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효 지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효 지배는 무력 분쟁 등으로 인해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영토를 점령하고 통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가 점령 통치를 실시했으며,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8개국 연합군의 베이징 점령,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점령 등이 대표적이다. 냉전 종식 이후에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 등에서 점령 통치가 발생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서안 지구, 가자 지구, 골란 고원 등을 점령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2014년 크림반도를 병합하고, 2022년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을 점령했다. 이러한 점령 통치는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되며,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관계 - 국빈 방문
    국빈 방문은 한 국가의 원수가 다른 국가를 공식적으로 방문하여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관계 발전을 목표로 하는 외교 행사이다.
  • 국제 관계 - 지역 강국
    지역 강국은 특정 지역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세계적인 규모의 능력은 갖추지 못한 국가를 의미하며, 경제력, 군사력, 인구, 정치력 등을 갖추고 지역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실효 지배

2. 점령 통치의 역사

점령 통치는 고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전쟁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과거에는 정복 전쟁의 결과로 영토를 병합하고 피점령민을 지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국제법이 발전하고, 점령 통치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다. 1907년 헤이그 육전규칙은 점령국의 권한과 의무를 명시하고, 피점령민의 권리 보호를 위한 조항을 포함했다.

점령 통치는 점령군이 점령으로 해당 통치 지역의 주권을 상실시키거나, 매우 제한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통상 점령국 측의 최초 전쟁 목적이 달성되고 전쟁 상태가 공식적으로 종결되거나, 기타 사정으로 점령군이 해당 지역에서 철수할 때까지 이어진다.

점령군은 협력자를 찾아 친점령군 정부를 만들거나, 기존의 통치 기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점령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점령군의 의향이 강하게 작용하며, 때로는 정책 강제나 점령군의 의향에 따르도록 기구를 개편하기도 한다. 군율이라고 불리는 군사 법규가 시행되고, 군율 재판이라는 군사 사법 기관이 설치되기도 한다.

점령 통치에서는 점령군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정보 통제를 포함한 치안 유지 활동이나 피점령자에 대한 선무 공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더 나아가 심리 장악을 위해 각종 인프라 정비, 도시 계획, 경제 지원, 의료 지원, 식량 원조, 교육 지원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또한 군정 시에는 군표를 발행하여 통화로 삼기도 한다.

의화단 운동 시기,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도 점령 통치가 이루어졌으며, 냉전 종식 이후에도 무력 분쟁으로 인한 점령 통치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2. 1. 의화단 운동 시기 점령 통치 (1900-1901)

의화단 운동 당시, 8개국 연합군(영국, 미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일본)은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베이징을 점령했다.[45] 연합군은 베이징의 각 지역을 분할 점령하고 치안 유지에 힘썼다. 이로 인해 베이징 일대의 치안이 개선되고, 안전을 찾아 점령 지역으로 유입되는 주민들이 늘어날 정도로 점령 통치가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45]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전간기 (1914-1939)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제국벨기에, 프랑스 북동부, 룩셈부르크 등을 점령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등을 점령했다.[46] 전후 처리 과정에서 연합국은 독일의 라인란트를 점령하기도 했다.

점령지기간점령된 국가점령 국가사건전쟁의 일부이후 합병 여부
알바니아1916–1918[46]알바니아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알바니아 점령제1차 세계 대전아니요
동부 갈리치아1914–1915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러시아동부 갈리치아 점령아니요
벨기에1914–1918벨기에독일 제국벨기에 점령아니요
프랑스 북동부1914–1918프랑스프랑스 북동부 침공아니요
룩셈부르크1914–1918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 점령아니요
콩그레스 폴란드1914–1918러시아러시아 폴란드 침공아니요
발트 지방 및 빌나의 일부1914–1919독일 제국발트해 러시아 침공아니요
독일령 남서 아프리카1914–1915독일 제국남아프리카 연방남서 아프리카 전역
세르비아 군정1915–1918세르비아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세르비아 점령아니요
세르비아1915–1918독일 제국세르비아 침공아니요
동부 세르비아1915–1918불가리아동부 세르비아 점령아니요
세르비아 마케도니아1915–1918불가리아세르비아 마케도니아 점령
알바니아1915–1917[46]알바니아불가리아알바니아 점령아니요
몬테네그로1916–1918몬테네그로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몬테네그로 침공아니요
이탈리아 북동부1917–1918이탈리아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탈리아 북동부 침공제1차 세계 대전아니요
콘스탄티노폴리스1918–1923오스만 제국콘스탄티노폴리스 점령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아니요
스미르나1919–1922그리스스미르나 점령아니요
라인란트1918–1930바이마르 공화국라인란트 점령아니요
동부 갈리치아1918–1919서우크라이나폴란드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볼히니아1918–1919우크라이나일부
우크라이나1918–1920우크라이나러시아 SFSR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2.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점령 통치 (1939-1945)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추축국연합국 양측 모두 점령 지역에서 점령 통치를 실시했다.

