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족은 네팔 동부에 주로 거주하는 약 75만 명으로 추산되는 민족 집단이다. 라이족은 최대 28개의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며, 네팔 코시 주를 중심으로 바그마티 주, 간다키 주 등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인도 시킴 주에서도 가장 큰 단일 민족 공동체를 이루며, 서벵골 주, 아삼 주, 부탄 등지에도 거주한다. 라이족은 키라티 종교를 믿으며, 애니미즘에 기반한 자연 숭배와 조상 숭배를 행한다. 사켈라, 누아기, 예레 삼밧 등 다양한 축제를 지내며, 민속 무용과 민요, 전통 악기를 통해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라이족은 농업을 주로 하며, 일부는 군인, 해외 취업, 정부 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민족 - 네팔인
    네팔인은 체트리족, 바훈족, 마가르족 등 125개 이상의 민족으로 구성된 네팔의 국민을 지칭하며, 행정 구역은 7개의 주와 77개의 군으로 나뉘고 해외 거주자는 네팔계 이민 또는 비거주 네팔인으로 불린다.
  • 네팔의 민족 - 구룽족
    구룽족은 네팔 중서부 산악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중국 칭하이성에서 기원한 민족으로, 영국군 복무와 이주를 통해 영국을 포함한 서구 국가에 거주하며 불교와 힌두교를 믿고 구룽어를 사용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아시아의 민족 - 말레이 인종
    말레이 인종은 18세기 블루멘바흐가 제시한 인종 분류 용어에서 유래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사용자들을 지칭했으나 말레이인과 혼동을 야기하며, 식민 시대 이후 동남아시아에서 다양하게 해석, 사용되어 말레이계 민족과 국가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현대에는 오스트로네시아인과 구분되어 사용된다.
  • 아시아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인도의 민족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의 민족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라이족
라이족
활과 화살을 들고 있는 라이족 남성
활과 화살을 들고 있는 라이족 남성
인구네팔: 640,674명 (2021년)
코시 주: 506,422명
바그마티 주: 112,364명
마데시 주: 10,210명
간다키 주: 7,599명
룸비니 주: 2,628명
수두르파슈침 주: 917명
카르날리 주: 534명
인도: 360,819명
서벵골 주: 216,043명
시킴 주: 80,879명
아삼 주: 43,646명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9,046명
우타라칸드 주: 3,649명
메갈라야 주: 3,705명
나가랜드 주: 1,813명
히마찰프라데시 주: 1,593명
미조람 주: 445명
부탄: 37,311명 (추정)
거주 지역주로 네팔, 인도, 부탄에 거주
언어
모어라이어
기타 사용 언어네팔어
아삼어
힌디어
종카어
종교
주요 종교키라트교 또는 애니미즘 (65%)
기타 종교힌두교 (30%)
기독교 (5%) (2011년)
관련 민족
관련 민족수누와르족
약카족
림부족
하유족
지렐족
디말족
기타 시노티베트어족 민족

2. 지리적 분포

라이족은 약 75만 명으로 추산되며, 주로 네팔 동부와 인도 시킴 주, 서벵골 주 북부 지역에 거주한다.[14][17] 언어학자들은 최대 28개의 서로 다른 라이어를 확인했으며, 대부분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14]

2. 1. 네팔

네팔 동부의 라이어 사용 집단 전통 거주 지역


라이족은 주로 네팔 동부에 거주하며, 언어학자들은 최대 28개의 서로 다른 라이어를 확인했으며, 대부분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14]

2011년 네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이족은 620,004명(네팔 인구의 2.3%)이며, 주로 코시 주(11.3%)에 거주한다.[15] 이외에도 바그마티 주(1.5%), 간다키 주(0.3%) 등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16]

라이족의 비율이 전국 평균(2.3%)보다 높은 지역은 다음과 같다.[16]

지역라이족 비율
코탕36.8%
보즈푸르32.1%
일람23.8%
단쿠타19.8%
솔루쿰부19.7%
우다야푸르17.3%
판치타르13.8%
상쿠와사바10.7%
오칼둥가10.0%
순사리6.6%
타플레준5.1%
모랑5.0%
자파4.7%
누와콧3.6%
라리트푸르2.7%


네팔 동부의 라이족 전통 거주 지역 (언어 집단별):

지역언어
코탕참링어, 두미어, 푸마어, 삼팡어, 코유어, 나치링어, 틸룽어
보즈푸르반타와어, 둥말리어, 삼팡어, 쿨룽어, 메와항/뉴아항
솔루쿰부쿨룽어, 칼링어, 툴룽어, 나치링어/소탕, 바잉어/바융
상쿠와사바얌푸어, 메와항, 로호룽어, 쿨룽어
단쿠타아스파레어, 벨하레어, 칠링어/출룽어, 야카어/무갈리, 팡두왈리, 반타와어
오칼둥가웜불레어, 제룽어, 바잉어/바융
우다야푸르참링어, 틸룽어, 웜불레어
신둘리제룽어, 웜불레어
마카완푸르 (라이가운)데와스



상당수의 라이족은 림부족의 거주 지역인 일람, 판치타르, 테라툼, 타플레준과 테라이 지역의 자파, 모랑, 순사리, 그리고 카트만두 계곡으로 이주했다.

2. 2. 인도 및 기타 국가

라이족은 인도 시킴 주(Sikkim)에서 가장 큰 단일 민족 공동체이다.[18] 서벵골 주(West Bengal)의 다르질링(Darjeeling), 칼림퐁(Kalimpong), 쿠르세옹(Kurseong), 미릭(Mirik), 두아르스(Dooars) 지역에도 주로 거주한다.[17] 라이족 인구는 주로 시킴의 남부, 서부, 동부에 분포하며,[19] 아삼 주(Assam)와 다른 동북 인도 주, 부탄(Bhutan) 왕국, 영국, 홍콩, 미국 등지로도 이주하였다.

3. 역사

라이족은 고대 키라티족의 후예로 여겨지며, 네팔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키라티족은 카트만두 계곡을 정복하면서 네팔 역사에 등장한다. 이들은 네팔 동부에 거주하던 원주민으로, 족장 얄람바르의 지도 아래 아히르 왕조의 마지막 왕을 물리치고 카트만두 계곡을 지배했다.[32] 기원전 800년부터 서기 300년까지 29명에서 32명의 키라티 왕들이 네팔을 통치했다는 기록이 있다.[33] 리차비 왕조는 차얄에서 키라티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네팔을 건국했으며, 이후 키라티족은 동쪽으로 이동했다.[33]

리차비 왕조카트만두 계곡에서 키라트족을 몰아낸 후, 키라트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바네파, 둘리켈, 신두팔촉크, 돌라카 등지에 작은 영토들을 지배했다.[35] 일부는 순코시 강을 따라 이동하여 수누와르족이 되었고, 타마코시 강, 두드코시 강, 아룬 강, 타무르 강을 따라 이동한 다른 키라트족은 오늘날의 라이족, 야크하족, 수누와르족, 림부족이 되었다. 이들은 여러 지역에 정착한 후 '키팟'이라는 자신들의 영역을 만들었고, 발로 키라트(Wallo Kirat), 마즈 키라트(Majh Kirat), 팔로 키라트(Pallo Kirat)의 세 키라트 국가를 형성했다.[38]

