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3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3호선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삼천포 ~ 초산선으로 지정된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을 거쳤으며, 1996년에는 기점이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남해군, 사천시, 진주시, 김천시, 상주시, 문경시, 충주시, 이천시, 광주시, 성남시, 서울특별시,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철원군 등이 있으며, 고속도로 및 국도와 여러 차례 교차한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존재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도 국도 제3호선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자강도의 교통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호선은 대한민국 남해안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그리고 북한을 잇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여러 차례 개통 및 변경을 거쳐 통영시, 거제시, 창원시, 대구광역시, 안동시, 원주시, 춘천시 등을 경유한다.
  • 황해북도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국도 제3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노선 정보
노선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3
노선 이름국도 제3호선
다른 이름남해초산선
총 연장1,096 km
대한민국 구간 실 연장540.88 km
제정일1971년 8월 31일
방향남북
기점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기점 방향
종점평안북도 초산군 초산면
종점 방향
주요 경유지
경상남도남해군
사천시
진주시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경상북도김천시
상주시
문경시
충청북도괴산군
충주시
음성군
경기도여주시
이천시
광주시
성남시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
북한 지역 (강원도)철원군
평강군
이천군
북한 지역 (황해도)신계군
곡산군
북한 지역 (평안남도)양덕군
맹산군
영원군
북한 지역 (평안북도)희천군
초산군
주요 교차 도로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7호선
국가지원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서울특별시도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6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7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서울특별시도 제9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
기타
비고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 실질적인 종점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백마고지이다.

2. 역사


  • 1975년 2월 27일 : 사천군 사천읍 구암리 ~ 십수교 490m 구간 폐지[14]
  • 1975년 11월 22일 :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 ~ 금릉군 대덕면 문외리 구간 개통[15]
  • 1979년 5월 21일 : 이천군 장호원읍 도계 ~ 여주군 가남면 태평리 ~ 이천군 이천읍 ~ 광주군 실촌면 곤지암리 ~ 광주군 광주면 ~ 성남시 갈현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가락동 ~ 잠실교 ~ 구의동 79.5 km 구간 개통[16]
  • 1981년 8월 5일 : 국도로 승격된 남해군 삼동면 ~ 삼천포시 경계 31.3 km 구간 개통[18]
  • 1981년 8월 12일 : 대통령령 제103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31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19]
  •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중원군 상모면 온천리 구간 폐지[20]
  • 1992년 1월 17일 :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 446m 구간 개통, 기존 160m 구간 폐지[21]
  • 1995년 2월 11일 : 여주군 가남면 태평리 ~ 건장리 1.53 km 구간 개통[22]
  • 1996년 7월 1일 : 서울특별시 구간 노선 변경[23]

1996년 7월 1일 노선 변경 내역
개정 이전개정 이후
서울특별시 강동구 가락동, 잠실대교, 성동구 구의동, 성동교, 왕십리, 동대문구 제기동, 성북구 하월곡동, 도봉구 미아동 · 도봉동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대교, 광진구, 중랑구, 노원구, 도봉구


