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불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괴불나무는 높이 3~4m까지 자라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어 점차 노란색으로 변한다. 열매는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조경수로 심거나 울타리로 사용되기도 한다. 꽃은 어린이가 꿀을 빨아먹기도 하지만, 열매는 독성이 있다. 이 종은 침입성이 강하여 미국 일부 지역에서 외래종으로 취급되며, 생태계 교란 및 진드기 매개 질환 위험 증가를 일으킬 수 있어 관리 및 방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동속 - 인동덩굴
인동덩굴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상록 또는 반상록 덩굴성 관목으로,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꽃이 피고 한국에서는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인동이라 불리지만, 유럽과 미국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된다. - 인동속 - 댕댕이나무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는 하스카프, 허니베리, 블루 허니서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낙엽 관목으로, 식용 가능한 푸른색 장과를 맺어 잼, 주스, 와인 등으로 가공되며 항산화 물질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도 주목받는다. - 인동아과 - 인동덩굴
인동덩굴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상록 또는 반상록 덩굴성 관목으로,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꽃이 피고 한국에서는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인동이라 불리지만, 유럽과 미국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된다. - 인동아과 - 꿰미풀속
꿰미풀속은 인동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의 속으로, 열매에 세 개의 씨가 있으며 비옥한 숲에서 자라고 흰색 또는 자줏빛 꽃과 흰색, 노란색, 주황색 또는 빨간색 핵과를 맺으며, 일부 종은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산철쭉
산철쭉은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영산홍의 한 형태이며 대한민국 남부와 일본, 미얀마, 중국 등에 분포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괴불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Lonicera maackii (Rupr.) Maxim. 1859 |
이명 | Xylosteon maackii Rupr. |
속 | 인동속 |
과 | 인동과 |
목 | 산토끼꽃목 |
미분류 군 | 국화군 진정쌍떡잎식물군 속씨식물군 |
계 | 식물계 |
한국어 이름 | 괴불나무 |
분포 | |
원산지 | 서아시아 |
2. 식물학적 특징
괴불나무는 다음과 같은 식물학적 특징을 갖는다.
- 형태: 높이 3~4m의 낙엽성 관목으로,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최대 지름은 1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약간의 거친 털이 있다. 잎의 길이는 5cm, 폭은 2cm이다. 꽃은 쌍으로 피며, 길이 2cm의 두 입술 모양을 띠고 흰색에서 노란색 또는 옅은 주황색으로 변한다. 봄 중순부터 초여름까지 핀다. 열매는 밝은 빨간색에서 검은색을 띠는 반투명 장과로, 지름 2mm이며, 수많은 작은 씨앗을 포함한다.
- 생태: 적응력이 뛰어나 광범위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성장이 빠르며 숲의 하층 식생, 방치된 도시 지역, 울타리 근처와 같은 그늘진 서식지를 선호하고 빽빽한 덤불을 형성한다. 꽃은 어린이들이 꿀을 빨아먹기도 하지만, 열매는 약간의 독성이 있어 섭취해서는 안 된다.
2. 1. 형태
높이는 3~4 미터이며, 줄기는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에서 2~3송이씩 줄지어 피는데,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점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부리는 위쪽이 두 갈래로 깊게 갈라져 있다. 열매는 공 모양이며,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어 겨울 철새의 좋은 먹이가 된다.[1]키는 최대 6m까지 자라는 낙엽성 관목으로, 줄기의 최대 지름은 1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는 5cm이고 폭은 2cm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적어도 약간의 거친 털이 있다.

