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 (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戈)는 고대 중국에서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된 최초의 전투용 무기로, 주로 전차전에서 사용되었다. 주나라 시대에는 기(戟)에 밀려났지만, 한나라 시대에는 보병 무기로 사용되기도 했다. 과는 동아시아 도시 국가의 귀족 전사들이 사용했으며, 전차에서 찌르거나 떨어뜨리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철기 시대와 기병의 등장으로 전차와 함께 쇠퇴했지만, 짧은 자루의 과는 보병용으로, 과와 창을 조합한 극(戟)은 계속 사용되었다. 고고학적으로는 귀족 무덤에서 의례용 옥기로 발견되며, 날 부분만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 - 파이크
    파이크는 고대부터 근세까지 사용된 3~7미터 길이의 긴 창으로, 밀집 대형을 이루어 보병과 기병에 대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화기 발달 이후 쇠퇴했으나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형태의 창으로 사용되었다.
  • 창 - 재블린
    재블린은 고대부터 전쟁, 사냥, 스포츠에 사용된 투척 무기로, 다양한 문화권과 시대에서 여러 형태와 전술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대에는 국기 상징 및 스포츠 종목으로 알려져 있다.
  • 중국의 무기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무기 - 쇠뇌
    쇠뇌는 활을 가로로 얹어 활시위를 고정하는 장치와 방아쇠를 갖춘 활의 일종으로, 활시위를 당긴 상태 유지가 용이하고 훈련 없이도 사용 가능하여 군사적, 사냥, 스포츠, 특수 목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과 (무기)
개요
다양한 과의 예시
다양한 과의 예시
종류자병, 단병
사용 문화권중국
사용 시기상나라 ~ 한나라
다른 이름극(戟)
상세 정보
재료청동, 철
무게약 0.5 ~ 1 kg
용도찌르기, 베기, 걸기
역사적 중요성고대 중국의 주요 무기 중 하나였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사용됨.

2. 역사

왼쪽 두 개가 '''과'''이다.


과는 고대 중국에서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된 무기이다. 전쟁을 '간과(干戈)를 교차하다'라고 표현하거나, 불교에서 '병과무용(兵戈無用)'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고대에는 병기로서 널리 알려졌다.[2] 전쟁, 무(武)라는 한자에도 과가 들어있다. 과의 칼날은 주로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전국 시대 이후에는 일부 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청동제 과는 '''동과(銅戈)'''라고도 불렸다. 과는 자루에 해당하는 '내' 부분을 대나무나무로 만든 자루의 구멍에 끼우고, 칼날 구멍 '천'을 통해 묶어 고정했다.

주나라 시대에는 기가 점차 전장에서 더 흔해졌다. '기'는 과의 자루 상단에 창날을 추가하여 찌르기와 휘두르기 공격이 모두 가능하도록 개량된 무기였다. 춘추 시대 후기에는 도끼창 날과 창날을 결합한 형태의 '기'가 등장했다. 한나라 시대에는 다재다능한 '기'가 표준 보병 무기로 자리 잡아 과를 완전히 대체했다.[2] 이후 '기'는 창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 중국군의 주요 창으로 사용되었다. 전국 시대에는 창이나 '기'를 사용하는 대규모 보병 부대가 전차를 대체하면서 전장의 주력으로 떠올랐다.[2]

철기가 등장하고 농지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전장에 동원되는 병사의 수가 급증했다. 평민 출신 보병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북방 유목 민족으로부터 기병이 도입되었다. 전국 시대부터 전한에 걸쳐 기병이 성행하면서 전차의 중요성은 감소했고, 전차전용 무기였던 과 역시 쇠퇴하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과'를 '호코'라고 훈독하지만, '모'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모'는 칼날이 자루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반면, '과'는 칼날이 자루 끝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일본 역사 시대에는 '모'만이 실용 무기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역사학 용어로는 '과'를 음독인 '카'로 읽는 경우가 많다.

2. 0. 1. 전차전에서의 과

전차에 탑승한 귀족 무사들은 를 주로 사용하였다. 당시 전차는 영어탱크(tank)가 아니라, 차리엇(chariot)이라고 불리는 이륜 마차였다.[2] 두 필 정도가 끌었고, 세 사람이 탑승했으며, 창을 든 보병 종졸이 몇 명 따라 하나의 전투 단위를 이루었다.[2] 중앙에는 '''어자'''가, 왼쪽에는 활을 쏘는 '''차좌'''가, 오른쪽에는 과를 든 '''차우'''가 탑승했다.[2]

전차가 스쳐 지나갈 때, 차우는 과를 이용해 적을 베거나 전차에서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전투를 수행했다.[2] 이러한 전투 방식은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생산 활동 대신 훈련에 전념할 수 있는 귀족 계급만이 과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었다.

2. 0. 2. 보병전에서의 과

한나라 시대에는 보병 무기로도 과가 사용되었다. 한나라 시대 화상석에는 한 손에는 방패를, 다른 한 손에는 과를 들고 싸우는 보병 집단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2] 당시 병사들은 대부분 징집병이었는데, 이들은 칼이나 창보다 괭이나 낫, 망치와 비슷한 동작으로 다룰 수 있는 과가 더 익숙했을 것이다.

3. 고고학적 발견

과는 귀족의 무덤에서 의례용 옥기(玉器) 형태로 많이 발견된다. 이러한 유물들은 종종 관(棺) 안에서 발견되는데, 권위와 힘의 상징으로, 또는 다른 의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때로는 관 아래에 파놓은 구덩이에서 발견되기도 하는데, 무덤을 지키기 위해 희생된 희생자와 함께 발견되며, 이 과가 영혼 수호자를 무장시키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일반적으로 과의 날 부분만 발견되며, 자루는 부패 또는 기계적인 제거로 인해 사라진 경우가 많다.[1] 옥기 과는 실제 전투에 사용될 의도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지만, 칼날을 강화하는 날카로운 중앙 능선을 포함하여, 전투용 청동 과의 형태를 매우 유사하게 모방하고 있다.[1] 일부 과 유물은 작고 굽어 있는데, 이는 펜던트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4. 갤러리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Ancient China A History Taylor and Francis 2016
[2] 웹사이트 兵戈無用 | 生活の中の仏教用語 http://www.otani.ac.[...]
[3] 간행물 長野市埋蔵文化財センター「戈をもつ鳥装の人物」絵画土器について https://www.city.nag[...] 長野市
[4] 웹사이트 南方遺跡の戈形木製品 https://www.city.oka[...] 岡山市
[5] 웹사이트 下之郷遺跡 戦い、マツリの道具 http://moriyama-bun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