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마모토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마모토현 선거구는 구마모토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이다. 의원 정수는 2명이며, 2022년 9월 기준 유권자 수는 1,450,565명이다. 보수 세력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으로, 2001년 1인 선거구가 된 이후 자민당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역대 의원으로는 호소카와 모리히로 등이 있으며, 최근 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현의 선거구 - 구마모토현 제1구
구마모토현 제1구는 1994년 신설된 중의원 소선거구로 구마모토시 일부를 포함하며, 호소카와 모리히로, 마쓰노 요리히사, 키하라 미노루 등이 국회의원을 지냈고, 가장 최근 선거에서는 키하라 미노루가 당선되었다. - 구마모토현의 선거구 - 구마모토현 제4구
구마모토현 제4구는 일본 중의원 선거구로, 구마모토현 남부 지역을 관할하며, 1996년 신설되어 선거구 개편을 거쳤고,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소노다 히로유키, 가네코 야스시 등이 있다. - 호소카와 모리히로 - 고이케 유리코
고이케 유리코는 카이로 대학교 졸업 후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다 정계에 입문하여 환경대신, 방위대신 등을 역임하고 현재 도쿄도지사로 재임 중인 일본의 정치인으로, 도민제일회를 창당하고 희망의 당을 이끌기도 했으며 경제 자유주의와 우익 포퓰리즘 성향으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호소카와 모리히로 - 일본신당
일본신당은 호소카와 모리히로가 1992년 창당한 일본 정당으로, 정치 개혁과 55년 체제 타파를 목표로 1993년 중의원 선거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호소카와 내각 구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나, 정책 혼선과 내부 갈등으로 1994년 해산되었음에도 일본 정치에 큰 변화를 가져온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선거구
에히메현 선거구는 에히메현 전체를 지역구로 하며, 참의원 의원 2명을 선출하고, 2022년 제26회 선거에서 야마모토 준코가 당선되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와카야마현 선거구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로서 와카야마현 전체를 관할하며 2명의 의원을 선출하고, 자유민주당의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이나 과거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구마모토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구마모토 현 선거구 |
원어 이름 | 熊本県選挙区 |
종류 | 의회 |
의회 이름 | 참의원 (일본) |
![]() | |
선거구 | 구마모토 현 |
선거인 수 (2022년 9월 기준) | 1,440,373명 |
설치 연도 | 1947년 |
의석수 | 2석 |
의원 | 2019년 선출 의원: 바바 세이시 (자민당) 2022년 선출 의원: 마쓰무라 요시후미 (자민당) |
2. 선거구 정보
지역 | 구마모토현 전역 |
---|---|
의원 정수 | 2명 (개선 정수 1명) |
유권자 수 | 1,450,565명 (2022년 9월 기준) |
구마모토현은 자민당을 비롯한 보수 세력의 힘이 강하며, 2001년에 1인 선거구가 된 이후 오자와 이치로가 민주당 대표로 있던 2007년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승리했지만, 미야자키현에서의 구제역 유행이 관심사가 되었던 2010년 선거 이후로는 자민당이 연승하고 있다.
다음은 최근 구마모토현 선거구에서 실시된 선거 결과이다.
3. 역사
호소카와 모리히로는 1977년 선거에서 이 선거구에서 당선되었으며, 나중에 구마모토현 지사를 역임하고, 중의원 의원으로 전직하여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했다.
4. 역대 의원
홀수회 짝수회 의원 1 의원 2 선거 의원 1 의원 2 다카타 스스무(일본민주당) 호리우치 이타루(일본사회당) 1947년 제1회 다니구치 야사부로(일본민주당)[5] 후카미 로쿠로(일본자유당)[5] 조 기신(일본자유당) 1948년 보궐 colspan="2" rowspan="3" | colspan="2" rowspan="2" | 1950년 제2회 후카미 로쿠로(자유당) 다니구치 야사부로(국민민주당) 1952년 보궐 마쓰노 쓰루헤이(자유당) 마쓰노 쓰루헤이(자유당) 데라모토 고사쿠(개진당) 1953년 제3회 colspan="2" rowspan="2" | colspan="2" rowspan="2" | 1956년 제4회 모리나카 모리요시(일본사회당) 하야시다 마사하루(무소속) 사쿠라이 사부로(자유민주당) 1959년 제5회 마쓰노 쓰루헤이(자유민주당) 노가미 스스무(자유민주당) 1960년 보궐 colspan="2" rowspan="3" | 사와다 잇세이(자유민주당) 1962년 제6회 소노키 노보루(일본사회당) 하야시다 마사하루(자유민주당) 기타구치 류토쿠(자유민주당) 1963년 보궐 모리나카 모리요시(일본사회당) 사와다 잇세이(자유민주당) 1965년 제7회 소노다 기요미쓰(자유민주당) colspan="2" rowspan="2" | 1968년 제8회 다카타 고운(자유민주당) 소노다 기요미쓰(자유민주당) 1971년 제9회 데라모토 고사쿠(자유민주당) 모리나카 모리요시(일본사회당) colspan="2" rowspan="3" | 1974년 제10회 다카타 고운(자유민주당) 소노다 기요미쓰(자유민주당) 미요시 