꽃은 쌍으로 피며, 길이는 2cm이고 두 개의 입술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흰색으로 시작하여 나중에 노란색 또는 옅은 주황색으로 변한다. 꽃은 봄 중순부터 초여름까지 핀다. 열매는 밝은 빨간색에서 검은색을 띠는 반투명 장과로, 지름은 2mm이며, 수많은 작은 씨앗을 포함한다.[2]
2. 2. 생태
높이는 3~4 미터이며, 줄기는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에서 2~3송이씩 줄지어 피는데,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점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부리는 위쪽이 두 갈래로 깊게 갈라져 있다. 열매는 공 모양이며,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어 겨울 철새의 좋은 먹이가 된다.[5]산괴불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해 관상 식물로, 울타리 역할을 하는 울타리로 재배된다. 분홍색 꽃을 가진 "Erubescens"와 직립형태의 "Rem Red"를 포함하여 많은 품종이 원예용으로 선택되었다.[5]
이 식물은 적응력이 뛰어나 광범위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성장이 빠르며 숲의 하층 식생, 방치된 도시 지역, 울타리 근처와 같은 그늘진 서식지를 선호한다. 매우 빽빽한 덤불을 형성할 수 있다.[5][6][7]
꽃은 때때로 어린이들이 즐겨 먹는데, 꽃을 따서 밑부분을 떼어내 중심부의 달콤한 꿀을 빨아먹는다. 반면에 열매는 인간에게 약간의 독성을 띄므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
새와 포유류는 씨앗을 먹고 흩뜨린다. 생물학적 전달 매개체에는 북아메리카울새(''Turdus migratorius''), 은둔자울새(''Catharus guttatus''), 유럽직박구리(''Sturnus vulgaris''), 흰꼬리사슴(''Odocoileus virginianus'') 등이 있다.[11]

미국 동부의 활엽수림 하층에서 빽빽한 덤불을 형성하며, 덤불의 그늘은 토착 관목, 어린 나무, 야생화의 성장을 방해한다.[12][6][13][14][15] 이러한 통제되지 않은 성장은 거의 단일 경작의 수수 덤불로 이어진다.[6][13][14][15] 이 종은 침입한 생태계의 다양성을 심각하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숲의 재생마저 위협하는데,[12][6][13][14][15] 이는 토착 묘목의 성장과 다양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17]
흰꼬리사슴과 ''L. maackii''의 관계는 복잡하며, 사슴은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리고 잎을 뜯어먹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L. maackii''의 존재는 사슴이 하층 식생을 뜯어먹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는 토착 하층 식생이 존재할 경우 바람직하지만, 다른 침입종이 하층 식생을 지배할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20]
2. 3. 생육 환경
산괴불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해 관상 식물로, 울타리 역할을 하는 울타리로 재배된다. 분홍색 꽃을 가진 "Erubescens"와 직립 형태의 "Rem Red"를 포함하여 많은 품종이 원예용으로 선택되었다.[5]이 식물은 적응력이 뛰어나 광범위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미국에서는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울타리를 만들기 위해 심었다. 새들이 씨앗을 종자 산포하여 쉽게 자체적으로 번식하며, 군락 연결이 없는 서식지로 빠르게 확산된다.[12][6][13][14][15]
성장이 빠르며 숲의 하층 식생, 방치된 도시 지역, 울타리 근처와 같은 그늘진 서식지를 선호한다. 매우 빽빽한 덤불을 형성할 수 있다.[5][6][7]
3. 분포 및 서식지
괴불나무(Amur honeysuckle)는 시베리아와 만주의 경계를 이루는 아무르강 주변이 원산지이며, 종명 "''maackii''"는 19세기 러시아의 자연학자 리하르트 마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5]
새와 포유류는 괴불나무의 씨앗을 먹고 흩뜨리는데, 북아메리카울새, 은둔자울새, 유럽직박구리, 흰꼬리사슴 등이 이러한 역할을 한다.[11]
괴불나무는 침략성이 강하여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취급되어 번식이 불법이거나 통제되고 있다.[12][6][13][14][15] 코네티컷 주에서는 "침략적, 금지됨"으로, 매사추세츠 주에서는 "금지됨"으로, 테네시 주, 오하이오 주, 위스콘신 주에서는 침략종으로, 버몬트 주에서는 "B급 유해 잡초"로 지정되어 있다.[16] 원산지가 아닌 지역에서는 괴불나무를 제거하고 비침략적인 식물로 대체하는 것이 권고된다.[15]
3. 1. 원산지
종명 "''maackii''"는 19세기 러시아의 자연학자 리하르트 마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5] 일반명인 "Amur honeysuckle"(아무르 인동)은 시베리아와 만주의 경계를 이루는 아무르강 주변이 원산지인 것에서 유래되었다.일부 인터넷 자료에는 종의 권위가 "(Rupr.) Herder"로 표기되어 있지만, 정확한 권위는 "(Rupr.) Maxim"이다.[2]
