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산은 약 1억 년 전 자갈이 쌓여 만들어진 역암으로 구성된 산으로,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인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의 지질유산이다. 마이산의 봉우리 중턱 급경사면에는 타포니 지형이 발달했으며, 조선 태조 이성계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특히, 이성계가 꿈에서 금척을 받았다는 내용은 궁중 무용인 금척무로 만들어져 전해지며, 마이산에는 은수사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줄사철나무 군락과 청실배나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안군의 지리 - 운장산
- 진안군의 지리 - 부귀산
부귀산은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명승 - 광한루원
광한루원은 조선 시대에 조성된 누원으로서, 광통루에서 시작하여 광한루로 개명되었으며, 춘향전의 배경이자 은하수를 상징하는 연못과 오작교, 삼신도 등의 조경 시설과 다양한 건축물이 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명승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명승 -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은 아름다운 풍경의 선유도와 임금을 그리워했다는 망주봉을 중심으로 서해 낙조를 감상할 수 있는 지역으로, 오룡묘, 숭산행궁 등의 유적과 함께 문화재청의 명승자원조사보고서에 언급될 정도로 경관이 뛰어나다.
마이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이산 |
한자 | 馬耳山 |
로마자 표기 | Maisan |
위치 | 전라북도 진안군 |
산맥 | 금남호남정맥 |
지리 정보 | |
높이 | 687.4m |
공원 정보 | |
종류 | 대한민국의 도립공원 |
공원명 | 마이산도립공원 |
영어 표기 | Maisan Provincial Park |
한글 표기 | 마이산도립공원 |
한자 표기 | 馬耳山道立公園 |
기타 정보 | |
특징 | 암마이산 숫마이산 |
명승 지정 번호 | 명승 제12호 |
명승 지정일 | 2003년 10월 31일 |
지정 면적 | 206,423 m² (지정 구역) |
문화재청 지정 번호 | 15,00120000,35 |
2. 지질
마이산은 약 1억년 전 자갈이 쌓여 만들어진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산 일대에 분포하는 역암 지층을 마이산 역암층이라 한다. 마이산은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인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의 지질유산이다.[12] 마이산은 중생대 후기 약 1억년 전까지 호수였으나 대홍수시 모래, 자갈 등이 물의 압력에 의하여 이루어진 수성암으로 약 7천만 년 전 지각 변동으로 융기되어 지금의 마이산이 이루어졌으며 지금도 민물고기 화석이 간혹 발견된다.[3]
2. 1. 타포니 지형
마이산을 남쪽에서 보면 봉우리 중턱 급경사면에 군데군데 마치 폭격을 맞았거나, 파먹은 것처럼 움푹 패인 크고 작은 굴들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타포니 지형이다.[4] 풍화작용은 보통 바위 표면에서 시작되나 타포니 지형은 바위 내부에서 시작하여 내부가 팽창되면서 밖에 있는 바위 표면을 밀어냄으로써 만들어진다.[4]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사례로 꼽힌다.[4]
3. 역사
조선 이성계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특히, 이성계가 꿈에서 금척을 받았다는 내용은 몽금척(금척무)이라는 궁중 무용으로 만들어져 전해진다.
