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위성 3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학기술위성 3호는 과학기술위성 2호의 후속으로, 2013년 11월 21일에 발사된 대한민국의 인공위성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고 여러 대학 및 연구기관이 참여하여 개발되었으며, 은하 및 우주 배경 복사의 원적외선 영상 획득, 지구 환경 감시, 토지 분류 연구, 수질 감시 등을 주요 임무로 한다. 주탑재체는 한국천문연구원의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MIRIS)이며, 부탑재체는 공주대학교의 소형 영상 분광기(COMIS)이다. 위성에는 리튬-이온 배터리 팩,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 고성능 위성탑재 컴퓨터, 태양전력조절기, 전기 추력기 등 핵심 우주기술 구성품이 탑재되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우주 파편과의 충돌 위기를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네프르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드네프르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2013년 발사한 우주선 - 선저우 10호
2013년 발사된 중국 유인 우주선 선저우 10호는 3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톈궁 1호와의 도킹, 우주 실험, 과학 활동, 최초의 우주 수업 등을 진행하며 중국 우주 프로그램 발전에 기여했다. - 2013년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과학기술위성 3호 | |
---|---|
우주선 정보 | |
관리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이름 | 과학기술위성 3호 (STSAT-3) |
발사체 | 드네프르 |
발사장 | 야스니 우주 기지 |
발사일 | 2013년 11월 21일 |
질량 | 170 kg |
임무 기간 | 2년 |
궤도 정보 | |
궤도 | 태양 동기 궤도 |
고도 | 600km |
장반경 | 6993.26km |
주기 | 98분 |
경사각 | 97.8° |
이심률 | 0.00221 |
제원 | |
전장 | 1024mm |
전폭 | 1030.5mm |
전고 | 865.6mm |
전력 | 300W |
임무 및 비용 | |
임무 유형 | 우주/지구 영상 및 분광 탐사 관측 |
개발 비용 | 278.36억원 |
탑재체 | |
탑재체 목록 | 다목적 적외선 영상 시스템(MIRIS) 소형 영상 분광기(COMIS) |
NSSDC ID | |
NSSDC ID | 2013-066G |
2. 개발
과학기술위성 2호의 후속으로 2006년 12월 개발에 착수하였다.[5]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고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KAIST, 공주대학교, 충남대학교, 우석대학교 등이 참여하여 개발하였다.[6] 위성본체 체계종합은 인공위성연구센터, 주탑재체인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MIRIS)은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부탑재체인 소형 영상 분광기(COMIS)는 공주대에서 개발하였고 그 외 5가지 핵심기술은 KAIST, 충남대, 우석대에서 개발하였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당초 2011년 11월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프르 발사체에 탑재되어 발사될 예정이었으나,[7] 러시아 발사장과 위성 발사 일정을 맞추지 못해 2012년 하반기로 미뤄졌다.[8] 그 후 2012년 10월 러시아 연방우주청에서 발사체를 제공하는 국방부의 승인이 필요한 사안이라는 이유로 정확한 일정을 확정해 주지 않아 2013년으로 다시 연기되었다.[9] 결국 과학기술위성 3호는 최종적으로 2013년 11월 21일 오후 1시 10분 10초(한국시간으로 오후 4시 10분 10초)에 발사되었다.[4] 발사 약 87분 후 노르웨이 스발바드 지상국과 첫 교신을 하였고, 약 97분 후 두 번째 교신에 성공했다. 발사 6시간 뒤인 21일 오후 10시 10분(한국시간)에 대전 인공위성연구센터 내 국내 지상국과의 첫 교신을 통해 위성체의 전반적인 상태가 양호한 것을 최종 확인했다. 발사 이후 2014년 2월까지 궤도상에서 위성체 및 탑재체의 기능시험 등 초기운영을 실시한 후 3월부터 정상 임무수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과학 임무, 지구 관측 임무, 기술 실증 임무를 수행한다. 과학 임무는 은하 및 우주 배경 복사의 원적외선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고, 지구 관측 임무는 지구 환경 감시, 토지 분류 연구, 수질 감시를 위한 원적외선·하이퍼스펙트럼 영상을 얻는 것이다.
