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광주인권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광주인권상은 2000년부터 5·18 기념재단이 인권 증진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하는 상이다. 동티모르의 사나나 구스마오가 첫 수상자였으며, 이후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 미얀마 민주화 운동, 아르헨티나 군부 독재 피해자, 태국, 스리랑카, 홍콩,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각국의 인권 운동가와 단체가 수상했다. 2015년에는 라오스의 솜바스 솜폰이 특별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권상 - 불교인권상
    불교인권상은 인권 신장과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민주화, 노동, 통일, 사회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사들이 수상하며 사회적 약자 보호와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한 공로를 기린다.
  • 대한민국의 인권상 - NCCK 인권상
    NCCK 인권상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인권 신장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사회적 약자 보호 및 인권 문제 개선에 기여한 공로를 기린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 5·17 쿠데타
    5·17 쿠데타는 1980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12·12 군사반란 이후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국회를 해산하여 권력을 장악한 사건이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 국립5·18민주묘지
    국립5·18민주묘지는 1980년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국립묘지로, 기념관, 기념탑 등 다양한 시설이 있으며 매년 추모 행사가 열리고, 구묘역은 민주주의 성지로 여겨진다.
광주인권상
광주 인권상
수여 기관5·18 기념재단
웹사이트5·18 기념재단 공식 웹사이트
목적
목적인권, 민주주의, 평화를 옹호하고 증진하는 개인 또는 단체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역사
첫 시상2000년
수상
최근 수상자무함마드 알-바라데 (2024)

2. 역대 수상자

연도수상자국가간략 소개
2000년사나나 구스마오동티모르 독립에 기여
2001년바실 페르난도아시아 인권위원회 위원장, 5·18 민주화운동을 세계에 알림
2002년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에 기여
2003년다냐니아 자얀티스리랑카 실종자 기념회 대표[7]
2004년아웅산수찌 (철회)미얀마 민주화운동 기여, 로힝야족 박해 책임으로 철회[8]
2005년와르다 하피즈인도네시아 도시빈민협의회 활동
2006년말라라이 조야아프가니스탄 인권향상 기여
앙카나 닐라파이짓태국 인권운동
2007년레닌 라흐바니쉬국민도덕인권위원회 활동
아이롬 찬누 샤르밀라인도 독립적인 인민조사위원회 활동
2008년무니르 아흐메드 말리크파키스탄 사법권 독립과 언론자유 투쟁
2009년민꼬나잉버마 대학생연맹 회장
2010년수실 퍄큐렐네팔 민주주의와 인권운동 기여
2011년비나약 센인도 시민자유연합 전국 부대표
2012년문정현천주교 사제, 민주화/통일/인권 운동[9]
2013년H.I.J.O.S.(망각과 침묵에 대항하며 정체성과 정의를 위해 싸우는 아들딸들)아르헨티나 군부정권 만행 진상규명
2014년아딜루 라만 칸방글라데시 인권법 제정 변호사, 인권 운동가[10]
하바란의 어머니들이란 약식 처형 반대, 진실 규명 요구[11]
2015년라띠파 아눔 시레가르인권변호사, 파푸아 서부지역 무료변론[12]
2016년누옌 단 쿠에민주주의와 인권 신장 활동, 베트남 정부 항의[13]
버시2.0선거제도 개혁 요구 시민단체
2017년자투팟 분팟타라락사반군부 학생운동, 태국 정부 유감 표명[14]
2018년난다나 마나퉁가 신부국가폭력 피해자 지원 활동
2019년조안나 카리뇨
2020년베드조 운퉁
2021년아르논 냠파
2022년신시아 마웅
2023년차우 항통
2024년수간티니 마티아무탄 탕가라스