1743년경, 고르카 왕국프리트비 나라얀 샤 왕은 네팔 통일 운동을 시작하며 키라트 지역을 공격했다.[39] 프리트비 나라얀 샤는 사르다르 람 크리슈나 쿤와르를 파병하여 키라트 지역의 여러 왕과 족장, 요새들을 정복해 나갔다.[42]

1772년 8월 29일, 람 크리슈나 칸와르는 두드코시 강을 건너 차우단디를 침략했다. 숙련된 궁수였던 캄부 키라티 청년들이 저항했지만, 고르카 왕국 군대의 화력에 밀려 5개월 만에 만지 키라트 전체가 정복되었다.[44]

3. 1. 신화와 전설

라이족 전통에 따르면, 최초의 조상 키라티족은 네팔 동부 산악 지대의 코시 계곡의 바라하체트라 협곡을 통해 들어왔다.[20][21] 키라티족 조상들은 "쿠왈룽"에서 나와 사파타코시의 작은 강을 따라 이동하여, 아룬, 두드 코시, 썬 코시, 타마 코시를 거쳐 보테 코시 계곡에 정착했다고 구전 역사인 문둠에 기록되어 있다.[22][23]

라이족의 역사적 순례지인 투와츙 자야줌


키라티 라이족 신화에 따르면, "타야마"(언니), "키야마"(여동생), "라이차쿠레"(타야마와 키야마의 남동생)는 키라티 라이 문명의 원시 조상으로 여겨진다. 언니들은 "투와츙"에, 남동생은 할레시 동굴에 살았다고 믿어진다. 타야마와 키야마는 베틀을 능숙하게 짜는 기술을 가진 섬유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타야마는 케우, 토야마, 토마, 타야마, 탕와마, 자우마, 자우모, 다와, 카크차 등의 이름으로, 키야마는 케마, 키와마, 클리우마, 클레모, 케와, 카우마, 로스 등 다양한 키란티어로 불린다. 라이차쿠레는 헤치하쿠파, 헤치하쿠와, 코크칠리파, 카크칠립 등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키라티-라이족 문화사에서 농업 시대의 시작을 알린 인물이다.[24][25][26][27][28]

네팔 동부 보주푸르 지구의 살파 포카리(연못)와 실리춘 산


살파 포카리는 키라티-라이족의 기원으로 믿어지는 곳으로, 키라티 라이족의 문화적 신앙의 중심지이며 "살파"와 "리브리마"(살파 왕과 왕비)의 신화와 관련이 있다. 키라티 라이족은 이 조상인 살파와 리브리마에게서 태어났다고 믿는다. 살파 포카리는 문화적,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인기 있는 곳이며, 실리춘 산은 최고의 공물로, 키라티 신화에 따르면 "문둠"의 기원이라고 여겨진다.[29][30][31]

3. 2. 카트만두 계곡의 키라트 왕조

네팔은 키라티족이 카트만두 계곡을 정복하면서 역사에 등장한다. 키라티족은 네팔 동부에 거주하던 원주민으로, 족장 얄람바르의 지도 아래 아히르 왕조의 마지막 왕을 물리치고 카트만두 계곡을 지배했다.[32] 여러 자료에 따르면 기원전 800년부터 서기 300년까지 29명에서 32명의 키라티 왕들이 네팔을 통치했다.[33] 리차비 왕조는 차얄에서 키라티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네팔을 건국했으며, 이후 키라티족은 동쪽으로 이동했다.[33] 카트만두 계곡에는 차얄, 파탄 두바르, 파툭 돈 등 키라티 시대와 관련된 여러 고대 유적지가 남아있다.[34]

3. 3. 동부 지역의 키라트 왕국

리차비 왕조가 카트만두 계곡에서 키라트족을 몰아낸 후, 키라트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작은 영토들을 지배했다. 이들은 바네파(Banepa), 두리켈, 신두팔촉크 구, 다라와르단다, 돌라카 구, 차리콧(Charikot)에서 키라티찹(Kiratichap)까지 영토를 확장했다.[35] 키라트족은 키라티찹에 요새를 건설하고 다시 지배하기 시작했으며, 돌라카, 신두팔촉크 지역에서는 "지리(Jiri)"의 "키라트 투르사(Kirat Thursa)", "돌라카 구(Dolakha District)|돌라카"의 "키라티찹(Kiratichap)"과 같이 키라트족의 고대 유적과 묘지를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36][37]

일부 키라트족은 비옥한 땅을 찾아 순코시 강을 따라 이동하여 수누와르족이 되었고, 타마코시 강, 두드코시 강, 아룬 강, 타무르 강을 따라 이동한 다른 키라트족은 오늘날의 라이족, 야크하족, 수누와르족, 림부족이 되었다. 이들은 여러 지역에 정착한 후 자신들의 영역인 '키팟(Kipat)'을 만들었고, 다시 동부 산악 지대에서 수 세기 동안 지배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로 키라트(Wallo Kirat, 근처 키라트), 마즈 키라트(Majh Kirat, 중간 키라트), 팔로 키라트(Pallo Kirat, 먼 동쪽 키라트)의 세 키라트 국가가 형성되었다.[38]

1743년경, 고르카 궁(Gorkha Palace)의 프리트비 나라얀 샤(Prithvi Narayan Shah) 왕은 네팔 통일(Unification of Nepal) 운동을 시작하여 키라트 지역(Kirat Region)도 공격하기 시작했다.[39]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네팔을 통일하기 전, 바네파에서 트리술리 강(Trishuli River)과 테스타 강(Teesta River) 주변까지 키라트데시(Kiratdesh)라 불리는 키라티(Kiratis)의 영토였다. 당시 돌라카 지구(Dolakha District), 라메찹 지구(Ramechhap District), 신둘리 지구(Sindhuli District)는 발로 키라트(Wallo Kirat)에 속하고, 숨코시(Sunkoshi)에서 아룬 강(Arun river) 상류까지는 만지 키라트(Manjh Kirat)에 속했다. 아룬 강(Arun) 상류에서 테스타 강(Teesta River) 동쪽까지는 팔로 키라트(Pallo Kirat)에 속했다.

1768년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발로 키라트의 두리켈 국경 지역을 침략했을 때, 두리켈의 키라트 왕 차우카트 마힌드라 싱 라이와 그의 형제 남싱 라이는 오랫동안 저항했다.[40][41] 프리트비 나라얀 샤 왕은 키라트 지역 정복을 위해 사르다르(Sardar) 람 크리슈나 쿤와르를 파병했다. 발로 키라트와 만지 키라트 지역에는 많은 왕과 족장, 요새들이 있었다.

발로 키라트(Wallo Kirat) 오칼둥가 지구(Okhaldhunga District)의 여덟 개 요새는 다음과 같다.

요새 이름
붕남(Bungnam)
탈루와(Taluwa)
치야남(Chyanam)
솔루(Solu)
틸푼(Tilpung)
치산쿠(Chisankhu)
추플루(Chuplu)
차우라스(Chauras)

[42]

만지 키라트(Majh Kirat)의 요새는 다음과 같다.