금척무(金尺舞)는 조선 초기에 창제된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한 종목으로, 몽금척(夢金尺) 또는 금척이라고도 한다. 1393년(태조 2) 정도전(鄭道傳)이 이성계가 잠잘 때 신인(神人)이 금척을 가지고 하늘에서 내려와 문무(文武)를 겸비하고 민망(民望)한 태조에게 주었다는 내용의 악장을 지어 바쳤다.[5] 이 악장을 바탕으로 춤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바로 금척무이다.[5]
조선 성종(1469~1494) 때 공연된 금척은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 권4에 도설되어 있다. 금척정재의 작대도(作隊圖)·초입배열도(初入排列圖)·회무도(回舞圖)가 있으며, 금척의 음악은 고취악(鼓吹樂)을 차용했다.[5]
죽간자(竹竿子) 2명과 족자(簇子) 1명 및 12명의 협무(挾舞)로 구성된 이 정재(呈才)는 "오운개서조인자"(五雲開瑞朝引子)·"소포구락"(小抛毬樂) 등의 반주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다가 "금척령"(金尺令)에 맞추어 무용수들은 "금척사"(金尺詞)를 노래로 부른다.[5] 금척사(金尺詞)는 궁중 연회 때 금척무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 가사이다.[6][7][8][9]
1630년(인조 8) 대왕대비(大王大妃)의 진풍정(進豊呈) 때 금척은 헌선도(獻仙桃)·수연장(壽延長)·봉래의(鳳來儀)·연화대(蓮花臺)·포구락(抛毬樂)·향발(響鈸)·처용무(處容舞)와 함께 공연됐다고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에 전한다.[5] 금척의 손잡이인 연방(蓮房)의 끝 고리에 색사결자(色絲結子)를 늘어뜨리고, 칼날처럼 생긴 금척의 몸통에는 '천사금척수명지상'(天賜金尺受命之祥)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5]
3. 1. 금척무
금척무(金尺舞)는 조선 초기에 창제된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한 종목으로, 몽금척(夢金尺) 또는 금척이라고도 한다. 1393년(태조 2) 정도전(鄭道傳)이 이성계가 잠잘 때 신인(神人)이 금척을 가지고 하늘에서 내려와 문무(文武)를 겸비하고 민망(民望)한 태조에게 주었다는 내용의 악장을 지어 바쳤다.[5] 이 악장을 바탕으로 춤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바로 금척무이다.[5]조선 성종(1469~1494) 때 공연된 금척은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 권4에 도설되어 있다. 금척정재의 작대도(作隊圖)·초입배열도(初入排列圖)·회무도(回舞圖)가 있으며, 금척의 음악은 고취악(鼓吹樂)을 차용했다.[5]
죽간자(竹竿子) 2명과 족자(簇子) 1명 및 12명의 협무(挾舞)로 구성된 이 정재(呈才)는 "오운개서조인자"(五雲開瑞朝引子)·"소포구락"(小抛毬樂) 등의 반주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다가 "금척령"(金尺令)에 맞추어 무용수들은 "금척사"(金尺詞)를 노래로 부른다.[5] 금척사(金尺詞)는 궁중 연회 때 금척무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 가사이다.[6][7][8][9]
1630년(인조 8) 대왕대비(大王大妃)의 진풍정(進豊呈) 때 금척은 헌선도(獻仙桃)·수연장(壽延長)·봉래의(鳳來儀)·연화대(蓮花臺)·포구락(抛毬樂)·향발(響鈸)·처용무(處容舞)와 함께 공연됐다고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에 전한다.[5] 금척의 손잡이인 연방(蓮房)의 끝 고리에 색사결자(色絲結子)를 늘어뜨리고, 칼날처럼 생긴 금척의 몸통에는 '천사금척수명지상'(天賜金尺受命之祥)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5]
4. 문화
4. 1. 일월오봉도와의 관련성
현재 일월오악도(日月五嶽圖)는 일월오봉도라고도 하는데, 마이산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4] 악(嶽)은 원래 악(岳)과 같은 한자로, 큰 산 또는 크고 높은 산을 지칭한다.[4] 설악산, 월악산, 화악산과 같이 큰 산에만 '악(嶽)'자가 붙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4] 일월오악도 그림의 산들은 긴 삼각형 형태로 나란히 솟아오른 다섯 개의 봉우리로만 이루어져 있는데도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4] 전북특별자치도 진안의 노인들은 일월오악도, 일월오봉도를 진안의 마이산(馬耳山)을 형상화한 그림으로 이야기하고 있다.[4]5. 주요 장소
마이산에는 은수사가 있고 그곳에 자생하고 있는 줄사철군락지가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이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380호로 지정되어 있다.