나치 독일나치즘에 따라 열등 민족 거주 지역으로 간주한 동유럽(폴란드, 소련)에서는 동부 점령 지역이나 폴란드 총독부 등을 통해 가혹한 점령 정책을 시행했다. 친위대는 이러한 점령 행정에 깊이 관여하여 홀로코스트 등 많은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47]

일본 제국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홍콩, 버마, 영국령 말라야, 영국령 보르네오,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점령하고 군정을 실시했다.

점령 영토연도점령된 국가점령 국가사건이후 합병 여부
폴란드1939–1945폴란드 침공부분적
동부 폴란드1939–1941폴란드 영토 합병부분적
덴마크1940–1945덴마크 침공아니요
북부 프랑스1940–1944북부 프랑스 침공아니요
남동부 프랑스1940–1943프랑스 침공아니요
베트남1940–1945인도차이나 침공아니요
발트 3국1940–1941rowspan=3 |발트 3국 소련 점령
룩셈부르크1940–1945룩셈부르크 점령아니요
노르웨이1940–1945노르웨이 침공아니요
캄보디아1941–1945캄보디아 침공아니요
벨라루스1941–1944rowspan=4 |rowspan=4 |벨라루스 점령아니요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 점령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점령 (de jure 독립, de facto 소련의 지배)
유럽 러시아의 일부동부 전선
1941–1944괌 점령아니요
홍콩1941–1945홍콩 점령아니요
말라야1941–1945말라야 점령아니요
보르네오1941–1945영국령 보르네오 점령아니요
네덜란드령 동인도1942–1945네덜란드령 동인도 점령아니요
필리핀1942–1945필리핀 점령아니요
버마 (미얀마)1942–1945버마 점령아니요
싱가포르1942–1945싱가포르 점령아니요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점령 통치

이탈리아 왕국은 1943년 9월에 연합국에 항복했지만, 독일군으로 인해 국토 북반부와 발칸 반도 및 남프랑스 점령 지역이 독일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 때문에 남부에서는 이탈리아 왕국을 지배하는 연합군(미영), 북부에서는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을 지배하는 독일군에 의한 사실상의 점령 통치가 이루어졌다.[63]

초기에 이탈리아는 독일과 마찬가지로 미국, 영국, 소련에 의한 공동 통치가 계획되었지만, 이탈리아가 예정보다 빨리 항복했기 때문에 영국이 소련의 점령 통치 참여를 꺼리게 되었다. 그 결과, "제압한 국가가 점령한 국가의 실권을 쥐고, 다른 연합군은 형식적으로 참여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이 방법은 "이탈리아 방식"이라고 불린다.

독일 항복 후에는 지중해에 면한 서쪽과 사르데냐 섬, 시칠리아 섬의 대부분이 미국의, 아드리아해에 면한 동쪽과 나폴리트리에스테, 시칠리아 섬의 동쪽 해안부가 영국의 점령 통치하에 놓였다. 그러나 도중에 연합군으로 전향했기 때문에 1946년에는 중요 거점 트리에스테와 그 주변을 제외하고 이탈리아의 통치하에 복귀했다. 따라서 당사국의 의식은, 하는 측과 되는 측 모두 옅어 점령으로 보지 않는 시각도 있다. 1947년에는 파리 조약 (1947년)이 체결되어, 이탈리아에서의 점령 통치는 종결되었지만, 트리에스테는 계속 점령 하에 놓여, 1954년에 남부를 유고슬라비아에 할양하고, 나머지를 이탈리아 정부에 반환되었다.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와 같은 동유럽 추축국은 1944년부터 소련군의 단독 점령 하(이탈리아 방식)에 놓였으며, 그 상태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소련은 자국의 협력자를 정부 요직에 앉히고 위성국으로 만들었다. 1947년 파리 조약에 의해 이들 국가에 대한 점령 통치는 종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각 회의를 통해, 독일의 점령 통치에 관해서는 소련, 미국, 영국, 프랑스 4개국에 의한 분할 점령이 실시될 것이 결정되었다. 1944년부터 연합국군은 독일 국내로 진격하여 각 지역에서 점령 통치를 실시했다. 독일 항복 후, 4개국 정부는 베를린 선언을 발표하여, 분할 점령과 점령군의 지배하에 놓인 각 지방 정부에 의한 통치를 확인했다. 그러나 냉전 발발의 영향으로 서방과 소련 점령 지역의 대립이 증대했다. 1949년 9월 21일에는 서방 점령 지역에서, 1949년 10월 10일에는 소련 점령 지역에서 군정이 종료되고, 민정에 의한 점령 통치로 이행했다. 1955년부터 1990년의 독일 재통일까지 독일 연방 공화국 (서독)과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이라는 두 개의 독일이 성립하여, 점령 통치는 종료되었다.