요새 이름
하투와(Hatuwa)
차우단디(Chawdandi)
무칼리(Mukali)
할레시(Halesi)
코테항(Khotehang)
쿨룸(Kulum)
마주와(Majhuwa)
캄텔(Khamtel)
파마캄(Pamakham)
라와(Rawa)
케필라스(Kepilas)



고르카 군대는 발로 키라트와 만지 키라트의 이 모든 요새들을 하나씩 정복했다.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키라트 지역을 정복했을 당시, 아룬 강 건너편 하투와 가디(Hatuwā Gaḍhi)(만지 키라트)에는 왈링 행이 왕으로 있었다. 현재의 안키살라(Ankhisalla), 단쿠타 지구(Dhankuta District)에 있는 칼사(Khalsa) 영토는 부다항 왕이 통치했다. 부다항은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공격했을 때 사라졌다. 그는 전투 중에 죽은 키라티 전사들을 되살릴 수 있었다고 한다.[43]

1772년 8월 29일, 람 크리슈나 칸와르는 두드코시 강(Dudhkoshi)을 건너 차우단디(Chaudandi)에 들어가 키라트와 사프타리(Saptari) 지역을 침략했다. 동료 사령관 아비만 싱 바스냐트도 함께했다.

숙련된 궁수였던 캄부 키라티 청년들은 화살로 고르카 군대의 진격을 막았다. 라와 콜라(Rawa Khola)의 차팀 라이와 파마캄의 아탈 라이는 두 명의 주요 캄부 키라티였지만, 결국 고르카 군대의 활과 화살 앞에서는 무력했다. 5개월 만에 고르카 군대는 라와, 할레시, 마주와, 쿨룸, 딩글라를 점령하여 만지 키라트 전체를 정복했다.[44]

3. 4. 고르칼리 정복

1743년경, 고르카 궁의 프리트비 나라얀 샤 왕은 네팔 통일 운동을 시작하여 많은 소국들을 정복했으며, 고르카 군대(고르칼리)는 키라트 지역도 공격하기 시작했다.[39] 프리트비 나라얀 샤네팔을 통일하기 전, 바네파에서 트리술리 강과 테스타 강 주변까지는 키라트데시(Kiratdesh)라 불리는 키라티의 영토였다.

프리트비 나라얀 샤는 키라트 지역 정복을 위해 사르다르 람 크리슈나 쿤와르를 파병했다. 키라트 지역에는 발로 키라트, 만지 키라트, 팔로 키라트가 있었고, 각 지역에는 많은 왕과 족장, 요새들이 있었다.[42] 고르카 군대는 이 요새들을 하나씩 정복해 나갔다.

1772년 8월 29일, 람 크리슈나 칸와르는 두드코시 강을 건너 차우단디에 들어가 키라트와 사프타리 지역을 침략했다. 숙련된 궁수였던 캄부 키라티 청년들은 화살로 고르카 군대의 진격을 막고 큰 손실을 입혔지만, 결국 고르카 군대의 활과 화살 앞에서는 무력했다. 5개월 만에 고르카 군대는 만지 키라트 전체를 정복했다.[44] 하투와의 왕들은 칼사 지역 일부를 지배했는데, 현재의 안키살라, 단쿠타 지구에 있는 칼사 영토는 부다항 왕이 통치했다. 부다항은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공격했을 때 사라졌으며, 샤 왕과의 전투 중에 죽은 키라티 전사들을 되살릴 수 있었다고 한다.[43]

4. 문화

라이족은 탄생부터 죽음까지 삶의 모든 단계에 걸쳐 나타나는 독특한 전통 문화와 의례를 가지고 있다. 지역별로 의식과 의례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라이족이 '''“Suptulung”'''(수프툴룽)에서 조상 의례를 행하는 모습. 수프툴룽은 라이족 공동체의 모든 삶의 주기 문화 의례 활동이 행해지는 신성한 장소이다.


라이족 사회에서 결혼은 단순한 개인적인 결합을 넘어 사회적 승인을 필요로 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라이족의 결혼은 일부일처제와 일부다처제가 모두 존재하지만, 법적인 이유와 태도 변화로 일부다처제는 크게 감소했다.

4. 1. 결혼 제도

라이족 사회에서 결혼은 단순한 개인 간의 결합이 아니라 사회적 승인이 필요한 중요한 현상이다. 결혼 후에도 여성의 씨족은 변하지 않지만, 자녀는 남편의 씨족을 따른다. 라이족에게는 일부일처제와 일부다처제가 모두 존재했지만, 법적인 이유와 사람들의 인식 변화로 일부다처제는 많이 줄었다.[45]

라이족의 전통적인 결혼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쵸리 비하(Chori Biha): 남자가 여자의 부모에게 알리지 않고 여자를 데려가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는 남녀가 서로 오랫동안 알고 지내는 '연애 결혼'과는 다르다. 최근에는 납치 결혼 대신 연애 결혼이 늘고 있다.[45]
  • 위자료 결혼(자리 비하, Zari Biha): 다른 남자의 아내를 동의하에 데려가는 것으로, 이 경우 새 남편은 이전 남편에게 위자료를 지불한다.[45]
  • 과부 결혼(센지 자리 비하, Senzi Zari Biha): 과부가 재혼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으며, 재혼 시 과부의 시아버지나 가족에게 위자료를 지불한다.[45]
  • 중매 결혼(마기 비하, Magi Biha): 양쪽 가족의 합의하에 이루어지는 결혼으로, 신부의 동의가 필수적이다.[45][46]

4. 2. 장례 의식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장례 의식'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요약에 기반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4. 3. 가족과 친족 관계

라이족 사회에서 남녀는 가족과 공동체 내에서 동등한 지위를 누리며, 성차별은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가족의 가장이지만, 여성은 가정 문제에 대한 계획 및 의사 결정에 있어서 동등하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남편은 아내 없이 거의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저녁 식사 후 가족의 일상 활동을 함께 계획하고 논의하여 결정을 내린다.[1]

남편이 사망한 지 1년 후, 미망인은 평상복을 입을 수 있다. 미망인이나 홀아비의 의복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재혼의 자유도 있지만, 재혼 여부는 전적으로 미망인이나 홀아비의 의지에 달려 있다. 미혼 성인 여성은 가족 내에서 매우 강력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녀의 의견은 모두에게 경청된다.[1]

가족 구성원 남녀는 모든 종류의 활동에서 노동을 공유한다. 그러나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요리는 대부분 여성의 책임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여성이 매우 바쁠 때는 남성도 요리의 책임을 진다. 마찬가지로 밭갈이는 일반적으로 남성의 일로 간주되지만, 미혼 여성들도 남성의 일을 돕기 위해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1]

4. 4. 성 역할과 의사 결정

라이족 사회에서 남녀는 가족과 공동체 내에서 동등한 지위를 누리며, 성차별은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가족의 가장이지만, 여성은 가정 문제에 대한 계획 및 의사 결정에 있어서 동등하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남편은 아내 없이 거의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저녁 식사 후 가족의 일상 활동을 함께 계획하고 논의하여 결정을 내린다.[1]

