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화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화법은 청각 장애 아동에게 구어와 입술 읽기를 가르치는 교육 방식으로, 16세기 스페인에서 시작되어 19세기 말 밀라노 회의를 통해 널리 확산되었다. 20세기에는 수화 옹호 운동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최근에는 인공 와우 기술 발전과 함께 구화법의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구화법은 언어 습득 제한, 사회적 고립, 문화적 정체성 훼손, 심리적 스트레스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으며,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2. 역사

페드로 폰세 데 레온(1520-1584)은 청각 장애인 교육의 창시자로 종종 여겨진다. 후안 파블로 보넷(c. 1579–1633)은 ''말 못하는 사람에게 말하는 법을 가르치는 문자와 기술의 축약''을 출판하여 교육의 기초 방법으로 널리 유통시켰다. 보넷은 단어를 사용하여 소통하는 것을 옹호했지만, 수화 언어의 사용도 통합했다.[3]

18세기 초 미국에서 청각 장애인 교육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이래로 수화주의와 구화주의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뜨거운 논쟁의 양 측면에 서 있다.[4] 19세기 말, 미국에서는 클라크 청각 및 언어 학교가 설립되어 청각 장애인 교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16] 가디너 그린 허바드,[16] 호레이스 만,[4] 새뮤얼 그리들리 하우,[4]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8]과 같은 인물들은 구화주의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1880년 밀라노에서 열린 국제 농교육 회의(ICED)에서는 수화 사용을 금지하고 구화법만을 사용하도록 결정했다.[9] 이 회의에 164명의 교육자가 참석했지만, 청각 장애인 회원은 단 한 명뿐이었다.[9] 이 결정으로 인해 미국 농교육은 "암흑기"를 맞이했다.[1][4]

20세기 중반까지 미국 청각 장애 학교의 80%는 구화법만을 사용했다.[13] 에드워드 마이너 갤로데와 같은 수화 옹호론자들은 구화법 교육이 청각 장애 학생들의 모국어인 수화 사용 능력을 제한한다고 비판했다.[4]

2010년 밴쿠버에서 열린 국제 농교육 회의(ICED)에서 교실 내 수화 사용 금지를 철회하는 결정이 내려졌다.[9]

2. 1. 16-17세기: 초기 구화법

스페인 수사 페드로 폰세는 청각 장애인에게 읽고, 말하고, 세는 법을 가르치는 순수한 구화법을 개발했다.


페드로 폰세 데 레온(1520-1584)은 청각 장애인 교육의 창시자로 종종 여겨진다. 이후 후안 파블로 보넷(c. 1579–1633)은 ''말 못하는 사람에게 말하는 법을 가르치는 문자와 기술의 축약''을 출판했는데, 이는 교육의 기초 방법으로 널리 유통되었다. 보넷은 단어를 사용하여 소통하는 것을 옹호하는 구화주의자였지만, 수화 언어의 사용도 통합했다.[3]

2. 2. 18세기: 구화법 논쟁의 시작

18세기 초 미국에서 청각 장애인 교육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이래로 수화주의와 구화주의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뜨거운 논쟁의 양 측면에 서 있다.[4] 청각 장애인의 체계적인 교육으로서 구화주의는 1500년대 중반 스페인에서 시작되었으며 사회 경제적 동기의 부산물이었다. 교회는 청각 장애인이 큰 소리로 고백할 수 없다는 이유로 성찬식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고, 청각 장애인은 가족의 재산을 상속받는 것 또한 금지되었다. 따라서 가족의 재산을 보존하기 위해 스페인의 청각 장애 상속자들은 페드로 폰세 데 레온이 오냐의 산 살바도르 수도원에서 청각 장애인에게 말을 가르쳤다는 소식을 듣고 그에게 보내졌다.[5] 구화주의는 특권 계층의 청각 장애 자녀에게 자녀의 교육을 관리하고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로부터 그들을 격리할 기회를 제공했다. 말하기는 상류층과 높은 지성과 연관되어 왔으며, 수화에 대한 인식은 그 반대였다.[5]

