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광주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기관이다. 시장, 행정부시장, 문화경제부시장 아래 여러 실·국·본부·관·과 등으로 조직되어 있다. 소방안전본부, 자치경찰위원회, 감사위원회 등이 시장 직속으로 있으며, 민주인권평화국과 인공지능산업국 등은 부시장 산하에 있다. 광주광역시공무원교육원, 보건환경연구원 등 직속기관과 상수도사업본부, 도시철도건설본부 등 사업소를 운영하며, 5개의 자치구청을 관할한다. 2022년 총예산은 7조 원 이상이며, 일반공공행정, 사회복지, 교통 및 물류 분야에 예산이 배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 - 한국광기술원
한국광기술원은 광주광역시 광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설립된 광기술 분야 전문 연구 기관으로, 광기술 연구 개발, 기술 지원, 기업 육성을 통해 국내 광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경기광융합기술센터를 통해 지역 광융합산업 거점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 광주광역시 -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광주광역시의 정보문화산업 육성을 목표로 2002년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SW융합, 콘텐츠산업, CGI센터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정보문화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이사회, 원장, 산업지원본부, 기반운영본부 등의 조직과 스마트모바일앱개발지원센터, 광주영상복합문화관 등의 시설을 운영한다. - 광주 서구 소재의 관공서 - 광주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광주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는 광주광역시의 선거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986년 광주직할시 선거관리위원회로 창설되어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위원장, 상임위원, 비상임위원, 사무처로 구성되어 5개의 구별 선거관리위원회를 산하에 두고 있다. - 광주 서구 소재의 관공서 - 광주광역시의회
광주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로 구성된 광주광역시의 의결기관으로, 사무기구를 통해 의정 활동을 지원받으며, 4석 이상의 의석을 가진 정당은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고, 1991년 지방 선거를 통해 처음 구성되었다. - 광주광역시청 - 광주광역시장
광주광역시장은 광주광역시의 행정 수반이며,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직선제로 선출되고, 역대 시장으로는 송언종, 고재유, 박광태 등이 있다. - 광주광역시청 -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광주광역시의 정보문화산업 육성을 목표로 2002년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SW융합, 콘텐츠산업, CGI센터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정보문화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이사회, 원장, 산업지원본부, 기반운영본부 등의 조직과 스마트모바일앱개발지원센터, 광주영상복합문화관 등의 시설을 운영한다.
광주광역시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현지어 이름 | 광주광역시청 |
영어명 | Gwangju Metropolitan City Hall |
약칭 | 광주광역시청 |
설립일 | 1995년 1월 1일 |
전신 | 광주직할시청 (1986년 ~ 1994년) |
관할 | 광주광역시 전역 |
소재지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
직원 | 1,622명 |
예산 | 7조 94억 2,722만 6,000원 |
모토 | Your Partner 광주광역시 |
웹사이트 | 광주광역시청 |
주요 인물 | |
시장 직책 | 시장 |
시장 성명 | 강기정 |
행정부시장 직책 | 행정부시장 |
행정부시장 성명 | 문영훈 |
문화경제부시장 직책 | 문화경제부시장 |
문화경제부시장 성명 | 김광진 |
조직 | |
산하기관 | #조직 |
2. 조직
광주광역시의 행정 조직은 시장, 행정부시장, 문화경제부시장 아래 여러 실, 국, 본부, 관, 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4][5][6]
실·국 | 관 | 담당관실·과 |
---|---|---|
시장 산하 하부조직 | ||
colspan=2 | | 대변인실 | |
소방안전본부 | 소방행정과ㆍ예산장비과ㆍ방호예방과ㆍ구조구급과ㆍ119종합상황실ㆍ119특수구조단ㆍ빛고을국민안전체험관 | |
광주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 사무국 | 자치경찰행정과ㆍ자치경찰정책과 |
광주광역시 감사위원회 | ||
행정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colspan=2 | | 광주전략추진단ㆍ인사정책관실 | |
기획조정실 | 정책기획관실 | 예산담당관실ㆍ광역협력담당관실ㆍ평가데이터담당관실ㆍ정보화담당관실ㆍ법무담당관실 |
시민안전실 | 안전정책관실 | 사회재난과ㆍ자연재난과ㆍ민생사법경찰과 |
신활력추진본부 | 신활력총괄관실 | 관광도시과ㆍ도시공원과ㆍ친수공간과 |
자치행정국 | 자치행정과ㆍ총무과ㆍ시민소통과ㆍ세정과ㆍ회계과 | |
민주인권평화국 | 민주인권과ㆍ5ㆍ18선양과ㆍ국제평화협력과 | |
복지건강국 | 복지정책과ㆍ고령사회정책과ㆍ장애인복지과ㆍ건강정책과ㆍ감염병관리과ㆍ위생정책과 | |
여성가족교육국 | 여성가족과ㆍ아동청소년과ㆍ인재육성과 | |
기후환경국 | 기후환경정책과ㆍ대기보전과ㆍ자원순환과ㆍ녹지정책과ㆍ수질개선과 | |
