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광역시의회는 광주광역시의 입법 및 예산 심의, 행정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 의회이다. 의장 1명,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을 중심으로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운영하며, 의정 활동을 지원하는 사무처를 두고 있다. 역대 선거를 통해 의원을 선출하며, 현재 제9대 의회가 운영 중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민의힘이 1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정치 - 광주시 갑 (전남 선거구)
광주시 갑은 1958년 신설되어 1973년 광주시 을과 통합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정성태 의원이 초대부터 8대 국회까지 지역구 의원을 역임했다. - 광주광역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선거는 20개의 지역구와 3개의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총 23명의 시의원을 선출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22석, 정의당은 1석, 무소속 후보가 1석을 차지했다. - 광주 서구 소재의 관공서 - 광주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광주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는 광주광역시의 선거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986년 광주직할시 선거관리위원회로 창설되어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위원장, 상임위원, 비상임위원, 사무처로 구성되어 5개의 구별 선거관리위원회를 산하에 두고 있다. - 광주 서구 소재의 관공서 - 광주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은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조직을 통해 시정 운영을 지원하고, 산하 조직을 통해 시민 안전 관련 업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재원을 활용하여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예산을 배분하는 광주광역시의 행정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광주광역시의회 - [의회]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광주광역시의회 |
로마자 표기 | Gwangju Gwang-yeoksi Uihoe |
한자 표기 | 光州廣域市議會 |
종류 | 지방 의회 |
![]() | |
설립일 | 1991년 7월 8일 |
정치 체제 | 단원제 |
의장 | 김용집 |
의장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부의장 | 조석호 |
부의장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부의장 | 정순애 |
부의장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석수 | 23석 |
임기 | 4년 |
선거 제도 | 보통선거 평등선거 직접 선거 비밀 선거 |
선거구 | 소선거구제 (20석) 비례대표제 (3석) |
최근 선거 | 2022년 6월 1일 |
위치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
웹사이트 | 광주광역시의회 (한국어) 광주광역시의회 (영어) |
의석 분포 | |
정당별 의석수 | 더불어민주당: 22석 국민의힘: 1석 |
2. 조직
광주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과 여러 상임위원회 및 특별위원회를 통해 의정 활동을 수행한다.
의장단은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는 의장과 의장의 추천으로 본회의에서 선출되는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다.
상임위원회는 각 분야별 전문적인 안건 심사를 담당하며, 다음과 같다.[1]
- 의회운영위원회
- 행정자치위원회
- 환경복지위원회
- 산업건설위원회
- 교육문화위원회
특별위원회는 특정 사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구성되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 등이 있다.[1]
2. 1. 의장단
광주광역시의회 의장단은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를 정리하며, 질서를 유지하고 사무를 감독하는 역할을 한다. 의장은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부의장은 의장의 추천으로 본회의에서 선출된다. 광주광역시의회 의장은 광주광역시의회를 대표하며, 부의장은 2명으로 구성된다.2. 1. 1. 역대 의장단
의회 | 대수 | 이름 | 정당 | 임기 | 부의장/정당 | |
---|---|---|---|---|---|---|
초대 | 1대 | 김길 | 신민주연합당 | 1991년 7월 8일 - 1991년 7월 23일 | 김채구/신민주연합당 | 전계량/신민주연합당 |
2대 | 정순길 | 1991년 7월 24일 - 1993년 7월 7일 | ||||
3대 | 정경주 | 민주당 | 1993년 7월 8일 - 1995년 7월 7일 | 조수웅/민주당 | 안성례/민주당 | |
2대 | 4대 | 서병조 | 1995년 7월 11일 - 1997년 1월 10일 | 정태성/민주당 | 마세열/민주당 | |
5대 | 오주 | 새정치국민회의 | 1997년 1월 11일 - 1998년 6월 30일 | 김재균/새정치국민회의 | 이춘범/새정치국민회의 | |
3대 | 6대 | 이춘범 | 1998년 7월 9일 - 2000년 7월 8일 | 전갑길/새정치국민회의 김관선/새천년민주당 | 박필용/새정치국민회의 | |
7대 | 오주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7월 9일 - 2002년 6월 30일 | 반명환/새천년민주당 | 신이섭/새천년민주당 | |
4대 | 8대 | 이형석 | 2002년 7월 9일 - 2004년 7월 8일 | 강박원/새천년민주당 | 정현애/새천년민주당 나종천/새천년민주당 | |
