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아노 제도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아노 제도법은 1856년 미국에서 제정된 법으로, 미국 시민이 다른 국가의 관할권에 속하지 않은 섬에서 구아노(비료 및 화약 원료)를 발견하고 점유할 경우, 미국 대통령의 재량으로 그 섬을 미국의 영토로 간주할 수 있도록 한 법률이다. 이 법은 구아노 고갈 후 섬의 영토 처리 방식에 대한 명확한 규정 없이, 미국이 약 94개의 섬에 대한 통제권을 얻는 결과를 낳았다. 이 법은 현재까지도 유효하며, 미국은 이 법에 따라 베이커 섬, 하울랜드 섬 등을 포함한 여러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6년 8월 - 오사와토미 전투
    오사와토미 전투는 1856년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 찬반 세력 간에 벌어진 전투로, 자유주 지지자들이 패배하고 친노예 세력의 약탈로 이어졌으며, 캔자스 지역의 폭력을 격화시켰다.
  • 1856년 8월 - 안세이 하치노헤 해역 지진
    안세이 하치노헤 해역 지진은 1856년 하치노헤를 중심으로 도호쿠 지방 북부 태평양 연안에서 홋카이도에 걸쳐 발생한 지진으로, 하치노헤 성 손상 및 해일로 인한 미나토 마을 침수 등의 피해를 야기했으며, 메이지 산리쿠 지진 해일 피해의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
구아노 제도법
법률 정보
약칭구아노 제도법
정식 명칭구아노 매장지를 발견한 미국 시민에게 보호를 제공하는 법률
제정미국 34차 의회
발효일1856년 8월 18일
의회 기록 URL미국 의회 웹사이트
상정 의원윌리엄 H. 수어드 (공화당–NY)
상정 날짜1856년 5월 26일
관련 위원회외교 관계
상원 통과일1856년 7월 24일
하원 통과일1856년 8월 16일
대통령 서명프랭클린 피어스
제정일1856년 8월 18일

2. 배경

1840년대구아노는 농업용 비료이자 화약의 원료인 질산염의 주요 공급원으로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았다. 1855년 미국은 태평양에 구아노가 대량으로 퇴적된 섬들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3] 1850년대의 "구아노 열풍"은 과점 시장에서의 높은 가격, 정부의 가격 통제 시도,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를 낳았고, 결국 1856년 8월에 ''1856년 구아노 제도법''(Guano Islands Act of 1856)의 제정으로 이어졌다.[4]

이 법에 따라 미국은 약 94개의 섬에 대한 통제권을 얻었으며, 1903년까지 이 섬들 중 66개가 미국의 영토로 인정되었다.[5]

2. 1. 구아노 제도법의 제정

1840년대에 구아노는 농업용 비료이자 화약의 원료인 질산의 원료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3] 1855년 미국은 태평양에 구아노가 대량으로 퇴적된 섬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구아노 채취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 《구아노 제도법》이 의회를 통과했다.

이 법은 미국 시민이 다른 나라의 관할권이나 점유 하에 있지 않은 섬에서 구아노를 발견하고 평화롭게 점유하면, 미국 대통령의 재량에 따라 그 섬을 미국의 영토로 간주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4]

> 미국 시민이 모든 섬, 암초, 산호초에 퇴적된 구아노를 발견했을 때, 타국 정부의 법적 관리(실효 지배) 하에 있지 않고, 타국 정부의 시민에 의해 점령되지 않았으며, 평화롭게 점유하여 해당 섬, 암초, 산호초를 점령했을 때는 언제든지 미국 대통령의 재량으로 미국이 영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구아노 도서법 제1절).

이 법은 미국이 섬을 점유하되, 구아노가 고갈된 후에는 점유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5] 영토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명확히 규정하지 않았다. 당시 국제법상으로는 무주지(terra nullius)로 돌아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것이 미국의 도서 지역 영토에 대한 사고방식의 출발점이 되었다. 그 때까지 미국이 획득한 영토는 즉시 미국과 일체불가분의 일부가 되어 조약 등에 따라 변화가 없는 한 정식 국가가 되는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통례였지만, 도서 지역은 국가에 의도가 처음부터 없어도 정부가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1873년 광고에서 보듯이, 구아노 수입은 주요 사업이었다.