남편이 사망한 지 1년 후, 미망인은 평상복을 입을 수 있으며, 미망인이나 홀아비의 의복에 대한 제한은 없다. 재혼의 자유도 있지만, 재혼 여부는 전적으로 미망인이나 홀아비의 의지에 달려 있다.[1] 미혼 성인 여성은 가족 내에서 매우 강력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녀의 의견은 모두에게 경청받는다.[1]

가족 구성원 남녀는 모든 종류의 활동에서 노동을 공유한다. 그러나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요리는 대부분 여성의 책임으로 간주되지만, 여성이 매우 바쁠 때는 남성도 요리의 책임을 진다. 마찬가지로 밭갈이는 일반적으로 남성의 일로 간주되지만, 미혼 여성들도 남성의 일을 돕기 위해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1]

4. 5. 복식과 장신구

라이족 여성들은 예전에 자체 생산한 천을 카디, 목화, 양모, 그리고 거대쐐기풀로부터 직조했다.[48][49][50]

라이족 여성들의 직조 그림


라이족 남성들은 와치나리 말라(Dzi bead), 팟룽(푸왈로 말라) 화환, 그리고 동물 이빨 목걸이를 착용한다. 남성 복장은 머리 장식(페타; 파가리; 사야붕), 베테붕 셔츠(다움; 록짬), 바지(수루왈; 랑숩), 쐐기풀 섬유로 만든 민소매 코트(착착차; 펭가), 허리띠(나리목티; 파투키; 착친마), 큰 칼(쿠크리, 다바이)로 구성된다.[51]

5. 종교

라이족은 전통적으로 키라트 종교를 따르며, 이는 애니미즘적인 자연 숭배와 조상 숭배를 중심으로 한다.[52] 이들은 천국이나 지옥과 같은 개념을 믿지 않으며, 종교적 계급 구조도 존재하지 않는다. 종교 의식에서는 나크총, 망파, 비주와, 낙소와 같은 부족 무당을 활용한다. 최근에는 힌두교나 기독교를 믿는 사람들도 있다.[15]

5. 1. 키라트 문둠

라이족은 고대부터 키라트 종교를 따르고 있다. 키라트 종교는 애니미즘적인 자연과 조상 숭배를 기반으로 한다. 라이족은 천국이나 지옥을 믿지 않으며, 종교적 계급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키라트 라이족은 종교 의식에서 나크총, 망파, 비주와, 낙소와 같은 부족 무당을 활용한다. 최근 역사를 거치면서 라이족은 자신의 부족 전통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라마교 불교나 네팔 힌두교와 접촉하면서 주요 종교의 요소들을 점차 수용해왔다.[52] 2011년 네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이족의 약 1/3은 힌두교(30%)를, 2/3는 키라트 문둠 다르마(65%)를 따르며, 5%는 기독교인이다.[15]

라이족의 "문둠(mundum)"은 구전 전통이자 오랜 역사를 지닌 의례적 관행이다. 문둠은 "리둠(Ridum)", "무둠(Muddum)", "펠람(Pelam)"으로도 불린다. "무나(Muna)"는 "사람", "둠(dum)"은 "말"을 의미하므로, 문둠은 사람의 말이나 구전 전통을 의미한다. 네팔어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문둠(mundhum)"이라고 발음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에서 "문둠(mundhum)"이라는 용어를 기록했지만, "문둠(mundhum)"이라는 용어는 네팔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원어는 "문둠(mundum)"이다.[60]

개념은 동일하지만, 라이족의 여러 하위 집단 간에 문둠(mundum)이라는 용어의 변형이 있다. Gaenszle (2002: 40–42)은 이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하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어들을 수집했다.[61]

언어문둠 명칭
친탕어, 반타와어, 벨하레어문둠(Mundhum)
메와항어, 반타와어, 삼팡어무둠(Muddum)/무둠(Mudum)
얌푸어민둠(Mindum)/페람(Pe-lam)
쿨룽어리둠(Ridum)
참링어문둠(Mundum)
로호룽어페람(Pe-lam)


5. 2. 수프툴룽

수프툴룽/삼칼룽: 라이족의 세 개의 화덕돌 신성한 예배 장소


틴 훌라 또는 훌라 둥가("세 개의 화덕돌")는 다야훌룽 또는 수프툴룽으로 불리며, 라이족이 출생부터 사망까지 행하는 모든 의례나 제의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모든 라이족의 주요 신은 '틴 훌라'(수프툴룽), 즉 집의 세 개의 화덕돌이다. "루" 또는 "룽"이라는 용어는 돌을 가리키며, 따라서 대부분의 집 화덕 이름에 루 또는 룽과 같은 접미사가 붙는다(예: 타플룽, 수프툴룽, 마얄룽, 게왈룽 등). 출생부터 사망까지 거의 모든 것이 신성한 틴 훌라에서 행해지며, 틴 훌라 없이는 어떤 의례도 행할 수 없다. 라이 문화에서 틴 훌라는 실제적이고 일상적인 삶에 들어가는 관문이다.[53] 모든 라이족의 집에는 (수프툴룽) '틴 훌라'가 있으며, 집 안쪽 모퉁이 한쪽에 묻혀 있다. "다쉬 라이 다쉬 바사 에크 훌라"("다양한 10개의 라이족 모두 같은 틴 훌라를 가지고 있다")라고 하며, 처음에는 10개의 '타르' 라이족만 있었지만, 나중에 많은 '타르' 하위 집단으로 나뉘었다고 믿어진다. 틴 훌라(수프툴룽)는 라이족의 부족 정체성이며, 다양한 키라티 라이족이 하나의 민족 가족으로 통합된 것을 상징한다.[54] 틴 훌라(수프툴룽)는 반타와 라이 방언으로 삼칼룽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삼카"는 조상을, "룽"은 돌을 의미한다. 삼칼룽은 세 개의 주요 돌로 구성된다.

돌 이름의미
파팔룽남성 조상을 상징
마말룽여성 조상을 상징
라밀룽사회적 영적 에너지를 상징



라이족은 틴 훌라를 가장 중요한 신성한 장소로 여기며, 사망 후 라이족의 고인이 된 조상들의 영혼이 사는 신성한 장소이다. 틴 훌라 철학(세 가지 지식 관점)은 라이족의 독특한 원초적 정체성이다.[55]

5. 3. 민간 신앙

라이족은 고대부터 키라트 종교를 따르고 있다. 키라트 종교는 애니미즘적인 자연 및 조상 숭배를 기반으로 한다. 라이족은 천국이나 지옥을 믿지 않으며, 종교적 계급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키라트 라이족은 종교 의식에서 나크총, 망파, 비주와, 낙소와 같은 부족 무당을 활용한다. 최근 역사를 거치면서 라마교 불교네팔 힌두교와 접촉하면서 주요 종교의 요소들을 점차 수용해왔지만, 자신의 부족 전통을 포기하지는 않았다.[52] 2011년 네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이족의 약 1/3은 힌두교(30%)를, 2/3는 키라트 문둠 다르마(65%)를 따르며, 5%는 기독교인이다.[15]

키라트 라이족은 기본적으로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가신과 자연신을 숭배한다.