3. 발사
4. 임무
4. 1. 과학 임무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4. 2. 지구 관측 임무
과학기술위성 3호는 지구 환경 감시, 토지 분류 연구, 수질 감시를 목적으로 원적외선·하이퍼스펙트럼 영상을 획득하는 지구 관측 임무를 수행한다.[1]
4. 3. 기술 검증 임무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목적 중 하나는 기술 실증 임무이다.
5. 구성
과학기술위성 3호는 과학기술위성 2호의 후속으로 2006년 12월 개발에 착수하였다.[5]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고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KAIST, 공주대학교, 충남대학교, 우석대학교 등이 참여하여 기존 과학기술위성과는 달리 대학의 참여를 최대한 허용하여 개발하였다.[6] 위성본체 체계종합은 인공위성연구센터, 주탑재체인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MIRIS)은 한국천문연구원, 부탑재체인 소형 영상 분광기(COMIS)는 공주대에서 개발하였고, 그 외 5가지 핵심기술은 KAIST, 충남대, 우석대에서 개발하였다.
5. 1. 주탑재체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MIRIS: 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은 우주관측카메라와 지구관측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3] 우주관측카메라는 0.9~2μm 파장 대역의 근적외선을 관측하여 우리은하 평면 근적외선 방출 및 황도 극지방 근적외선 우주배경복사 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지구관측카메라는 3~5μm 파장 대역의 근적외선을 사용해 36m 해상도로 지상을 관측하며, 중해상도급 적외선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산불 탐지 및 지표 온도 변화 모니터링에 활용한다.[3]5. 1. 1. 우주관측카메라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탑재체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MIRIS: 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으로, 우주관측카메라와 지구관측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3] 우주관측카메라는 0.9~2μm의 파장 대역을 가진 근적외선을 관측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우리은하 평면 근적외선 방출 및 황도 극지방 근적외선 우주배경복사 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우리은하 평면 근적외선 방출 관측은 우리은하의 중온 이온화 성간물질의 기원을 규명하고 성간난류의 물리량을 조사하는 연구에 활용할 계획이며, 황도 극지방 근적외선 우주배경복사 관측은 우주 재이온화시기 종족 III 별들의 기원을 연구하는데 사용될 계획이다.[10]5. 1. 2. 지구관측카메라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탑재체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MIRIS: 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으로, 우주관측카메라와 지구관측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3] 지구관측카메라는 3~5μm 파장 대역의 근적외선을 사용해 36m 해상도로 지상을 관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상의 중해상도급 적외선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산불 탐지 및 지표 온도 변화 모니터링에 활용할 계획이다.[3]5. 2. 부탑재체
과학기술위성 3호의 부탑재체는 공주대학교에서 개발한 소형 영상 분광기(COMIS: COMpact Imaging Spectrometer)로, 0.4~1.05μm 파장대역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관측 가능하다. 이를 사용해 한반도 및 주변의 분광영상을 26m의 해상도로 관측 가능하며, 현재 하천 수질예측모델 수립과 에어로졸 광학 두께 측정, 한반도 지역의 작황 예측 연구가 예정되어 있다.[3][11]5. 3. 핵심우주기술 구성품
과학기술위성 3호에는 탑재체 이외에도 차세대 고성능 핵심우주기반기술연구를 위해 개발된 리튬-이온 배터리 팩,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 고성능 위성탑재 컴퓨터, 태양전력조절기, 전기 추력기 등이 탑재되었다.[2]- 리튬-이온 배터리 팩: 과학기술위성 1호와 2호에서는 Ni-Cd 배터리를 사용했지만, 에너지 밀도, 자가 방전률, 수명, 작동 온도 범위 등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더 우수하다.[12] 과학기술위성 3호에는 KAIST에서 개발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되었다.[13]
