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달카날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달카날섬은 솔로몬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면적은 5,302km²이며, 인구는 155,605명이다. 솔로몬 제도 최고봉인 포포마나세우산(2,335m)이 위치하며, 므보코킴보 강(98.7km)이 섬에서 가장 길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과달카날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1568년 스페인 탐험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893년 영국 보호령이 되었다. 1978년 솔로몬 제도가 독립하면서 호니아라가 수도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달카날섬 - 호니아라
    호니아라는 솔로몬 제도의 수도이자 과달카날 섬에 위치한 도시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도로 지정되어 성장했지만 민족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 행정, 상업, 교육의 중심지이자 솔로몬 제도 최대 도시이다.
  • 과달카날섬 - 과달카날 전역
    과달카날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솔로몬 제도의 과달카날섬과 주변 해역에서 연합군과 일본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일본군의 비행장 건설 저지와 남태평양 확장을 막기 위한 연합군의 전역으로 태평양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솔로몬 제도의 섬 - 벨로나섬
    벨로나섬은 솔로몬 제도에 속한 폴리네시아 외곽 섬으로, 레넬섬과 함께 솔로몬 제도 내 폴리네시아인이 거주하는 대표적인 섬이며, 인구 밀도가 높고 비옥한 내륙을 가지고 마탕기, 옹가우, 응강고 세 구역으로 나뉜다.
  • 솔로몬 제도의 섬 - 아누타섬
    아누타섬은 솔로몬 제도에 속하는 작은 화산섬으로, 넨도 섬에서 멀리 떨어진 태평양에 위치하며, 폴리네시아인들이 사모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고 협동과 공유의 정신을 바탕으로 살아가는 고립된 섬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과달카날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과달카날 지도
과달카날 위치
위치태평양
군도솔로몬 제도
면적5302 km2
최고봉포포마나세우 산
해발고도2335 m
행정 구역
국가솔로몬 제도
행정 구역과달카날 주
최대 도시호니아라
최대 도시 인구 (2021년)92,344명
인구 통계
인구 (2021년)161,197명
인구 밀도30.4명/km2
민족 구성멜라네시아인: 93%
폴리네시아인: 4%
미크로네시아인: 1.5%
유럽인: 0.8%
중국인: 0.3%
기타: 0.4%
기타 정보
원주민 이름이사타부 (Isatabu)

2. 지리

과달카날섬에는 회색 쿠스쿠스 또는 팔랑거로 알려진 토착 유대류인 ''Phalanger orientalis''가 서식한다.[10] 다른 포유류는 박쥐와 설치류뿐이다.

다채로운 앵무새 종이 많이 발견되며, 바다악어가 섬 해안에 서식한다. 최근에는 이 악어들이 섬 남쪽의 웨더 해안에서만 발견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투가 벌어졌던 비행장 근처 북쪽 해안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앨리게이터 크릭과 같은 이름에서 알 수 있다.

독사는 섬에서 드물며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그곳의 지네는 특히 고약한 물린 상처를 가지고 있다.[11] 과달카날 유역은 BirdLife International에 의해 중요한 조류 지역으로 확인된 곳으로, 위협받거나 고유종 조류의 개체군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376146ha 면적으로 섬의 약 70%를 차지하며, 남쪽 해안을 따라 내륙의 중앙 고지대까지 뻗어 있으며, 강변과 저지대 열대 우림뿐만 아니라 솔로몬 제도에서 가장 큰 연속적인 구름 숲 지역을 포함한다. 정원과 오래된 마을 부지도 있지만, 대부분은 영구적으로 거주된 적이 없다. 이 지역의 중요 조류로는 밤색배제국비둘기, 우드포드레일, 과달카날 수염물총새, 미크로리키트, 과달카날 꿀빨이새, 과달카날 덤불새, 과달카날 솔새 등이 있다. 이 지역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는 벌목침입종이 있다.[12]

2. 1. 지형

과달카날섬은 솔로몬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총 면적은 5302km2이며, 인구는 155,605명으로 말라이타섬 다음으로 솔로몬 제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섬이다. 포포마나세우산은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며, 솔로몬 제도에서 해발 약 2335.07m로 가장 높은 지점이다. 므보코킴보강은 섬에서 가장 긴 강으로, 총 길이는 98.7km이다.

