서울대 자퇴생'이 아니라 '고졸'일 뿐" http://www.pressian.[...] 2011-10-23
[8] 뉴스 "[사회]“대학 다녀야 하는 이유 못 찾겠다”" http://newsmaker.kha[...] 2011-11-01
[9] 뉴스 "[전문]서울대생 자퇴 선언 대자보 전문" http://news.khan.co.[...] 2011-10-14
[10] 뉴스 “나는 소수자다” 병역거부자 “국가의 부속품 아니다” http://news.khan.co.[...] 2012-01-14
[11] 뉴스 "관심 끌려고 병역거부? 감옥을 누가 좋아한다고..." http://www.ohmynews.[...] 2012-04-30
[12] 뉴스 스물네 살의 삶 바꾼 두 번의 거부 https://www.sisain.c[...] 2012-02-23
[13] 뉴스 SNS에 수감생활 알리자 편지검열 http://www.newscham.[...] 2012-11-09
[14] 뉴스 이제 교도소에서도 만화책 볼 수 있다 http://www.pressian.[...] 2014-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