2. 1. 개인

연도수상자국가비고
2000년사나나 구스마오동티모르동티모르 독립에 기여
2001년바실 페르난도스리랑카아시아 인권위원회 위원장, 5.18 민주화운동을 세계에 알림
2002년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대한민국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에 기여
2003년다냐니아 자얀티스리랑카스리랑카 실종자 기념회 대표[7]
2004년아웅산수찌 (철회)미얀마미얀마 민주화운동 기여, 로힝야족 박해 책임으로 철회[8]
2005년와르다 하피즈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도시빈민협의회 활동
2006년말라라이 조야아프가니스탄아프가니스탄 인권향상에 기여
앙카나 닐라파이짓태국태국의 인권운동
2007년레닌 라흐바니쉬인도국민도덕인권위원회 활동
아이롬 찬누 샤르밀라인도인도 독립적인 인민조사위원회 활동
2008년무니르 아흐메드 말리크파키스탄파키스탄 사법권 독립과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
2009년민꼬나잉미얀마버마 소재 대학생연맹 회장
2010년수실 퍄큐렐네팔네팔의 민주주의와 인권운동에 기여
2011년비나약 센인도인도의 인권단체 시민자유연합 전국 부대표
2012년문정현대한민국천주교 사제, 민주화/통일/인권 운동[9]
2013년H.I.J.O.S.(망각과 침묵에 대항하며 정체성과 정의를 위해 싸우는 아들딸들)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군부정권 만행 진상규명
2014년아딜루 라만 칸방글라데시방글라데시 인권법 제정 변호사, 인권 운동가[10]
하바란의 어머니들이란이란 약식 처형 반대, 진실 규명 요구[11]
2015년라띠파 아눔 시레가르인도네시아인권변호사, 파푸아 서부지역 무료변론[12]
2016년누옌 단 쿠에베트남민주주의와 인권 신장 활동, 베트남 정부 항의[13]
버시 2.0말레이시아선거제도 개혁 요구 시민단체
2017년자투팟 분팟타라락사태국반군부 학생운동, 태국 정부 유감 표명[14]
2018년난다나 마나퉁가 신부스리랑카국가폭력 피해자 지원 활동
2019년조안나 카리뇨필리핀
2020년베드조 운퉁인도네시아
2021년아르논 냠파태국
2022년신시아 마웅미얀마
2023년차우 항통홍콩
2024년수간티니 마티아무탄 탕가라스스리랑카


2. 2. 단체

연도수상 단체설명
2002년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였다.
2013년H.I.J.O.S.(망각과 침묵에 대항하며 정체성과 정의를 위해 싸우는 아들딸들)1976년 쿠데타로 집권한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은 불법적인 수단을 동원하여 반대파를 탄압했다(일명 더러운 전쟁). 군부독재정권 당시 아르헨티나 비밀정보국은 칠레 비밀경찰 및 미국 중앙정보국과 협조하여 콘도르 작전을 수행해 수천 명의 국민을 반체제인사로 체포하여 고문하고 살해하여 "행방불명자"를 만들었다. H.I.J.O.S.는 당시 고문당하고 살해된 행방불명자들의 2세 자식들이 만든 단체로 아르헨티나 군부정권의 만행과 진상규명에 앞장서고 있다.
2014년하바란의 어머니들(Mothers of Khavaran)이란에서 약식 처형에 반대하고 정부를 상대로 진실 규명 요구를 펼치고 있는 정치범 어머니들의 단체이다. 이란 당국은 집단처형이 일어났던 하바란 방문을 금지하고 묘지에 헌화하거나 제대로 구분도 되지 않는 작은 표시를 하는 것도 허락하지 않았다. 상당수 희생자 가족을 일자리에서 쫓아내거나 이동을 제한했지만, 이 같은 폭력과 탄압에도 정의 실현을 위한 노력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11]
2016년버시2.0(BERSIH·깨끗하고 공정한 선거 연합)2006년 선거제도 개혁을 요구하는 야당과 시민사회 단체들의 연합체로 출범한 시민단체이다. 대규모 집회로 선거 부정 문제를 부각시켰으며, 문화·종교·민족적 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활동에도 기여하였다.


3. 특별상

2015년에는 라오스의 솜바스 솜폰이 특별상을 받았다. 솜바스 솜폰은 2012년 12월 15일 경찰서 앞에서 사라진 후 현재까지 행방이 묘연하며, 수상을 계기로 구출을 위한 서명운동이 진행되었다.[15]

참조

[1] 웹사이트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https://web.archive.[...] May 18 Memorial Foundation 2011-04-24
[2] 웹사이트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https://web.archive.[...] May 18 Memorial Foundation 2011-04-24
[3] 웹사이트 Lingering legacy of Korean massacre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5-18
[4] 웹사이트 Binayak Sen awarded human rights prize https://web.archive.[...] IANS 2011-04-22
[5] 뉴스 ‘อานนท์ นำภา’ คว้ารางวัล ‘กวางจูสิทธิมนุษยชน 2021’ จาก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ใต้ https://www.matichon[...]
[6] 웹인용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https://web.archive.[...] May 18 Memorial Foundation 2011-04-24
[7] 뉴스 제4회 광주인권상에 스리랑카 다냐니아 자얀티 http://news.naver.co[...]
[8] 뉴스 아웅산 수치 9년만에 광주인권상 받는다 http://news.naver.co[...]
[9] 뉴스 문정현 신부, '2012년 광주인권상' 수상자로 선정 http://www.ohmynews.[...]
[10] 웹인용 2014 광주인권상 시상식 개최 https://web.archive.[...] 2015-03-04
[11] 뉴스 2014 광주인권상 시상식…방글라·이란 인권단체 수상(종합) http://news.heraldco[...]
[12] 뉴스 광주인권상’ 수상 인도네시아 라띠파 아눔 시레가르 http://www.kwangju.c[...]
[13] 뉴스 http://news1.kr/arti[...]
[14] 뉴스 http://www.newsis.co[...]
[15] 뉴스 서명운동 http://www.yonhapnew[...]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