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산팔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산팔해는 불교 우주관에서 세계를 구성하는 아홉 개의 산과 여덟 개의 바다를 의미한다. 여러 불교 경전과 논서에서 그 이름과 순서가 언급되며, 《기세경》을 기준으로 수미산, 7금산, 철위산으로 구성된 9산과 수미해, 지쌍해, 첨목해, 선견해, 마이해, 상이해, 외해로 구성된 8해를 설명한다. 각 산과 바다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불교의 세계관과 수행의 과정을 상징한다. 특히 수미산은 깨달음의 경지를 상징하며, 한국 불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 9산 8해의 이름

여러 불교 경전과 논서에서 9산8해의 이름과 순서가 나타나는데, 경전과 논서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장아함경》, 《기세경》, 《기세인본경》, 《구사론》, 《유가사지론》 등에서 9산 8해를 언급한다.

8해(八海)는 제8해인 외해(外海)를 제외하고, 각 산을 둘러싸고 있는 바다의 이름을 따라 명명된다. 예를 들어 제1산인 수미산을 둘러싼 제1해는 수미해(須彌海)이다.

아래 표는 《기세경》 제1권에 따른 이름과 순서를 기준으로 한다. 모든 경론에서 순서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으며, 빨간색과 주황색 표시는 순서가 불일치하는 경우이다.


수미산(須彌山)
수메루/Sumerusa,
메루/Merusa
수미산(須彌山)
수미산(須彌山)
소미로산(蘇迷盧山)
묘고산(妙高山)
수메루/Sumerusa
소미려산(蘇迷慮山)
수메루/Sumerusa
제2산거제라(佉提羅)카디라카/Khadirakasa
카라비카/Karavīkapi
가타라(伽陀羅)거제라가(佉提羅迦)
지쌍산(持雙山)
유감다라/Yugaṁdharasa
지쌍산(持雙山)
유감다라/Yugaṁdharasa
제3산이사타라(伊沙陀羅)이샤다라/Īsādharasa
이샤다라/Isadharapi
이사타라(伊沙陀羅)이사타라(伊沙陀羅)이사타라산(伊沙馱羅山)
지축산(持軸山)
이사다라/ĪṢādharasa

비나타카/Vinatakasa
제4산유건타라(遊乾陀羅)/Yugaṁdharasa
유간다라/Yugandharapi
수거타라(樹巨陀羅)유건타라(遊揵陀羅)걸지낙가산(朅地洛迦山)
첨목산(檐木山)
카디라카/Khadirakasa
마이산(馬耳山)
아슈바카르나/Aśvakarnasa
제5산선견(善見)수다르샤나/Sudarśanasa
수닷사나/Sudassanapi
선견(善見)선견(善見)
선견산(善見山)
수다르샤나/Sudarśanasa
선견산(善見山)
수다르샤나/Sudarśanasa
제6산마반두(馬半頭)아슈바카르나/Aśvakarnasa
앗사칸나/Assakaṇṇapi
마식산(馬食山)마반두(馬半頭)알습박갈나산(頞濕縛羯拏山)
마이산(馬耳山)
아슈바카르나/Aśvakarnasa
걸달락가산(朅達洛迦山)
카디라카/Khadirakasa
제7산니민타라(尼民陀羅)/Nimimdharasa
네민다라/Nemindharapi
니민타라(尼民陀羅)니민타라(尼民陀羅)비나달가산(毘那怛迦山)
상이산(象耳山)
유장애산(有障礙山)
비나타카/Vinatakasa
지축산(持軸山)
이사다라/ĪṢādharasa
제8산비나야가(毘那耶迦)비나타카/Vinatakasa
비나타카/Vinatakapi
조복(調伏)비나야가(毘那耶迦)니민달라산(尼民達羅山)
지산(持山)
어명산(魚名山)
니민다라/Nimindharasa
니민달라산(尼民達羅山)
니민다라/Nimindharasa
작가라(斫迦羅)
윤원(輪圓)
철위산(鐵圍山)
차크라바다/Cakravāḍasa
착카발라/Cakkavāḷapi
금강위(金剛圍)작가라(斫迦羅)
윤(輪)
윤원산(輪圓山)
철륜위산(鐵輪圍山)
차크라바다/Cakravāḍasa
윤위산(輪圍山)
차크라바다/Cakravāḍasa



각 산의 이름은 그 형상이나 특징에 따라 붙여졌다. 예를 들어 수미산(須彌山)은 '뛰어난 고산'이라는 뜻이고, 지쌍산(持雙山)은 '쌍으로 된 것을 가진 산'이라는 뜻이다.