3. 2. 전 세계 분포 현황
새와 포유류는 씨앗을 먹고 흩뜨린다. 생물학적 전달 매개체에는 북아메리카울새, 은둔자울새, 유럽직박구리, 흰꼬리사슴 등이 있다.[11]이 식물은 침략성이 잘 알려져 있어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취급되어 번식이 불법이거나 통제되고 있다.[12][6][13][14][15] 코네티컷주에서는 "침략적, 금지됨"으로, 매사추세츠주에서는 "금지됨"으로, 테네시주에서는 침략종으로, 오하이오주에서는 침략종으로, 버몬트주에서는 "B급 유해 잡초"로, 위스콘신주에서는 침략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6]
원산지 밖인 동아시아에서 자라는 식물은 제거하고 비침략적인 대안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15]
3. 3. 주요 서식지
새와 포유류는 괴불나무의 씨앗을 먹고 흩뜨린다. 생물학적 전달 매개체에는 북아메리카울새(`Turdus migratorius`), 은둔자울새(`Catharus guttatus`), 유럽직박구리(`Sturnus vulgaris`), 흰꼬리사슴(`Odocoileus virginianus`) 등이 있다.[11]괴불나무는 침략성이 강하여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취급되어 번식이 불법이거나 통제되고 있다.[12][6][13][14][15] 코네티컷 주에서는 "침략적, 금지됨"으로, 매사추세츠 주에서는 "금지됨"으로, 테네시 주, 오하이오 주, 위스콘신 주에서는 침략종으로, 버몬트 주에서는 "B급 유해 잡초"로 지정되어 있다.[16]
괴불나무의 원산지가 아닌 동아시아에서 자라는 괴불나무는 제거하고 비침략적인 대안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15]
4. 용도
꽃은 때때로 어린이들이 즐겨 먹는데, 꽃을 따서 밑부분을 떼어내 중심부의 달콤한 꿀을 빨아먹는다. 반면에 열매는 인간에게 약간의 독성을 띄므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5]
4. 1. 조경
꽃이 매우 향기롭고 아름다우며 열매의 빛깔과 모양이 좋아 조경수로 심는다.[5] 산괴불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해 관상 식물로, 울타리 역할을 하는 울타리로 재배된다. 분홍색 꽃을 가진 "Erubescens"와 직립 형태의 "Rem Red"를 포함하여 많은 품종이 원예용으로 선택되었다.[5]이 식물은 적응력이 뛰어나 광범위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미국에서는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울타리를 만들기 위해 심었다. 새들이 씨앗을 종자 산포하여 쉽게 자체적으로 번식하며, 군락 연결이 없는 서식지로 빠르게 확산된다.[12][6][13][14][15]
5. 침입종 문제
괴불나무(''Lonicera maackii'')는 침입성이 강해 북미 동부와 유사한 기후에서는 재배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13]
괴불나무는 빠른 성장 속도와 그늘에 강한 특성 때문에 미국 동부에서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토착 관목을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15]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는 "Bush Honeysuckles의 저주!"라는 소책자에서 더 많은 토착 관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8]
괴불나무는 뿌리까지 잘라내거나 불태우는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뿌리의 영양분이 고갈될 때까지 2주 간격으로 반복하며, 제거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잘린 그루터기에 제초제를 살포할 수 있다. 늦여름과 초가을의 종자 확산 단계에서 계획된 화재를 통한 관리가 가장 효과적이다.[12] 글리포세이트를 매년 살포하거나 얕게 뿌리내린 어린 식물을 제거하여 관리할 수도 있지만, 노동 비용이 증가하고 토양이 교란될 수 있다.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뿌리째 뽑는 것은 작은 개체에게는 효과적이지만, 큰 개체에게는 어렵거나 비실용적이다.[24]
괴불나무는 북미에서 잎을 갉아먹는 나방인 ''Phyllonorycter emberizaepenella''의 숙주 식물이다.[25] 원산지에서는 ''Limenitis camilla'', ''Limenitis helmanni'', ''Limenitis amphyssa'' 나비의 숙주 식물이기도 하다.[26]
5. 1. 침입종 지정 현황
새와 포유류는 씨앗을 먹고 흩뜨린다. 생물학적 전달 매개체에는 북아메리카울새, 은둔자울새 및 유럽직박구리, 흰꼬리사슴이 포함된다.[11] 이 식물은 침략성이 잘 알려져 있어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취급되어 번식이 불법이거나 통제되고 있다.[12][6][13][14][15]주 | 지정 현황 |
---|---|
코네티컷 주 | 침략적, 금지됨[16] |
매사추세츠 주 | 금지됨[16] |
테네시 주 | 침략종[16] |
오하이오 주 | 침략종[16] |
버몬트 주 | B급 유해 잡초[16] |
위스콘신 주 | 침략종[16] |
원산지 밖인 동아시아에서 자라는 식물은 제거하고 비침략적인 대안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15]