  • 1996년 11월 11일 : 감곡사거리 ~ 장호원고가차도 ~ 샘재고개삼거리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 ~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 구간 개통[24]
  • 1997년 8월 30일 : 동두천 ~ 전곡간 도로(동두천시 하봉암동 ~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8.0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06 km 구간 폐지[25]
  • 1998년 1월 12일 : 충주시 상모면 안보리 ~ 풍동 17.5 km 구간 개통, 기존 18.9 km 구간 폐지[26]
  • 1998년 12월 31일 : 진주 ~ 단성간 도로(진주시 유곡동 ~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 20 km 구간 확장 개통[27]
  • 1999년 4월 28일 : 창선우회도로(남해군 창선면 당저리 ~ 동대리) 2.7 km 구간 개통, 기존 380m 구간 폐지[28]
  • 2000년 5월 3일 : 의정부시 장암동 ~ 양주군 회천읍 봉양리 20.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9]
  • 2001년 9월 22일 : 점촌 ~ 문경간 도로(문경시 마성면 모곡리 ~ 문경읍 진안리) 6.20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5 km 구간 폐지[30]
  • 2001년 12월 20일 : 충주시 주덕읍 신중리 ~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20.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9.326 km 구간 폐지[31]
  • 2001년 12월 29일 : 동두천 ~ 전곡간 도로(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 은대리) 1.0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1 km 구간 폐지[32][33]
  • 2002년 12월 28일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리 10.12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5 km 구간 폐지[34]
  • 2003년 4월 10일 : 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600m 구간 확장 개통[35]
  • 2003년 4월 28일 : 창선·삼천포대교(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 사천시 동서동) 3.4 km 구간 개통[36]
  • 2003년 12월 28일 : 이천시 장호원읍 오남리 ~ 진암리 4.7 km 구간 확장 개통[37]
  • 2003년 12월 29일 :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 충주시 상모면 안보리 8.3 km 구간 확장 개통[38]
  • 2004년 7월 29일 : 사천우회도로 일부(사천시 축동면 배춘리 ~ 사천읍 구암리) 1.94 km 구간 임시 개통[39]
  • 2004년 12월 15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함창 ~ 불정 구간 일부(상주시 함창읍 대조리 ~ 나한리) 1 km 구간 확장 개통[40]
  • 2005년 1월 27일 : 거창읍 통과 구간을 폐지하고 거창읍 송정리 ~ 주상면 성기리 구간으로 노선 변경[41][42]
  • 2005년 9월 15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함창 ~ 불정 구간 일부(상주시 함창읍 나한리) 4.42 km 구간 확장 개통[43]
  • 2005년 11월 9일 : 진주시 집현면 봉강리 ~ 평거동 9.6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4]
  • 2005년 12월 12일 : 김천시 어모면 남산리 ~ 상주시 청리면 원장리 24.28 km 구간,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김천시 양천동 ~ 어모면 옥율리) 18.4 km 구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 ~ 문경시 불정동 8.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5][46][47]
  • 2006년 10월 2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함창 ~ 불정간 도로, 문경시 공평동 ~ 불정동) 5.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 ~ 문경시 불정동 9.6 km 구간 폐지[48]
  • 2007년 8월 14일 : 충주시 풍동 ~ 용두동 7.24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9]
  • 2007년 10월 26일 :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47.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0]
  • 2008년 12월 10일 : 장암 ~ 청산 도로 의정부시 장암동 장암 나들목 ~ 용현동 용현 나들목 3 km 구간 임시 개통, 의정부시 자일동 자금 나들목 ~ 양주시 고읍동 고읍 나들목 5 km 구간 서울방향만 임시 개통[51]
  • 2010년 3월 15일 : 장암 ~ 청산 도로 자금 나들목 ~ 고읍 나들목(의정부시 자일동 ~ 양주시 고읍동) 5 km 구간 양주방향 임시 개통[52]
  • 2010년 4월 2일 : 장암 ~ 청산 도로 양주시 봉양동 ~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15.1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3]