2. 1. 경전 및 논서별 이름 비교

3. 9산

3. 1. 수미산 (須彌山)

수미산(須彌山)은 구산팔해의 중심에 있는 산으로, 불교 우주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불교 경전에 따르면 수미산은 높이가 8만 유순, 너비가 8만 유순에 달하는 거대한 산이다. 수미산은 금, 은, 유리, 파리의 네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은 서로 다른 보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미산은 불교에서 깨달음의 경지를 상징하며, 수행자들이 도달해야 할 목표를 의미한다. 한국 불교에서도 수미산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사찰 건축이나 불화 등에서 수미산을 형상화한 것을 볼 수 있다.

3. 2. 7금산 (七金山)

7금산(七金山)은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일곱 개의 금으로 된 산을 통칭한다.

지쌍산(持雙山)은 7금산 중 하나로, 수미산 다음에 위치한다.

지축산(持軸山)은 7금산 중 하나로, 지쌍산 다음에 위치한다.

첨목산(檐木山)은 7금산 중 하나로, 지축산 다음에 위치한다.

선견산(善見山)은 7금산 중 하나로, 첨목산 다음에 위치한다.

마이산(馬耳山)은 7금산 중 하나로, 선견산 다음에 위치한다.

상이산(象耳山)은 7금산 중 하나로, 마이산 다음에 위치한다.

지산(持山) · 어명산(魚名山)은 7금산 중 하나로, 상이산 다음에 위치한다.

3. 2. 1. 지쌍산 (持雙山)

지쌍산은 7금산 중 하나로, 수미산 다음에 위치한다.

3. 2. 2. 지축산 (持軸山)

7금산 중 하나로, 지쌍산 다음에 위치한다.

3. 2. 3. 첨목산 (檐木山)

7금산 중 하나로, 지축산 다음에 위치한다.

3. 2. 4. 선견산 (善見山)

7금산 중 하나로, 첨목산 다음에 위치한다.

3. 2. 5. 마이산 (馬耳山)

7금산 중 하나로, 선견산 다음에 위치한다.

3. 2. 6. 상이산 (象耳山)

7금산 중 하나로, 마이산 다음에 위치한다.

3. 2. 7. 지산 (持山) · 어명산 (魚名山)

7금산 중 하나로, 상이산 다음에 위치한다.

3. 3. 철위산 (鐵圍山) · 철륜위산 (鐵輪圍山)

구산팔해 세계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산은 철위산(鐵圍山) 또는 철륜위산(鐵輪圍山)으로 불린다. 이 산은 9산 8해 세계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4. 8해

4. 1. 내해 (內海)

수미산과 철위산 사이에 있는 일곱 개의 바다를 통칭하여 내해(內海)라고 한다. 각 내해는 7금산 사이에 위치하며, 8공덕수(八功德水)로 채워져 있다. 8공덕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 감로수와 같이 달콤하다.
  • 온도: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아 적당하다.
  • 성질: 맑고 깨끗하며, 가볍고 부드럽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8공덕수는 마시는 이로 하여금 몸과 마음의 평화를 얻게 하고,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힘을 지녔다고 여겨진다.

내해는 한국 불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불교 경전에서는 내해를 건너는 것을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또한, 내해는 불교의 이상향인 정토(淨土)를 상징하기도 한다.

내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수미해 (須彌海) · 묘고해 (妙高海): 내해 중 첫 번째 바다로,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다.
  • 지쌍해 (持雙海): 내해 중 두 번째 바다로, 지쌍산을 둘러싸고 있다.
  • 첨목해 (檐木海): 내해 중 네 번째 바다로, 첨목산을 둘러싸고 있다.
  • 선견해 (善見海): 내해 중 다섯 번째 바다로, 선견산을 둘러싸고 있다.
  • 마이해 (馬耳海): 내해 중 여섯 번째 바다로, 마이산을 둘러싸고 있다.
  • 상이해 (象耳海): 상이산(象耳山)을 둘러싸고 있는 내해 중 일곱 번째 바다이다.

4. 1. 1. 수미해 (須彌海) · 묘고해 (妙高海)

내해 중 첫 번째 바다로,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다.

4. 1. 2. 지쌍해 (持雙海)

내해 중 두 번째 바다로, 지쌍산을 둘러싸고 있다.

4. 1. 3. 지축해 (持軸海)

요약과 원본 소스에 지축해(持軸海)에 대한 내용이 없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4. 1. 4. 첨목해 (檐木海)

내해 중 네 번째 바다로, 첨목산을 둘러싸고 있다.

4. 1. 5. 선견해 (善見海)

내해 중 다섯 번째 바다로, 선견산을 둘러싸고 있다.

4. 1. 6. 마이해 (馬耳海)

내해 중 여섯 번째 바다로, 마이산을 둘러싸고 있다.

4. 1. 7. 상이해 (象耳海)

상이산(象耳山)을 둘러싸고 있는 내해 중 일곱 번째 바다이다.

4. 2. 외해 (外海)

외해(外海)는 7금산과 철위산 사이에 있는 여덟 번째 바다이다. 짠물로 채워져 있다.

5. 9산 8해와 한국 불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