과달카날섬은 동경 160도, 남위 9도 30분에 위치하며, 남태평양 서부의 멜라네시아 지역에 있는 솔로몬 제도 중 하나이다. 북서쪽에는 산타이사벨섬, 북동쪽에는 말라이타섬, 남동쪽에는 마키라섬이 있다. 면적은 5,336km2이며 동서 160km, 남북 48km이다. 섬 중앙에는 솔로몬 제도 최고봉인 포포마나세우산(2,335m)이 솟아 있으며, 해안선에는 산호초가 펼쳐져 있다. 연안 일부를 제외한 거의 전 지역이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다.

'''과달카날섬 봉우리 목록 (높이 순)'''

봉우리 이름높이 (ft)높이 (m)
포포마나세우산약 2335.07m2,335
마카라콤부루산약 2310.38m2,310
타나레이레이산약 2053.13m2,053
나몰라바산약 1958.95m1,959
마카라탕고에약 1932.13m1,932
라티나라우산약 1919.02m1,919
카이추이산약 1912.01m1,912
바투치치산약 1894.94m1,895
탐분앙구산약 1886.10m1,886
토하사산약 1743.15m1,743
피나우산약 1727.91m1,728
나수하산약 1630.07m1,630
타투베산약 1541.07m1,541
응알리곰베산약 1520.04m1,520
바투포차우산약 1406.04m1,406
케마우산약 1400.86m1,399
바투자에산약 1368.86m1,369
차우나파호산약 1356.06m1,356
팅게팅게산약 1350.87m1,351
추푸탐부약 1342.95m1,343
하니하니까로산약 1299.06m1,300
바투 호로이산약 1271.02m1,271
루물루무치치약 1264.92m1,265
람부힐라산약 1235.96m1,236
마누추마산약 1235.96m1,236
바투토라산약 1235.05m1,235
라우람바산약 1197.86m1,198
바우수산약 1153.06m1,153
부로산약 1121.97m1,122
탈루바산약 1051.86m1,052
갈레고산약 1040.89m1,041
포포리산약 961.03m961
발리발리시산약 944.88m945
나 바투산약 900.07m900
투구룰로키산약 798.88m800
음벨라포케산약 737.92m738
붕가나산약 715.98m716
에스페란스산약 612.04m612


2. 2. 수계

과달카날섬은 솔로몬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총 면적은 5302km2이며, 인구는 155,605명으로 말라이타섬 다음으로 솔로몬 제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섬이다. 포포마나세우산은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자 솔로몬 제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해발 약 2335.07m)이다. 므보코킴보강은 섬에서 가장 긴 강으로, 총 길이는 98.7km이다.

섬에서 가장 긴 강은 다음과 같다.

순위강 이름길이
1므보코킴보 강98.7km
2룽가 강80.4km
3음발리수나 강76.6km
4음베란데 강75.5km
5몽가 강59.8km
6이티나 강48.6km
7아올라 강47.6km
8시미우 강46km
9레레 강43.2km
10콤비토 강33.1km
11마타니카우 강20.5km
12콜로울라 강17.2km


2. 3. 생태

과달카날섬에는 회색 쿠스쿠스 또는 팔랑거로 알려진 토착 유대류인 ''Phalanger orientalis''가 서식한다.[10] 다른 포유류는 박쥐와 설치류뿐이다.

다채로운 앵무새 종이 많이 발견되며, 바다악어가 섬 해안에 서식한다. 최근에는 이 악어들이 섬 남쪽의 웨더 해안에서만 발견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투가 벌어졌던 비행장 근처 북쪽 해안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앨리게이터 크릭과 같은 이름에서 알 수 있다.

독사는 섬에서 드물며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그곳의 지네는 특히 고약한 물린 상처를 가지고 있다.[11] 과달카날 유역은 BirdLife International에 의해 중요한 조류 지역으로 확인된 곳으로, 위협받거나 고유종 조류의 개체군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376146ha로 섬의 약 70%를 차지하며, 남쪽 해안을 따라 내륙의 중앙 고지대까지 뻗어 있으며, 강변과 저지대 열대 우림뿐만 아니라 솔로몬 제도에서 가장 큰 연속적인 구름 숲 지역을 포함한다. 정원과 오래된 마을 부지도 있지만, 대부분은 영구적으로 거주된 적이 없다. 이 지역의 중요 조류로는 밤색배제국비둘기, 우드포드레일, 과달카날 수염물총새, 미크로리키트, 과달카날 꿀빨이새, 과달카날 덤불새, 과달카날 솔새 등이 있다. 이 지역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는 벌목침입종이 있다.[12] 섬의 연안 일부를 제외한 거의 전 지역이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다.

