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랑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랑리역은 구랑리 지명 유래에서 비롯된 역으로, 과거에는 배치간이역으로 시작하여 을종승차권 대매소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후 1995년 영업이 중지되었다. 2004년 가은선 폐선과 함께 폐지되었으나, 2013년 레일바이크 역으로 재개업하여 구랑리역-먹뱅이 방면 코스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은선 - 진남역
    진남역은 1968년 11월 5일에 준공되어 신호소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문경선과 가은선이 지나갔으나 1995년 일반 영업이 중지되고 2004년 가은선이 폐지되었다.
  • 가은선 - 가은역
    가은역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했던 가은선의 철도역으로, 은성역으로 개업 후 가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가은선 폐선과 함께 폐지되었고, 이후 가은역사(舊 가은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2004년 폐지된 철도역 - 가은역
    가은역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했던 가은선의 철도역으로, 은성역으로 개업 후 가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가은선 폐선과 함께 폐지되었고, 이후 가은역사(舊 가은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2004년 폐지된 철도역 - 오류역
    오류역은 1931년 영업을 시작해 보통역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2004년 폐역된 전라선 상의 대한민국 철도역이다.
  • 문경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문경시의 교통 - 점촌역
    점촌역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경북선의 철도역으로 1924년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이며,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옹기 및 기와 장인들의 역사에서 유래한 역명과 철도문화 체험 테마역으로 조성된 이력이 있다.
구랑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舎
역舎
모국어 표기구랑리
읽기쿠랑니
로마자 표기Gurang-ri
역 종류폐역
역 구조지상역
개업 연월일 (구역)1956년 5월 15일
개업 연월일 (신역)2013년 9월 10일
폐지 연월일 (구역)2004년 3월 31일
소속 사업자한국철도공사
소속 노선가은선
기점으로부터의 거리3.7km
기점역진남
인접역 (진남 방면)진남
인접역 (가은 방면)가은
진남역과의 거리3.7km
가은역과의 거리5.9km
위치 정보
소재지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하내리

2. 역명 유래

역명은 구랑리라는 지명 유래에서 비롯되었다.

조선 초기에 홀어머니와 함께 가난하게 살던 효자가 이 마을에 살고 있었다. 하루는 효자가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바위에서 쉬던 중 잠이 들었는데,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선친의 산소를 산 너머 첫 번째 언덕으로 옮기고 10년 동안 벙어리 행세를 하면 자손들이 3정승 6판서에 오를 것이라고 하였다. 효자는 이 꿈 이야기를 어머니에게 하고 이장을 상의했지만, 어머니는 거절하였다. 그러나 효자는 어머니 몰래 이장하고 벙어리 행세를 하였고, 이웃 사람들은 그를 비난하였다. 이로 인해 그의 어머니는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 후 10년이 되는 마지막 날, 동네 처녀 9명이 벙어리 총각을 뒷산 잣나무에 매달고 때리며 놀리던 중 갑자기 "이놈들" 하고 소리치자, 아홉 처녀들은 놀라 엎드려 용서를 빌며 애원하였다. 그래서 효자는 아홉 처녀 모두를 아내로 맞아들였고, 1년 후 모두 귀한 아들을 낳았다. 아들들의 이름은 출산 순서대로 일랑(一郞)부터 구랑(九郞)까지 지었다. 그리하여 이 마을을 구랑리(九郞里)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3. 역사


  • 1956년 5월 15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1]
  • 1967년 9월 1일: 을종승차권 대매소로 지정되었다.[2]
  • 1969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 1995년 4월 1일: 영업이 중지되었다.[3]
  • 2004년 3월 31일: 가은선 폐선으로 폐지되었다.[4]
  • 2013년 9월 10일: 진남역 방향으로 약 300m 이동한 자리에서 레일바이크 역으로 재개업, 구랑리역-먹뱅이 방면 코스가 개통되었다.[4]

3. 1. 철도역 (1956-2004)

3. 2. 레일바이크 역 (2013-현재)

2013년 9월 10일 진남역 방향으로 약 300m 이동한 위치에서 레일바이크 역으로 다시 문을 열었으며, 구랑리역-먹뱅이 구간이 개통되었다.[4]

4. 과거 역 인근

구랑리역은 가은선의 역이었기 때문에 과거 역 인근에는 진남역가은역이 있었다.

참조

[1]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 제471호 1956-07-07
[2]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51호 1967-08-29
[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5-10호 http://theme.archive[...] 1995-03-24
[4] 뉴스 문경, 철로자전거 구랑리역 코스 오늘 개장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13-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