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부판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성부판윤은 조선 시대 한성부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던 최고 책임자이다. 역대 판한성부사, 한성부윤, 한성부판윤의 명단이 존재하며, 태조 시대부터 시작하여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이 직책을 역임했다.
2. 조선 시대 한성부
2. 1. 한성부의 기능과 역할
2. 2. 한성부 판윤의 권한과 책임
3. 역대 판한성부사/한성부윤/한성부판윤
3. 1. 태조
wikitable
3. 2. 태종
1401년 음력 8월 10일 조박(趙璞)이 제5대 판한성부사로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1418년 음력 8월 27일 김여지(金汝知)가 제43대 판한성부사로 임명되기까지 여러 명이 판한성부사를 거쳐갔다. 1402년에는 정탁(鄭擢), 1403년에는 최유경(崔有慶)과 강서(姜筮)가 판한성부사를 역임했다. 1404년에는 최유경이 다시 판한성부사가 되었고, 1405년에는 이옥(李沃), 이행(李行), 류량(柳亮)이 차례로 임명되었다.1406년에는 안경공(安景恭)과 이원(李原)이 판한성부사를 맡았으나, 이원은 1407년 음력 1월 30일 파직되었다. 이후 설미수(偰眉壽), 정요(鄭曜), 연사종(延嗣宗), 안원(安瑗)이 임명되었다. 1408년에는 정구(鄭矩)와 김한로(金漢老)가, 1409년에는 류정현(柳廷顯)이 판한성부사가 되었다.
1410년에는 박가실(朴可實), 설미수(偰眉壽), 이귀령(李貴齡)이 임명되었고, 1411년에는 정이오(鄭以吾)가 판한성부사가 되었다. 1412년 변계량(卞季良)이, 1414년에는 정요(鄭曜)가 다시 판한성부사가 되었으나, 정요는 1414년 4월 21일 사망했다. 이후 최용소(崔龍蘇), 권홍(權弘), 이지(李至)가 임명되었으나, 이지 역시 1414년 12월 9일 사망했다.
1415년에는 정역(鄭易), 성발도(成發道), 박자청(朴子靑)이, 1416년에는 이원(李原), 성발도(成發道), 심온(沈溫)이 임명되었다. 1417년에는 정진(鄭鎭), 류염(柳琰), 윤향(尹向)이, 1418년에는 황희(黃喜), 민여익(閔汝翼), 김여지(金汝知)가 판한성부사를 역임했다.
3. 3. 세종
세종 즉위년(1418) 8월 27일에 노귀산이, 같은 해 10월 16일에 권홍이 판한성부사로 임명되었다. 세종 1년(1419) 2월 11일에는 강회중, 4월 17일에는 이맹균, 7월 7일에는 정역이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25일과 12월 7일에는 맹사성과 정진이 각각 판한성부사에 임명되었다.세종 3년(1421) 7월 4일에는 조비형이, 12월 7일에는 오승이 판한성부사로 임명되었다. 세종 4년(1422) 12월 13일에는 정진이 다시 임명되었고, 세종 5년(1423) 1월 25일에는 권진이, 9월 29일에는 허주가 임명되었다. 세종 6년(1424) 3월 21일 오승이 다시 판한성부사가 되었다.
세종 8년(1426) 12월 7일 권진이 다시 임명되었고, 세종 9년(1427) 9월 8일에는 성엄이, 10월 7일에는 이종선이 임명되었다. 세종 11년(1429) 9월 30일 서선이, 세종 13년(1431) 2월 29일 노한이 임명되었다. 세종 14년(1432) 6월 9일 오승이, 9월 7일 서선이 다시 판한성부사가 되었다. 서선은 세종 15년(1433) 4월 20일에 사망하였다.
세종 16년(1434) 8월 17일 조뇌가, 12월 17일 이맹균이 임명되었다. 세종 17년(1435) 3월 27일 전흥이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7월 26일 파직되었고, 7월 28일 류사눌이 임명되었다. 세종 18년(1436) 5월 6일 이숙무가, 세종 19년(1437) 6월 30일 홍여방이 임명되었다.