수니마와 파루항: 키라트 라이족의 원형적인 최초 여성과 최초 남성. 최고 신은 수니마-파루항이다.
수니마는 여성 신으로, 대지모신으로 여겨지며, 파루항은 남성 신으로, 하늘의 신으로도 알려져 있다.

키라트 라이족은 수니마와 파루항을 조상신으로 숭배한다. 수니마는 '헹카마'로도 알려져 있으며 대지모신이고, 파루항은 '니나마'로도 알려져 있으며 하늘의 신이다. 수니마는 최고의 여성 신으로, 파루항의 아내이며 대지를 상징하고 조상 어머니를 나타낸다. 파루항은 최고의 남성 신으로, 수니마의 남편이며 꽃의 주인이다. 수니마-파루항은 라이족의 창조주, 보존자, 유지자 신이다. 이러한 신들은 때때로 네팔 힌두교의 샤이바 신들, 주로 시바파르바티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기원은 다르다.[56][57][58]

5. 4. 샤머니즘

라이족 샤머니즘은 라이족 자체처럼 다양하지만 밀접하게 관련된 여러 샤머니즘 전통들을 포함한다. 네팔 동부의 라이족은 수많은 아종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고유한 전통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의 언어적, 문화적 유산을 공유한다. 문화적으로 라이족은 힌두교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러한 영향은 샤머니즘적 특징이 여전히 두드러지는 그들의 조상 전통에 미미하게만 영향을 미쳤다.[59]

라이족 무당, 네팔 동부


라이족은 고대부터 키라트 종교를 따르고 있다. 키라트 종교는 애니미즘적인 자연과 조상 숭배를 기반으로 한다. 라이족은 천국이나 지옥을 믿지 않으며, 종교적 계급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키라트 라이족은 종교 의식에서 나크총, 망파, 비주와, 낙소와 같은 부족 무당을 활용한다.

6. 부족과 씨족

라이족은 "타르(Thar)"라고 불리는 여러 부족으로 나뉘며, 각 부족은 고유한 언어 또는 방언을 사용한다. 라이족이 여러 부족으로 분화되면서 의례적 관행에 미세한 변화가 생겼지만, 전통의 본질은 대체로 비슷하게 유지된다.[62] "타르" 내에는 "파차(Pacha)"(pa=papa/father, cha=children)라고 불리는 씨족 분류가 있다. 씨족은 외혼을 한다. 파차 내에는 "사멧(Samet)"으로 알려진 더 세분화된 분류가 있다. 사멧은 사람과 그의 조상 간의 관계를 추적한다. 파차와 사멧은 라이족의 주요 의례적 정체성이며, 모든 의례 수행에 반드시 필요하다.[63]

7. 언어

라이어족은 중국-티베트어족의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키란티어군 언어들이다. 2011년 네팔 인구 조사에서 약 80만 명이 키란티어군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밝혔다. 실제 화자 수는 이보다 적을 가능성이 높다. 인도 인구 조사(2001년)에서는 인도 내 라이어와 림부어 화자를 5만 명으로 보고했는데, 대부분은 시킴에 거주한다.[64][65]

8. 축제

라이족은 다양한 축제를 통해 자연과 조상에게 경의를 표하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한다. 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


  • 사켈라: 라이족이 우다울리와 우바울리를 기념하기 위해 모이는 의식이다. 사켈라는 본래 키라티 라이 공동체의 참링족과 관련이 있지만, 많은 라이족이 사켈라를 주요 축제로 여긴다. 사켈라 기간 동안 실리|siltbq라고 알려진 춤을 추며, 자연 숭배와 조상 숭배의 의미를 담고 있다.[66]
  • 누아기: 수확한 농작물을 조상에게 바치는 의식으로,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함께 음식을 나누는 행사이다. 라이족의 자연 숭배 사상을 보여주는 축제이다.[66]
  • 예레 삼밧: 라이족이 사용하는 달력으로, "야레동"이라고도 한다. 마게 산크란티와 같은 날 기념하며, 최초의 키라트 왕 얄람바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8]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축제들이 있다.

  • 와당미 축제: 단쿠타 군 칼사 지역 라이 공동체의 주요 축제이다. "파파니"라고도 하며, 카르틱 푸르니마부터 15일 동안 계속된다.[69]
  • 드왕쿰 축제: 웜불레 라이의 기원지에서 기념되는 문화 축제이다. 힌두력으로 자나이 푸르니마 (보통 8월, 바다우 푸르니마)에 기념된다.[70]
  • 사우네 산크란티 축제: 네팔력 슈라완에 기념된다.

8. 1. 사켈라

사켈라는 라이족이 우다울리와 우바울리를 기념하기 위해 모이는 의식이다. 사켈라는 사실 키라티 라이 공동체의 참링족과 관련이 있다. 다양한 라이 집단의 정체성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라이족은 사켈라를 라이족의 주요 축제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사실 사켈라는 라이족이 모이는 우다울리와 우바울리 기간 동안 행해지는 춤이다. 라이족(참링족)은 서로 다른 언어 집단에서 사켄와, 사켈라, 토시 또는 토쉬, 브메, 사켈, 와스, 세그로, 사케와, 두룰루, 파굴락, 겔랑, 가야푸자와 같이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 이 행사는 1년에 바이삭의 보름달에 우바울리(디리남)로, 망시르의 보름달에 우다울리(치리남)로 키라티 라이 마을에서 15일 동안 진행된다.[66]

사켈라의 주요 철학은 자연 숭배이며, 현재 세대의 존재에 대한 빚을 지고 있는 조상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데 중점을 둔다.[66] 키라티족은 자신들을 자연의 추종자로 여기기 때문에, 우다울리와 우바울리를 사켈라와 함께 기념하여 한편으로는 하늘, 땅, 강, 숲을 숭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족의 사망한 구성원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사켈라 기간 동안, 실리|siltbq라고 알려진 춤이 공연된다. 실리는 마을마다 자얌타 과 돌의 연주 방식이 다르다. 실리의 안무는 중요한 일상 활동을 묘사하고, 파기, 경작, 잡초 제거, 목화 농사와 같은 전통적인 농업 관행의 기원을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새와 동물의 모방도 활기찬 실리에서 공연된다. 수도꼭지와 태양을 숭배하는 것과 같은 다른 활동들이 실리에 묘사되며, 영적인 실리에서는 "타야마-키야마", 사냥꾼, 차숨, 나라와, "파루항-나유마"와 같은 조상들이 춤으로 표현된다.

