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충남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충남대학교는 1952년 대한민국 유일의 도립종합대학으로 설립 인가되어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국립대학교이다. 문리과대학, 농과대학, 공과대학으로 시작하여, 이후 대학원 설립, 국립 충청대학교와의 통합 및 분리 과정을 거쳤다. 현재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등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2008년 법학전문대학원을 설립했다. 교화는 철쭉, 교목은 은행나무이며, 다양한 건물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여러 국가의 대학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학술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공군본부, 국방과학연구소 등과도 협정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중구의 학교 - 을지대학교
    을지대학교는 을지학원이 설립한 사립 대학으로, 서울보건대학과 을지의과대학교의 통합으로 2007년 설립되었으며, 의학계열과 보건·의료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을지재단 산하 병원들과 연관되어 있으며, 연합뉴스TV의 최대주주이지만 경영 투명성 논란이 있다.
  • 대전 중구의 학교 - 건신대학원대학교
    건신대학원대학교는 오순절 신학에 기반하여 기독교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전문대학원대학교이며, 목회학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제공하고 2015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 충남대학교 - 서명원
    서명원은 독립운동가 서재필의 종손으로,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 교육행정 관료로서 서울대학교 교수, 문교부 차관, 여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문교부 장관, 학술회 회원, 교육개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 충남대학교 - 성낙서
    1896년생 교육자이자 정치인인 성낙서는 일본 릿쿄 대학 졸업 후 중앙불교전문학교 강사,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를 지내다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이후 충청남도지사와 충남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대전 유성구의 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대전 유성구의 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는 1951년 육군병원 부설 간호학교로 시작하여 간호학 학사 학위를 수여하고 소위로 임관하며, 남자 사관생도를 모집하여 간호장교로 활용하고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 간호 교육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충남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대학 이름충남대학교
영문 이름Chungnam National University
한자 이름忠南大學校
로마자 표기Chungnam Daehakgyo
설립일1952년 5월 25일
학교 종류국립대학
총장김정겸
위치대덕캠퍼스: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궁동)
보운캠퍼스: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66 (문화동)
웹사이트충남대학교 홈페이지
상징은행나무
철쭉
백마
충남대학교 로고
충남대학교 로고
충남대학교 정문
충남대학교 정문
캠퍼스
캠퍼스 종류도시형 캠퍼스
캠퍼스 위치대덕캠퍼스: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화캠퍼스: 대전광역시 중구
학부
학부 목록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생활과학대학
예술대학
수의과대학
사범대학
간호대학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자유전공대학
국가안보융합대학
기타
표어창의·개발·봉사

2. 연혁


  • 1952년 5월 25일 대한민국 유일의 도립종합대학으로 설립 인가되었다. 처음에는 문리과대학, 농과대학, 공과대학이 개설되었다.
  • 1957년 대학원을 설립하였다.
  • 1962년 대학정비령으로 충북대학교와 일시 통합하여 국립 '''충청대학교'''로 새로 발족하였으나, 이듬해에 다시 분리하면서 국립대학교가 되었다.
  • 1964년 법경대학이 설치되었다.
  • 1967년 의과대학이 설치되었다.
  • 1973년 정부로부터 정밀기계공학과'''(現 기계공학부)''', 섬유공학과'''(現 유기재료공학과)''', 화학공학과'''(現 응용화학공학과)''', 축산학과'''(現 동물자원과학부)''', 농공학과'''(現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지역환경토목학과)'''가 특성화 학과로 지정되었다.
  • 1977년 정부로부터 공업교육 교원 양성 특성화 대학으로 지정되어 공업교육대학을 신설하고 산하의 건축공학교육과'''(現 건설공학교육과)''', 토목공학교육과'''(現 건설공학교육과)''', 기계공학교육과'''(現 기계·금속공학교육과)''', 금속공학교육과'''(現 기계·금속공학교육과)''', 전자공학교육과'''(現 전자·전기·통신교육과)''', 전기공학교육과'''(現 전자·전기·통신교육과)''', '''화학공학교육과'''가 특성화 학과로 지정되었다.
  • 1979년 문리과대학을 문과대학과 리과대학으로, 법경대학을 법과대학과 경상대학으로 분리하였으며, 특성화 학과로 공업교육계열이 지정되었다.
  • 1981년 기술교육과가 신설되었다.
  • 1984년 농학과'''(現 식물자원학과)'''가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었다.
  • 1985년 약학대학 설치 및 공업교육대학을 공과대학으로 개칭하였다.
  • 1987년 리과대학을 자연과학대학과 가정대학으로 분리하였다.
  • 1988년 예술대학을 문과대학에서 분리하였다.
  • 1990년 사회과학대학을 문과대학에서 분리하였다.
  • 1991년 수의과대학이 설치되었다.
  • 1994년 금속공학과'''(現 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과'''(現 신소재공학과)''', 고분자공학과'''(現 유기재료공학과)''', 섬유공학과'''(現 유기재료공학과)''', 정밀공업화학공학과'''(現 응용화학공학과)''', 화학공학과'''(現 응용화학공학과)'''가 신소재 분야의 국책 공과대학으로 선정되었다.
  • 1996년 농업생명과학대학이 농림수산계 특성화 대학으로 지정되었다.
  • 2000년 가정대학을 생활과학대학으로 개칭하고, 기록학과가 신설되었다.
  • 2001년 농과대학을 농업생명과학대학으로 개칭하였다.
  • 2004년 문과대학을 인문대학으로 개칭하고, 생명과학부를 자연과학대학에서 분리하였다.
  • 2005년 언어병리학과가 신설되었다.
  • 2009년 자유전공대학 신설, 인문대학 교육학과가 사범대학으로, 생명과학부가 생명시스템과학대학으로, 의과대학 간호학과가 간호대학으로 승격되었다.
  • 2014년 군사대학(현·국토안보융합대학)이 신설되었다.
  • 2016년 아시아비즈니스국제학과가 신설되었다.
  • 2020년 여성젠더학과가 신설되었다.