군식성 식생으로 생태학적 중요성을 인정하여 지정했는데 보호 소재지는 전북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산 18번지이고 지정일은 1993년 8월 19일, 지정면적은 171 m2으로 등록되어 있다.
은수사의 줄사철나무 군락지는 대한민국 내륙 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줄사철나무의 북방한계지이고 노목과 군락을 이루고 있어 학술적, 생태학적으로 귀중한 자료로 인정되어 있다.[3] 문화재청은 2008년 4월 15일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지에서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로 변경하였다.[10]
청실배나무는 산돌배나무와 유사한 종으로 집 근처나 산에서 자라는 나무인데 마이산 이곳에 천연기념물 제386호로 서있다.[11] 나무의 높이는 18 m이고, 나무의 나이는 640년으로 추정된다.[11] 가슴높이줄기둘레는 2.8 m이고, 줄기 길이는 동쪽 7.2 m, 서쪽 8.7 m, 남쪽 7.3 m, 북쪽 6.4 m이다.[11] 이 청실배나무(청실배/靑實梨중국어)는 진안군청에서 동쪽으로 4 km, 마령면사무소로부터 3 km 떨어진 숫마이산의 정남향에 있는 은수사의 경내에 자리잡고 있다.[11]
5. 1. 은수사
마이산에는 은수사가 있고 그곳에 자생하고 있는 줄사철군락지가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이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38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은수사의 줄사철나무 군락지는 대한민국 내륙 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줄사철나무의 북방한계지이고 노목과 군락을 이루고 있어 학술적, 생태학적으로 귀중한 자료로 인정되어 있다.[3] 문화재청은 2008년 4월 15일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지에서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로 변경하였다.[10]
청실배나무는 산돌배나무와 유사한 종으로 집 근처나 산에서 자라는 나무인데 마이산 이곳에 천연기념물 제386호로 서있다.[11] 나무의 높이는 18 m이고, 나무의 나이는 640년으로 추정된다.[11] 가슴높이줄기둘레는 2.8 m이고, 줄기 길이는 동쪽 7.2 m, 서쪽 8.7 m, 남쪽 7.3 m, 북쪽 6.4 m이다.[11] 이 청실배나무(청실배/靑實梨중국어)는 진안군청에서 동쪽으로 4 km, 마령면사무소로부터 3 km 떨어진 숫마이산의 정남향에 있는 은수사의 경내에 자리잡고 있다.[11]
5. 1. 1. 청실배나무
청실배나무는 산돌배나무와 유사한 종으로 집 근처나 산에서 자라는 나무인데 마이산 이곳에 천연기념물 제386호로 서있다.[11] 나무의 높이는 18 m이고, 나무의 나이는 640년으로 추정된다.[11] 가슴높이줄기둘레는 2.8 m이고, 줄기 길이는 동쪽 7.2 m, 서쪽 8.7 m, 남쪽 7.3 m, 북쪽 6.4 m이다.[11] 이 청실배나무(靑實梨)는 진안군청에서 동쪽으로 4 km, 마령면사무소로부터 3 km 떨어진 숫마이산의 정남향에 있는 은수사의 경내에 자리잡고 있다.[11]5. 2. 탑사
6. 갤러리
참조
[1]
서적
한국 300 명산 (300 Korean Mountains)
깊은솔 (Gipeunsol)
[2]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명승) 지정
문화재청장
2003-10-31
[3]
서적
나무가 들려주는 이야기 한국사
조선북스
2011-05-25
[4]
문서
일월오악도(日月五嶽圖)
한국학중앙연구원
[5]
문서
금척(金尺)
도서출판 보고사
2012
[6]
문서
황초삼(한국의 고유복식)
한국콘텐츠진흥원
2002
[7]
문서
금척사(金尺詞)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8]
문서
금척무(金尺舞)
메디컬코리아
2011
[9]
문서
[10]
뉴스
천연기념물ㆍ명승 이름 쉽게 고쳤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4-15
[11]
문서
진안은수사의 청실배나무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웹인용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 소개 - 마이산
http://jmgeopark.kr/[...]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