  • 2010년 8월 25일 :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 하강리 9.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4]
  • 2010년 9월 17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남산리 ~ 구례리) 7.5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 및 기존 8.2 km 구간 폐지[55], 사천시 노룡동 ~ 사천읍 사주리 10.1 km 구간 확장 개통[56]
  • 2010년 11월 23일 : 마리 ~ 송정간 도로(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 거창읍 송정리) 3.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2 km 구간 폐지[57], 안의 ~ 마리간 도로(함양군 안의면 석천리 ~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11.1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8.24 km 구간 폐지[58]
  • 2010년 12월 15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구례리 구례 교차로 ~ 유점 교차로) 3.7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 기존 3.9 km 구간 폐지[59]
  • 2010년 12월 23일 : 산청 ~ 수동간 도로(산청군 생초면 하촌리 ~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4.8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60], 수동 ~ 안의간 도로(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 안의면 석천리) 12.9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7.49 km 구간 폐지[61], 삼천포 ~ 사천간 도로 1공구(사천시 대방동 ~ 노룡동) 7.9 km 구간 확장 개통[62]
  • 2010년 12월 30일 : 양주시 회암동 ~ 봉양동 3.9 km 구간 부분 개통[63]
  • 2011년 3월 28일 : 삼천포 ~ 사천간 도로 1공구 개통으로 기존 사천시 대방동 ~ 송포동 8.0 km 구간 폐지[64]
  • 2011년 4월 28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구례리 ~ 상주시 공성면 거창리) 780m 구간 확장 개통[65]
  • 2011년 6월 10일 :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4.0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66]
  • 2011년 11월 18일 : 장암 ~ 청산 도로 자금 나들목 의정부 → 양주 방향 램프(의정부시 자일동) 조기 개통[67], 장암 ~ 청산 도로 고읍 나들목 ~ 회암 나들목(양주시 고읍동 ~ 회암동) 4.1 km 구간 부분 개통[68]
  • 2012년 2월 29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3.4 km 구간 확장 개통[69]
  • 2012년 4월 8일 : 장암 ~ 청산 도로 고읍 나들목(양주시 고읍동) 일부 램프 개통[70]
  • 2012년 6월 29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이현동 ~ 내동면 독산리) 3.3 km 구간 확장 개통[71]
  • 2012년 9월 25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농소 ~ 어모간 도로(김천시 남면 초곡리 ~ 개령면 서부리) 3.0 km 구간 확장 개통[72]
  • 2012년 9월 28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성남시 갈현동 ~ 광주시 직동 4.8 km 구간 임시 개통[73]
  • 2012년 12월 26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양천 ~ 월곡간 도로(김천시 양천동 ~ 농소면 월곡리) 5.42 km 구간 확장 개통[74]
  • 2013년 4월 30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광주시 장지동 ~ 초월읍 대쌍령리 5.7 km 구간 임시 개통[75]
  • 2013년 12월 24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농소 ~ 어모간 도로(김천시 농소면 월곡리 ~ 어모면 옥율리) 12.7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김천시 양천동 ~ 어모면 옥율리 8.5 km 구간 폐지[76]
  • 2013년 12월 27일 : 어모 ~ 상주간 도로(상주시 공성면 거창리 ~ 가장동) 15.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1 km 구간 폐지[77]
  • 2013년 12월 31일 : 우수 교차로(진주시 명석면 우수리) 진주 방향 램프 개통[78]
  • 2014년 1월 10일 : 장암 ~ 청산 도로 민락 나들목 ~ 자금 나들목(의정부시 자일동 ~ 민락동) 2.1 km 구간 서울방향 임시 개통[79]
  • 2014년 9월 5일 : 장암 ~ 청산 도로 은현 나들목을 제외한 봉양 나들목 ~ 동두천 나들목(양주시 봉양동 ~ 동두천시 상패동) 6.2 km 구간 확장 개통[80]
  • 2014년 12월 29일 : 함양 ~ 수동간 도로(산청군 오부면 양촌리 ~ 생초면 평촌리) 3.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산청군 오부면 양촌리 ~ 수동면 화산리 7.43 km 구간 폐지[81]