도시공간국 | 도시계획과ㆍ건축경관과ㆍ주택정책과ㆍ스마트도시과ㆍ건설행정과ㆍ토지정보과 | |
군공항교통국 | 교통정책과ㆍ군공항이전과ㆍ광역교통과ㆍ대중교통과ㆍ도로과 | |
문화경제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colspan=2 | | 노동정책관실ㆍ청년정책관실 | |
문화체육실 | 문화도시정책관실 | 문화기반조성과ㆍ문화산업과ㆍ체육진흥과 |
경제창업실 | 경제정책관실 | 창업진흥과ㆍ일자리정책과ㆍ투자산단과ㆍ생명농업과 |
인공지능산업국 | 산업혁신성장과ㆍ인공지능정책과ㆍ차세대산업과ㆍ기반산업과ㆍ에너지산업과 |
2. 1. 시장 직속 조직
2. 1. 1.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는 소방행정과, 예산장비과, 방호예방과, 구조구급과, 119종합상황실, 119특수구조단, 빛고을국민안전체험관으로 구성되어 시민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 산하 소방서로는 광주동부소방서, 광주서부소방서, 광주남부소방서, 광주북부소방서, 광주광산소방서가 있다.2. 1. 2. 광주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아래 자치경찰행정과, 자치경찰정책과를 두고 있다.2. 2. 행정부시장 산하 조직
2. 2. 1. 민주인권평화국
민주인권과, 5·18선양과, 국제평화협력과를 두어 5·18 민주화 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민주, 인권, 평화 가치를 실현한다.2. 3. 문화경제부시장 산하 조직
2. 3. 1. 인공지능산업국
산업혁신성장과, 인공지능정책과, 차세대산업과, 기반산업과, 에너지산업과를 두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인공지능 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2. 4. 직속기관 및 사업소
광주광역시청의 직속기관으로는 광주광역시공무원교육원,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광주광역시농업기술센터, 광주광역시 소방학교가 있다. 또한, 동부소방서, 서부소방서, 남부소방서, 북부소방서, 광산소방서를 산하 소방서로 두고 있다.사업소로는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광주광역시 종합건설본부, 광주광역시도시철도건설본부가 있다. 광주광역시립도서관으로는 무등도서관, 사직도서관, 산수도서관이 있고, 광주광역시립미술관, 광주광역시문화예술회관, 광주광역시푸른도시사업소, 광주광역시역사민속박물관, 광주광역시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광주광역시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광주광역시일가정양립지원본부, 광주광역시서울본부, 광주광역시5·18기념문화센터, 광주광역시각화동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광주광역시우치공원관리사무소, 광주광역시김치타운관리사무소 등이 있다.
3. 산하 자치단체
4. 정원
광주광역시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총 1,622명이다.[2]
총계 | 1,622명 | |
---|---|---|
정무직 계 | 3명 | |
1명 | ||
1명 | ||
1명 | ||
colspan=3 | | ||
일반직 계 | 1,404명 | |
1명 | ||
354명 | ||
1,040명 | ||
9명 | ||
colspan=3 | | ||
별정직 계 | 7명 | |
1명 | ||
3명 | ||
3명 | ||
colspan=3 | | ||
연구직 계 | 3명 | |
3명 | ||
colspan=3 | | ||
소방직 계 | 205명 | |
7명 | ||
198명 |
5. 재정
2022년 광주광역시의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11.56% 증가한 7조 94억 2722만 6000원이다.[3] 주요 세입 재원은 지방세 수입, 세외 수입, 지방교부세, 보조금, 지방채 등이다.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2조 1569억 6158만 4000원 | +16.42% |
세외수입 | 3352억 2376만 3000원 | -2.17% |
지방교부세 | 1조 1783억 7381만 4000원 | +20.7% |
보조금 | 2조 4072억 6526만 3000원 | +9.13% |
지방채 | 2150억 원 | +19.44%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7166억 80만 2000원 | -1.23% |
주요 세출 분야는 일반공공행정, 공공질서 및 안전, 교육, 문화 및 관광, 환경, 사회복지, 보건, 농림해양수산,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교통 및 물류, 국토 및 지역개발, 과학기술 등이다. 특히 사회복지 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되어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힘쓰고 있다.[3]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8296억 9897만 9000원 | +18.26% | |
style="border-top:hidden" | | 입법및선거관리 | 40억 3435만 3000원 | +10.42% |
style="border-top:hidden" | | 지방행정·재정지원 | 6868억 8852만 5000원 | +15.73% |
style="border-top:hidden" | | 일반행정 | 1387억 7610만 1000원 | +32.97% |
공공질서및안전 | 2177억 5086만 2000원 | 168.84% | |
style="border-top:hidden" | | 경찰 | 44억 9483만 1000원 | 순증 |
style="border-top:hidden" | | 재난방재·민방위 | 1570억 8997만 8000원 | +432.42% |
style="border-top:hidden" | | 소방 | 561억 6605만 3000원 | +9.08% |
교육 | 4184억 1730만 원 | +8.97% | |
style="border-top:hidden" | | 유아및초중등교육 | 3905억 5781만 9000원 | +5.70% |
