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둣주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둣주걱은 신발을 신을 때 뒤꿈치를 밀어 넣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늦은 중세 시대 또는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1593년에서 1613년 사이에 제작된 로버트 마인덤의 구둣주걱이 알려져 있다. 구둣주걱은 신발의 형태나 소재에 따라 사용 여부가 달라지며, 가죽 구두와 같이 신축성이 부족한 신발에 유용하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현관에서 신발을 벗는 문화로 인해 구둣주걱이 흔히 사용된다. "구둣주걱질"은 비좁은 공간에 억지로 끼워 넣는 행위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두 - 펌프스
펌프스는 끈이나 고리 없이 발등이 깊게 파인 남녀 공용 신발로, 굽 높이와 디자인이 다양하여 정장과 캐주얼에 모두 어울리며, 1500년대 남성 슬립온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 구두 - 구두닦이
구두닦이는 구두를 닦아 광을 내는 직업 또는 행위로,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며, 단순 관리부터 전문적인 기술과 서비스로 발전하여 세계 구두닦이 선수권 대회도 개최된다. - 생활용품 - 향로
향로는 향을 피우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화권에서 종교적, 의례적, 실용적 목적으로 사용되며, 형태와 재료가 다양하고 종교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생활용품 - 깡통
깡통은 피터 듀란드가 특허를 받은 금속 용기로, 초기에는 납 중독 위험이 있었으나 강철 사용과 위생적인 디자인 발전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내용물을 담는 데 널리 사용되지만, 유해 물질 및 폐기물 관련 사회적 문제도 안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구둣주걱 | |
---|---|
기본 정보 | |
명칭 | 구둣주걱 |
다른 이름 | 구두칼 구두へら (일본어) |
![]() | |
용도 | 신발을 신을 때 뒤꿈치를 보호하고 신발을 쉽게 신도록 돕는 도구 |
재료 | 뿔 나무 금속 플라스틱 |
역사 | |
기원 | 15세기 (유럽) |
사용 계층 | 귀족 (초기), 일반인 (현재) |
발명 목적 | 섬세한 신발 보호, 옷 매무새 유지 |
문화 | |
일본 | 결혼 선물 (행복을 담는 의미) |
서양 | 행운의 상징 |
크기 | 휴대용부터 긴 것까지 다양 |
재질 | 금속, 나무, 플라스틱 등 다양 |
장식 | 그림, 조각 등으로 장식되기도 함 |
2. 역사
구둣주걱은 늦은 중세 시대 또는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2] 16세기 영국에서는 구둣주걱과 관련된 다양한 기록이 확인된다.
2. 1. 16세기 영국
영어로는 15세기에 "schoying horne"이 언급되었지만, 프랑스어 단어 'chausse-pied'는 16세기 후반에 처음 발견되었다.[2] 엘리자베스 1세는 1563년에서 1566년 사이에 자신의 구두 제작자 가렛 존슨으로부터 18개의 구둣주걱을 구입했으며, 1567년에는 대장장이 길버트 폴슨과 리처드 제프리로부터 강철로 된 구둣주걱 4개를 더 주문했고, 이후 1586년까지 더 필요로 하지 않았다. 아마도 이 구둣주걱들은 그녀의 개인 요리사 노아 홀러데이를 크리스마스 선물로 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했을 것이다.[3]20개 이상의 알려진 영국의 구둣주걱 그룹은 모두 서명과 날짜가 적혀 있으며,[4] 1593년에서 1613년 사이에 제작되었고,[5] 로버트 마인덤이 만들었다. 모든 구둣주걱에는 소유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여기에는 1612년 "JANE HIS WIFE"를 포함한 남성과 여성이 모두 포함된다.[6] 한 구둣주걱의 비문은 다음과 같다. "THIS IS AMBRES BVCKELLS SHOING HORNE MADE BY ROBART MINDVM ANNO DOMINI 1598"(이것은 1598년 로버트 마인덤이 만든 앰브레스 버클의 구둣주걱이다). 또한 모든 구둣주걱에는 문장 메달, 기하학적 디자인 및 꽃을 포함하여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 조각 장식이 있으며, 이는 후기 스크림쇼의 특징이다. 그들의 모양은 현대의 예와 매우 유사하며, 가장 긴 것은 길이가 약 27.94cm이고, 5개는 좁은 끝 부분이 고리처럼 뒤로 젖혀져 있다. 여러 개에는 구두에서 꺼내거나 걸어 놓는 데 사용되는 끈이나 가죽 끈을 위한 구멍이 뚫려 있다. 한 소유자("햄릿 레이스데일", 1593년)는 목통장이며, 다른 소유자는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조안 에반스는 비문의 성격을 고려할 때, 로버트 마인덤이 취미로 구둣주걱을 만들어 친구들에게 주었다고 추측했다. 그가 비슷한 방식으로 비문을 새기고 장식한 분말 호른도 남아 있다.[7] 대영 박물관에는 다른 제작자가 만든 유사한 비문과 장식이 있는 호른도 있다.[8][9]
2. 2. 근대 이후