  • 2014년 12월 30일 : 장암 ~ 청산 도로 장암 나들목 ~ 봉양 나들목(의정부시 장암동 ~ 양주시 봉양동) 20.7 km 구간 임시 개통[82]
  • 2015년 2월 10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집현 ~ 유곡간 도로(진주시 이현동 ~ 집현면 냉정리) 1.45 km 구간 확장 개통[83]
  • 2015년 3월 25일 : 진산교 서쪽 진출로(거창군 마리면 영승리) 462m 구간 신설 개통[84]
  • 2015년 4월 23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성남시 하대원동 ~ 갈현동 1 km 구간과 광주시 직동 ~ 태전동 3.1 km 구간 임시 개통[85]
  • 2015년 4월 29일 :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 하강리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김천시 구성면 하강리 접속구간을 제외해 9.3km로 축소[86]
  • 2015년 8월 7일 : 장암 ~ 청산 도로 장암 나들목 ~ 자금 나들목(의정부시 장암동 ~ 자금동) 8.1 km 구간 임시 개통[87]
  • 2015년 12월 21일 : 장암 ~ 청산 도로 봉양 교차로 일부 램프(양주시 봉양동) 구간 개통[88], 산청군 오부면 양촌리에 양촌 교차로 신설[89]
  • 2015년 12월 29일 : 지례 ~ 양천간 도로(김천시 지례면 관덕리 ~ 양천동) 17.0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7.6 km 구간 폐지[90]
  • 2016년 3월 15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완공으로 기존 진주시내(진주시 정촌면 화개리 ~ 이현동) 10.64 km 구간 폐지[91]
  • 2016년 4월 8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진주시 시내 구간을 해제하고 국도대체우회도로 구간으로 노선 변경[92]
  • 2016년 11월 11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2공구 쌍동 나들목 ~ 초월 나들목(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 선동리) 2.8 km 구간 개통[93]
  • 2017년 1월 25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 신서면 도신리) 8.1 km 구간 개통[94], 성남 ~ 장호원 도로 5공구 백사 교차로 ~ 부발 교차로(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 부발읍 죽당리) 6.1 km 구간 개통[95]
  • 2017년 5월 1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2.7 km 구간 개통[96]
  • 2017년 8월 14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 신서면 도신리 9.0 km 구간 폐지[97]
  • 2017년 9월 8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1공구 여수 교차로 ~ 대원 교차로(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도촌동) 2.8 km 구간 개통[98]
  • 2017년 12월 31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3 ~ 4공구 초월 나들목 ~ 백사 교차로(광주시 초월읍 선동리 ~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15.1 km 구간과 5공구 부발 교차로 ~ 응암 교차로(이천시 부발읍 죽당리 ~ 응암리) 6.4 km 구간 개통 및 기존 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 이천시 부발읍 죽당리 30 km 구간 폐지[99]
  • 2018년 5월 23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 갈현동 6.0 km 구간 폐지[100]
  • 2018년 7월 5일 : 상패 ~ 청산 도로 동두천 나들목 ~ 소요산 나들목(동두천시 상패동 ~ 안흥동) 3.1 km 구간 개통[101]
  • 2018년 11월 1일 : 장암고가교(의정부시 장암동 ~ 신곡동) 1.0 km 구간 동두천방향 개통[102]
  • 2020년 1월 9일 : 남해군 삼동면 동천리 540m 구간 개량 개통[103], 기존 구간 폐지[104]
  • 2020년 12월 21일 : 송정1, 물건3지구 위험도로(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250m 구간 개량 개통[105], 기존 300m 구간 폐지[106]
  • 2022년 10월 13일 : 주상 ~ 한기리간 도로(거창군 주상면 성기리 ~ 김천시 대덕면 대리) 12.71 km 구간 일부 개통[107], 기존 15.7 km 구간 폐지[108]
  • 2022년 12월 30일 : 한기리 ~ 교리간 도로(김천시 대덕면 화전리 ~ 지례면 관덕리) 총 5.2 km 구간 일부 개통, 기존 김천시 대덕면 관기리 1.1 km 구간 폐지[109]
  • 2023년 5월 31일 : 동두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안흥 ~ 청산간 도로(동두천시 안흥동 ~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6.75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의정부시 호원동 ~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31.9 km 구간 폐지[110][111]
  • 2023년 6월 16일 : 주상 ~ 한기리간 도로 개통 (김천시 대덕면 화전리 ~ 지례면 관덕리) 구간 3.6km 구간 개통으로 1.1km구간 폐지