style="border-top:hidden" | | 고등교육 | 242억 5039만 8000원 | +113.46% |
style="border-top:hidden" | | 평생·직업교육 | 36억 908만 3000원 | +15.71% |
문화및관광 | 3916억 5753만 원 | +20.97% |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예술 | 2243억 2751만 4000원 | +23.82% |
style="border-top:hidden" | | 관광 | 248억 3863만 8000원 | +52.4% |
style="border-top:hidden" | | 체육 | 1241억 5154만 2000원 | +15.06%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재 | 132억 4530만 4000원 | -8.54%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및관광일반 | 50억 9453만 2000원 | +30.45% |
환경 | 4949억 1932만 8000원 | +10.39% | |
style="border-top:hidden" | | 상하수도·수질 | 3335억 8만 1000원 | +0.07% |
style="border-top:hidden" | | 폐기물 | 624억 1343만 4000원 | +45.23% |
style="border-top:hidden" | | 대기 | 926억 4004만 1000원 | +43.01% |
style="border-top:hidden" | | 자연 | 39억 2270만 6000원 | -18.68% |
style="border-top:hidden" | | 환경보호일반 | 24억 4306만 6000원 | -2.64% |
사회복지 | 2조 6228억 9706만 원 | +10.42% | |
style="border-top:hidden" | | 기초생활보장 | 7681억 9265만 8000원 | +13.61% |
style="border-top:hidden" | | 취약계층지원 | 2967억 3980만 원 | +17.7% |
style="border-top:hidden" | | 보육·가족및여성 | 6386억 9586만 원 | +7.79% |
style="border-top:hidden" | | 노인·청소년 | 6851억 8127만 1000원 | +8.42% |
style="border-top:hidden" | | 노동 | 850억 7135만 원 | +22.45% |
style="border-top:hidden" | | 보훈 | 54억 5664만 원 | +6.55% |
style="border-top:hidden" | | 주택 | 907억 812만 8000원 | -3.91% |
style="border-top:hidden" | | 사회복지일반 | 528억 5135만 3000원 | -1.38% |
보건 | 1166억 3798만 5000원 | +35.93% | |
style="border-top:hidden" | | 보건의료 | 1101억 2325만 5000원 | +38.16% |
style="border-top:hidden" | | 식품의약안전 | 65억 1473만 원 | +6.81% |
농림해양수산 | 557억 5762만 6000원 | -1.41% | |
style="border-top:hidden" | | 농업·농촌 | 497억 4281만 2000원 | +0.82% |
style="border-top:hidden" | | 임업·산촌 | 60억 1481만 4000원 | -16.66% |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 3039억 6583만 1000원 | +0.33% |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금융지원 | 669억 8493만 8000원 | -7.07% |
style="border-top:hidden" | | 무역및투자유치 | 38억 2631만 4000원 | +7.37%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진흥·고도화 | 2090억 8369만 5000원 | +0.78% |
style="border-top:hidden" | | 에너지및자원개발 | 239억 5853만 8000원 | +21.31%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중소기업일반 | 1억 1234만 6000원 | - |
교통및물류 | 9010억 5651만 6000원 | +5.28% | |
style="border-top:hidden" | | 도로 | 1783억 574만 1000원 | +11.86% |
style="border-top:hidden" | | 도시철도 | 3360억 5763만 5000원 | +10.09% |
style="border-top:hidden"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3866억 9314만 원 | -1.16% |
국토및지역개발 | 2716억 1414만 5000원 | -4.45% | |
style="border-top:hidden" | | 수자원 | 293억 1845만 7000원 | -20.02% |
style="border-top:hidden" | | 지역및도시 | 2239억 600만 5000원 | -3.46%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단지 | 183억 8968만 3000원 | +17.39% |
과학기술 | 90억 6972만 원 | +12.67% | |
style="border-top:hidden" | | 과학기술일반 | ||
예비비 | 104억 4549만 1000원 | -12.22% | |
style="border-top:hidden" | | 예비비 | ||
기타 | 3655억 3885만 3000원 | +0.5% | |
style="border-top:hidden" | | 기타 |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규칙
광주광역시 공무원 정원 규칙 별표 1
[3]
웹인용
세입세출예산서
https://www.gwangju.[...]
2022-12-04
[4]
문서
개방형 직위
[5]
문서
2024년 7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6]
문서
2023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