세종 20년(1438) 6월 29일 김맹성이, 세종 21년(1439) 4월 25일 한확이, 7월 6일 이명덕이 임명되었다. 세종 23년(1441) 9월 17일 류계문이, 11월 14일 권전이, 윤11월 27일 최사의가 임명되었다. 세종 24년(1442) 6월 19일 이선이, 세종 25년(1443) 9월 12일 한확이 다시 임명되었다.
세종 26년(1444) 7월 1일 신인손이, 10월 6일 이맹진이 임명되었다. 세종 27년(1445) 7월 1일 정갑손이, 세종 28년(1446) 1월 24일 권맹손이, 4월 25일 이견기가, 9월 6일 윤형이, 12월 2일 성념조가 임명되었다. 세종 29년(1447) 1월 16일 황치신이, 세종 30년(1448) 4월 7일 이맹진이, 11월 1일 고득종이 판한성부사로 임명되었다.
3. 4. 문종
- 87대 판한성부사 이견기(李堅基)는 문종 즉위년(1450) 11월 30일에 임명되었다.
3. 5. 단종
권맹손은 단종 즉위년(1452) 7월 2일부터 12월 11일까지 판한성부사를 역임하였다. 조혜는 단종 즉위년(1452) 12월 11일에 판한성부사에 임명되었다. 김세민은 단종 1년(1453) 11월 8일에 판한성부사가 되었다. 이사임은 단종 2년(1454) 1월 14일에 판한성부사에 임명되었다. 강맹경은 단종 2년(1454) 6월 27일부터 8월 5일까지 판한성부사를 역임하였다. 정척은 단종 2년(1454) 8월 5일부터 판한성부사를 역임하였다.3. 6. 세조(판한성부사)
기건(奇虔)은 세조 1년(1455) 8월 19일에 판한성부사로 임명되었다. 이사임(李思任)은 같은 해 12월 27일에 판한성부사가 되었다. 김세민(金世敏)은 세조 3년(1457) 7월 11일에, 김하(金何)는 같은 해 9월 19일부터 세조 4년(1458) 6월 28일까지 판한성부사를 역임했다. 심회(沈澮)는 세조 4년(1458) 6월 28일에 판한성부사가 되었다.이승손(李承孫)은 세조 5년(1459) 7월 18일에 판한성부사로 임명되었고, 이후 이순지(李純之)가 잠시 역임했다. 이승손(李承孫)은 같은 해 10월 23일에 다시 판한성부사가 되었으며, 이순지(李純之)는 같은 해 11월 8일부터 다시 판한성부사를 역임했다. 이석형(李石亨)은 세조 5년(1459년) 12월 3일부터 세조 6년(1460년) 2월 11일까지 판한성부사를 역임했다.
김사우(金師禹)는 세조 7년(1461) 1월 20일부터 같은 해 7월 19일까지 판한성부사를 역임했고, 정식(鄭軾)은 같은 해 7월 19일부터 세조 8년(1462) 3월 7일까지 역임했다. 김연지(金連枝)는 세조 8년(1462) 3월 7일부터 같은 해 10월 30일까지 판한성부사를 역임했다. 이석형(李石亨)은 세조 8년(1462) 10월 13일부터 세조 10년(1464) 12월 5일까지, 그리고 같은 해 12월 19일부터 세조 11년(1465) 8월 13일까지 세 차례 판한성부사를 역임했다. 이서(李墅)는 세조 11년(1465) 8월 13일부터 세조 12년(1466) 1월 15일까지 판한성부사를 역임했다.