신지(자유민주당) 1977년 제11회 호소카와 모리히로(자유민주당) 다시로 유키오(자유민주당) 1979년 보궐 미우치 핫스이(자유민주당) 1980년 제12회 다시로 유키오(자유민주당) 소노다 기요미쓰(자유민주당) 사와다 잇세이(자유민주당) 우라타 마사루(자유민주당) 1983년 제13회 colspan="2" rowspan="2" | 모리즈미 유신(자유민주당) 1985년 보궐 colspan="2" rowspan="2" | 1986년 제14회 다시로 유키오(자유민주당) 모리즈미 유신(자유민주당) 1989년 제15회 기히라 데이코(무소속) 사와다 잇세이(무소속) colspan="2" rowspan="2" | 1992년 제16회 모리즈미 유신(자유민주당) 우라타 마사루(무소속) 아소다 기요시(신진당) 1995년 제17회 미우라 잇스이(무소속) 우오즈미 히로히데(무소속) 1998년 제18회 혼다 료이치(민주당) 기무라 히토시(자유민주당) 2000년 보궐 colspan="2" rowspan="8" | 미우라 잇스이(자유민주당) 2001년 제19회 colspan="2" rowspan="2" | 2004년 제20회 기무라 히토시(자유민주당) 2007년 제21회 마쓰노 노부오(민주당) colspan="2" rowspan="2" | 2010년 제22회 마쓰무라 요시후미(자유민주당) 2013년 제23회 바바 세이시(자유민주당) colspan="2" rowspan="2" | 2016년 제24회 마쓰무라 요시후미(자유민주당) 2019년 제25회 바바 세이시(자유민주당) | 2022년 제26회 마쓰무라 요시후미(자유민주당) |
5. 최근 선거 결과
선거 회차 당선 의원 정당 득표수 비고 제23회 (2013년) 바바 세이시 자유민주당 450,617 제22회 (2010년) 마쓰무라 요시후미 자유민주당 393,674 제21회 (2007년) 마쓰노 노부오 민주당 440,742 제20회 (2004년) 기무라 히토시 자유민주당 411,542 제19회 (2001년) 미우라 카즈미 자유민주당 477,997 2000년 보궐선거 우오즈미 가쓰히데 무소속 386,674 아소다 키요시 사직 제18회 (1998년) 혼다 료이치 민주당 296,389 제17회 (1995년) 아소다 키요시 신진당 315,898 제16회 (1992년) 모리즈미 아리노부 자유민주당 211,414 제15회 (1989년) 사와다 잇세이 무소속 284,325 제14회 (1986년) 다시로 유키오 자유민주당 324,661 1985년 보궐선거 모리즈미 아리노부 자유민주당 303,442 소노다 기요미쓰 사망 제13회 (1983년) 사와다 잇세이 자유민주당 324,531 제12회 (1980년) 다시로 유키오 자유민주당 325,448 1979년 보궐선거 미우라 야스시 자유민주당 524,595 미요시 신지 사망 1977년 보궐선거 다시로 유키오 자유민주당 351,335 다카다 고운 사망 제11회 (1977년) 미요시 신지 자유민주당 331,782 제10회 (1974년) 다카다 고운 자유민주당 295,563 제9회 (1971년) 테라모토 고사쿠 자유민주당 307,909 제8회 (1968년) 다카다 고운 자유민주당 291,280 1965년 보궐선거 소노다 기요미쓰 자유민주당 304,641 기타구치 류토쿠 사망 제7회 (1965년) 모리나카 모리요시 일본사회당 222,976 1963년 보궐선거 기타구치 류토쿠 자유민주당 494,767 소노키 노보루 사망 1962년 보궐선거 사와다 잇세이 자유민주당 249,677 마쓰노 쓰루헤이 사망 제6회 (1962년) 소노키 노보루 자유민주당 240,091 1960년 보궐선거 노가미 스스무 자유민주당 294,589 사쿠라이 사부로 사망
5. 1.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22년)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마쓰무라 요시후미 | 자유민주당 | 426623 | 62.17 | 공명당 추천 |
데구치 신타로 | 입헌민주당 | 149780 | 21.83 | 사회민주당 추천 |
다카이 지토세 | 참정당 | 78101 | 11.38 | |
혼마 아키코 | NHK당 | 31734 | 4.62 |
5. 2.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9년)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바바 세이시 | 자유민주당 | 379,223 | 56.40 | 공명당 추천 |
아베 히로미 | 무소속 | 262,664 | 39.06 | 일본공산당, 사회민주당 추천 |
사이쇼지 신야 |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 30,539 | 4.54 |
5. 3.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6년)
2016년 7월 10일에 실시된 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구마모토현 선거구는 자유민주당의 마쓰무라 요시후미 후보가 당선되었다. 상세한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4]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마쓰무라 요시후미 | 자유민주당 | 440,607 | 59.14% | |
아베 히로미 | 무소속 | 269,168 | 36.13% | 민진당, 일본공산당, 사회민주당 추천 |
기노시타 준코 | 행복실현당 | 20,742 | 2.78% | |
혼도 데쓰야 | 지지정당 없음 | 14,493 | 1.95% |
참조
[1]
웹사이트
総務省|令和4年9月1日現在選挙人名簿及び在外選挙人名簿登録者数
https://www.soumu.go[...]
2023-01-04
[2]
웹사이트
Mr. BABA Seishi
https://www.sangiin.[...]
2020-07-30
[3]
웹사이트
Mr.MATSUMURA Yoshifumi
https://www.sangiin.[...]
2020-07-30
[4]
웹사이트
総務省|令和2年9月1日現在選挙人名簿及び在外選挙人名簿登録者数
https://www.soumu.go[...]
2021-08-18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