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양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양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광양군 전 지역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속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구례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구례군·광양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옥주, 엄상섭, 김정호, 황숙현, 김석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양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양시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양시의회 선거에서 4개의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통해 총 11명의 시의원을 선출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다수의 의석을 확보했다.
  • 광양시의 정치 - 여수시·여천군·광양군
    여수시·여천군·광양군은 1973년 중대선거구제 실시로 신설되어 4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으며, 1988년 소선거구제 실시로 분리되어 폐지되었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광양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광양군
의회국회
큰 지도전라남도
지도 연도알 수 없음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알 수 없음
이후 선거구구례군·광양군
유권자알 수 없음
의원알 수 없음
정당알 수 없음
지방 의회알 수 없음
지방 선거구알 수 없음
인구알 수 없음
의원 수1인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양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구례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구례군·광양군 선거구를 구성하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양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2. 2. 선거구 폐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구례군 선거구와 통합, 구례군·광양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wikitext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다음은 광양군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광양군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선거명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김옥주무소속13,97853.55%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엄상섭무소속10,85231.25%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김정호자유당15,70252.02%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황숙현자유당15,65648.08%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김석주민주당15,53345.38%



각 선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선거 문서를 참고하라.

4. 1. 제1대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라남도 광양군 선거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옥주무소속13,97853.55%
김재후무소속4,99219.12%
김준기대한독립촉성국민회4,19716.07%
염언섭무소속2,93411.24%
합계26,101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엄상섭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엄상섭무소속10,85231.25%
황숙현무소속10,30029.66%
안상선무소속8,87125.54%
김영현무소속4,70013.53%
총합34,723100%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김정호 후보가 52.02%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정호자유당15,70252.02%
엄상섭무소속14,48247.97%
합계30,184100.00%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황숙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황숙현자유당15,65648.08%
김석주민주당9,99730.70%
김정호무소속6,90421.20%
합계32,557100%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석주민주당15,53345.38%
김선주무소속9,24827.02%
박준호무소속6,92720.24%
최백근혁신동지총연맹2,5167.35%
합계34,224100%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석주 후보가 45.3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