2. 3. 19세기 말: 구화법의 확산과 밀라노 회의

19세기 말, 미국에서는 클라크 청각 및 언어 학교가 설립되어 청각 장애인 교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16] 이전에는 수화법이 널리 퍼져 있었지만, 다윈주의적 관점이 등장하면서 청각 장애인 교육에서 덜 선호되었다.[6] 1867년 클라크 청각 학교는 "듣는 법 배우기" 정신을 통해 청각 장애 학생들을 위한 "주류 서비스"가 되었으며, 이는 청각/구두 교육에 대한 교육자들의 적절한 훈련을 통해 이루어졌다.[16]

가디너 그린 허바드,[16] 호레이스 만,[4] 새뮤얼 그리들리 하우,[4]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8]과 같은 인물들은 구화주의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특히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청각 장애인들의 동화를 주장하며 수화가 "진정한 미국인"이 되는 것을 막는다고 생각했다.[10] 그는 청각 장애인 간의 결혼에 반대하지는 않았지만,[11] 구화법을 통해 청각 장애인들이 주류 사회에 통합될 수 있다고 믿었다.[12]

1880년, 밀라노에서 열린 국제 농교육 회의(ICED)에서는 수화 사용을 금지하고 구화법만을 사용하도록 결정했다.[9] 이 회의에는 164명의 교육자가 참석했지만, 청각 장애인 회원은 단 한 명뿐이었다.[9] 이 결정으로 인해 미국 농교육은 "암흑기"를 맞이하게 되었다.[1][4]

2. 4. 20세기: 수화 옹호 운동과 구화법의 쇠퇴

20세기 중반까지 미국 청각 장애 학교의 80%는 구화법만을 사용했다.[13] 당시 청각 장애 학생들은 교실에서 수화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많은 학생은 수화를 선호하여 기숙사에서 몰래 사용하곤 했다.[1] 일부 학생은 구어 습득에 어려움을 겪어 "구술 실패자"로 불리기도 했다. 또한 구화법 기술은 단어의 의미보다는 발음 방식에만 집중하게 만들어 학습 내용을 제한한다는 비판도 있었다.[1][4]

에드워드 마이너 갤로데와 같은 수화 옹호론자들은 구화법 교육이 청각 장애 학생들의 모국어인 수화 사용 능력을 제한한다고 비판했다.[4] 이들은 수화를 없애려는 시도가 청각 장애인의 정체성, 공동체, 문화를 빼앗는 것이라고 주장했다.[4]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10년 밴쿠버에서 열린 국제 농교육 회의(ICED)에서 교실 내 수화 사용 금지를 철회하는 결정이 내려졌다.[9] 이는 청각 장애인 활동가들과 ICED 기획 위원회가 전 세계 청각 장애인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한 결과였다.[9]

3. 현대적 사용

오늘날 미국에서는 언어 및 의사소통 교육에 구화법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일부 부모들은 자녀가 청인들과 구어로 소통하고, 구어 사용이 자녀의 문해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구화적 접근법을 선택한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교실 환경에서 구화적 접근법의 성공이 충분히 평가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1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공 와우를 사용하는 경우, 청각 장애 아동 대부분이 청각 및 구어 교육을 통해 청력이 있는 또래와 동등한 구어 능력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농인 사회에서 논란이 많은 장치이다.[15]

다음은 구화법을 교육에 활용하는 학교들이다.

학교명교육 방식기타
클라크 청각 및 언어 학교청각 장애 및 난청 아동의 구어 영어와 듣기 능력 개발에 중점. 학생들을 주류 환경에 적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16]
클리어리 학교초, 중, 고등학교 과정에서 미국 수어(ASL)와 구어 영어를 중심으로 교육. 유치원 과정은 구어 영어에 중점.[17]
멤피스 구화 학교구어 영어 교육을 통해 구어 및 문어 영어 능력 개발.[18]
모그 청각 교육 센터출생부터 초등학교 저학년까지의 청각 장애 또는 난청 아동과 그 가족에게 청취 및 구어 언어 서비스 제공.[19]
터커 맥슨 학교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있는 구어 언어 조기 중재 및 유치원부터 5학년까지의 교육 기관. 청각 장애 또는 난청 아동뿐만 아니라 일반 청력 아동도 포함하여 포괄적이고 공동 등록 방식의 상호 이익이 되는 교실 환경 제공. 학교의 사명은 "청각 장애 아동과 청각 아동이 함께 듣고, 말하고, 배우고, 탁월함을 달성하도록 가르치는 것".[20]