-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 위성 구조체는 우주 환경의 외란으로부터 위성을 보호하고 정상 작동 환경을 조성한다. 최근 복합재를 사용한 우주 구조물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과학기술위성 3호에는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가 적용되었다.[13][14]
- 고성능 위성탑재 컴퓨터: 과학기술위성 3호에는 충남대학교에서 개발한 Leon3 프로세서를 이용한 소형위성용 고성능 컴퓨터가 탑재되었다.[3][13]
- 태양전력조절기: 태양전력조절기는 태양전지의 전력 제어와 배터리 충전을 조절한다. 과학기술위성 3호에는 우석대학교에서 개발한 태양전력조절기가 탑재되었다.[3][13]
- 전기 추력기: 전기 추력기는 추력이 작지만 적은 추진체로 높은 추력량을 달성할 수 있어 소형위성에 적합하다.[15] 과학기술위성 3호에는 KAIST에서 개발한 10mN급 홀 추력기가 탑재되었고, 추진체로는 제논을 사용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개발 및 검증된 수백 W급 저전력 홀 추력기가 드물기 때문에, 과학기술위성 3호에 탑재된 300W급 추력기가 성능이 검증된다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15]
6. 충돌 위기
2014년 9월 13일,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위성 3호가 구 소련의 기상 위성 메테오르(METEOR) 1-10의 파편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16] 미국 합동우주작전본부는 9월 12일 오후에 KAIST 인공위성 연구센터에 충돌 가능성을 알렸으며, 이후 미래창조과학부는 대응 체제를 갖추고 상황을 분석했다. 파편은 13일 오후 5시경에 위성과 가장 근접했다. 미래부는 오후 11시경에 위성과 교신하여 최종적으로 충돌 여부를 확인, 교신에 성공해 충돌 위기에서 벗어났다.[17]
2015년 1월 3일,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위성 3호 궤도에 해당 파편이 4일 오후 9시 30분께 23m 거리까지 근접해 그린란드해 상공에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18]
참조
[1]
뉴스
Dnepr Rocket successfully launches Cluster of 32 Satellites
http://www.spaceflig[...]
SPACEFLIGHT101
2013-11-21
[2]
웹인용
과학기술위성 3호: 개요
http://www.kari.re.k[...]
2014-02-28
[3]
웹인용
과학기술위성 3호: 주요기능
http://www.kari.re.k[...]
2014-02-28
[4]
간행물
과학기술위성 3호, 성공리에 발사
http://www.msip.go.k[...]
2013-11-22
[5]
웹인용
과학기술위성 3호: 추진경과/체계
http://www.kari.re.k[...]
2014-02-28
[6]
저널
과학기술위성 3호 시스템
2014-02-28
[7]
뉴스
새해에 3개 위성 우주로 발사된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2-28
[8]
뉴스
과학기술위성 3호·아리랑 5호 위성 발사 내년으로 연기
http://www.ajnews.co[...]
아주경제
2014-02-28
[9]
뉴스
아리랑 5호·과학위성 3호 발사 또 미뤄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2-28
[10]
저널
과학기술위성 3호 주탑재체 MIRIS의 우주관측 카메라 과학임무
2014-02-28
[11]
저널
과학기술위성3호 소형영상분광기(COMIS) 개발
2014-02-28
[12]
저널
과학기술위성 3호의 리튬 이온 배터리 운용 시스템 개발
2014-02-28
[13]
저널
과학기술위성 3호 개발 현황
2014-02-28
[14]
저널
과학기술위성 3호 복합재 구조체 개발
2014-02-28
[15]
저널
과학기술위성 3호 탑재를 위한 저전력 홀 추력기 개발 및 시험
2014-02-28
[16]
뉴스
과학기술위성 3호 충돌 위기,13일 오후 5시께 가까워져… '충격'
http://sbscnbc.sbs.c[...]
SBS CNBC
2014-09-13
[17]
뉴스
우리 과학위성 3호, 내일 밤 우주파편과 충돌 위기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4-09-13
[18]
뉴스
우리 과학위성 3호, 내일 밤 우주파편과 충돌 위기
http://imnews.imbc.c[...]
MBC 뉴스
2015-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