2. 1. 일제강점기 및 해방 초기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3호선''' 삼천포-초산선이 됨.[13]

2. 2. 대한민국 구간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3호선''' 삼천포 ~ 초산선이 되었다.[13]
  • 1981년 6월 24일 : 기점을 '경상남도 삼천포시'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으로 연장하면서 '삼천포 ~ 초산선'에서 '남해 ~ 초산선'이 되었다.[17]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하였다.[23]


; 경상남도

; 경상북도

; 충청북도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송파구 (장지동 · 문정동 · 가락동 · 송파동 · 신천동) - 잠실대교 - 광진구 (자양동 · 구의동 · 중곡동) - 중랑구 (면목동 · 상봉동 · 중화동 · 묵동) - 노원구 (공릉동 · 하계동 · 중계동 · 상계동)


;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현재 대한민국에서 확인된 종점 구간과 접근이 가능한 구간은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 월정리역까지이다.[112]

2.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구간은 다음과 같다.

; 강원도

; 황해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3. 주요 경유지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를 거쳐 북한 지역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이다.







3. 1. 대한민국 구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의 국도 제3호선과 멀리 보이는 삼천포


'''경상남도 구간'''

남해군 미조면 초전삼거리에서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77호선과 분기되면서 시작된다. 이후 삼동면을 지나 창선교를 건너 창선면에 진입한다. 창선면에서는 지방도 제1024호선과 중복되다가, 창선대교를 통해 사천시로 진입한다.