5. 2. 생태계 교란
괴불나무 씨앗은 새와 포유류에 의해 퍼진다. 여기에는 북아메리카울새, 은둔자울새, 유럽직박구리, 흰꼬리사슴 등이 해당된다.[11]괴불나무는 침략성이 강해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취급되며, 번식이 불법이거나 통제된다.[12][6][13][14][15] 미국 여러 주에서 괴불나무를 규제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주 | 규제 내용 |
---|---|
코네티컷 주 | 침략적, 금지됨 |
매사추세츠 주 | 금지됨 |
테네시 주 | 침략종 |
오하이오 주 | 침략종 |
버몬트 주 | B급 유해 잡초 |
위스콘신 주 | 침략종 |
[16]
원산지가 아닌 동아시아에서 자라는 괴불나무는 제거하고 비침략적인 식물로 대체해야 한다는 제안도 있다.[15]
괴불나무는 미국 동부 활엽수림 하층에서 빽빽한 덤불을 형성하여 토착 관목, 어린 나무, 야생화의 성장을 방해한다.[12][6][13][14][15] 통제되지 않은 성장은 단일 경작 형태의 덤불로 이어지기도 한다.[6][13][14][15] 이는 생태계 다양성을 위협하고 숲의 재생을 방해하며,[12][6][13][14][15] 토착 묘목의 성장과 다양성을 감소시킨다.[17] 조류[18]와 올챙이[19]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종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영향이 혼재한다는 연구도 있다.[20] 무척추동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역시 분류군에 따라 다를 수 있다.[21]
괴불나무 관목을 제거하더라도 상당한 복원 노력이 없으면 서식지가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22]
흰꼬리사슴과 괴불나무의 관계는 복잡하다. 사슴은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리며 잎을 섭취한다. 괴불나무는 사슴의 하층 식생 섭취를 막을 수 있는데, 이는 토착 식생에는 긍정적이나 다른 침입종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20] 2010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인근 연구에 따르면 괴불나무는 사슴을 유인하여 감염된 진드기를 늘림으로써 에를리히증, 라임병 등 진드기 매개 질환 위험을 높인다. 괴불나무 제거 실험 결과, 진드기의 흡혈 대상이 사슴에서 다른 동물로 옮겨가 사슴 활동과 감염된 진드기 수가 감소했다.[23]
5. 3. 흰꼬리사슴과의 관계 및 질병 확산
북아메리카울새, 은둔자울새, 유럽직박구리와 같은 새와 흰꼬리사슴은 괴불나무의 씨앗을 먹고 흩뜨리는 역할을 한다.[11]흰꼬리사슴과 괴불나무의 관계는 복잡하다. 2010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인근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괴불나무는 에를리히증과 라임병 같은 진드기 매개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사슴을 끌어들여 감염된 진드기의 존재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23]
5. 3. 1. 흰꼬리사슴과의 상호작용
북아메리카울새(''Turdus migratorius''), 은둔자울새(''Catharus guttatus'') 및 유럽직박구리(''Sturnus vulgaris'')와 같은 새와 흰꼬리사슴(''Odocoileus virginianus'')은 괴불나무의 씨앗을 먹고 흩뜨리는 역할을 한다.[11]흰꼬리사슴과 괴불나무의 관계는 복잡한데, 사슴은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리며 잎을 뜯어먹는다. 괴불나무가 있으면 사슴이 하층 식생을 뜯어먹는 것을 막을 수 있는데, 이는 토착 하층 식생이 존재할 경우 바람직하지만, 다른 침입종이 하층 식생을 지배할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20] 2010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인근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괴불나무는 에를리히증과 라임병 같은 진드기 매개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사슴을 끌어들여 감염된 진드기의 존재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식물을 실험적으로 제거한 결과 진드기의 혈액 섭취를 사슴에서 옮김으로써 사슴의 활동과 감염된 진드기의 수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3]
5. 3. 2. 진드기 매개 질환 확산
흰꼬리사슴과 괴불나무(''L. maackii'')의 관계는 복잡하다. 사슴은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리며 잎을 뜯어먹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20] 괴불나무의 존재는 사슴이 하층 식생을 뜯어먹는 것을 막을 수 있는데, 이는 토착 하층 식생이 존재할 경우 바람직하지만, 다른 침입종이 하층 식생을 지배할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20] 2010년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인근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괴불나무는 진드기 매개 질환, 예를 들어 에를리히증과 라임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는 사슴을 끌어들여 감염된 진드기의 존재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23] 또한, 이 식물을 실험적으로 제거한 결과 진드기의 혈액 섭취를 사슴에서 옮김으로써 사슴의 활동과 감염된 진드기의 수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3]6. 관리 및 방제