연합군 군정기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덴마크, 네덜란드, 그리스(모두 영국군)도 점령 통치하에 놓였지만, 정부 기능 복귀까지의 일시적인 것이었으며, 1945년 안에 철수했다.

일본의 점령 통치에서는 난세이 제도오가사와라 제도를 제외하고 일본 정부를 통한 연합국 최고 사령부(GHQ)에 의한 점령 통치가 시행되었다. 당초, 진주군에 의한 군정이 시행될 방침이었지만, 일본 정부의 반대에 의해 간접 통치 방식이 채택되었다. GHQ의 요원은 최고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를 포함해 대부분이 미국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점령 통치에는 미국 정부의 의향이 강하게 작용했다(이탈리아 방식). 1952년, 일본국과의 평화 조약이 발효됨에 따라 일본 본토에서의 점령 행정은 종료되었다. 점령 기간은 6년 7개월 28일에 달했다.[63] 난세이 제도와 오가사와라 제도에서는 그 후 자치 정부가 설치되었지만, 미국에 의한 통치가 계속되었다. 1952년에 토카라 열도, 1953년에 아마미 제도, 1968년에 오가사와라 제도, 1972년에 오키나와현이 본토 복귀하여 점령 행정은 종료되었다.

  • 미국의 오키나와 통치
  • *류큐 열도 미국군 정부
  •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
  • 미국 행정권 하의 오가사와라 제도
  • 연합군 군정기 (조선사)


만주국은 소련-몽골 연합군의 침공 이후 소련의 점령 통치 하에 놓였고, 이듬해 1946년 중화민국에 통치권을 넘겨주었지만, 관동주를 중심으로 하는 다롄은 1950년까지 소련의 지배 하에 놓였다. 그러나 소련의 철수는 중국 공산당의 만주에서의 침투를 확인한 후였으며, 만주를 반환받은 중화민국의 통치는 도시부 주변에만 미치지 못하여, 국공 내전에서 중국 국민당이 패배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소련은 만주에서의 권익을 포기하지 않았고, 반환은 스탈린 사후였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북부가 중화민국군, 남부가 영국군(영국령 인도군)의 점령 통치 하에 놓여, 항복한 현지 일본군에 대한 대응을 했다. 하지만, 중화민국군·영국령 인도군이 담당한 북부의 점령 통치는 중화민국군이 이웃 국가였기 때문에 순조로웠던 반면, 영국령 인도군·프랑스군이 담당한 남부는, 양국에 여력이 없었던 탓에 점령이 늦어져, 현지 일본군을 형식상 영국군 지휘 하의 동맹군으로서 치안 유지를 담당하게 하고, 일본 점령 시의 인원·통치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했다. 결과적으로 일본군의 완전 철수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종료까지 늦어지게 되었다. 일본군의 항복 완료 후에는 구 종주국으로 복귀했지만, 독립 운동이 활발해졌다. 중화민국은 철수의 대가로 프랑스의 조차지인 잔장만을 반환받았다.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영국군(영국령 인도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을 주력으로 한 연합군의 점령 하에 놓여, 보르네오 섬(사라왁 왕국, 영령 북보르네오 포함)은 오스트레일리아군, 그 외 지역은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실질적으로 영국군)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영국군의 통치가 미친 것은, 실질적으로 자바 섬과 수마트라 섬의 도시부에 한정되었고, 이후의 술라웨시 섬, 몰루카 제도, 소순다 열도 등은 사실상 오스트레일리아의 점령 하에 놓였으며, 구 종주국인 네덜란드는 유일하게 완전 제압을 면한 네덜란드령 뉴기니를 담당했다. 일본이 항복한 후, 연합국의 점령이 늦어져, 영국군 지휘 하의 동맹군으로서 사실상 일본군이 폭도 진압과 치안 유지를 수행했다. 결국, 완전 점령을 하지 못한 채 1946년에 영국군이 철수하고, 1947년에 일본군도 완전히 철수하여 구 종주국으로 복귀했지만 독립 운동이 활발해졌다.