사천시에서는 삼천포대교를 포함한 여러 교량을 통해 늑도, 초양도, 모개도를 차례로 지난다. 동서동에서는 국도 제77호선과 다시 만나 중복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도 중복된다. 이후 각산터널을 지나 남양동에서 지방도 제1003호선과 분기된다. 용현면을 지나 사천읍에 들어서면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지방도 제1002호선과 만난다. 축동면에서는 국도 제33호선과 중복되며, 남해고속도로 사천 나들목과 연결된다.

진주시에 진입한 후, 정촌면에서 국도 제2호선과 중복된다. 내동면을 지나 남강을 건너면서 국도 제33호선과 다시 분기된다. 이후 평거동, 이현동을 거쳐 명석면에서 국도 제33호선과 다시 만나 중복된다.

산청군에서는 신안면을 지나 지리산대로와 만나고, 산청읍에서 국도 제5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교차한다. 오부면생초면을 지나면서 지방도 제1026호선, 지방도 제1034호선과 중복된다.

함양군 수동면에서는 지방도 제1034호선과 분기되고, 안의면에서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과 중복된다.

거창군에서는 마리면에서 국도 제37호선과 중복되고, 거창읍에서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7호선과 분기된다. 주상면웅양면을 지나 경상북도로 이어진다.

'''경상북도 구간'''

김천시 대덕면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30호선과 중복된다. 지례면에서는 지방도 제903호선과 중복되며, 구성면을 지나 양금동에서 지방도 제903호선과 분기된다. 감천면에서 국도 제59호선과 교차하고, 농소면에서 국도 제4호선과 중복된다. 율곡동을 지나 개령면에서 국도 제59호선과 분기되고, 어모면에서 국도 제4호선과 분기된다.

상주시에서는 공성면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만나고, 청리면을 지나 신흥동에서 남상주 나들목을 통해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남원동북문동을 지나면서 국도 제25호선과 중복된다. 사벌국면외서면을 거쳐 공검면에서 북상주 나들목을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함창읍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과 교차하고, 점촌함창 나들목을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와 다시 연결된다.

문경시에서는 점촌동호계면을 지나 국도 제34호선과 중복된다. 마성면에서 지방도 제901호선과 교차하고, 문경새재 나들목을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문경읍을 지나 이화령터널을 통해 충청북도로 이어진다.

'''충청북도 구간'''

괴산군 연풍면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34호선과 중복된다. 연풍 나들목을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수옥 교차로를 지나 소조령터널을 통과한다.

충주시 수안보면에서는 지방도 제597호선과 연결되고, 수안보온천을 지난다. 살미면에서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중복된다. 달천동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분기되고, 용두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과 분기된다. 대소원면에서는 지방도 제599호선과 교차하고, 충주 나들목을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주덕읍에서 국도 제36호선과 분기된다. 신니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되며, 서충주 나들목을 통해 평택제천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음성군에서는 생극면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7호선,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되고, 감곡면에서 지방도 제525호선과 교차한다. 청미천교를 건너 경기도로 이어진다.

'''경기도 (남부) 구간'''

이천시 장호원읍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37호선과 중복된다. 진암 나들목에서 국도 제38호선과 교차한다.

여주시 가남읍에서는 지방도 제84호선, 지방도 제333호선과 교차한다.

이천시 대월면부발읍을 지나면서 국도 제42호선과 교차하고, 백사면에서 지방도 제70호선과 교차한다. 신둔면을 지나 경개터널을 통과한다.

광주시 곤지암읍에서는 지방도 제98호선과 교차하고, 초월읍에서 광주원주고속도로 초월 나들목과 연결된다. 쌍동 분기점에서 경충대로 옛 국도 제3호선 구간과 분기되고, 백마터널을 통과한다. 오포읍광남동을 지나면서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과 교차한다. 직동 나들목을 지나 중원터널을 통과한다.

성남시 중원구에서는 대원 나들목에서 경충대로 옛 국도 제3호선 구간과 다시 만나고, 성남 나들목을 통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모란시장모란역을 지나 수정구로 진입한다. 태평역가천대역을 지나 복정교를 건너 서울특별시로 이어진다.