키라티족의 조상 "헤치하쿠파"는 실리의 최초 공연자로 여겨진다. 오늘날에도 약 45개의 실리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2. 누아기

누아기는 수확한 농작물을 조상에게 바치는 의식으로,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함께 음식을 나누는 행사이다. 라이족은 자연 숭배 사상을 가지고 있어, 조상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현재 세대가 존재할 수 있도록 해준 것에 감사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66]

8. 3. 예레 삼밧

예레 삼밧은 라이족이 사용하는 달력으로, "야레동"이라고도 한다. 마게 산크란티와 같은 날 기념한다. 예레 삼밧은 최초의 키라트 왕 얄람바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8]

키라트 왕 얄람바르가 카트만두 계곡의 고팔 왕조를 물리친 후 이 달력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예레 삼밧은 1월 15일에 시작되며, 네팔에서는 이날을 마게 산크란티로 기념한다. 사람들은 고구마와 여러 종류의 참마 및 셀 로티를 먹는다.[68]

8. 4. 기타 축제

예레 삼밧은 라이족이 사용하는 달력으로, "야레동"이라고도 하며, 마게 산크란티와 같은 날 기념한다. 예레 삼밧은 최초의 키라트 왕 얄람바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8]

  • 와당미 축제: 단쿠타 군 칼사 지역 라이 공동체의 주요 축제이다. "파파니"라고도 하며, 카르틱 푸르니마부터 15일 동안 계속된다.[69]
  • 드왕쿰 축제: 웜불레 라이의 기원지에서 기념되는 문화 축제이다. 힌두력으로 자나이 푸르니마 (보통 8월, 바다우 푸르니마)에 기념되며, 웜불레는 "드왕쿰 푸르네"라고 부른다. 드왕쿰에서는 리브주 우포(리브주 바제), 붐주 우포(붐주 바제), 디브주 우포(디브주 바제), 시시 시카리, 대지(다르티), 하늘(아카시), 조상들을 숭배한다.[70]
  • 사우네 산크란티 축제: 네팔력 슈라완에 기념된다.

9. 민요와 민속 무용

라이족은 다양한 민요와 민속 무용을 통해 삶의 기쁨과 슬픔을 표현하고, 공동체 유대감을 강화한다. 특히 동부 네팔 민속 음악은 라이 공동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71]

라이족의 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

축제 이름설명
와당미 (파파니)단쿠타 군 칼사 지역 라이 공동체의 주요 축제. 카르틱 푸르니마부터 15일 동안 계속된다.[69]
드왕쿰웜불레 라이의 기원지에서 기념되는 문화 축제. 자나이 푸르니마(8월)에 기념하며, 리브주 우포, 붐주 우포, 디브주 우포, 시시 시카리, 대지(다르티), 하늘(아카시) 그리고 조상들을 숭배한다.[70]
사우네 산크란티네팔력 슈라완에 기념.


9. 1. 민요

라이족 공동체는 다양한 춤 노래(chham)를 보존하고 있으며, 특정한 경우에 여러 목적으로 불린다.[71]

  • '''히야리 춤(Hiyari Chham)'''은 라이족 공동체의 결혼식에서 공연되는 특별한 노래이다. 남녀가 주고받는 형식으로, 손님들을 위한 임시 거처나 새 집인 "숭킴(Sungkhim)"에서 불린다. 손님들이 떠날 때도 이 노래를 부르는 곳이 있다.[72]
  • '''사이마 춤(Saima Chham)'''은 탄생, 삶, 생활에 관한 노래이며, 일터나 물가 등에서 불린다. 특히 여성들이 부른다.[73]
  • '''하크파레 춤(Hakpare Chham)'''은 키란트 라이(Kirant Rai) 공동체의 민요로,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든 부를 수 있다. 얌푸(Yamphu), 로호룽(Lohorung), 메와항(Mewahang) 라이 공동체에서 인기 있다.[74]
  • '''라이바리/람와리 춤(Laibari/Lamwari Chham)'''은 라이족의 고대 원형 민요 중 하나이다. 반타와 라이(Bantawa Rai)어에서 "라암(Laam)"은 뿌리를, "와(Wa)"는 물을, "리(Ri)"는 노래를 의미하며, "강과 시내의 삶의 노래"를 뜻한다. 이 민요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현재는 사라져가고 있다.[75][76]

9. 2. 민속 무용

라이족 공동체는 다양한 민속 무용을 통해 그들의 문화와 전통을 표현한다. 특히 동부 네팔 민속 음악은 라이 공동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71]

  • 실리 춤: 우다울리, 우바울리, 사켈라 축제 기간 동안 공연되는 실리 춤은 라이 소부족마다 다른 스타일과 유형을 보인다. 자얌타와 돌이 주로 사용되며, 일부는 자얌타만 사용하거나 동물 을 사용하기도 한다. 실리는 인간의 일상 활동, 수맥과 태양 숭배, 농업 방식, 새와 동물 모방, 사냥, 전쟁 등을 묘사한다.[77]

실리 춤의 전통 악기

  • 와당미 파파니: 와당미 축제 기간 동안 공연되는 춤으로, 앞으로 세 걸음, 뒤로 세 걸음 걷는 방식이 특징이다. 돌과 자얌타 리듬에 맞춰 몸을 움직이며 사랑, 조화, 헌신의 노래를 부른다. 여성의 자유를 존중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78]
  • 총락: 와당미의 일부로, 신들의 영혼을 기쁘게 하기 위해 춤을 추는 초기 단계이다.
  • 홉차: 단쿠타 지역에서 주로 행해지는 전통적인 고전 무용이다.
  • 훌라: 산쿠와사바 지구의 야푸 라이가 망시르월(11월~12월) 벼 수확철에 공연하는 춤으로, 벼농사 춤(단 나치)이라고도 불린다.[79]
  • 샤머니즘 춤: 라이 공동체의 무당들이 다양한 의례 활동에서 공연한다.
  • 마루니 춤: 라이 공동체에서 아디야 마루니, 마달레 마루니 등 다양한 형태로 공연된다.[80]

10. 민속 악기

라이족은 다양한 전통 악기를 사용한다.[81]

악기명설명
비나요 (콩콩마/동)말링고 종 대나무로 만들며, 혀 앞의 끈을 흔들어 연주한다. 키라트 라이족 여성이 휴대한다.
(부부크 켄)사케와 춤에 주로 사용되는 리듬 악기이다. 망파와 비주와도 제사 의식에 사용한다.
즈얌타 (무니콤마/마니켄)톨과 함께 사케와 춤에 연주되며, 비주와와 망파도 제사 의식에 사용한다.
얄람베르 바자 (얄라 켄)대나무 껍질을 벗겨내고 중앙에 네모난 구멍을 만들어 만든다.
머춘가 (카콩)철로 만든 악기로, 키라트 라이족 청년들이 좋아하는 친구에게 선물하는 관습이 있다.
잎 악기 (숨박 켄)매끄러운 잎의 가장자리를 두 입술 사이에 대고 소리를 내어 연주한다.
차리 바자 (카쿠마)대나무로 만든 악기로, 불면 새소리가 난다.
동물 뿔 악기 (풍 켄)들소 뿔에 구멍을 뚫고 말링고 파이프를 넣어 불어서 연주한다. 토시나 와스 탄에서 제사를 지낼 때 연주된다.
무랄리 (비빌림마)말링고 종의 작은 대나무로 만든 플루트이다.
자키 탈 (참비켄)청동판으로, 망파, 비주와, 낙총이 뭉둠 만트라를 읊조릴 때 연주한다.
조르 무랄리두 개의 플루트를 묶어 연주하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악기이다.
디양그로 (상그라 켄)캄부 라이족 샤먼, 망파, 비주와 등이 사용한다.
실리미철로 만든 악기로, 실리 춤을 출 때 사용한다.
마달 (란탕)동물 가죽, 숯, 쌀겨 등으로 만들어지며, 웜불레 라이족 공동체에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바수리웜불레 라이족 공동체에서 특별한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82]
수셀리 (수이스일라)휘파람과 비슷하며, 감미로운 음악으로 사용되거나 신호 전달에 사용된다.[83]
캉링 (발랑갓)라이족 망파, 비주와, 낙총이 의식 활동 중에 사용한다.