3. 1. 구화법의 효과 논쟁

구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공 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청각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인공 와우를 사용한 아동의 영어 발달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더 컸으며, 연구자들은 가능한 한 빨리 인공 와우를 이식할 것을 권장했다.[21]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이중 언어 및 이중 문화 교육을 통해 수어를 사용하는 아동과의 비교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22]

다른 연구에 따르면, 구화법을 사용하는 청각 장애 학생들은 청인 또래보다 의사소통 빈도가 적고, 내용이 덜 명확하며, 언어 능력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23]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음성 언어 능력과 읽기 능력 발달 간의 상관관계에 의문을 제기하며, 구화법 교육의 한계를 지적하기도 한다.[25]

구화법을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의 사회적, 직업적, 정신 건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만, 일부 연구에서는 인공 와우와 음성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의 사회 정서적 결과가 수화를 사용하는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26][27] 하지만, 교실에서 구화법의 성공을 예측하는 요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28]

3. 2. 사회적 측면

일부에서는 구화 환경에 있는 청각 장애 아동이 우울감, 불안감, 고독감, 당혹감을 느낄 수 있다고 보고한다.[28]

4. 국가별 구화법

아르헨티나에서는 구화법이 청각 장애 교육에 있어 중요한 논쟁거리였다. 구화법 지지자들은 청각 장애인이 청각 사회에 통합되는 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비판자들은 수화를 자연스럽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사소통 형태로 보며 수화 사용을 옹호한다.[35]


  • 브라질
  • 이탈리아
  • 멕시코
  • 스페인

4. 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의 구화법은 청각 장애 교육 분야에서 구어와 입술 읽기를 강조하는 교육 방식이다. 이는 아르헨티나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 내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5]

구화법 지지자들은 청각 장애인이 청각 사회에 통합되는 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비판자들은 수화를 자연스럽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사 소통 형태로 보며, 수화 사용을 옹호한다. 이러한 교육적 논쟁은 아르헨티나 청각 장애 교육 환경에서 계속 중요한 문제로 남아있다.[35]

아르헨티나의 구화법 역사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유럽의 청각 장애인 구두 교육 방식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다. 구화법이 널리 받아들여지기 전, 아르헨티나의 청각 장애인 교육은 수화가 주요 의사 소통 수단인 수화 중심 교육 방식에 영향을 받았다.[35]

1882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 국립 청각 장애인 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Sordomudos)가 설립되면서, 구화법을 옹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연구소는 1880년 밀라노 회의의 영향을 받아 청각 장애인 교육에서 수화보다 구화법이 더 우수하다고 주장했다.[35]

1887년에 설립된 아르헨티나 청각 장애인 협회(Asociación Argentina de Sordomudos) 역시 구화법을 장려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35]

시간이 지나면서 아르헨티나의 청각 장애인 교육 기관들은 구화법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구화법 학교가 설립되고 교육자들이 훈련을 받으면서, 수화 사용은 감소했다.[35]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Escuela de Sordos'(Hospital de Rehabilitación Manuel Rocca)는 청각 장애 및 난청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35] 이 학교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과정을 제공하며, 172명의 학생이 등록되어 있다. 한 반에 평균 약 6명의 학생으로, 학생 대 교사 비율이 낮다.[35]

이 학교는 전통적인 학업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워크숍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구화 학교의 서비스를 받으면서 일반 학교에 다닐 수 있다. 오전과 오후 교대제로 운영되며, 장애 아동에게 포괄적인 보살핌을 제공하는 학제 간 팀이 있다.[35]

5. 비판과 논란

구화법은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왔다. 주요 비판점은 다음과 같다.[1]