3. 역사

18세기와 19세기에 유럽 정착민, 포경업자, 선교사들이 과달카날 섬에 도착했다. 이들과 함께 강제 노동과 같은 외국 제도도 들어왔다. 1860년대부터 영국 당국은 솔로몬 제도 여러 지역에서 약 6만 명의 원주민을 강제 고용하여 호주나 피지로 보내 농장에서 일하게 했다. 이 제도는 1890년대까지 이어졌다.[4] 1880년대에는 독일과 영국이 솔로몬 제도에 대한 지배권을 놓고 다투었다. 독일은 1884년 북부 솔로몬 제도에 보호령을 설정했고, 1893년에는 영국령 솔로몬 제도 보호령이 선포되었는데, 여기에는 과달카날 섬도 포함되었다.[3][4] 하지만 독일은 1899년에 대부분의 보호령을 영국에 넘겨주었다. 20세기 초에는 주로 호주인들이 운영하는 대규모 농장(주로 코프라)이 이 지역에 설립되었다. 과달카날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을 심각하게 받지 않았다.[4] 1932년 영국은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마을과 같은 이름으로 과달카날이라는 이름을 확정했다.

3. 1. 초기 역사

과달카날 섬은 포하 동굴과 바툴루마 포소비의 고고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기원전 4500~25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해왔다.[1][2] 기원전 1200~800년경에는 오스트로네시아 라피타인이 이 섬에 정착했다.[1]

1568년 알바로 데 멘다냐 데 네이라가 이끄는 스페인 제국 탐험대가 이 섬을 처음으로 발견한 유럽인이었다. 멘다냐의 부관인 페드로 데 오르테가 발렌시아는 자신의 고향인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과달카날의 이름을 따서 이 섬의 이름을 지었다.[3] 발견 이후 몇 년 동안 이 섬은 과다르카나, 구아르카나, 과달카나, 과달카나르 등 안달루시아 스페인어 발음에 따라 다양하게 불렸다.

3. 2. 식민지 시대

1568년 스페인의 탐험가 알바로 데 멘다냐 데 네이라가 이끄는 탐험대가 솔로몬 제도를 발견했다. 데 네이라는 부하들에게 순서대로 섬 이름을 짓게 했는데, 그 중 한 명인 페드로 데 오르테가가 자신의 출생지인 과달카날(스페인 안달루시아 주 세비야 현)에서 이름을 따왔다.[13] 스페인령 과달카날이라는 명칭은 운하을 의미하는 "Guad al canal"에서 유래했다. Guad는 아랍어로 "강"을 뜻하는 Wadi, al은 아랍어 정관사, canal은 영어로 "운하"를 의미한다.

1893년 영국보호령이 되었다.

1942년 일본군이 상륙하여 비행장 건설을 시작했으나, 미국군이 이를 점령했다. 이 비행장은 헨더슨 비행장(일본군명 룽가 비행장, 2011년 현재 호니아라 국제공항)으로, 이후 일본군과 미국군 사이에 섬 안과 근해에서 격전이 벌어져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의 주요 격전지 중 하나가 되었다 (과달카날 전투).

1943년 일본군은 철수했다. 일본군의 사망자는 약 2만 명으로 알려져 있다.