11. 직업

라이족의 주요 직업은 농업이다. 대부분 건조한 계단식 논에서 옥수수, 기장, 밀, 겨자를, 물이 많은 논에서는 벼를 경작한다.[84] 재배되는 곡물은 대부분 축제나 가축 사료 등 일상적인 용도로 쓰이며, 술과 맥주를 만들어 소비하거나 현지 시장에서 판매하기도 한다.[84] 거의 모든 가정에서 여성들은 물소, 돼지, 닭을 기르며, 특히 수제 맥주와 알코올을 판매하는 작은 구멍가게를 운영하여 추가적인 소득을 얻는다.[84]

과거 라이족은 사냥을 하였으며 활과 화살을 사용하였고, 방그라(allo)로 만든 옷을 직접 짜서 입었다.[84] 그러나 현대에는 상당수의 라이족이 인도 고르카 연대(Gorkha regiments (India)), 영국 고르카 연대(Royal Gurkha Rifles), 싱가포르 경찰 고르카 부대(Gurkha Contingent of Singapore Police)와 같은 외국 군대에 복무하거나 해외 취업을 하고 있다.[84] 이들은 친척들과 함께 영국,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인도 등 해외 국가에서 일하고 생활할 기회를 얻었으며, 그 결과 다른 토착 집단에 비해 경제적으로는 비교적 나은 상황이다.[84]

과거 키라티(Kirati) 라이족은 키팟(Kipat) 제도하에서 토지를 이용했는데, 이 제도는 사람들이 토지에 대한 공동체적 권리를 행사하는 제도로, 세금이 면제되었으며 경작지, 숲, 하천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포함했다.[84] 키팟 제도 하에서 다른 민족들은 라이족 토지 소유주에게 세금을 내야 했으며, 사람들은 자신의 땅을 직접 경작했고 소유주 이외의 다른 사람이 땅을 임대하거나 경작하는 경우는 드물었다.[84]

거의 모든 라이족 마을에는 군인, 경찰, 공무원, 그리고 고령의 연금 수급자들이 몇 명씩 있다.[84] 이들은 용감하고, 두려움이 없으며, 정직하고, 직선적인 성격 덕분에 군대에 쉽게 합류할 수 있다.[84] 오늘날 많은 라이족이 정부 기관에서 일하고 있으며, 일부는 고위직을 역임하고 있다.[84] 이러한 직업들은 라이족이 근면한 사람들임을 보여준다.[84]