구둣주걱은 늦은 중세 시대 또는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이며, 영어로는 15세기에 "schoying horne"이 언급되었지만, 프랑스어 단어 ''chausse-pied''는 16세기 후반에 처음 발견되었다.[2] 엘리자베스 1세는 1563년에서 1566년 사이에 자신의 구두 제작자 가렛 존슨으로부터 18개의 구둣주걱을 구입했으며, 1567년에는 대장장이 길버트 폴슨과 리처드 제프리로부터 강철로 된 구둣주걱 4개를 더 주문했고, 이후 1586년까지 더 필요하지 않았다. 아마도 이 구둣주걱들은 그녀의 개인 요리사 노아 홀러데이를 크리스마스 선물로 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했을 것이다.[3]20개 이상의 알려진 영국의 구둣주걱 그룹은 모두 서명과 날짜가 적혀 있으며,[4] 1593년에서 1613년 사이에 제작되었고,[5] 로버트 마인덤이 만들었다. 모든 구둣주걱에는 소유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여기에는 1612년 "JANE HIS WIFE"를 포함한 남성과 여성이 모두 포함된다.[6] 한 구둣주걱의 비문은 다음과 같다: "THIS IS AMBRES BVCKELLS SHOING HORNE MADE BY ROBART MINDVM ANNO DOMINI 1598"(이것은 1598년 로버트 마인덤이 만든 앰브레스 버클의 구둣주걱이다). 또한 모든 구둣주걱에는 문장 메달, 기하학적 디자인 및 꽃을 포함하여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 조각 장식이 있으며, 이는 후기 스크림쇼의 특징이다. 그들의 모양은 현대의 예와 매우 유사하며, 가장 긴 것은 길이가 약 27.94cm이고, 5개는 좁은 끝 부분이 고리처럼 뒤로 젖혀져 있다. 여러 개에는 구두에서 꺼내거나 걸어 놓는 데 사용되는 끈이나 가죽 끈을 위한 구멍이 뚫려 있다. 한 소유자("햄릿 레이스데일", 1593년)는 목통장이며, 다른 소유자는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조안 에반스는 비문의 성격을 고려할 때, 로버트 마인덤이 취미로 구둣주걱을 만들어 친구들에게 주었다고 추측했다. 그가 비슷한 방식으로 비문을 새기고 장식한 분말 호른도 남아 있다.[7] 대영 박물관에는 다른 제작자가 만든 유사한 비문과 장식이 있는 호른도 있다.[8][9]
3. 종류와 특징
구둣주걱은 기본적으로 뒤꿈치를 밀어 넣어야 하는 형태의 신발을 신을 때 사용하며, 모든 신발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굳이 구둣주걱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사용 여부는 신발의 형태나 소재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3. 1. 구둣주걱이 자주 사용되는 신발
가죽 구두 - 신발의 신축성이 부족하므로 구둣주걱이 있으면 편리하다.4. 한국에서의 구둣주걱
한국에서는 구둣주걱의 사용 방식이나 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주어지지 않았다. 다만, 일본의 경우 현관에서 신발을 벗는 문화가 한국에도 있으므로, 현관에 구둣주걱을 비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서양식 신발이 보편화되면서 구둣주걱의 사용이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5. 비유적 표현
"구둣주걱질"은 비유적으로 어떤 것이 쉽게 맞지 않는 곳에 억지로 맞추는 상황을 나타낸다. 여기서 파생된 '혼킹(honking)'이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거나 환영받지 못하는 장소나 상황에 자신을 끼워 넣는 것을 의미한다.
5. 1. 억지 끼워 맞추기
"구둣주걱질"은 주로 미국 영어에서, 문자 그대로든 비유적으로든 충분한 공간이 없는 상황으로 개인을 억지로 밀어 넣거나 압력을 가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대화 맥락에서 구둣주걱질은 어떤 사람이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충분히 표현하지 못할 수 있는 제한된 수의 입장 중 하나를 강요하는 것을 의미한다 ( "찬성 또는 반대" 시나리오). 좀 더 문자적인 의미에서 구둣주걱질은 극장이나 버스와 같이 과도하게 붐비는 공간에 여러 사람을 밀어 넣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안내원이 붐비는 극장 뒤편으로 우리를 밀어 넣었다").구둣주걱질은 또한 인구 통계를 만족시키거나 정치적 올바름을 위한 이유 (예: 텔레비전 쇼나 영화의 상징적 인물)로 인해 부자연스러워 보이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둣주걱질은 매력이나 광고 가치 외에는 그곳에 있을 이유가 거의 없는 등장인물을 줄거리에 포함시키거나 강요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것이 쉽게 맞지 않는 곳에 맞추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단축된 표현인 ''혼킹'' (예: ''혼킹 around town'')은 이 용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쉽게 맞지 않거나 환영받지 못하는 장소나 상황에 자신을 끼워 넣는 것을 의미한다.
6. 기타
네덜란드의 마르티엔 투이토프는 구둣주걱을 가장 많이 모은 사람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올랐다.[10]
6. 1. 컬렉션
현재 네덜란드 출신의 마르티엔 투이토프가 구둣주걱의 가장 큰 컬렉션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0]참조
[1]
문서
Evans
[2]
문서
Costume historian
[3]
웹사이트
Victoria and Albert Museum
https://collections.[...]
[4]
문서
Catalogue
[5]
웹사이트
A catalogue of shoehorns made by Robert Mindum, 1593-1613 | Wayne Robinson - Academia.edu
https://www.academia[...]
2016-02-07
[6]
문서
Catalogue
1612
[7]
문서
Evans
[8]
웹사이트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9]
웹사이트
Robinson
https://leatherworki[...]
[10]
웹사이트
Largest collection of shoe horns
https://www.guinn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