'''서울특별시 구간'''

송파구에서는 복정역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42호선과 만나고, 송파 나들목을 통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을 차례로 지난다. 잠실대교를 건너 광진구로 진입한다.

광진구에서는 자양사거리, 구의사거리, 아차산역을 지나고, 군자역에서 국도 제47호선과 중복된다. 군자교를 건너 중랑구로 진입한다.

중랑구에서는 면목교, 장안교를 지나고, 중랑전화국 교차로에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7호선과 교차한다. 중화역먹골역을 지나 노원구로 진입한다.

노원구에서는 태릉입구역, 공릉역, 하계역, 중계역, 노원역, 마들역, 수락산역을 차례로 지난다. 노원교를 건너 도봉구로 진입한다.

도봉구에서는 도봉역도봉산역을 지나 경기도로 이어진다.

'''경기도 (북부) 구간'''

의정부시 호원동에서는 망월사역회룡역을 지난다. 의정부동에서는 의정부역가능역을 지나고, 녹양동에서 국도 제39호선과 교차한다.

양주시 양주동에서는 양주역을 지나고, 지방도 제360호선과 교차한다. 회천동에서는 덕계역덕정역을 지나고, 지방도 제55호선과 교차한다.

동두천시에서는 지행역, 동두천중앙역, 보산역, 동두천역, 소요산역을 차례로 지난다. 초성교를 건너 연천군으로 진입한다.

연천군 청산면에서는 지방도 제372호선과 중복되고, 한탄대교를 건넌다. 전곡읍에서는 국도 제37호선과 중복되고, 은대삼거리에서 분기된다. 연천읍에서는 지방도 제78호선과 중복되고, 상리삼거리에서 분기된다. 신서면에서는 지방도 제376호선과 중복되고, 대광리역신탄리역을 지난다. 신탄교를 건너 강원특별자치도로 이어진다.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철원군에서 국도 제3호선은 계속 이어지지만, 현재 민간인이 접근 가능한 구간은 연천군 신서면 신탄리역 인근까지이다.

3.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은 다음과 같다.

; 강원도

; 황해북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4. 교차하는 도로

국도 제3호선은 다양한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며, 복잡한 도로망을 형성하고 있다.

'''남해군-사천시 구간'''



'''진주시-산청군 구간'''

'''함양군-거창군 구간'''

'''김천시-상주시 구간'''

'''문경시 구간'''

'''괴산군-충주시 구간'''

'''음성군-이천시 구간'''

'''여주시-광주시 구간'''

'''성남시-서울특별시 구간'''

'''서울특별시-의정부시 구간'''

'''양주시-연천군 구간'''

'''참고:'''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6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7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9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

4. 1. 고속도로

4. 2. 국도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는 남해군에서 초산군을 잇는 일반 국도이다. 이 도로는 남해안에서 시작하여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그리고 다시 경기도, 강원도를 거쳐 북한의 평안북도 초산군까지 이어진다.

국도 제3호선이 경유하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국도 제3호선이 접속하거나 중복되는 국도는 다음과 같다.

5.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등)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113]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대마리철원군철원읍
백마고지역
대마사거리국도 제87호선, 지방도 제463호선 (묘장로)
사요리
외촌리
내포리
민간인 출입통제 구간
월정리역두루미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5. 1. 구간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대마리철원군철원읍
백마고지역
대마사거리국도 제87호선, 지방도 제463호선 (묘장로)
사요리
외촌리
내포리
민간인 출입통제 구간
월정리역두루미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6. 각주

wikitext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시점
종점
총연장
(km)
차로수지정일
순환로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내동 교차로)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화개리(화개 교차로)4.042011년 6월 10일
경상남도 진주시 평거동(10호광장 교차로)경상남도 진주시 이현동(명석 교차로)3.442005년 11월 9일
구성지례로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하강리9.342010년 8월 25일
2015년 4월 29일
김천순환로경상북도 김천시 양천동(양하 교차로)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옥율리(어모 교차로)18.442005년 12월 12일
경상대로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남산리(남산 교차로)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원장리(양촌 교차로)24.2842005년 12월 12일
문경대로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오동 교차로)경상북도 문경시 불정동(불정1교 남단)8.742005년 12월 12일
서부순환대로충청북도 충주시 풍동(능곡교)충청북도 충주시 용두동(용두 교차로)7.24642007년 8월 14일
성남이천로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응암 나들목)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성남시청 교차로)47.34, 62007년 10월 26일
신평화로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장암 나들목)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신내 나들목)20.742000년 5월 3일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신내 나들목)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청산 나들목)15.142010년 4월 2일