2. 1. 캠퍼스 건립

1977년부터 1985년 사이, 1500억의 예산으로 대덕캠퍼스 건설 사업이 추진되었다. 건립 당시 정문 부분의 개발 낙후와 연구 단지와의 연계성 문제로 현재의 정문보다 후문을 먼저 짓기 시작했다. 또한 당시로는 최신식인 지하배전구를 이용했다. 충남대학교병원은 대덕캠퍼스를 짓고 난 후 마지막으로 지어진 건물로, 대덕캠퍼스 건립 계획에는 포함되었으나 지어진 위치는 대덕캠퍼스가 아닌 중구 대사동이다. 현재 충남대학교는 한국에서 4번째로 넓은 캠퍼스를 지닌 학교이다(본교 기준).[1]

3. 대학 평가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Quacquarelli Symonds (QS)와 조선일보에서 발표한 2019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701-750위, 아시아 151위, 국내 대학들 중에서는 26위에 랭크되었다.[2] 또한 영국 타임스 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 THE)에서 발표하는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1001+위, 아시아 251-300위에 랭크되었으며,[3] 상하이 자오퉁 대학에서 발표한 2019 세계 대학 학술 랭킹에서는 601위-700위, 국내 대학들 중에서는 16-21위에 랭크되었다.[4] 대한민국 중부 지역(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을 대표하는 거점 국립대학교이며, 지역 사회에서의 평가가 높아 중부 지역과 충청도의 명문 대학으로 인식되고 있다.

충남 세종특별자치시 개발에 따라 지역 대표 대학인 충남대학교에 대한 지원이 증가하여 매년 발전하고 있다.

4. 상징물

5. 건축물


  • 노천 극장: 사회대학 입구의 왼쪽길에 있으며, 일부 밴드가 공연이나 연습 활동을 한다.
  • 동물병원 N13-2: 충남대학교의 동물병원은 후문에서부터 신성동 혹은 자운대 방향으로 가는 길에 있으며, 충청남도 전체에 하나뿐인 대학동물병원이다.
  • 박물관 N8: 도서관 옆에 있으며, 충청 지역 사회에서 발견된 주요 문화재들을 보관하고 있다. 새로운 유물이나 역사적인 공간에 대한 보존, 재현 또한 맡고 있다.
  • 백마교양교육관 W10: 일명 교양동으로 불린다. 교양 과목 수업과 학습 공간을 제공하며, 대부분의 교양 수업은 이곳에서 행해진다. 언어교육원에서 실시하는 모의 토익 고사장, LEET, DEET, MEET의 고사장으로도 이용된다.
  • 한누리회관 W8-1: 2007년 완공된 학생 회관으로, 2008년 초에 기존 동아리방들이 이전해왔다. 현재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 자연사박물관: 정심화국제문화회관과 공대 2호관 버스 정류장 사이에 있다.
  • 중앙도서관 N1: 1953년 문리과대학 도서관으로 개관된 이래 충남대학교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학문 연구와 학습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국립 대학 도서관으로서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학생 및 학교 관계자 외 시민들에게도 도서관 열람을 허용하고 있다. 일반인 대여를 위해서는 일정 요금을 맡겨둬야 한다. 130만여 권의 단행본을 소장하고 있으며, 도서관 내 전산실에서 보유한 학술 DB뿐만 아니라 국회 도서관 등 교류를 맺은 여타 학술 DB의 열람, 인쇄가 가능하다. 2층과 3층은 열람실이며, 4층과 5층이 도서실이다.
  • 언어교육원 E1-1: 외국어 학습 및 외국인들의 한국어 학습 공간으로, 매 학기 강좌가 개설되며 작은 규모의 세미나가 개최되기도 한다.
  • 정보통신원 N2: 컴퓨터 관련 기술 습득 및 학내 구성원들을 위한 컴퓨터실을 제공한다.
  • 정심화국제문화회관 E1-2: 각종 문화 행사 및 예술 전시회관이다. 정심화(正心華)라는 명칭은 충남대에 장학금을 기증한 이복순 김밥할머니의 법명이다. 입구 주변에서 김밥할머니의 흉상 또한 볼 수 있다.
  • 충남대학교병원
  • 학생생활관: 충남대학교 기숙사로 1986년 은행사(1동)로 처음 발족하였다. 2003년 7월 28일 각 동 이름이 개정[5] 되었으며, 2009년 다시 숫자 이름으로 개정되었다. 대덕캠퍼스의 햇살동(현재 학생생활관 3동), 백마동, 창의동, 개발동, 백합동, 철쭉동과 의대생을 위한 의대생활관인 백행사가 있으며, BTL로 신설된 7동부터 11동까지의 동이 있다. 이 중 10동은 기혼자들이 사는 기숙사동이다. (의대생활관의 경우 대덕캠퍼스가 아닌 중구의 충남대병원 본관 뒤에 있다.[6]) 기숙사 입사 우선 자격은 대전광역시 이외 지역에 거주하는 충남대 학생이었으나, 현재는 대전광역시 거주자들도 입사할 수 있으며 더 많은 학생들을 수용하고 있다.[7] 2008년 대덕캠퍼스 쪽에 계룡건설과 계약을 맺고 추가로 기숙사를 신설, 완공하여 많은 사생들이 이용 중이다.[8] 이외 기숙사생을 위한 영어 교육이 수시로 기숙사 내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사무실은 3동 1층에 있다.[9]