2. 5. 냉전 종식 이후의 점령 통치

냉전 종식 이후에도 무력 분쟁으로 인한 점령 통치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이라크 전쟁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있다.[65]

이라크 전쟁에서는 연합 임시 행정 당국이 점령 통치를 수행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이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점령 통치를 하고 있다.[65]

3. 현대의 점령 통치 사례

2024년 기준 유럽, 북아프리카, 서아시아의 군사 점령 현황


현대에도 여러 국가에서 점령 통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영토점령 시작점령된 국가/영토점령 국가점령자가 선언한 국가/영토상태
트란스니스트리아1992년외세의 영향 아래 무장 단체가 점령
압하스2008년rowspan=2 |rowspan=2 |외세의 영향 아래 무장 단체가 점령[21]
남오세티야
크림반도[3][4]2014년rowspan=2 |rowspan=2 |러시아 연방 주체외세에 의해 점령 및 병합[21]
도네츠크, 헤르손, 루한스크, 자포리자 주의 상당 부분, 하르키우 주 및 미콜라이우 주의 미미한 부분2014년, 2022년러시아 연방 주체도네츠크, 헤르손, 루한스크, 자포리자 주:
쿠르스크주 일부2024년 쿠르스크주의 우크라이나 점령외세에 의해 점령[11]
남부 레바논 일부[12]2024년외세에 의해 점령
동예루살렘[13][14][15][16]1967년팔레스타인 영토;
rowspan=4 | 예루살렘 구역의 일부외세에 의해 점령 및 합병[21][22]
서안 지구[23] 유대 사마리아 지역외세에 의해 점령,[24] 서안 지구에 사실상 부분 병합[21]
가자 지구
골란 고원[31][32][33]rowspan=2 | 북부 구역의 일부외세에 의해 점령 및 합병[21][22] 미국만이 이스라엘의 일부로 인정[34]
남부 시리아 일부[35]2024년외세에 의해 점령
알탄프[36]2015년외세의 영향 아래 무장 단체가 점령[36]
아자즈, 알밥 및 자라불루스 구[37][38]2016년rowspan=3 |rowspan=3 | 시리아 임시 정부외세의 영향 아래 무장 단체가 점령
아프린 구2018년외세의 영향 아래 무장 단체가 점령[39]
텔 아비야드 및 라스 알 아인 구2019년외세의 영향 아래 무장 단체가 점령
북키프로스[40]1974년외세의 영향 아래 무장 단체가 점령[21][41]
소풀루, 바르후다르리 및 카르키[42]1992년 타부시아라라트 주 일부외세에 의해 점령
아르츠바셴[43]rowspan=2 |rowspan=2 | 가다베이 구의 일부
시운키크, 바요츠조르, 게가르쿠니크 주 일부2021년, 2022년 아제르바이잔이 점령한 아르메니아 영토
서사하라의 대다수[44]1975년외세에 의해 점령 및 합병[21][22]

3. 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 (2014-현재)

2014년 러시아는 크림반도를 무력으로 병합하고, 돈바스 전쟁을 지원하여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을 사실상 점령했다.[65]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 전역을 침공하여 도네츠크주, 헤르손주, 루한스크주, 자포리자주 등 더 넓은 지역을 점령하고, 이 지역들을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 합병하려 시도했다.[65] 러시아의 이러한 행위는 국제법 위반이며, 국제 사회의 강력한 비난을 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며,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지지한다.