1955년 과달카날 섬의 일본군 유골 일부가 일본으로 돌아갔다.[13]

1978년 솔로몬 제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수도가 섬 안의 호니아라에 설치되었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12월 진주만 공격 이후, 일본은 미국을 필리핀에서, 영국을 말라야 연방에서, 네덜란드를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몰아냈다. 일본은 서태평양으로 확장하여 정복지를 둘러싸는 방어선을 구축하고, 미국에서 호주와 뉴질랜드로 이어지는 통신망을 위협하기 위해 많은 섬들을 점령했다. 일본은 1942년 5월 과달카날에 도착했다.[5]

미국 정찰대가 과달카날 북부 해안의 룽가 포인트에서 일본 비행장 건설을 발견하자 상황은 위급해졌다. 이 새로운 일본 비행장은 호주에 위협이 되었기 때문에, 미국은 과달카날에서 전쟁 최초의 상륙 작전을 수행했다. 1942년 8월 7일 제1해병사단의 최초 상륙 작전은 큰 어려움 없이 비행장을 확보했지만, 이후 6개월 동안 일본의 육상 공격, 공습 및 해군 포격에 맞서 비행장을 지키는 것은 태평양 전쟁 전체에서 가장 치열한 전투 중 하나였다.

섬에 상륙한 직후, 미국 해군 씨비들이 일본이 시작한 비행장 건설을 마무리하기 시작했다. 그 후, 미드웨이 해전 중 전투에서 사망한 해병 항공대 조종사의 이름을 따서 헨더슨 비행장으로 명명했다. 이 작전 기간 동안 헨더슨 비행장에서 운용된 항공기는 선인장 항공대로 알려진 미 해병대, 육군, 해군 및 기타 연합군 항공기의 혼합이었다. 그들은 비행장을 방어하고 낮 동안 섬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일본 선박을 위협했다. 그러나 밤에는 일본 해군이 자주 비행장에 포격을 가하고 보급품을 수송하여 낮이 되기 전에 철수할 수 있었다. 일본은 이 보강 및 보급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구축함과 같은 빠른 선박을 사용했으며, 이는 도쿄 익스프레스로 알려지게 되었다. 솔로몬 제도 주변의 많은 해전에서 양측의 많은 선박이 침몰하여 인근 해역은 아이언바텀 사운드로 불리게 되었다.

에스페란스 곶 해전은 1942년 10월 11일 과달카날 북서부 해안의 해역에서 벌어졌다. 전투 중, 미국 해군은 "슬롯"을 따라 섬에 병력을 증원하고 보급품을 수송하기 위해 내려오던 일본 함대를 요격하여 격파했으며, 그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피해를 입었다. 11월 초의 며칠간 벌어진 과달카날 해전은 이 작전의 중요한 전환점을 기록했다. 연합군 해군은 대규모의 경험 많은 일본 해상 부대와 야간에 교전하여 철수하게 만들었고, 그 과정에서 일본 전함 ''기리시마''를 침몰시켰다. 이것은 태평양 전쟁에서 두 척의 전함이 서로 교전한 단 두 번의 경우 중 하나였으며, 다음 교전은 1944년 레이테 만 해전 중에 발생했다.

과달카날 주변에서 6개월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후, 섬에 주둔한 일본군은 보급 부족으로 전투 능력을 상실했으며, 연합군 병력은 꾸준히 양적으로 증가하고 질적으로 향상되었다. 섬에 남아 있던 일본군은 1943년 2월 과달카날 북서부 해안의 에스페란스 곶에서 철수했다.[6] 미국 당국은 1943년 2월 9일 과달카날의 안전을 선언했다. 과달카날 전투는 전쟁의 주요 전환점이었으며, 일본의 추가 확장을 막았다.

앨리게이터 크릭 입구에서 미 해병대 진지를 공격하다 사망한 일본군 병사들


과달카날 미국 기념관


이 작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두 척의 미국 해군 선박이 있다.

  • USS ''과달카날'' (CVE-60)은 제2차 세계 대전 호위 항공모함이었다.
  • USS ''과달카날'' (LPH-7)은 상륙 공격함이었다.


현재까지, 미국 해안 경비대의 유일한 명예 훈장 수훈자는 1942년 9월 27일 크루즈 곶에서 그의 특별한 영웅적 행위로 사후에 수여된 통신병 1등 더글러스 앨버트 먼로이다. 먼로는 크루즈 곶에서 500명의 포위된 해병대를 철수시키기 위해 엄호 사격을 제공하고 도왔으며, 철수 중에 사망했다. 헨더슨 비행장 전투 중에는, 존 바실론에게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으며, 그는 1945년 이오지마 전투에서 전사했다.