괴불나무는 뿌리째 뽑거나 불로 태워 관리하며, 뿌리의 영양분이 고갈될 때까지 2주 간격으로 반복한다. 잘린 그루터기에 제초제를 살포하여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늦여름과 초가을의 종자 확산 시기에 맞춰 계획된 화재를 이용하면 효과적이다.[12]
글리포세이트를 매년 잎에 뿌리거나, 얕게 뿌리내린 어린 식물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지만, 노동 비용이 많이 들고 토양을 교란시킬 수 있다. 손이나 도구로 뿌리째 뽑는 것은 작은 개체에는 효과적이지만, 큰 개체에는 어렵다.[24]
이 종은 북미에서 잎을 갉아먹는 나방인 ''Phyllonorycter emberizaepenella''의 숙주 식물이다.[25] 원산지에서는 ''Lonicera maackii''가 ''Limenitis camilla'', ''Limenitis helmanni'', ''Limenitis amphyssa'' 나비의 숙주 식물이다.[26]
6. 1. 물리적 방제
괴불나무는 식물을 뿌리까지 잘라내거나 불로 태우는 방식으로 관리하며, 뿌리의 영양 저장량이 고갈되어 새로운 성장을 할 수 없을 때까지 2주 간격으로 반복한다. 제거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잘린 그루터기에 제초제를 살포할 수 있다. 계획된 화재를 통한 관리는 늦여름과 초가을의 종자 확산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2]또한 잎을 완전히 적시는 글리포세이트를 매년 살포하거나, 얕게 뿌리내린 어린 식물을 제거하여 관리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은 노동 비용을 증가시키고 토양을 교란시킨다.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뿌리째 뽑는 것은 작은 개체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더 큰 개체에게는 어렵거나 비실용적이 된다.[24]
6. 2. 화학적 방제
괴불나무는 뿌리까지 잘라내거나 불로 태우는 방식으로 관리하며, 뿌리의 영양 저장량이 고갈되어 새로운 성장을 할 수 없을 때까지 2주 간격으로 반복한다. 제거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잘린 그루터기에 제초제를 살포할 수 있다. 계획된 화재를 통한 관리는 늦여름과 초가을의 종자 확산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2]또한 잎을 완전히 적시는 글리포세이트를 매년 살포하거나, 얕게 뿌리내린 어린 식물을 제거하여 관리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은 노동 비용을 증가시키고 토양을 교란시킨다.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뿌리째 뽑는 것은 작은 개체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더 큰 개체에게는 어렵거나 비실용적이다.[24]
6. 3. 생물학적 방제
괴불나무는 뿌리까지 잘라내거나 불로 태우는 방식으로 관리하며, 뿌리의 영양 저장량이 고갈되어 새로운 성장을 할 수 없을 때까지 2주 간격으로 반복한다. 제거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잘린 그루터기에 제초제를 살포할 수 있다. 계획된 화재를 통한 관리는 늦여름과 초가을의 종자 확산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2]또한 잎을 완전히 적시는 글리포세이트를 매년 살포하거나, 얕게 뿌리내린 어린 식물을 제거하여 관리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은 노동 비용을 증가시키고 토양을 교란시킨다.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뿌리째 뽑는 것은 작은 개체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더 큰 개체에게는 어렵거나 비실용적이 된다.[24]
이 종은 북미에서 잎을 갉아먹는 나방인 ''Phyllonorycter emberizaepenella''의 숙주인 것으로 밝혀졌다.[25] 원산지에서는 ''Lonicera maackii''가 ''Limenitis camilla'', ''Limenitis helmanni'', ''Limenitis amphyssa'' 나비의 숙주 식물이다.[26]
6. 4. 통합적 관리
괴불나무는 뿌리까지 잘라내거나 불로 태우는 방식으로 관리하며, 뿌리의 영양 저장량이 고갈되어 새로운 성장을 할 수 없을 때까지 2주 간격으로 반복한다. 잘린 그루터기에 제초제를 살포하면 제거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계획된 화재를 통한 관리는 늦여름과 초가을의 종자 확산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2]잎을 완전히 적시는 글리포세이트를 매년 살포하거나, 얕게 뿌리내린 어린 식물을 제거하여 관리할 수도 있지만, 이 두 가지 방법은 노동 비용을 증가시키고 토양을 교란시킨다.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뿌리째 뽑는 것은 작은 개체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더 큰 개체에는 어렵거나 비실용적이다.[24]