대전 캠퍼스 중앙도서관


충남대학교 대전 캠퍼스의 벚꽃이 만개한 거리

6. 대학 및 대학원

충남대학교는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모두 제공한다. 학부 과정은 학부에서, 대학원 과정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일반대학원은 인문학부, 사회과학부, 자연과학부, 경제경영학부, 공학부, 농생명과학부, 약학부, 의학부, 생활과학부, 예술학부, 수의학부, 교육학부, 간호학부, 생명시스템과학부, 자유전공학부, 국가안보융합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대학원은 법학전문대학원, 신약전문대학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은 2008년에 설립되어 지적재산권에 특화된 법조인을 양성하고 있다.[10] 법률 및 행정 분야 지식을 갖춘 학자와 법조인, 그리고 평화와 정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판사, 검사와 같은 법률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모의 법정, 모의 국회, 법률 상담 등의 활동에 학생들이 참여한다. 학부 법학과는 법학전문대학원(J.D.) 과정 설립으로 인해 더 이상 학생을 선발하지 않으며, 법학사(LL.B.) 과정은 법학전문대학원의 대학원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특수대학원은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행정대학원, 보건대학원, 산업대학원, 특허법무대학원, 평화안보대학원, 국가정책대학원, 스마트농업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6. 1. 학부

충남대학교 학부 과정 학과 목록


6. 2. 일반대학원

충남대학교에는 일반대학원 외에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이 있다. 전문대학원에는 법학전문대학원, 신약전문대학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이 있다. 특수대학원에는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행정대학원, 보건대학원, 산업대학원, 특허법무대학원, 평화안보대학원, 국가정책대학원, 스마트농업대학원이 있다.

6. 3. 특수대학원


  • 경영대학원
  • 교육대학원
  • 행정대학원
  • 보건대학원
  • 산업대학원
  • 특허법무대학원
  • 평화안보대학원
  • 국가정책대학원
  • 스마트농업대학원

6. 4. 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은 2008년에 설립되어 지적재산권에 특화된 법조인을 양성하고 있다.[10] 법학전문대학원은 법률 및 행정 분야 지식을 갖춘 학자와 법조인, 그리고 평화와 정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판사, 검사와 같은 법률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모의 법정, 모의 국회, 법률 상담 등의 활동에 참여한다.

학부 법학과는 법학전문대학원(J.D.) 과정 설립으로 인해 더 이상 학생을 선발하지 않으며, 법학사(LL.B.) 과정은 법학전문대학원의 대학원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현재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J.D. 과정 각 학년에 100명의 학생을 선발한다.