3. 7. 세조(한성부윤)
이석형(李石亨)은 세조 12년(1466) 1월 15일부터 6월 22일까지 세 차례 한성부윤을 역임하였다.[1][2][3] 이후 이서(李墅)가 한성부윤을 역임하였고,[4] 다시 이석형(李石亨)이 임명되었다.[5] 윤자(尹慈)가 한성부윤을 역임한 후,[6] 이석형(李石亨)이 다시 임명되어 세조 14년(1468) 9월까지 재임한 것으로 추정된다.3. 8. 예종(한성부윤)
서거정은 예종 즉위년(1468년) 9월(추정)부터 예종 1년(1469년) 7월 3일까지 한성부윤을 역임하였다.3. 9. 예종(한성부판윤)
서거정이 예종 1년(1469년) 7월 3일부터 7월 26일까지 119대 한성부판윤을 역임하였다. 120대 한성부판윤은 어세공이 예종 1년(1469년) 7월 26일부터 역임하였다.3. 10. 성종
김길통이 성종 1년(1470) 6월 3일부터 8월 6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이훈은 성종 1년(1470) 8월 6일에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김겸광은 성종 2년(1471) 12월 27일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권감, 윤흠이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는 기록이 있다.어세공은 성종 8년(1477) 4월 18일부터 성종 9년(1478) 6월 2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서거정은 성종 9년(1478) 6월 2일부터 9월 24일까지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했다. 이숭원은 성종 9년(1478) 9월 24일부터 성종 10년(1479) 8월 1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정문형은 성종 10년(1479) 8월 1일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한치형은 성종 10년(1479) 윤10월 22일부터 성종 11년(1480) 5월 10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이예는 성종 11년(1480) 5월 10일부터 10월 19일까지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했다. 정난종은 성종 11년(1480) 10월 19일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이숭원은 성종 12년(1481) 12월 13일에 한성부윤으로 임명되었다. 어세공이 성종 13년(1482) 4월 2일에 한성부판윤에 다시 임명되었다. 정숭조는 성종 13년(1482) 8월 13일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이극균은 성종 14년(1483) 6월 28일부터 성종 15년(1484) 3월 18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손순효는 성종 15년(1484) 3월 18일부터 6월 23일까지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했다. 이철견은 성종 15년(1484) 6월 23일부터 10월 26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신준은 성종 17년(1486) 3월 2일부터 5월 20일까지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했다. 한치형은 성종 17년(1486) 5월 20일부터 9월 6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어세겸은 성종 17년(1486) 9월 6일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류자광은 성종 18년(1487) 6월 8일부터 6월 13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이극돈은 성종 18년(1487) 6월 13일과 8월 6일에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이극증은 성종 19년(1488) 8월 9일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신승선은 성종 19년(1488) 9월 1일부터 성종 20년(1489) 11월 7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류지는 성종 20년(1489) 11월 7일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어세겸은 성종 21년(1490) 4월 4일부터 11월 10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정숭단은 성종 21년(1490) 11월 10일부터 12월 5일까지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했다. 이봉은 성종 21년(1490) 12월 5일부터 성종 23년(1492) 6월 15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박건은 성종 23년(1492) 6월 15일부터 성종 24년(1493) 6월 1일까지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했다.
이계동은 성종 24년(1493) 6월 1일부터 7월 29일까지 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신준은 성종 24년(1493) 7월 29일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박숭질은 성종 25년(1494) 7월 23일에 한성부판윤으로 임명되었다.
3. 11. 연산군
이세좌가 연산군 1년(1495) 8월 9일에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이계동은 같은 해 10월 9일에 임명되었다. 성현은 연산군 3년(1497) 9월 13일에, 신준은 연산군 4년(1498) 9월 14일부터 같은 해 12월 22일까지 재임했다. 류순은 같은 해 12월 22일부터 연산군 5년(1499) 1월 26일까지 재임했다.윤효손은 연산군 5년(1499) 1월 26일에, 강귀손은 같은 해 11월 10일에 임명되었다. 김응기는 연산군 6년(1500) 4월 11일부터 같은 해 7월 3일까지, 박안성은 같은 해 7월 3일부터 9월 28일까지 재임했다. 김자정은 같은 해 9월 28일에 임명되었다.
