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룽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룽족은 중국 칭하이성 강족에서 기원한 네팔의 민족 집단이다. 1816년 영국-네팔 전쟁 이후 영국군에 징집되어 구르카 부대의 일원으로 복무했으며, 현재도 영국, 인도, 브루나이 군대와 싱가포르 경찰에서 근무한다. 1999년 영국 정부의 정책 변화로 구르카 부대 은퇴자들이 영국에 정착할 수 있게 되면서 대규모 이주가 이루어졌다. 네팔 인구의 약 2.97%를 차지하며, 간다키 주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종교는 불교가 주를 이루며, 힌두교와 기독교도 일부 존재한다. 구룽어와 네팔어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민족 - 네팔인
    네팔인은 체트리족, 바훈족, 마가르족 등 125개 이상의 민족으로 구성된 네팔의 국민을 지칭하며, 행정 구역은 7개의 주와 77개의 군으로 나뉘고 해외 거주자는 네팔계 이민 또는 비거주 네팔인으로 불린다.
  • 네팔의 민족 - 라이족
    라이족은 인도 시킴 주와 네팔 동부에 주로 거주하며, 키라트 문둠 신앙을 기반으로 독특한 전통 문화를 지닌 키라트족과 관련된 민족이다.
  • 아시아의 민족 - 말레이 인종
    말레이 인종은 18세기 블루멘바흐가 제시한 인종 분류 용어에서 유래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사용자들을 지칭했으나 말레이인과 혼동을 야기하며, 식민 시대 이후 동남아시아에서 다양하게 해석, 사용되어 말레이계 민족과 국가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현대에는 오스트로네시아인과 구분되어 사용된다.
  • 아시아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구룽족
개요
타무 로사르 축제에서 구릉족 가투 춤
타무 로사르 축제에서 가투 춤을 추는 구릉족
다른 이름타무
인구
총 인구네팔: 543,790명 (2021년)
인도: 139,000명 이상
미국: 17,000명 (2023년)
영국: 75,000명 (2023년)
주요 거주 지역마낭
파르바트
람중
무스탕
고르카
카스키
타나훈
샹자
돌파
언어
사용 언어네팔어 (링구아 프랑카)
구릉어 (타무 키, 마낭기, 무스탕기, 로키)
세케어
종교
주요 종교불교: 62.72%
힌두교: 32.18%
본교: 2.32%
기독교: 2.12%
민족적 관계
관련 민족티베트인
창족
타망족
마가르족
타칼리족
셰르파족

2. 역사

구룽족의 기원은 중국 칭하이 지역에 거주하던 강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외국과 한국의 기독교 선교 활동으로 일부 구룽족은 기독교로 개종하기도 했다.[7]

1816년 영국-네팔 전쟁 이후 수가울리 조약 체결 후, 영국은 구룽족을 포함한 네팔 부족들을 구르카 용병으로 모집하기 시작했다. 구룽족은 영국군, 인도군, 브루나이 군대, 싱가포르 경찰 등에서 복무했으며, 은퇴 후 네팔로 귀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999년 영국 정부는 구르카 용병 은퇴자들의 영국 정착을 허용하면서 구룽족의 영국 이주가 증가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구르카 경찰 은퇴자들을 네팔로 강제 송환하고 있어 이들의 인권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현대에는 더 나은 교육과 취업 기회를 찾아 서구 국가로 이주하는 구룽족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미국에는 지난 20년 동안 수천 명의 네팔계 미국인 구룽족이 유입되었으며, 이들은 사무직과 육체노동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1990년 이후 네팔의 부정부패와 기회 부족으로 인해 더 많은 젊은 구룽족이 네팔을 떠나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 1. 영국과의 관계

1816년 영국-네팔 전쟁이 끝나고 수가울리 조약이 체결된 후, 영국군은 네팔 북부 마을에서 병사를 모집하기 시작했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구룽족이었다.[7]

1999년 영국 정부는 구르카 부대 전역 군인들과 그 가족들에게 영국 시민권을 부여하고 정착을 허용했다. 이로 인해 2000년대 초부터 구룽족이 네팔에서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로 대규모 이주를 하게 되었다. 현재 영국 내 구르카 시민권자 수는 수만 명에 달하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2.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에서는 구룽족이 구르카 용병으로 알려져 있다.[7] 구르카 용병은 용맹함과 충성심으로 유명하며, 한국 사회에서 이들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용산 전쟁기념관 등에서 구르카 용병 관련 자료를 찾아볼 수 있다.

3. 지리적 분포

마낭


구룽족 갬드룩


2011년 네팔 인구 조사 당시, 798,658명(네팔 인구의 2.97%)이 구룽족으로 확인되었다.[8] 구룽족의 주별 비율은 다음과 같다.