7. 국제 교류

충남대학교는 국제 교류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대학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충남대학교와 교류하는 일본 대학 목록
일본 기관 목록



이 외에도 미국, 호주, 캐나다, 중국, 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의 대학들과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11]

7. 1. 자매 대학

충남대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은 외국 대학교 목록
국가대학교
미국SUNY 버팔로 법과대학, 노스파크대학,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주립대학, 메릴랜드대학(간호대학), 미시간주립대학, 버지니아폴리테크주립대학, 블룸필드대학, 사우스다코타주립대학,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 오클랜드대학, 오하이오주립대학, 워싱턴주립대학 사회교육원, 일리노이공과대학, 휴스턴대학
호주그리피스대학, 플린더스대학
캐나다브리티시 콜럼비아 공과대학, 앨버타대학
일본나고야 대학 경상대학, 도야마 대학, 도호쿠 대학, 돗토리 대학, 도쿄 학예대학, 메이카이 대학, 무로란 공업대학, 미야기 학원 여자대학, 야마구치 대학, 에히메 대학, 오타루 상과대학, 오비히로 축산대학, 오사카 대학, 일본과학연구소(JAIST), 쓰쿠바 대학, 규슈 대학, 규슈 산업대학, 홋카이도 대학, 히로시마 대학
중국국립대만사범대학(대만), 국립연합대학(대만), 국립체육학원(대만), 국방과학기술대학교, 지린 대학, 난카이 대학, 난징 대학, 난징사범대학, 다롄 대학, 다롄 이공대학, 둥베이 대학, 둥베이차이징 대학, 푸단 대학, 베이징 대학, 베이징 화공대학, 북화대학, 산둥 대학, 석하자대학, 산시 사범대학, 선양 농업대학, 선양 약학대학, 선양 화공대학, 옌볜 대학, 절강임업대학, 중국국가한어추광영도소조 (漢辦), 중국지질대학, 중앙민족대학, 톈진 대학, 허베이 대학
유럽그라츠 공과대학교(오), 그라츠 대학교(오), 태평양국립대학교 사범대학(러), 노보시비르스크대학(러), 도르트문트대학(독), 모스크바대학(러), 뮌헨 IP Law Center(독), 뮌헨응용과학대학(독), 바르샤바공과대학(폴), 수리수학 및 수리지구물리 연구소(러), 앙제대학(프), 영국 써레이대학(영), 이르쿠츠크 공과대학(러), 이바노보화공대학(러), 코시체 수의과대학(슬로바키아), 코시체연합대학(슬로바키아), 투르프랑수아라블레대학(프), 파리고등 사범음악원 에꼴 노르말(프), 헬싱키 Art & Design 대학(핀)
아시아/기타가자마다 대학교(인도네시아), 국립필리핀대학(딜리만), 네루대학(인도), 마라 기술대학(말레이시아), 몽골국립대학, 방글라데시농업대학, 베트남국립대학, 부라파대학(태국), 브라질 UFMG, 산토토마스(필리핀), 양곤대학(미얀마), 우즈베키스탄국립대학, 인도 델리대학, 카세사르트대학(태국), 코스타리카국립대학, 킨샤사 대학(콩고), 페트로폴리스 카톨릭대학(브라질), 푸트라 말레이시아 대학, 프놈펜 국립대학(캄보디아), 하노이대학(베트남), 알렉산드리아국립대학(이집트)[11]


7. 2. 기타 중요 교류

체결일기관명내용
2003년 4월 16일공군본부학군교류 협정 체결
2003년 7월 14일ICU학술연구교류
2005년 11월 14일국방과학연구소학연 교류 협력, 인력 교환, 학술 및 기술정보 교류, 시설 공동 활용
2006년 7월 14일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KOBIC)학술, 연구 및 서비스 교류 협정 체결
2006년 10월 26일국방대학교직원 및 학생 상호 교류, 자료 및 정보 교환
2006년 11월 17일국가철도공단산학 협정 및 산학교류 체결
2007년 2월 20일해군본부학군 교류 협정 체결
2007년 4월 25일한국화학연구원-충남대학교병원학술, 연구 교류



일본 대학들과의 교류
일본 기관 목록


8. 주요 동문


  • 강부자, 배우 겸 정치인.
  • 조미나, 시인.

참조

[1] 뉴스 충남대 대덕캠퍼스, 이렇게 만들어졌다 http://www.dtnews24.[...] 디트뉴스24 2007-11-23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9-08-02
[3] 웹사이트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9-08-19
[5] 웹인용 학생생활관 일반현황 https://web.archive.[...] 2008-01-02
[6] 웹인용 충남대학교 병원 배치도 https://web.archive.[...] 2008-01-02
[7] 웹인용 학생생활관 시설현황 https://web.archive.[...] 2008-01-02
[8] 뉴스 대전.충남 4개 국립대, 기숙사 민간투자협약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6-07-31
[9] 웹사이트 생활관의 영어 교육에 관한 공지 http://www.cnu.ac.kr[...]
[10] 뉴스 충남대 ˝‘세계 100대 대학’으로 도약 https://news.naver.c[...] 대전일보 2008-10-06
[11] 뉴스 충남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대학과 협약 체결 https://web.archive.[...] 뉴스와이어 2008-06-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