2. 2. 도서 지역 개념의 시초

1840년대구아노는 농업용 비료이자 화약의 초석 공급원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미국은 1855년 태평양에 구아노가 대량으로 퇴적된 섬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채취하기 위해 1856년 미국 의회는 《구아노 제도법》을 통과시켰다.[4]

이 법은 미국이 섬을 점유하고 구아노가 고갈된 후에는 점유를 계속할 필요가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필요가 없어진 후의 영토 처리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았다. 당시의 이해는 섬의 점유가 국제법상의 "무주지 선점"이라는 논리에 기초하고 있으며, 필요 없어진 섬은 무주지(terra nullius)로 돌아간다는 개념이었다.

이것이 미국에 의한 도서 지역 영토 개념의 시작이었다. 그 전까지 미국이 획득한 영토는 미국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어, 결국 연방의 주가 될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도서 지역은 주 편입 의도 없이 미국 정부가 보유할 수 있는 영토였다.[5]

3. 주요 내용

구아노는 1840년대에 귀중한 농업용 비료이자 화약의 초석 공급원이었다. 1850년대의 "구아노 열풍"은 과점 시장에서의 높은 가격, 정부의 가격 통제 시도,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를 낳았고, 결국 1856년 8월에 ''1856년 구아노 제도법''(Guano Islands Act of 1856)이 제정되었다.[4]

이 법은 미국 시민이 구아노가 있는 미개척 섬을 미국을 위해 점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대통령에게 군사적 개입으로 그러한 주장을 보호할 권한을 부여하며, 그렇게 주장된 영토 내에서 미국의 법률에 따른 범죄 행위에 대한 관할권을 설정했다. 이는 미국 기업가들이 카리브해와 태평양의 작은 섬과 암초에서 새로운 매장량을 찾고 개발하도록 장려했다.[4]

이 법에 따라 미국은 약 94개의 섬에 대한 통제권을 얻었다. 1903년까지 이 섬들 중 66개가 미국의 영토로 인정되었다.[5]

구아노 제도법 제1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6]

When any citizen of the United States discovers a deposit of guano on any island, rock, or key, not within the lawful jurisdiction of any other Government, and not occupied by the citizens of any other Government, and takes peaceable possession thereof, and occupies the same, such island, rock, or key may, at the discretion of the President, be considered as appertaining to the United States.|미국 시민이 다른 정부의 합법적인 관할권 내에 있지 않고, 다른 정부의 시민이 점유하지 않은 섬, 암초 또는 열쇠에서 구아노 매장지를 발견하고, 이를 평화적 점유하고 점유할 경우, 대통령의 재량에 따라 해당 섬, 암초 또는 열쇠를 미국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영어

제6조는 이들 영토에서 또는 인접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범죄 행위는 "미국에 속하는 상선 또는 선박에서 공해상에서 저질러진 것으로 간주하며, 이러한 선박이나 공해상에서의 범죄에 관한 미국의 법률에 따라 처벌받는다"라고 규정한다.[6] 이 조항은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존스 대 미국'' 사건에서 합헌으로 판결되었다.

이 법률은 섬이 타국에 선점되어 있지 않다면 섬이 어디에 있든 상관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결과

1855년 미국은 구아노 채취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 《구아노 제도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에 따라 미국은 100개가 넘는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으나, 대부분은 자원 고갈 후 포기되었다.[7]

이 법은 미국이 섬을 점유하되, 구아노가 고갈된 후에는 점유를 계속할 필요가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필요가 없어진 후의 영토 처리에 대해서는 명확히 규정하지 않았다. 당시 국제법상으로는 무주지(terra nullius)로 돌아가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는 미국이 도서 지역 영토를 획득하는 새로운 방식의 출발점이 되었다. 이전까지 미국이 획득한 영토는 미국의 일부가 되어 주로 승격될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도서 지역은 처음부터 주로 만들 의도가 없더라도 정부가 보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971년 미국은 온두라스와 조약을 맺고 스완 제도가 온두라스의 영토임을 확인했다.[14]

1964년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형제인 레스터 헤밍웨이는 구아노 제도법을 근거로 자메이카 인근 해상에 뉴 아틀란티스 공화국이라는 마이크로네이션을 세우려 시도했으나, 미국과 자메이카 모두 그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14][15]

4. 1. 미국의 현 영유권 주장 섬

기준으로, 구아노 제도법에 따라 미국이 여전히 영유권을 주장하는 섬은 다음과 같다:[9]

  • 베이커 섬
  • 하울랜드 섬
  • 자비스 섬
  • 존스턴 환초
  • 킹맨 암초/데인저 록
  • 미드웨이 환초[10]
  • 나바사 섬 (아이티가 영유권 주장)
  • 바호 누에보 뱅크 (콜롬비아와 영유권 분쟁)
  • 세라닐라 뱅크 (콜롬비아와 영유권 분쟁)
  • 스웨인스 섬 (아메리칸 사모아의 일부; 토켈라우가 영유권 주장)[11]


1856년 구아노 제도법에 따라 미국이 주장하는 몇몇 섬들에 대해 이의가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인 분쟁 지역은 다음과 같다:

  • '''나바사 섬''':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은 아이티에 대한 나바사 섬에 대한 미국의 주장을 확고히 하기 위해 1856년 구아노법 이상의 미국의 영토 관할권을 설정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1890년 구아노법이 합헌이라고 판결하고, 행정부의 조치를 언급하면서 나바사 섬이 미국에 속한다고 결정했다.[12] 현재 미국의 통제하에 있다.