12. 주목할 만한 라이족 인물

이름분야비고
아간싱 라이(Agansing Rai)군인13번째 빅토리아 십자훈장 수훈자[84]
아싯 라이(Asit Rai)작가, 소설가사히티야 아카데미(Sahitya Akademi) 수상자[84]
발 바하두르 라이(Bal Bahadur Rai)정치인고위 내각 장관, 총리 직무 대행; 네팔 국민회의당 원로[84]
다야항 라이(Dayahang Rai)배우, 감독, 극작가만달라 극장 설립자[84]
파완 쿠마르 챔링(Pawan Kumar Chamling)정치인인도 최장수 수석장관(24년 165일), 시킴 민주전선당 창립자[84]
라잔 무카룽(Rajan Mukarung)작가, 활동가[84]
람 프라사드 라이(Ram Prasad Rai)혁명 투사라나 독재에 맞선 혁명 투사[84]
수단 키라티(Sudan Kirati)정치인네팔 문화관광민간항공부 장관[84]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Nepal caste-ethnicity results https://censusnepal.[...]
[2] 웹사이트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1 PDF https://censusnepal.[...]
[3] 웹사이트 Sikkim University: Ethnographic Report of the Kirat Khambu Rai Community of Sikkim http://14.139.206.50[...]
[4] 웹사이트 An Anthropological Venture into the Rai Community of Darjeeling Hills West Bengal India https://www.research[...] 2020-06-24
[5] 웹사이트 Linguistic and Religious Minorities Under SSP Led Government http://14.139.211.59[...]
[6] 웹사이트 Caste ethnicity and religion of Nepal Ministry of Health page 56 https://nepal.unfpa.[...] 2024-05-03
[7] 웹사이트 The Tibeto-Burman Languages of Nepal A General Survey https://lib.icimod.o[...]
[8] 웹사이트 Kirat Khambu Rais of Sikkim and Eastern Himalayas https://archive.org/[...] 2005-03-23
[9] 웹사이트 Rai Culture LandNepal https://www.landnepa[...] 2021-06-12
[10]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Sikkim 2011 Rai https://www.censusin[...]
[11] 웹사이트 Village survey monograph on upper Pedong http://www.gov.in:80[...] Census of India 1961 West Bengal & Sikkim Volume XV1, Part VI (10)
[12] 웹사이트 Gurkhas (1915) by Vansittart Eden https://archive.org/[...] 2023-09-06
[13] 웹사이트 New Past for the Sake of a Better Future: Re-inventing the history of the Kirant in East Nepal http://himalaya.soca[...]
[14] 웹사이트 Following the Ancestors and Managing the Otherness https://halshs.archi[...]
[15] 웹사이트 Population Monograph of Nepal, Volume II go to page 56 https://nepal.unfpa.[...]
[16] 웹사이트 2011 Nepal Census, District Level Detail Report https://cbs.gov.np/w[...] 2023-03-21
[17] 웹사이트 Social Structure, Cultural Value and Transformation: A Study of Rai Community in Sikkim http://14.139.206.50[...]
[18] 웹사이트 LINGUISTIC AND RELIGIOUS MINORITIES UNDER SSP LED GOVERNMENT http://14.139.211.59[...]
[19] 웹사이트 Population of Sikkim:A Geographical Analysis http://14.139.206.50[...]
[20] 웹사이트 Significance of "thar"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Khambu Rais: Some Observations https://ir.nbu.ac.in[...]
[21] 웹사이트 WHERE THE WATERS DRY UP THE PLACE OF ORIGIN IN RAI MYTH AND RITUAL MARTIN GAENSZLE https://www.brill.co[...]
[22] 서적 Origins and Migrations in the Extended Eastern Himalayas https://books.google[...] BRILL 2012-02-03
[23] 웹사이트 Why all Nepalis should care about a rock in the Koshi River https://www.recordne[...]
[24] 웹사이트 Tuwachung-Jayajum Pilgrimage https://hav.univie.a[...]
[25] 웹사이트 Jau Khleu Proto-history: Orphans Thulung Rai version audio record Thulung language & English translation https://pangloss.cnr[...]
[26] 웹사이트 Social Reality in Oral Literature: A Study of the Rai Folk Narratives from Sikkim http://14.139.206.50[...]
[27] 웹사이트 The Sacred Complex of Halesi: A Hindu, Buddhist and Kirata Spiritual Interface http://saarcculture.[...]
[28] 웹사이트 Tuwachung Jayajum https://www.indigeno[...]
[29] 웹사이트 Salpa Pokhari: The Holy Lake of High Nepal https://www.monkboug[...] 2012-02-09
[30] 웹사이트 Culture, Religious and Spiritual values of Sacred Salpa Pokhari (Lak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Nepal http://www.env.go.jp[...]
[31] 웹사이트 Salpa Pokhari Booklet https://wwf.panda.or[...]
[3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Ancient and Medieval Nepal http://himalaya.soca[...]
[33] 웹사이트 The Lichhavi and Kirat kings of Nepal https://web.archive.[...] 2017-12-09
[34] 웹사이트 Ancient Towns of Kathmandu Valley A Survey of Legends, Chronicles and Incriptions http://himalaya.soca[...]
[35] Youtube Kirat Pahichan Historical Documentary https://m.youtube.co[...] 2021-06-21
[36] 웹사이트 Department of archaeology yet to study ruins recovered in dolakha https://kathmandupos[...]
[37] 웹사이트 Ruines of anciant chutaras(resting places) https://roundsimagin[...]
[38] 웹사이트 Kirat Rai Historical Documentary https://m.youtube.co[...] 2017-09-09
[39] 서적 The Gorkha conquests :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the unification of Nepal,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eastern Nepal http://14.139.206.50[...]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40] 서적 Pavana Cāmaliṅa: zamīna se juṛe eka rājanītijña kā safaranāmā https://books.google[...] Atmaram & Sons
[41] 서적 Nepal: Refugee to Ruler : a Militant Race of Nepal https://books.google[...] APH
[42] 웹사이트 फिचर : अतिक्रमणमा परे ओखलढुंगाका गढी http://libju-bhumju.[...]
[43] 웹사이트 Worshiping the King God:A Preliminary Analysis of Chintang Ritual Language in the Invocation of Rajdeu https://www.research[...]
[44] 웹사이트 Regmi Research (Private) Ltd, Lazimpat, Kathmandu https://www.ecommons[...]
[45] 학술지 Eastern Nepalese Marriage Customs and Kinship Organization https://www.jstor.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5-01-01
[46] 웹사이트 Changes in Marriage and Kinship Systems Among Bantawa Rai in Eastern Nepal https://www.research[...]
[47] 웹사이트 Rai funerary rites three days https://av.mandala.l[...]
[48] 웹사이트 Khadi industry makes a comeback in Khotang https://www.amp/myre[...]
[49] 웹사이트 Voices From The Field: How SABAH Nepal And Krishna Kumari Rai Reimagined Traditional Allo And Took It To The World https://hnsa.org.in/[...]
[50] 웹사이트 Nettles in Nepal http://www.transrura[...]
[51] 웹사이트 Rai male dress https://www.clothing[...]
[52] 웹사이트 Contesting Power, Negotiating Influence: Rai Shamans and New Religious Movements in Eastern Nepal https://www.research[...]
[53] 웹사이트 Kirat Rai Culture/Civilization and religion किरात राईहरुको संस्कृतिक संस्कार परम्परा https://www.youtube.[...] 2020-02-01
[54] 웹사이트 Suptulung Is The Indigenous Knowledge of Kirat Rai People https://www.nepjol.i[...]
[55] 웹사이트 Khambu Rai "Chula": Spiritual Bio Geometry https://himalayancul[...] 2020-07-26
[56] 서적 Mithology Of People Of Sikkim https://books.google[...] Gyan Publishing House
[57] 웹사이트 Puma and {{sic|I|t's|nolink=y}} Ritual Performances http://elibrary.tucl[...]
[58] 웹사이트 WHY KIRATS ARE CALLED NATURE WORSHIPPERS? https://www.bungwakh[...] 2021-06-03
[59] 웹사이트 Shamanism An Encyclopedia of World Beliefs, Practices And Culture http://files.meetup.[...] 2023-09-30
[60] 웹사이트 Indigenous Knowledge In Mundum And Suptulung https://www.nepjol.i[...]
[61] 웹사이트 Mundum : A Case Study of Chintang Ritual Language https://www.research[...]
[62] 웹사이트 Thar, Pacha & Samet : Khambu Clan System https://himalayancul[...] 2020-05-01
[63] 웹사이트 THE RAI TRIBE https://taxiservicei[...]
[64] 웹사이트 Boyd Michailovsky. Kiranti Languages. The Sino-Tibetan Languages, 2017. halshs-01705023 https://halshs.archi[...]
[65] 웹사이트 The Languages of India report on the census of India 1901 http://lsi.gov.in:80[...]
[66] 웹사이트 The Embodiment of Rai Ethnic Identity in Sakela Performance http://www.marionwet[...]
[67] 웹사이트 पितृपुजा (न्वगी) | KIRATRAI.ORG http://kiratrai.org/[...]
[68] 웹사이트 Kirant Identity And Yele Sambat—indigenousvoice https://www.indigeno[...]
[69] 웹사이트 WADHANGMI - किराती मौलिक लोक लयमा अाधारित (वाढाङमी लयमा अाधारित) पुर्खाको कथा पुर्खाको ब्यथा - 2076 https://www.youtube.[...] 2019-07-07
[70] 웹사이트 संस्कृति : संकटमा किरात वाम्बुले राई जातिको महान् चाड 'ढ्वाङ्कुमो' https://libjubhumju.[...] 2020-09-15
[71] 웹사이트 Rai Songs and Rituals https://www.tirakita[...]
[72] 웹사이트 HIYARI - किराती मौलिक लोक लयमा अाधारित (हियारी) अाईया नि साईमा च्यौ "रुङरीमा" - 2076 https://www.youtube.[...] 2019-07-07
[73] 웹사이트 Saima Chham A Rai Wedding song https://av.mandala.l[...]
[74] 웹사이트 Yamphu Hakpare songs https://www.isaiyamp[...] 2019-10-09
[75] 웹사이트 पुर्वको मौलिक लोकभाका:लैबरी https://m.youtube.co[...] 2020-05-10
[76] 웹사이트 LAIBARI (LAMWARI) MOVIE DILENDRA MUKARUNG RAI https://m.youtube.co[...] 2015-12-05
[77] 웹사이트 Kirat Rai Culture/Civilization and Religion https://m.youtube.co[...] 2020-02-01
[78] 웹사이트 Kirat Rai CommunityFacebook login https://www.facebook[...]
[79] 웹사이트 Hurla Song of Yamphu movie Senungfu https://m.youtube.co[...] 2020-08-22
[80] 웹사이트 Isilim Magazine of Dumi Kirat Rai Fansikhim http://himalaya.soca[...]
[81] 웹사이트 Kirat Rai Folk Tune - किरात लोक धुन - Naulakha https://www.youtube.[...] 2011-01-12
[82] 웹사이트 वाम्बुले राई र बाँसुरी लोक परम्पराको सुनौलो कथा https://libjubhumju.[...] 2020-09-15
[83] 웹사이트 New Lok Geet 2075/2018 | Sunkoshi Bagyo Salala - Jeeten Rai https://www.youtube.[...]
[84] 웹사이트 The impacts of Modernization on the traditional Sakawa Sili festival in the Rai Kirat community of Nepal: A case study of the Rai community https://munin.uit.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