3. 2.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 (1967-현재)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골란 고원 등을 점령했다. 이후 이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며 점령을 장기화했다. 점령지 내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이스라엘 방위군의 군정 통치를 받았으며, 이는 인권 침해 논란으로 이어졌다.[64]

1979년 캠프 데이비드 협정에 따라 이스라엘 방위군의 직접 통치는 명목상 종료되었고, 행정 부문은 Israeli Civil Administration|이스라엘 민정국영어으로 이양되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영토 대부분은 여전히 이스라엘 방위군과 이스라엘 민정국의 통제 하에 있다.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를 제외한 점령지 점령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소멸 후 무주지선점했다는 논리로 영유권을 주장하며, 점령지 주민 보호를 의무화한 1949년 제네바 제4협약 적용을 부정하고 있다.[64]

4. 점령 통치의 문제점

점령 통치는 피점령민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고, 고통과 억압을 초래한다. 점령국은 피점령 지역의 자원을 착취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피점령민을 동원하는 등 부당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54] 점령 통치는 저항 운동이나 폭력 사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지역 불안정을 심화시킬 수 있다.

점령 통치는 점령군에 의해 해당 통치 지역의 주권 (대내적 및 대외적인 최고 독립성과 최고 결정력)을 상실시키거나, 매우 제한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통상 점령국 측의 최초 전쟁 목적이 달성되고 전쟁 상태가 공식적으로 종결되거나, 기타 사정으로 점령군이 해당 지역에서 철수할 때까지 이어진다.

점령군은 협력자를 찾아내 친점령군 정부를 만들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통치 기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점령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점령군의 의향이 강하게 작용하며, 때로는 정책 강제나 점령군의 의향에 따르도록 기구를 개편하기도 한다. 군율이라고 불리는 군사 법규가 시행되고, 군율 재판이라는 군사 사법 기관이 설치되기도 한다.

점령 통치에서는 점령군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정보 통제를 포함한 치안 유지 활동이나 피점령자에 대한 선무 공작이 해당 지역의 실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더 나아가 심리 장악을 위해 각종 인프라 정비, 도시 계획, 경제 지원, 의료 지원, 식량 원조, 교육 지원 등이 점령국 측의 민생 부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또한 군정 시에는 군표를 발행하여 통화로 삼는 경우도 있다.

5. 국제법과 점령 통치

점령 통치는 점령군이 해당 통치 지역의 주권 (대내적 및 대외적인 최고 독립성과 최고 결정력)을 상실시키거나, 매우 제한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통상 점령국 측의 최초 전쟁 목적이 달성되고 전쟁 상태가 공식적으로 종결되거나, 기타 사정으로 점령군이 해당 지역에서 철수할 때까지 이어진다.

점령군은 협력자를 찾아내 친점령군 정부를 만들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통치 기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점령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점령군의 의향이 강하게 작용하며, 때로는 정책 강제나 점령군의 의향에 따르도록 기구를 개편하기도 한다. 군율이라고 불리는 군사 법규가 시행되고, 군율 재판이라는 군사 사법 기관이 설치되기도 한다.

점령 통치에서는 점령군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정보 통제를 포함한 치안 유지 활동이나 피점령자에 대한 선무 공작이 해당 지역의 실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더 나아가 심리전 장악을 위해 각종 인프라 정비, 도시 계획, 경제 지원, 의료 지원, 식량 원조, 교육 지원 등이 점령국 측의 민생 부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또한 군정 시에는 군표를 발행하여 통화로 삼는 경우도 있다.

6. 결론 및 대한민국의 입장

점령 통치는 점령군에 의해 해당 통치 지역의 주권(대내적 및 대외적인 최고 독립성과 최고 결정력)이 상실되거나 매우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보통 점령국의 전쟁 목적 달성, 전쟁 상태의 공식적 종결, 또는 기타 사정으로 인한 점령군의 철수 시까지 지속된다.[54]

점령군은 협력자를 찾아 친점령군 정부를 구성하거나 기존 통치 기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점령 기간 동안 점령군의 의향이 강하게 작용하며, 때로는 정책 강제나 점령군 의향에 따른 기구 개편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군사 법규인 군율이 시행되고, 군사 사법 기관인 군율 재판이 설치되기도 한다.[55]

점령 통치에서는 점령군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정보 통제를 포함한 치안 유지 활동이나 피점령자에 대한 선무 공작이 해당 지역 실정에 따라 이루어진다. 심리 장악을 위해 각종 인프라 정비, 도시 계획, 경제, 의료, 식량, 교육 지원 등이 점령국 측 민생 부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또한 군정 시에는 군표를 발행하여 통화로 삼는 경우도 있다.[58]