9대 | 반명환 | 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 | 이정남/새천년민주당 | 서채원/새천년민주당 | ||
5대 | 10대 | 강박원 | 민주당 | 2006년 7월 11일 - 2008년 7월 10일 | 김후진/민주당 | 이철원/민주당 |
11대 | 민주당 | 2008년 7월 11일 - 2010년 6월 30일 | 조호권/민주당 | 진선기/민주당 | ||
6대 | 12대 | 윤봉근 | 2010년 7월 6일 - 2012년 7월 5일 | 정현애/민주당 | 이은방/민주당 | |
13대 | 조호권 | 민주통합당 | 2012년 7월 6일 - 2014년 6월 30일 | 송경종/민주통합당 | 나종천/민주통합당 | |
7대 | 14대 | 조영표 | 새정치민주연합 | 2014년 7월 8일 - 2016년 7월 7일 | 문태환/새정치민주연합 | 김동찬/새정치민주연합 |
15대 | 이은방 | 국민의당 | 2016년 7월 18일 - 2018년 6월 30일 | 박춘수/국민의당 | 조세철/더불어민주당 | |
8대 | 16대 | 김동찬 | 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0년 7월 10일 | 장재성/더불어민주당 | 임미란/더불어민주당 |
17대 | 김용집 | 더불어민주당 | 2020년 7월 11일 - 2022년 6월 30일 | 조석호/더불어민주당 | 정순애/더불어민주당 |
2. 2. 위원회
광주광역시의회는 효율적인 의정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위원회를 두고 있다. 상임위원회는 각 분야별 전문적인 안건 심사를 담당한다. 특별위원회는 특정 사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구성되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 등이 있다.[1]상임위원회는 다음과 같다.[1]
- 의회운영위원회
- 행정자치위원회
- 환경복지위원회
- 산업건설위원회
- 교육문화위원회
특별위원회는 다음과 같다.[1]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2. 3. 사무처
광주광역시의회 사무처는 의원들의 의정 활동을 지원하고, 의회 관련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조직이다.[3] 사무처에는 총무담당관실,[4] 의사담당관실, 입법정책담당관실,[5] 전문위원이 있다.3. 역대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선거는 4년마다 실시되며, 지역구 의원과 비례대표 의원을 선출한다. 역대 선거 결과는 시대별 정치 지형과 민심의 변화를 반영하며,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왔다.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부터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총 9번의 지방선거를 통해 광주광역시의회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각 선거별 정당별 의석 및 비례대표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역대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 선거
! 정당별 의석
! 비례대표 득표 결과
|-
! 제1대
|
정당 | 합계 |
---|---|
신민주연합당 | 18 |
무소속 | 5 |
| 해당사항 없음
|-
! 제2대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민주당 | 23 | 2 | 25 |
민주자유당 | 0 | 1 | 1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민주자유당 | 48,043 | 9.6% | 1 |
민주당 | 411,234 | 82.3% | 2 |
무소속 | 40,502 | 8.1% | - |
|-
! 제3대
|
|
|-
! 제4대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천년민주당 | 16 | 2 | 18 |
민주노동당 | 0 | 1 | 1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당선자수 |
---|---|---|---|
새천년민주당 | 276,656 | 70.43 | 2 |
민주노동당 | 58,089 | 14.78 | 1 |
한나라당 | 33,432 | 8.51 | 0 |
녹색평화당 | 10,288 | 2.61 | 0 |
자유민주연합 | 9,388 | 2.39 | 0 |
사회당 | 4,906 | 1.24 | 0 |
|-
! 제5대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민주당 | 16 | 2 | 18 |
열린우리당 | 0 | 1 | 1 |
|
|-
! 제6대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민주당 | 290,617 | 55.92% | 2 |
민주노동당 | 87,638 | 16.86% | 1 |
국민참여당 | 66,444 | 12.78% | 0 |
한나라당 | 43,274 | 8.32% | 0 |
진보신당 | 23,468 | 4.51% | 0 |
평화민주당 | 6,925 | 1.33% | 0 |
사회당 | 1,294 | 0.24% | 0 |
|-
! 제7대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정치민주연합 | 19 | 2 | 21 |
통합진보당 | 0 | 1 | 1 |
|
|-
! 제8대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더불어민주당 | 461,406 | 67.47% | 2 |
정의당 | 87,327 | 12.77% | 1 |
민주평화당 | 56,341 | 8.23% | 0 |
민중당 | 31,417 | 4.59% | 0 |
바른미래당 | 30,015 | 4.38% | 0 |
자유한국당 | 9,465 | 1.38% | 0 |
노동당 | 4,257 | 0.62% | 0 |
녹색당 | 3,610 | 0.52% | 0 |
|-
! 제9대
|
|
|}
역대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이 대부분의 의석을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다. 특히,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지역구 의석 23석을 모두 차지하는 압도적인 결과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규정으로 인해, 일부 선거에서는 다른 정당에게 비례대표 의석이 배분되기도 하였다.
