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진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진교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강동구 천호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1936년 한강에 두 번째로 건설되었다.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구 광진교는 2차선 교량이었으나, 한국 전쟁 중 일부가 파괴되었고, 1980년대 안전 문제로 인해 1994년 철거되었다. 1997년 확장 공사를 시작하여 2005년 현재의 광진교가 준공되었으며, 자전거 전용도로, 보행로, 녹지대 등을 갖추고 있다. 1973년에는 광진교 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완공된 교량 -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 베이 브리지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 베이 브리지는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를 잇는 다리로서, 한때 철도와 도로가 함께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자동차 전용이며, 예르바 부에나 섬을 지나 서쪽은 현수교, 동쪽은 트러스교로 건설되었고 지진 피해 복구와 내진 설계 강화 후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교통과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랜드마크이다.
  • 서울 강동구의 건축물 - 배재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는 1885년 아펜젤러가 설립하여 고종 황제로부터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을 받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학교 중 하나로, 민족 교육의 전통을 이어가며 독립운동가를 배출했으나 과거 논란도 있었다.
  • 서울 강동구의 건축물 - 강동대교
    강동대교는 서울 강동구와 하남시를 잇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다리로서, 수도권 동부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하지만, 교통량 증가로 상습 정체 구간으로 분류되는 교통 시설이다.
  • 서울 광진구의 건축물 - 잠실철교
    1977년 착공되어 1979년에 완공된 잠실철교는 도로와 철도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잠실과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 허브로서 건설되었다.
  • 서울 광진구의 건축물 - 영동대교
    영동대교는 서울 성동구와 강남구를 잇는 다리로, 강남 개발 시기 '영동'에서 유래되었으며 강변북로와 연결되어 강북과 강남 동부 지역을 잇는 간선도로이자 국도 제47호선의 일부이고, 문화적으로도 의미를 지닌다.
광진교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광진교
한글 표기광진교
한자 표기
로마자 표기Gwangjin gyo
교량 정보
위치대한민국 광진구 광장동 ~ 강동구 천호동
교통 시설2차선, 구천면로
관리구조 및 상부 설치 시설: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교량안전부
전기 시설: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시설안전부
하부 전망대: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운영부
설계상부: Steel Box Girder, Steel Plate Girder, RC Rahmen
하부: 말뚝 기초, 우물통 기초
길이1,056 m
너비본선 20m, 램프 7.5m
운행 높이최대 수심 구간 21m (수위에 따라 변동)
이미지
광진교

2. 유래

광진교가 위치하고 있는 광나루는 예부터 충주를 거쳐 동래로 또는 원주를 거쳐 동해안으로 빠지는 요충지로 유명한 나루터였다. 1920년대에는 화물차나 버스를 발동기선에 실어 도강할 수 있었으나 홍수로 인해 교통이 두절되면 그 불편함을 헤아릴 수 없었다. 1930년을 전후해서 교통량이 격증하여 하루에 도강하는 자동차, 우차, 손수레 등이 수백 대에 달하게 되어 도로교통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1936년 교량을 건설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하였다가 1895년(고종 32) 개편되어 한성부 양주군 고양면 광진리가 되었으며 1914년 고양군 독도면 광장리가 되었다. 1949년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에 해당되던 광나루 일대가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되었다가 1995년 광진구에 편입되었다.

3. 역사

'''광진교'''가 위치한 광나루는 예부터 충주를 거쳐 동래로, 또는 원주를 거쳐 동해안으로 빠지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1920년대에는 화물차나 버스를 발동기선에 실어 강을 건넜으나, 홍수로 인해 교통이 끊기면 큰 불편을 겪었다. 1930년을 전후해 교통량이 크게 늘어 하루에 강을 건너는 자동차, 우마차, 손수레 등이 수백 대에 달하게 되자, 도로교통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1936년 다리를 건설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하였다가 1895년(고종 32) 한성부 양주군 고양면 광진리가 되었으며, 1914년 고양군 독도면 광장리가 되었다. 1949년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에 해당되던 광나루 일대가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되었다가 1995년 광진구에 편입되었다.

광진교는 1934년 8월 14일 착공하여 1936년 9월 30일 준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50년 6월한국 전쟁 중 7경간 파손 (트러스교)
1953년미군 응급복구 (게르버교)
1984년 9월대홍수로 11번 교각 침하, 통행금지
1985년 2월토목학회 안전진단 결과, 상하부 전면 개수 결론
1988년 12월하부공사 보강 (교각 및 기초 36기)
1997년 3월확장공사 착공
2003년 11월남단도로 및 본선교량 임시개통
2005년 6월북단교차로 개선공사 완료 및 확장공사 준공
2009년 7월광진교 걷고싶은 다리 조성공사 완료


3. 1. 1937년 광진교(구)

1934년 8월 14일 착공하여 1936년 9월 30일에 준공된 광진교는 한강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도로교였으며, '광장교'라고도 불렸다.[5]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이 다리는 길이 1037.6m, 너비 9.4m의 2차선으로, 철근 콘크리트 게르버 T형교 (28지간 608.1m)와 강 트러스 단순교 (7지간 439.5m)로 건설되었다.

