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지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곽지균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1986년 《겨울 나그네》로 데뷔하여 《두 여자의 집》, 《상처》, 《젊은 날의 초상》, 《깊은 슬픔》, 《청춘》, 《사랑하니까, 괜찮아》 등 여러 작품을 연출했다. 《겨울 나그네》로 대종상 신인감독상, 《젊은 날의 초상》으로 대종상 감독상과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으며, 《걸어서 하늘까지》로 대종상 각색상을 받았다. 조감독, 각본, 각색 작업에도 참여했다. 2010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자살한 사람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자살한 사람 - 종현
김종현은 2008년 샤이니의 메인 보컬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S.M. THE BALLAD 멤버, '푸른 밤 종현입니다' 진행자 등 다방면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였다. - 자살한 영화 감독 - 마리오 모니첼리
마리오 모니첼리는 100편 이상의 각본과 60편 이상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식 코미디 장르를 개척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거장 영화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사회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 자살한 영화 감독 - 장뤽 고다르
장 뤽 고다르는 프랑스 누벨바그 운동을 이끈 혁신적인 영화 감독으로, 정치적 메시지와 독창적인 편집 기법을 통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 - 마광수
마광수는 대한민국의 국문학자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하며 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문학관으로 기성 문단과 갈등을 빚었고, 소설 《즐거운 사라》로 외설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 - 우범곤
1982년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동거녀와의 다툼 후 격분한 경찰관 우범곤이 총기를 탈취하여 62명을 살해하고 33명에게 중경상을 입힌 사건으로, 경찰의 초동 대처 미흡과 경찰관의 범행이라는 점에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어 내무부 장관 사임과 경찰 관련 규정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곽지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곽정균 (郭楨均) |
출생 | 1954년 11월 10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대전시 (현재 대전광역시) |
사망 | 2010년 5월 25일 (향년 55세) |
사망지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
활동 기간 | 1986년 ~ 2010년 |
배우자 | 없음 (독신) |
학력 | |
한국어 이름 정보 | |
한글 (이름) | 곽지균 |
한자 (이름) | 郭志均 |
로마자 표기 (이름) | Gwak Ji-Gyun |
한글 (출생) | 곽정균 |
한자 (출생) | 郭楨均 |
로마자 표기 (출생) | Gwak Jeong-Gyun |
수상 | |
수상 내역 | 1992년 제30회 대종상 각색상 |
2. 학력
- 대전고등학교 (52회)
-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3. 영화 연출 경력
곽지균은 영화 연출 분야에서 조감독, 각색, 각본, 감독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연도 | 역할 | 작품명 |
---|---|---|
1978년 | 조감독 | 《가까이, 아주 가까이》, 《파도가 슬픔을 덮을 때》 |
1979년 | 조감독 | 《여수 (여행의 고독)》, 《내일 또 내일》, 《신궁 (神弓)》 |
1980년 | 조감독 | 《투전꾼 부인》, 《숨겨진 영웅》, 《깃발없는 기수》 |
1981년 | 조감독 | 《만다라》 |
1982년 | 조감독 | 《우상의 눈물》, 각색: 《탄야》 |
1983년 | 조감독 | 《돌같이 굳게》 |
1984년 | 연출부: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각본: 《사슴 사냥》, 각색: 《장대를 잡은 여자》 | |
1985년 | 조감독 | 《깊고 푸른 밤》 |
1986년 | 감독 | 《겨울 나그네》 |
1987년 | 각본, 감독 | 《두 여자의 집》 |
1989년 | 감독 | 《상처》, 《그 후로도 오랫동안》 |
1991년 | 감독 | 《젊은 날의 초상》 |
1992년 | 감독: 《이혼하지 않은 여자》, 각색: 《걸어서 하늘까지》 | |
1994년 | 감독 | 《장미의 나날》 |
1997년 | 각색, 감독 | 《깊은 슬픔》 |
2000년 | 각본, 감독 | 《청춘》 |
2006년 | 각본, 각색, 감독 | 《사랑하니까, 괜찮아》 |
3. 1. 감독
1986년 《겨울 나그네》로 감독 데뷔를 하였다.[1] 이후, 1987년 《두 여자의 집》,[1] 1989년 《상처》,[1] 1989년 《그 후로도 오랫동안》,[1] 1991년 《젊은 날의 초상》,[1] 1992년 《이혼하지 않은 여자》,[1] 1994년 《장미의 나날》,[1] 1997년 《깊은 슬픔》,[1] 2000년 《청춘》,[1] 2006년 《사랑하니까, 괜찮아》[1] 등을 감독하였다.3. 2. 각본
3. 3. 각색
1982년 영화 탄야의 각색을 맡았다.[1]1984년 영화 장대를 잡은 여자의 각색을 맡았다.[4]
1992년 영화 걸어서 하늘까지의 각색을 맡았다.
2006년 영화 사랑하니까, 괜찮아의 각본과 각색을 맡았다.
3. 4. 조감독
가까이, 아주 가까이 (1978) - 조감독파도가 슬픔을 덮을 때 (1978) - 조감독
여수 (여행의 고독)한국어 (1979) - 조감독
내일 또 내일한국어 (1979) - 조감독
신궁 (神弓)한국어 (1979) - 조감독
투전꾼 부인한국어 (1980) - 조감독
숨겨진 영웅 (1980) - 조감독
깃발없는 기수 (1980) - 조감독[1]
만다라 (1981) - 조감독
우상의 눈물한국어 (1982) - 조감독
돌같이 굳게한국어 (1983) - 조감독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1984) - 연출부
깊고 푸른 밤 (1985) - 조감독
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 작품 |
---|---|---|
1986년 | 제25회 대종상 신인감독상 제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감독상 | 겨울 나그네 |
1991년 | 제29회 대종상 감독상 제29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 젊은 날의 초상 |
1992년 | 제30회 대종상 각색상 | 걸어서 하늘까지 |
5. 사망
참조
[1]
웹사이트
Film director Kwak Commits Suicide
https://koreatimes.c[...]
2010-05-26
[2]
웹사이트
Film director dies in apparent suicide
https://koreatimes.c[...]
2010-05-26
[3]
웹사이트
Film Director Kawk Ji Kyun Commits Suicide
http://kbsworld.kbs.[...]
2010-05-27
[4]
웹사이트
Wanderer in Winter (1986) Movie Review
http://www.beyondhol[...]
2007-06-23
[5]
웹사이트
'Fly High', Outdated Melodrama
http://www.hancinema[...]
2008-08-17
[6]
뉴스
최진영 이어 곽지균 감독까지 자살..."인기가 뭔지" 연예계 한숨만
https://news.naver.c[...]
스포츠조선
2010-05-25
[7]
뉴스
곽지균 영화 감독 자살...“일이 없어 괴롭고 힘들다”
http://www.gooddaysp[...]
굿데이스포츠
2010-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