3. 1. 제1대 광주직할시의회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23명의 제1대 광주직할시의원이 선출되었다.정당 | 합계 |
---|---|
신민주연합당 | 18 |
무소속 | 5 |
3. 2. 제2대 광주광역시의회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3명의 제2대 광주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3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민주당 | 23 | 2 | 25 | |
민주자유당 | 0 | 1 | 1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민주자유당 | 48,043 | 9.6% | 1 | |
민주당 | 411,234 | 82.3% | 2 | |
무소속 | 40,502 | 8.1% | - |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당에 2석, 민주자유당에 1석이 배분되었다.
3. 3. 제3대 광주광역시의회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7명의 제3대 광주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4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으므로, 새정치국민회의에 2석, 자유민주연합에 1석이 배분되었다.
3. 4. 제4대 광주광역시의회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9명의 제4대 광주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천년민주당 | 16 | 2 | 18 |
민주노동당 | 0 | 1 | 1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당선자수 |
---|---|---|---|
새천년민주당 | 276,656 | 70.43 | 2 |
민주노동당 | 58,089 | 14.78 | 1 |
한나라당 | 33,432 | 8.51 | 0 |
녹색평화당 | 10,288 | 2.61 | 0 |
자유민주연합 | 9,388 | 2.39 | 0 |
사회당 | 4,906 | 1.24 | 0 |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으므로 새천년민주당에 2석, 민주노동당에 1석이 배분되었다.
3. 5. 제5대 광주광역시의회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9명의 제5대 광주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1]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민주당 | 16 | 2 | 18 |
열린우리당 | 0 | 1 | 1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민주당 | 228,531 | 49.36% | 2 |
열린우리당 | 131,433 | 28.39% | 1 |
민주노동당 | 76,569 | 16.54% | 0 |
한나라당 | 21,907 | 4.73% | 0 |
희망사회당 | 4,469 | 0.96% | 0 |
3. 6. 제6대 광주광역시의회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6명의 제6대 광주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9명, 비례대표 의원 3명, 교육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1]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
민주당 | 290,617 | 55.92% | 2 | |
민주노동당 | 87,638 | 16.86% | 1 | |
국민참여당 | 66,444 | 12.78% | 0 | |
한나라당 | 43,274 | 8.32% | 0 | |
진보신당 | 23,468 | 4.51% | 0 | |
평화민주당 | 6,925 | 1.33% | 0 | |
사회당 | 1,294 | 0.24% | 0 | |
3. 7.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7대 광주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새정치민주연합 | 19 | 2 | 21 | |
통합진보당 | 0 | 1 | 1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새정치민주연합 | 453,281 | 71.34% | 2 | |
통합진보당 | 85,010 | 13.37% | 1 | |
새누리당 | 55,525 | 8.73% | 0 | |
정의당 | 26,370 | 4.15% | 0 | |
노동당 | 15,168 | 2.38% | 0 |
3. 8. 제8대 광주광역시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3명의 제8대 광주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0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2]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더불어민주당 | 461,406 | 67.47% | 2 |
정의당 | 87,327 | 12.77% | 1 |
민주평화당 | 56,341 | 8.23% | 0 |
민중당 | 31,417 | 4.59% | 0 |
바른미래당 | 30,015 | 4.38% | 0 |
자유한국당 | 9,465 | 1.38% | 0 |
노동당 | 4,257 | 0.62% | 0 |
녹색당 | 3,610 | 0.52% | 0 |
3. 9. 제9대 광주광역시의회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3명의 제9대 광주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20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1]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더불어민주당 | 304,798 | 68.63% | 2 |
국민의힘 | 62,669 | 14.11% | 1 |
정의당 | 42,020 | 9.46% | 0 |
진보당 | 31,924 | 7.18% | 0 |
기본소득당 | 2,667 | 0.60% | 0 |
4. 정당별 의석 수
5. 교섭단체
광주광역시의회는 4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4명의 의원이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6] 현재 광주광역시의회에는 더불어민주당 단독으로 구성된 교섭단체 1개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광주시의회 우여곡절 끝 개원…4년간의 항해 시작
http://www.newsis.co[...]
2018-08-18
[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3]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4]
문서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5]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6]
웹인용
광주광역시의회 기본 조례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광주시의회 “광주SRF, 시민 혈세 볼모로 운영책임 전가”
광주시의회, 잇따르는 반발에 자유총연맹 지원 조례 철회
광주시의회 ‘자유총연맹’ 지원조례 추진에…시민사회 “제정신인가”
‘광주 폄훼·극우 행보’ 자유총연맹 지원?···광주시의회 조례 추진에 시민들 반발
광주 교내 CCTV 설치 조례 놓고 교사단체 “효율성 적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