대한민국은 과거 일제강점기를 경험한 국가로서, 점령 통치의 부당함과 피점령민의 고통을 잘 이해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점령 통치 종식과 피점령 지역의 자결권 보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무력 분쟁이나 점령 통치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하며, 국제 사회와 협력하여 분쟁의 평화적 해결과 인권 보호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Laws and Customs of War on Land (Hague IV); October 18, 1907 http://www.yale.edu/[...] 2015-06-20
[2] 서적 Transitional Justice for Palestine: Truth-Telling and Empathy in Ongoing Conflict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AG
[3] 서적 Complex Political Decision-Making: Leadership, Legitimacy and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 논문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The Mills of International Law Grind Slowly but They Do Grind https://digital-comm[...] the Stockton Center for the Study of International Law 2019-10-11
[5] 뉴스 Russian-held parts of Ukraine's Mykolaiv region to be incorporated in Russian-held Kherson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9-21
[6] 트윗 Snihurivka, Mykolaiv oblast - liberated 10/11/2022 https://t.co/eZSRD5c3uV 2022-11-10
[7] 웹사이트 Russia-Ukraine war live: Kyiv sceptical of Moscow's retreat from Kherson; US general estimates 100,000 Russian military casualties https://www.theguard[...] 2022-11-10
[8] 웹사이트 Ukraine liberates all of Mykolaiv Oblast, Zelenskyy admin considers slashing ministries https://news.yahoo.c[...] 2022-11-11
[9] 트윗 The Ministry of Defense of the Russian Federation has published a map where the entire Western bank of the Kherson region is no longer occupied by Russians https://t.co/K6CM40k9Tx 2022-11-11
[10] 트윗 The Kinburn peninsula, or as it is also called, the Kinburn Spit, remains the only not yet liberated territory in the Mykolaiv region, is the goal of the Armed Forces of Ukraine, "combat work is underway" on this occasion, - Natalia Humeniuk In addition, she promised good news🤞 https://t.co/6MhK3yHLO8 2022-11-12
[11] URL https://www.reuters.[...] 2024-08
[12] 웹사이트 Israeli troops reach deepest point in Lebanon since Oct. 1 invasion, Lebanese media say https://apnews.com/a[...] AP 2024-11-16
[13] 웹사이트 Israel plans 1,300 East Jerusalem Jewish settler homes https://www.bbc.com/[...] 2019-10-11
[14] 웹사이트 Chapter 12: The status of Jerusalem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2003-03
[15] 웹사이트 Israeli authorities back 600 new East Jerusalem homes http://news.bbc.co.u[...] 2019-10-11
[1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98 (1971) of 25 September 1971 http://domino.un.org[...]
[17] 문서 Jordanian annexation of the West Bank
[18] 문서 Egyptian occupation of the Gaza Strip
[19] 웹사이트 Palestinian territories - Timeline https://www.bbc.com/[...] 2015-11-30
[20] 웹사이트 Amid violence, 'glaring lack of hope,' UN deputy chief urges action to break Israeli-Palestinian impasse https://www.un.org/a[...] UN News 2015-11-30
[21] 서적 The Legality of Economic Activities in Occupied Territories: International, EU Law and Business and Human Rights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2] 간행물
[23] 서적 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s://www.icj-cij.[...]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19-10-11
[24] 간행물
[25] 웹사이트 Daily Press Briefing by the Office of the Spokesperson for the Secretary-General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19-10-11
[26] 서적 Yearbook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 2010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27] 논문 Just War Moral Philosophy and the 2008–09 Israeli Campaign in Gaza https://www.belferce[...] 2019-10-11
[28] 논문 Is Gaza Occupied?: Redefining the Status of Gaza Under International Law https://www.corteidh[...] 2024-12-06
[29] 논문 Palestine, Uti Possidetis Juris and the Borders of Israel https://arizonalawre[...] 2024-12-06
[30] 웹사이트 Dissenting opinion of Vice-President Sebutinde https://www.icj-cij.[...] UN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24-12-06
[31] 서적 The Situation of Workers of the Occupied Arab Territories International Labour Office
[32] 서적 CIA World Factbook 2010 https://archive.org/[...] Skyhorse Publishing Inc.
[33] 서적 The Right of Conquest: The Acquisition of Territory by Force in 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4] 뉴스 Trump signs decree recognizing Israeli sovereignty over Golan Heights https://af.reuters.c[...] 2019-10-11