이 종은 북미에서 잎을 갉아먹는 나방인 ''Phyllonorycter emberizaepenella''의 숙주인 것으로 밝혀졌다.[25] 원산지에서는 ''Lonicera maackii''가 ''Limenitis camilla'', ''Limenitis helmanni'', ''Limenitis amphyssa'' 나비의 숙주 식물이다.[26]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014-12-07
[2]
GRIN
2018-01-02
[3]
웹사이트
Red List of Threatened Plants of Japan
http://www.biodic.go[...]
Government of Japan
[4]
서적
Red Data Book (Japan)
http://www.rdbplants[...]
[5]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6]
웹사이트
Lonicera maackii in Missouri
http://www.missourip[...]
[7]
웹사이트
Lonicera species
http://www.invasive.[...]
[8]
웹사이트
Curse of the Bush Honeysuckles!
https://mdc.mo.gov/s[...]
Missouri Department of Conservation
[9]
학술지
Contrasting Effects of Allelochemicals from Two Invasive Plants on the Performance of a Nonmycorrhizal Plant
https://www.journals[...]
2008-03-01
[10]
학술지
Evidence of current impact of climate change on life: a walk from genes to the biosphere
Wiley
2013-03-25
[11]
보고서
Lonicera maackii (Amur honeysuckle)
2022-01-07
[12]
웹사이트
Amur honeysuckle
http://www.na.fs.fe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13]
웹사이트
Annotated bibliography of primary research on invasive qualities of L. maackii in the U.S.A.
http://sain.utk.edu/[...]
University of Tennessee
[14]
웹사이트
L. maackii
http://www.hort.ucon[...]
University of Connecticut
[15]
웹사이트
L. maackii
http://hcs.osu.edu/p[...]
Ohio State University
[16]
웹사이트
L. maackii
http://plants.usda.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17]
학술지
Competitive effects of the invasive shrub, Lonicera maackii (Rupr.) Herder (Caprifoliaceae),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native tree seedlings
2003-05-01
[18]
학술지
Effects of Exotic Lonicera and Rhamnus on Songbird Nest Predation
1999-12-01
[19]
학술지
Extracts of the invasive shrub Lonicera maackii increase mortality and alter behavior of amphibian larvae
2011-01-01
[20]
학술지
A review on the invasion ecology of Amur honeysuckle (Lonicera maackii, Caprifoliaceae) a case study of ecological impacts at multiple scales
[21]
학술지
Impact of the invasive shrub Amur honeysuckle (Lonicera maackii) on shrub-layer insects in a deciduous forest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https://link.springe[...]
[22]
학술지
Does removal of invasives restore ecological networks? An experimental approach
https://www.research[...]
[23]
학술지
Invasive honeysuckle eradication reduces tick-borne disease risk by altering host dynamics
2010-10-26
[24]
웹사이트
Shrub Honeysuckles
https://extension.ps[...]
2023-03-29
[25]
학술지
Native birds exploit leaf-mining moth larvae using a new North American host, non-native Lonicera maackii
https://www.tandfonl[...]
2017
[26]
웹사이트
HOSTS - a Database of the World's Lepidopteran Hostplants - HOSTS - Data Portal
https://data.nhm.ac.[...]
2024-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