1937년 광진교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6월 28일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트러스 구간이 폭파되었다. 1953년 미군에 의해 응급 복구되었으나, 트러스 부분이 제거되고 교각을 더 설치하여 다리 전체가 라멘 게르버교로 바뀌었다.

3. 2. 2005년 광진교(신)

2005년 광진교


1980년대 들어 광진교는 안전 문제가 계속 거론되었고, 1984년 장마철에는 다리 일부가 침하되는 사고까지 겪었다.[6] 1989년 서울특별시에서는 교량 하부는 보강하고 상부는 건설 당시의 트러스 구조로 복원하기로 계획을 잡았다.[7] 1994년 구 광진교는 교각만 남기고 철거되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4차로로 다리를 확장해달라고 요구해옴에 따라 새로운 다리 건설로 방향이 바뀌게 되었다.[8]

그 후 서울시 동부지역의 남북을 연결하는 기존 다리를 확장하고 천호대교의 교통량 분산처리와 암사, 명일동 지역 교통류를 우회처리하기 위해 1997년 3월 18일 '''광진교''' 확장공사가 착공되어 2003년 11월 4일 '''광진교''' 본선교량 및 남단도로가 임시 개통[9]되었고 2005년 6월 30일 자전거 램프 및 접속도로가 완공되어 '''광진교'''가 준공되었다.

2009년 2월 한강교량 조명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광진교''' 주요시설에 경관조명을 갖추게 되었다.[10]

야간조명

4. 현 교량의 제원

현 교량의 제원
구조형식
공법
크기


4. 1. 보행로

폭은 3m~10m로, 보행로 중간에 음수대 및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1920m2 면적의 녹지에는 서양 측백나무 등을 심어 녹음이 우거진 산책로가 조성되었다.

4. 2. 자전거 전용도로

폭 2.5m, 연장 1056m의 자전거 전용도로와 한강공원으로 진출입 가능한 자전거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14]

5. 경위

1934년 8월 14일 착공하여 1936년 9월 30일한강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도로교였으며, 일명 광장교라고도 한다.[5]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광진교는 길이 1,037.6m, 너비 9.4m의 2차선으로 철근 콘크리트 게르버T형교 (28지간 608.1m)와 강트러스 단순교 (7지간 439.5m)로 건설되었다.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6월 28일 북한군 남하를 막기 위해 트러스 구간이 폭파되었다. 1953년 미군에 의해 복구되었으나 트러스 부분을 모두 없애고, 트러스가 있던 부분에는 교각을 더 설치하여 다리 전체가 라멘 게르버교로 바뀌게 되었다.

1980년대 들어 광진교는 안전문제가 계속 거론되었고, 1984년 장마철에는 다리 일부가 침하되는 사고까지 겪었다.[6] 이에 1989년 서울특별시에서는 교량 하부는 보강하고 상부는 건설 당시의 트러스 구조로 복원하기로 계획을 잡았다.[7] 1994년 구 광진교는 교각만 남기고 철거되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4차로로 다리를 확장해달라고 요구해옴에 따라 새로운 다리 건설로 방향이 바뀌게 되었다.[8]

그 후 서울시 동부지역의 남북을 연결하는 기존 다리를 확장하고 천호대교의 교통량 분산처리와 암사, 명일동 지역 교통류를 우회처리하기 위해 1997년 3월 18일 광진교 확장공사가 착공되어 2003년 11월 4일 광진교 본선교량 및 남단도로가 임시 개통[9]되었고 2005년 6월 30일 자전거 램프 및 접속도로가 완공되어 광진교가 준공되었다.

2009년 2월 한강교량 조명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광진교 주요시설에 경관조명을 갖추게 되었다.[10]

연혁


6. 관리기관

관리 기관담당 부서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교량안전부 (구조 및 상부 설치시설)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시설안전부 (전기시설)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운영부 (하부전망대)


7. 관련 사건

1973년 광진교 버스 추락 사고가 광진교에서 발생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7. 1. 광진교 버스 추락 사고

1973년 8월 18일광진교 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참조

[1] 백과사전 http://terms.naver.c[...] Naver 2017-12-13
[2] 뉴스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는 어디? https://news.naver.c[...] 국정브리핑 2006-05-25
[3] 뉴스 걷기 좋은 ‘서울의 가을’5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9-11-10
[4] 뉴스 한강다리 중간에 조망 명소 생긴다 http://www.newsprime[...] 프라임경제 2008-04-17
[5] 뉴스 (설왕설래) 광진교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9-06-26
[6] 뉴스 광진교, 일부 휘어져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4-09-03
[7] 뉴스 한강 최고령 광진교 원형대로 복원,보수 검토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9-10-19
[8] 뉴스 광진교 복원 4차선 확정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4-08-04
[9] 뉴스 강변북로 연장구간·광진교 개통 http://search.ytn.co[...] YTN 2003-11-04
[10] 뉴스 한강다리 20곳 조명시설 개선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9-02-27
[11] 뉴스 전시회 보고 아찔한 스릴까지 `광진교 걷고싶은다리`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09-09-23
[12] 뉴스 광진교 하부에 UFO형상 이색 전시관 개관 http://www.newsis.co[...] 뉴시스 2009-08-18
[13] 뉴스 드라마 한류를 관광으로‘아이리스 투어’나온다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10-02-27
[14] 뉴스 한강 다리 20곳 "지진에 문제 없다"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