  • '''세라닐라 뱅크'''와 '''바호 누에보 뱅크''': 2001년 국제 사법 재판소에서 니카라과의 주장에 반하여 콜롬비아의 영토로 판결되었다.[13] 그러나 미국과 온두라스가 주장을 펼치고 있으며, 콜롬비아는 자메이카에 어업권을 부여했다.

4. 2. 영유권 분쟁 섬


  • '''나바사 섬''' — 사실상 미국의 통제하에 있다.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은 아이티에 대한 나바사 섬에 대한 미국의 주장을 확고히 하기 위해 1856년 구아노법 이상의 미국의 영토 관할권을 설정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1890년 구아노법이 합헌이라고 판결하고, 행정부의 조치를 언급하면서 나바사 섬이 미국에 속한다고 결정했다.[12] 나바사 섬의 관할권은 1997년 1월 16일 명령 3205호에 따라 내무부에서 도서 사무소장으로 이관되었다. 내무부와 도서 사무국은 이후 1999년 12월 3일 명령 3210호에 따라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에 행정 책임을 부여했다. 명령 3210호는 또한 나바사 섬 주변에 12nmi의 미국의 영해 경계를 설정했다. 아이티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세라닐라 뱅크'''와 '''바호 누에보 뱅크''' — 2001년 국제 사법 재판소에서 니카라과의 주장에 반하여 콜롬비아의 영토로 판결되었다.[13] 미국온두라스가 주장을 펼치고 있다. 콜롬비아는 자메이카에 어업권을 부여했다.

4. 3. 기타

1971년, 미국은 온두라스와 조약을 맺고 스완 제도가 온두라스의 영토임을 확인했다.[14]

1964년,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형제인 레스터 헤밍웨이는 자메이카 영해 밖 엔진 블록으로 닻을 내린 8x 크기의 대나무 뗏목에 뉴 아틀란티스 공화국이라는 마이크로네이션을 세우려 시도했다. 그는 구아노 제도법을 주권 주장의 일부로 활용했다. 그의 명백한 의도는 새로운 국가를 자신의 국제 해양 연구 협회의 본부로 사용하여 해양 연구를 발전시키고 자메이카 어업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1966년 폭풍으로 뗏목이 파괴되기 전까지 미국과 자메이카 모두 그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14][15]

참조

[1] 뉴스 XXXIVth CONGRESS----First Session.; SENATE. HOUSE OF REPRESENTATIVES. http://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856-07-25
[2] 뉴스 Article 12 -- No Title http://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856-08-18
[3] 서적 Enriching the Earth: Fritz Haber, Carl Bosch, and the Transformation of World Food Production. The MIT Press 2004
[4] 서적 Fertilizer in America. Temple University Press 1985
[5] 서적 The Ecology of Agroecosystems https://books.google[...]
[6] 문서 Guano Islands Act
[7] 웹사이트 The Guano Islands Act https://www.washingt[...] 2014-07-08
[8] 뉴스 A Man's Claim to Guano Knee-Deep in Bureaucracy https://www.baltimor[...] Baltimore Sun 1998-07-19
[9] 웹사이트 Acquisition Process of Insular Areas https://www.doi.gov/[...] United States Governmen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10-05-09
[10] 서적 Seward: Lincoln's Indispensable Man Simon and Schuster
[11] 서적 The Great Guano Rush: Entrepreneurs and American Overseas Expansion Palgrave Macmillan US
[12] 문서 Jones v. United States 1890
[13] 웹사이트 Latest developments {{!}} Territorial and Maritime Dispute (Nicaragua v. Colombia) {{!}}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https://www.icj-cij.[...] 2021-04-30
[14] 웹사이트 Contents of a Country: Leicester Hemingway's Republic of New Atlantis http://eupdates.hrc.[...] University of Texas Humanities Research Center
[15] 서적 Surveying the American Tropics: A Literary Geography from New York to Rio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