[35] 뉴스 Israel says it will impose ‘sterile’ zone in southern Syria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4-12-10
[36] 뉴스 Syria vows to fight against 'occupiers' US, Turkey, Israel https://www.middleea[...] Middle East Monitor 2020-05-20
[37] 웹사이트 Skirmishes Mar Fight Against IS in Northern Syria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7-03-02
[38] 웹사이트 In northern Syria, defeated Isis fighters leave behind only scorched earth, trenches – and a crucifixion stand https://www.independ[...] 2017-03-29
[39] 뉴스 Afrin's Syrian Kurds Continue to Pay Price of Turkey's Occupation https://www.thedefen[...] 2021-09-15
[40] 문서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353, 357, 358, 359, 360, and 365.
[41] 간행물 Territory may further be controlled by an armed group. This could be a rebel group which wants to take over control of the government of the state in question or it could be a group that wants to secede from the state and form a new state or have the territory transferred to another state. [...] There is no term in international law for such territory. [...] In some cases, the armed group in power in such a territory may be under the control of or under the influence of a foreign power. As has been held by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urkey is legally responsible for human rights violations committed in the non-recognised 'Turkish Republic of Northern Cyprus' (TRNC). It is possible that the situation is similar in the self-proclaimed peoples' republics in Donetsk and Lugansk. 2015
[42] 웹사이트 Armenian-Azerbaijani Disputes Beyond Karabakh https://armenian.usc[...]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20-10-28
[43] 웹사이트 Cold Comfort for Displaced Armenian Villagers https://www.refworld[...]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20-10-28
[44] 웹사이트 Military occupation of Western Sahara by Morocco http://www.rulac.org[...] Geneva Academy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Human Rights 2019-10-11
[45] 웹사이트 1913 I Leo Freundlich: Albania's Golgotha: Indictment of the Exterminators of the Albanian People http://www.albanianh[...]
[46] 서적 Die Militärverwaltung in den von den österreichisch-ungarischen Truppen besetzten Gebieten, Nide 4 https://books.google[...] Hölder-Pichler-Tempsky A.G.
[47] 논문 Ethnic Cleansing, Communism, and Environmental Devastation in Czechoslovakia's Borderlands, 1945–1989 https://dx.doi.org/1[...] 2006
[48] 서적 Encyclopedia of Soviet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Dordrecht
[49] 간행물 U.S.-Baltic Relations: Celebrating 85 Years of Friendship http://merln.ndu.edu[...] U.S. Department of State 2015-06-21
[50] 논문 Far East (Formosa and the Pescadores) https://api.parliame[...] U.K. Parliament 2010-09-01
[51] 서적 The International Law of Occupat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02-23
[52] 서적 The Security of South Asia: American and Asian Perspectiv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53] 서적 The Missing Peace - The Inside Story of the Fight for Middle East Peace
[54] 웹사이트 Armenia returns 4 border villages to Azerbaijan https://www.dw.com/e[...] DW 2024-04-24
[55] 웹사이트 Africa :: Congo, Democratic Republic of th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5-06-20
[56] 웹사이트 Decision regarding delimitation of the border between Eritrea and Ethiopia http://legal.un.org/[...] 2017-05-18
[57] 웹사이트 Eritrea-Ethiopia Boundary Commission https://pca-cpa.org/[...]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2017-05-18
[58] 웹사이트 Humanitarian debate: Law, policy, action: Conflict in Afghanistan II - Part 2: Law and humanitarian action https://internationa[...]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1-03
[59]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n the Iraq Conflict https://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60] 뉴스 Coalition troops in Iraq http://news.bbc.co.u[...] 2019-07-01
[61] 웹사이트 Ethiopia Marks Yearlong Occupation in Somalia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09-11-01
[62] 문서 これ以外に「軍政」の語は、軍隊に関する人事等の内部行政という意味でも使われる。
[63] 웹사이트 Remains of the Occupation mentality https://web.archive.[...] The Japan Times 2004-11-29
[64] 웹사이트 Are Israeli settlements legal? https://www.mfa.gov.[...] 2021-01-16
[65] 문서 2022年10月に2014年でのウクライナ紛争 にて占領したクリミア共和国などと共にロシアが併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