비율
간다키 주11.4%
바그마티 주2.2%
코시 주1.4%
룸비니 주0.9%
카르날리 주0.7%
수두르파시침 주0.2%
마데시 주0.2%



다음 지역의 구룽족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8]

지역비율
마낭57.1%
람중군31.4%
카스키군29.3%
고르카군19.8%
무스탕군20.1%
타나훈군11.6%
샹자군9.0%
돌파군7.1%
치트완군6.8%
다딩군5.6%
상쿠와사바군5.4%
타플레준군4.6%
파르바트군3.7%
라수와군3.1%
테라툼군2.9%
일람군2.9%
나왈푸르군2.9%
카트만두군2.6%
루판데히군2.0%



네팔 산골짜기에 있는 가운드룩은 구룽족 마을이다. 구룽족은 코에 피어싱을 하는 사람도 있다. 사리가 아닌 구룽족 특유의 원피스 형태의 전통 의상을 입고 있다.

4. 종교

구룽족은 불교, 힌두교, 기독교를 믿는다. 네팔 인구 조사에 따르면 구룽족의 약 3분의 2가 불교도이고, 3분의 1이 힌두교도이며, 약 5%는 기독교도이다.[9] 구룽 불교에는 본 람(라마), 갸브리(갸브링), 파추(파주)가 있다.[10] 일부 구룽족은 2천 년 전 티베트와 중국 서부에서 번성했던 '본' 종교의 불교 이전 형태와 샤머니즘 신앙을 간직하고 있다.[11]

4. 1. 구룽족의 종교와 한국 불교

구룽족의 약 3분의 2는 불교도이며,[9] 이들의 불교는 본 람(라마), 갸브리(갸브링), 파추(파주)를 포함한다.[10] 라마는 탄생, 장례 등 불교 의식을 거행하며,[10] 주로 람중, 파르바트, 카스키, 마낭, 무스탕 등지에서 활동한다.[10]

구룽족 불교는 2천 년 전 티베트와 중국 서부에서 번성했던 '본' 종교의 불교 이전 형태와 샤머니즘 신앙 체계의 잔재를 간직하고 있다.[11]

구룽족의 종교
카스트 (jāt)전통적인 직업씨족 칭호 (kul) 또는 성 (thar)참고
'1.' 네 씨족 (45%)불교 승려타무: 클레, 람, 콘, 렘
네팔어: 갈레, 라마, 고타네이, 라미차네
주로 파르바트, 람중, 타나후 출신의 불교 승려와 가족. 20세기 초 13대 달라이 라마가 네팔을 방문했을 때, 파르바트군 부카 데우랄리 마을 출신의 쿰바싱 구룽이 네팔 북서부 불교 공동체 대표로 임명됨. 라마 구룽은 티베트에서 13대 달라이 라마와 함께 공부.
'2.' 열여섯 씨족 (65%)농부와 목자타무: 파추, 갸프리
네팔어: 파주, 갸브링
샹자, 카스키 출신의 불교 가족


5. 언어

구룽족은 자신들의 고유 언어인 구룽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카트만두포카라와 같은 도시 지역에서는 네팔의 공용어인 네팔어를 사용하기도 한다.[1]

5. 1. 구룽어와 한국어

구룽족은 지역에서는 구룽어를 사용하지만, 카트만두포카라와 같은 도시로 나가면 공용어인 네팔어를 사용한다.[1]

6. 문화

구룽족 여성들은 코에 피어싱을 하기도 하며, 사리가 아닌 구룽족 특유의 원피스 형태 전통 의상을 입는다.[1]

참조

[1] 보고서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1, Caste/Ethnicity Report https://censusnepal.[...] Government of Nepal 2021
[2] 웹사이트 Rai-Peoplegrouporg https://www.peoplegr[...]
[3] 보고서 Population monograph of Nepal https://nepal.unfpa.[...] Government of Nepal 2014
[4] 논문 Gurungs, Goorkhalis, Gurkhas: speculations on a Nepalese ethno-history "" # PDF 링크가 필요하지만 제[...]
[5] 웹사이트 Gurung – National Museum https://nationalmuse[...] 2024-11-09
[6] 웹사이트 The Gurungs https://www.alanmacf[...] 2024-12-10
[7] 보고서 Population monograph of Nepal https://nepal.unfpa.[...] Government of Nepal 2014
[8] 웹사이트 2011 Nepal Census, Social Characteristics Tables https://web.archive.[...] 2019-09-06
[9] 문서 Population monograph of Nepal https://nepal.unfpa.[...]
[10] 서적 Tribal populations and cultures of the Christianity from Thai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11-04-02
[11] 서적 Resources and Population: A Study of the Gurungs of Nepa1 "" # URL 없음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