전쟁 후, 미국과 일본 단체는 실종된 병사들의 유해를 찾기 위해 과달카날을 여러 차례 방문했다. 약 7,000명의 일본군 시신이 섬에 실종된 채 남아 있으며, 섬 주민들은 여전히 일본 단체에 발굴된 일본군 병사의 유해라고 말하는 뼈를 가져다준다.[7]

3. 4. 전후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영국령 솔로몬 제도 보호령의 수도는 툴라기에서 플로리다 제도에 있었으나, 과달카날 섬의 호니아라로 이전되었다. 1952년, 서태평양 고등 판무관은 피지에서 호니아라로 이전했고, 그 직책은 솔로몬 제도의 총독 직책과 통합되었다. 1942년 전투의 원인이 되었고, 헨더슨 비행장으로 널리 알려진 비행장은 현재 솔로몬 제도의 국제공항이다. 호니아라에서 동쪽으로 약 약 8.05km 떨어진 곳에 있다. "파이터 투"로 알려진 보조 비행장은 현재 지역 골프장이다.[13]

3. 5. 민족 분쟁

1999년 초, 과달카날섬의 토착 부족인 과달레족과 인접한 말라 이타섬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끓어오던 긴장이 폭력 사태로 번졌다. 과달카날 혁명군(나중에 이사타부 자유 운동으로 불림)은 섬의 시골 지역에 거주하는 말라이타인들을 공포에 떨게 하여 그들의 집에서 쫓아내려 했다. 약 2만 명의 말라이타인들이 수도로 피신했고, 다른 사람들은 고향 섬으로 돌아갔으며, 호니아라에 거주하던 과달레족 주민들도 피난했다. 도시는 말라이타인 월경지가 되었고, 말라이타 이글 포스가 정부를 장악했다. 왕립 호주 해군과 왕립 뉴질랜드 해군은 호니아라에 주로 거주하는 외국인 커뮤니티를 보호하기 위해 이 지역에 함선을 배치했다. 2003년, 태평양 도서 포럼은 호주, 뉴질랜드 및 기타 태평양 섬 국가가 참여하는 RAMSI 또는 헬프펨 프렌 작전의 개입을 협상했다.

4. 문화

빌루 전쟁 박물관의 기념물


빌루 전쟁 박물관의 항공기


호니아라에서 서쪽으로 약 25km 떨어진 빌루 전쟁 박물관에는 다양한 군사 장비와 여러 항공기의 잔해를 야외 전시하고 있다. 또한 사망한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피지, 뉴질랜드, 일본 군인들을 위한 여러 기념관이 세워졌다.[9]

5. 관광

과달카날섬은 제2차 세계 대전의 격전지였던 만큼, 전쟁 관련 유적지가 많이 남아있다.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호니아라 서쪽 25km 지점에 있는 빌루 전쟁 박물관이 있다.

5. 1. 빌루 전쟁 박물관



호니아라에서 서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 있는 빌루 전쟁 박물관에는 다양한 군사 장비와 여러 항공기 잔해가 야외 전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 호주, 피지, 뉴질랜드, 일본 군인 전사자들을 위한 여러 기념관도 있다.[9]

참조

[1] 웹사이트 A review of Solomon Island archaeology https://www.research[...] 2009-02-01
[2] 논문 Lapita Colonization across the Near/Remote Oceania Boundary
[3] 웹사이트 Guadalcanal, Solomon Islands : A Tourism, Travel and Information Guide : Basecamp International http://www.guadalcan[...] Guadalcanal.com 2016-04-23
[4]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al Places, Volume 5: Asia and Oceania Fitzroy Dearborn Publishers
[5] 서적 Japan's War
[6] 웹사이트 Naval History and Heritage "Guadalcanal Campaign, August 1942 – February 1943 http://www.history.n[...] 2010-03-14
[7] 뉴스 Japanese Unearth Remains, and Their Nation's Past, on Guadalcanal https://www.nytimes.[...] 2014-11-29
[8] 웹사이트 World War II: The Cactus Air Force Fought at Guadalcanal https://www.historyn[...] 2006-06-12
[9] 서적 Südsee München
[10] 웹사이트 phalanger | marsupial https://www.britanni[...]
[11] 간행물 A Short Walk On Guadalcanal https://www.american[...] American Heritage 1993-05-01
[12] 웹사이트 Guadalcanal Watersheds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10-01-01
[13]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