이집은 연산군 8년(1502) 1월 5일부터 같은 해 11월 5일까지 재임했고, 정미수는 같은 해 11월 5일에 임명되었다. 박숭질은 연산군 9년(1503) 3월 8일과 연산군 10년(1504) 4월 5일에 두 번 임명되었다. 민효증은 연산군 10년(1504) 윤4월 26일에 임명되었다. 구수영의 재임 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전림은 연산군 12년(1506) 8월 22일에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3. 12. 중종
중종 시대에 한성부판윤을 역임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강혼 (姜渾)
- 정광필 (鄭光弼): 중종 3년(1508) 11월 7일
- 이점 (李坫): 중종 3년(1508) 11월 10일
- 김전 (金詮): 중종 4년(1509) 12월 28일
- 이계남 (李季男)
- 윤순 (尹珣): 중종 5년(1510) 7월 13일 ~ 중종 5년(1510) 9월 3일
- 안윤덕 (安潤德): 중종 5년(1510) 9월 3일
- 정광좌 (鄭光佐)
- 안윤덕 (安潤德)
- 이점 (李坫): 중종 7년(1512) 5월 12일 ~ 중종 7년(1512) 10월 7일
- 강혼 (姜渾): 중종 7년(1512) 9월 23일
- 안당 (安瑭): 중종 9년(1514) 1월 16일
- 고형산 (高荊山): 중종 9년(1514) 9월 14일 ~ 중종 9년(1514) 10월 1일
- 이자건 (李自健): 중종 9년(1514) 10월 1일 ~ 중종 10년(1515) 10월 4일
- 성몽정 (成夢井): 중종 10년(1515) 10월 4일 ~ 중종 11년(1516) 1월 10일
- 윤순 (尹珣): 중종 11년(1516) 1월 11일
- 한세환 (韓世桓): 중종 12년(1517) 7월 29일 ~ 중종 12년(1517) 8월 22일
- 최숙생 (崔淑生): 중종 12년(1517) 8월 22일
- 홍숙 (洪淑): 중종 12년(1517) 8월 28일
- 권균 (權鈞): 중종 13년(1518) 11월 11일
- 한형윤 (韓亨允): 중종 13년(1518) 12월 9일
- 심정 (沈貞): 중종 13년(1518) 12월 9일 ~ 중종 14년(1519) 1월 23일
- 신상 (申鏛): 중종 14년(1519) 1월 26일
- 이자 (李耔): 중종 14년(1519) 2월 13일
- 한세환 (韓世桓): 중종 14년(1519) 3월 15일
- 한형윤 (韓亨允): 중종 14년(1519) 12월 17일
- 임유겸 (任由謙): 중종 16년(1521) 5월 11일
- 이자건 (李自健)
- 한형윤 (韓亨允): 중종 17년(1522) 8월 12일
- 류담년 (柳聃年): 중종 20년(1525) 9월 10일
- 황맹헌 (黃孟獻): 중종 20년(1525) 9월 27일
- 손중돈 (孫仲敦): 중종 21년(1526) 9월 24일 ~ 중종 21년(1526) 11월 23일
- 성운 (成雲): 중종 21년(1526) 11월 23일 ~ 중종 22년(1527) 1월 18일
- 김당 (金璫): 중종 22년(1527) 1월 18일
- 홍언필 (洪彦弼): 중종 24년(1529) 6월 16일 ~ 중종 24년(1529) 8월 2일
- 이사균 (李思均): 중종 24년(1529) 8월 2일 ~ 중종 24년(1529) 9월 4일
- 김근사 (金謹思): 중종 24년(1529) 9월 4일
- 서지 (徐祉)
- 윤은보 (尹殷輔): 중종 25년(1530) 11월 14일
- 김근사 (金謹思): 중종 26년(1531) 4월 16일
- 홍숙 (洪淑): 중종 26년(1531) 5월 25일 ~ 중종 26년(1531) 윤 6월 27일
- 김안로 (金安老): 중종 26년(1531) 윤 6월 27일 ~ 중종 26년(1531) 8월 29일
- 홍언필 (洪彦弼): 중종 26년(1531) 8월 29일
- 김당 (金璫): 중종 26년(1531) 11월 7일
