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곽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곽여(郭輿, 1058년 ~ 1130년)는 고려시대의 문신, 시인, 학자, 관리입니다. 자는 몽득(夢得), 본관은 청주(淸州)입니다.
생애 및 업적:


  •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문과에 급제했습니다.
  • 내시부(內侍部)에 속했다가 합문지후(閤門祉侯)를 거쳐 홍주(洪州)를 다스렸습니다.
  •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을 역임했습니다.
  • 1105년 예종이 즉위하자 왕의 스승이 되어 담론(談論)에 응했습니다.
  • '금문(金門, 대궐문)의 우객(羽客, 신선)'이라고 불렸습니다.
  • 왕이 그를 위해 서화문(西華門) 밖에 별장(別莊)을 지어주었습니다.
  • 은거 후에는 성동(城東) 약두산(若頭山)에 집을 짓고 살면서 호를 동산처사(東山處士)라 하고, 거처하는 방을 허정당(虛靜堂), 서재를 양지재(養志齋)라 했습니다.
  • 예종은 곽여의 산재(山齋)에 직접 행차하기도 했습니다.

기타:

  • 어려서 꿈에 어떤 사람이 '여(輿)'라고 이름을 지어주어 이름을 '여'라고 짓고, 자를 '몽득'이라 했습니다.
  • 어려서부터 맵고 냄새나는 채소를 먹지 않았고, 항상 홀로 한방에 거처하며 학문에 힘썼습니다.
  • 홍주목사로 있을 때 성 바깥 시냇가에 작은 암자인 장계초당(長溪草堂)을 짓고 휴식했습니다.
  • 송나라로 사신 가는 왕자지(王字之)와 문공유(文公裕)를 위해 별장에서 전송 연회를 열었는데, 왕이 주과(酒果)를 내릴 정도로 성대했습니다.
  • 2012년 12월 28일 기사에 따르면, 곽여는 고려 예종의 스승으로, 왕의 총애와 신임을 받았던 도인이자 문인입니다.


곽여
지도
기본 정보
본관청주 곽씨
출생지황해도 해주
활동 분야조선 성리학
다른 이름자는 사원(士元), 호는 담암(澹庵)
생애
주요 이력1468년(세조 14) 사마시 합격
1478년(성종 9) 문과 급제
승문원 권지부정자, 봉상시 봉사 등을 지냄
관직홍문관 수찬, 교리, 응교
사간원 헌납
성균관 사예, 사성
사헌부 집의
병조 참지
형조 참의
동래부사
대사성
이조참판
대사헌
한성부판윤
지중추부사
형조판서
이조판서
좌참찬
우찬성
사망 시 직위우찬성
주요 활동김굉필, 정여창 등과 교류하며 성리학 연구
기묘사화 이후 조광조 등 신진사류 옹호
사후청주의 신항서원에 제향
저서 및 작품
주요 저서《담암선생집(澹庵先生集)》
가족 관계
아버지곽지(郭砥)
어머니정부인 안동 권씨
부인정부인 평산 신씨
자녀3남
형제곽순(郭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