참조

[1] 간행물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5]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6]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7]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8]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9] 문서 実際には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支配下にある。以北五道を参照。
[10] 문서 現在計画中の路線である。
[11] 문서 남북분단으로 인하여 현재 실질적 종점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백마고지이다.
[12] 문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면을 폐지하였기 때문에 이름이 같은 중재지인 초산읍이다.
[13] 간행물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14]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33호 http://theme.archive[...] 1975-02-27
[15]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22호 http://theme.archive[...] 1975-11-22
[1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http://theme.archive[...] 1979-05-21
[17] 간행물 대통령령 제103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6-24
[1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10호 http://theme.archive[...] 1981-08-05
[1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00호 http://theme.archive[...] 1981-08-12
[2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http://theme.archive[...] 1987-05-26
[2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92-4호 http://theme.archive[...] 1992-01-17
[2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7호 http://theme.archive[...] 1995-02-11
[23]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24]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1996-181호 http://www.gg.go.kr/[...] 1996-11-11
[2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207호 http://theme.archive[...] 1997-08-29
[2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4호, 제1998-5호 http://theme.archive[...] 1998-01-12
[2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464호 http://theme.archive[...] 1998-12-24
[2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89호, 제1999-90호 http://theme.archive[...] 1999-04-30
[2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33호 http://theme.archive[...] 2000-05-03
[3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05호 http://gwanbo.mois.g[...] 2001-10-12
[3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88호 http://gwanbo.mois.g[...] 2001-12-24
[3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48호 http://gwanbo.mois.g[...] 2001-12-31
[3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84호 http://gwanbo.mois.g[...] 2002-01-02
[3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03호 http://gwanbo.mois.g[...] 2002-12-31
[3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64호 http://www.gg.go.kr/[...] 2003-04-07
[36]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102호 http://www.gyeongnam[...] 2003-05-01
[37]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183호 http://www.gg.go.kr/[...] 2003-12-29
[38]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2호 http://cblib.cb21.ne[...] 2004-01-09
[39]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17호 http://www.gyeongnam[...] 2004-08-19
[40]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323호 http://www.gb.go.kr/[...] 2004-12-20
[41]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8호 http://www.gyeongnam[...] 2005-01-27
[42]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9호 http://www.gyeongnam[...] 2005-01-27
[43]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136호 http://www.gb.go.kr/[...] 2005-09-08
[44]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77호, 진주시공고 제2005-1058호 http://gwanbo.mois.g[...] 2005-11-09
[45]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08호 http://gwanbo.mois.g[...] 2005-12-12
[46]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09호, 김천시공고 제2005-775호 http://gwanbo.mois.g[...] 2005-12-12
[47]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0호, 문경시공고 제2005-507호 http://gwanbo.mois.g[...] 2005-12-12
[48]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55호, 제2006-156호 http://gwanbo.mois.g[...] 2006-09-22
[49] 공고 충주시공고 제2007-850호 http://gwanbo.mois.g[...] 2007-08-14
[50]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49호, 성남시공고 제2007-743호, 광주시공고 제2007-967호 http://gwanbo.mois.g[...] 2007-10-26
[51]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56호 http://gwanbo.mois.g[...] 2008-12-10
[52] 공고 의정부시공고 제2010-322호, 양주시공고 제2010-287호 http://www.gg.go.kr/[...] 2010-03-11
[53]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2호, 양주시공고 제2010-306호, 동두천시공고 제2010-180호 http://gwanbo.mois.g[...] 2010-04-02
[54]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68호 http://gwanbo.mois.g[...] 2010-08-25
[55]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88호, 제2010-189호 http://gwanbo.mois.g[...] 2010-09-17
[56]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91호 http://gwanbo.mois.g[...] 2010-09-24
[57]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41호, 제2010-242호 http://gwanbo.mois.g[...] 2010-11-19
[58]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43호, 제2010-244호 http://gwanbo.mois.g[...] 2010-11-19
[59]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61호, 제2010-262호 http://gwanbo.mois.g[...] 2010-12-09
[60]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75호 http://gwanbo.mois.g[...] 2010-12-15
[61]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76호, 제2010-277호 http://gwanbo.mois.g[...] 2010-12-15
[62]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90호 http://gwanbo.mois.g[...] 2010-12-27
[63]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29호 http://gwanbo.mois.g[...] 2010-12-27
[64] 공고 사천시공고 제2011-194호 http://gwanbo.mois.g[...] 2011-04-01
[65]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60호 http://gwanbo.mois.g[...] 2011-04-25
[66]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86호 http://gwanbo.mois.g[...] 2011-06-10
[67]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318호 http://gwanbo.mois.g[...] 2011-11-21
[68]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319호 http://gwanbo.mois.g[...] 2011-11-21
[69]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31호 http://gwanbo.mois.g[...] 2012-02-24
[70]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9호 http://gwanbo.mois.g[...] 2012-04-09
[7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09호 http://gwanbo.mois.g[...] 2012-06-22
[7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79호 http://gwanbo.mois.g[...] 2012-09-24
[7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70호 http://gwanbo.mois.g[...] 2012-09-27
[7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39호 http://gwanbo.mois.g[...] 2012-12-24
[7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34호 http://gwanbo.mois.g[...] 2013-04-29
[7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267호, 제2013-268호 http://gwanbo.mois.g[...] 2013-12-24
[7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269호, 제2013-270호 http://gwanbo.mois.g[...] 2013-12-26
[7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603호 http://gwanbo.mois.g[...] 2014-01-06
[7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호 http://gwanbo.mois.g[...] 2014-01-10
[8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63호 http://gwanbo.mois.g[...] 2014-09-12
[8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247호, 제2014-248호 http://gwanbo.mois.g[...] 2014-12-29
[8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93호 http://gwanbo.mois.g[...] 2014-12-30
[8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1호 http://gwanbo.mois.g[...] 2015-02-09
[8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45호 http://gwanbo.mois.g[...] 2015-03-26
[8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2호 http://gwanbo.mois.g[...] 2015-04-21
[8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79호 http://gwanbo.mois.g[...] 2015-04-29
[8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63호 http://gwanbo.mois.g[...] 2015-08-10
[8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23호 http://gwanbo.mois.g[...] 2015-12-22
[8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48호 http://gwanbo.mois.g[...] 2015-12-28
[9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32호, 제2015-233호 http://gwanbo.mois.g[...] 2015-12-15
[9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42호 http://gwanbo.mois.g[...] 2016-03-15
[9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172호 http://gwanbo.mois.g[...] 2016-04-08
[9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67호 http://gwanbo.mois.g[...] 2016-11-03
[94]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6호 http://gwanbo.mois.g[...] 2017-01-25
[9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7호 http://gwanbo.mois.g[...] 2017-01-25
[9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36호 http://gwanbo.mois.g[...] 2017-05-01
[97] 간행물 경기도고시 제2017-5744호 http://www.gg.go.kr/[...] 2017-08-14
[9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63호 http://gwanbo.mois.g[...] 2017-08-14
[9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01호 http://gwanbo.mois.g[...] 2017-12-26
[100] 간행물 성남시공고 제2018-894호 http://gwanbo.mois.g[...] 2018-05-23
[10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54호 http://gwanbo.mois.g[...] 2018-07-05
[10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07호 http://gwanbo.mois.g[...] 2018-10-31
[10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10호 http://gwanbo.mois.g[...] 2020-04-03
[10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11호 http://gwanbo.mois.g[...] 2020-04-03
[10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631호 https://gwanbo.mois.[...] 2020-12-23
[10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630호 https://gwanbo.mois.[...] 2020-12-23
[10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제2022-178호 https://gwanbo.go.kr[...] 2022-10-11
[10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181호 https://gwanbo.go.kr[...] 2022-10-13
[10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224호 https://gwanbo.go.kr[...] 2022-12-30
[11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3-100호 https://gwanbo.go.kr[...] 2023-05-31
[111] 뉴스 국도 3호선 우회도로 연천∼동두천 구간 31일 오전 10시 개통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12] 문서 본래 행정구역은 철원군 북면이었다.
[113]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