- 한형윤 (漢亨允): 중종 26년(1531) 11월 25일
- 이사균 (李思鈞)
- 박호 (朴壕): 중종 27년(1532) 12월 15일
- 서지 (徐祉): 중종 27년(1532) 12월 29일
- 조윤손 (曺閏孫)
- 서지 (徐祉)
- 소세양 (蘇世讓): 중종 28년(1533) 7월 25일 ~ 중종 28년(1533) 11월 12일
- 신공제 (申公濟): 중종 28년(1533) 11월 12일
- 심언경 (沈彦慶): 중종 29년(1534) 4월 18일
- 소세양 (蘇世讓): 중종 29년(1534) 6월 23일
- 서지 (徐祉): 중종 30년(1535) 1월 24일 ~ 중종 31년(1536) 4월 7일
- 허흡 (許洽): 중종 31년(1536) 4월 7일
- 이사균 (李思鈞): 중종 31년(1536) 6월 6일 ~ 중종 31년(1536) 8월 5일
- 오결 (吳潔): 중종 31년(1536) 8월 5일 ~ 중종 32년(1537) 5월 29일
- 윤임 (尹任): 중종 32년(1537) 5월 29일
- 이기 (李芑): 중종 33년(1538) 5월 7일 ~ 중종 33년(1538) 10월 21일
- 황침 (黃琛): 중종 33년(1538) 10월 21일
- 권벌 (權撥): 중종 34년(1539) 6월 24일
- 반석평 (潘碩枰): 중종 34년(1539) 7월 25일
- 이기 (李芑): 중종 34년(1539) 10월 28일 ~ 중종 35년(1540) 1월 4일
- 권벌 (權撥): 중종 35년(1540) 1월 4일 ~ 중종 35년(1540) 4월 16일
- 한윤창 (韓胤昌): 중종 35년(1540) 4월 16일
- 김안국 (金安國): 중종 35년(1540) 5월 28일 ~ 중종 35년(1540) 7월 25일
- 김인손 (金麟孫): 중종 35년(1540) 7월 25일
- 권벌 (權 撥): 중종 35년(1540) 8월 1일 ~ 중종 35년(1540) 11월 30일
- 이기 (李芑): 중종 35년(1540) 11월 30일 ~ 중종 36년(1541) 6월 19일
- 우맹선 (禹孟善): 중종 36년(1541) 6월 21일 ~ 중종 36년(1541) 9월 10일
- 이언적 (李彦迪): 중종 36년(1541) 9월 10일 ~ 중종 36년(1541) 9월 27일
- 상진 (尙震): 중종 36년(1541) 9월 27일
- 신광한 (申光漢): 중종 37년(1542) 11월 29일 ~ 중종 38년(1543) 2월 4일
- 허자 (許磁): 중종 38년(1543) 2월 4일
- 정사룡 (鄭士龍): 중종 38년(1543) 2월 8일 ~ 중종 39년(1544) 정월 21일
- 황헌 (黃憲): 중종 39년(1544) 1월 22일
- 이언적 (李彦迪): 중종 39년(1544) 6월 23일
- 허자 (許磁): 중종 39년(1544) 7월 22일 ~ 중종 39년(1544) 8월 18일
- 우맹선 (禹孟善): 중종 39년(1544) 8월 18일
- 윤사익 (尹思翼): 중종 39년(1544) 10월 10일
참조
[1]
문서
세조 12년(1466) 9월 30일 이전 임명
1466-09-30
[2]
문서
세조 13년(1467) 6월 30일 이전 퇴임
1467-06-30
[3]
문서
세조 13년(1467) 6월 30일 이전 임명
1467-06-30
[4]
문서
세조 14년(1468) 5월 7일 이후 퇴임
1468-05-07
[5]
문서
세조 14년(1468) 5월 24일 이전 임명
1468-05-24
[6]
문서
세조 14년(1468) 5월 24일 이후 임명
1468-05-24
[7]
문서
효종 5년(1654) 3월 6일 이전 임명
1654-03-06
[8]
문서
효종 8년(1657) 7월 3일 이전 임명
1657-07-03
[9]
문서
현종 즉위년(1659) 7월 18일 이전 퇴임
1659-07-18
[10]
문서
현종 즉위년(1659) 7월 18일 이전 임명
1659-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