  • 언어 습득 제한: 말하기와 입술 읽기 학습은 어려울 수 있으며, 일부 청각 장애인은 청력이 있는 또래와 같은 수준으로 언어 능력을 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학업 성취와 전반적인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구화법에만 집중하면 '언어 박탈' 현상이 발생하여 인지 및 언어 발달에 장기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
  • 사회적 고립: 수어에 대한 충분한 기반 없이 구화법에만 의존하면,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 내에서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어려워 고립감과 소외감을 느낄 수 있다.[1]
  • 인지 발달 저해: 수어 사용은 청각 장애인의 인지 발달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화법 비평가들은 수어 사용을 장려하지 않음으로써 인지 발달이 저해되어 학습, 문제 해결 및 기타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어떤 경우에는 구화법에만 집중하면 "언어 박탈"이라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1]
  • 청각 장애인 문화와 정체성 훼손: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에서 수화는 중요한 문화적 정체성의 일부이다. 구화법 강조는 이러한 문화와 정체성 보존을 훼손할 수 있다.[1]
  • 심리적 스트레스: 말하기와 입술 읽기 학습은 일부 청각 장애인에게 스트레스와 피로를 줄 수 있다. 구화법의 방법과 기대에 순응해야 한다는 압박은 정서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전반적인 웰빙과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 기술 발전과 구화법: 인공 와우와 보청기 같은 기술 발전은 청각 장애 교육의 환경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기술은 일부 사람들에게 구두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만능 해결책은 아니다. 일부 청각 장애인은 이러한 기술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접근할 수 없으며, 구화법만 고집하면 그들의 요구를 간과할 수 있다.[1]

5. 1. 언어 습득 제한

구화법의 주요 비판점 중 하나는 청각 장애인의 언어 습득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다.[1] 말하기와 입술 읽기를 배우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며, 일부 청각 장애인은 청력이 있는 또래와 같은 수준으로 언어 능력을 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 이는 학업 성취와 전반적인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1]

구화법에만 집중하면 '언어 박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1] 이는 청각 장애인이 완전하고 풍부한 언어 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인지 및 언어 발달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1]

5. 2. 사회적 고립

일부 비평가들은 구화법에만 집중하면 청각 장애인이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많은 청각 장애인에게 더 접근 가능하고 자연스러울 수 있는 수어에 대한 강력한 기반이 없으면,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 내에서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고립감과 소외감을 초래할 수 있다.[1]

5. 3. 인지 발달 저해

수어 사용은 청력이 있는 사람이 구어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청각 장애인의 인지 발달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화법 비평가들은 수어 사용을 장려하지 않음으로써 인지 발달이 저해되어 학습, 문제 해결 및 기타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1] 어떤 경우에는 구화법에만 집중하면 "언어 박탈"이라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1] 이는 청각 장애인이 완전하고 풍부한 언어 환경에 노출되지 않을 때 발생하며, 이는 인지 및 언어 발달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5. 4. 청각 장애인 문화와 정체성 훼손

구화법 교육은 청각 장애인 문화와 정체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 내의 많은 사람들은 수화를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긴다.[1] 구화법에만 집중하면 수화가 이 문화의 중요한 측면이므로 청각 장애인 문화와 정체성의 보존과 증진이 훼손될 수 있다.[1] 구화법을 강조하면 청각 장애인이 자신만의 정체성을 포용하기보다는 청력이 있는 사람들과 더 비슷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1]

5. 5. 심리적 스트레스

말하기와 입술 읽기를 배우는 것은 일부 청각 장애인에게 스트레스와 피로를 줄 수 있다.[1] 구화법의 방법과 기대에 순응해야 한다는 압박은 정서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전반적인 웰빙과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일부 개인은 구화법을 사용하여 성공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

5. 6. 기술 발전과 구화법

인공 와우와 보청기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청각 장애 교육의 환경이 변화했다. 이러한 기술은 일부 사람들에게 구두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만능 해결책은 아니다. 일부 청각 장애인은 이러한 기술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접근할 수 없으며, 구화법만 고집하면 그들의 요구를 간과할 수 있다.[1]

5. 7. 언어 박탈

구화법의 주요 비판점 중 하나는 청각 장애인의 언어 습득이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말하기와 입술 읽기를 배우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며, 일부 청각 장애인은 청력이 있는 또래와 같은 수준으로 언어 능력을 개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는 학업 성취와 전반적인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구화법에만 집중하면 "언어 박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청각 장애인이 완전하고 풍부한 언어 환경에 노출되지 않을 때 발생하며, 인지 및 언어 발달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참조

[1] DVD Through Deaf Eyes PBS (Direct) 2007
[2] 간행물 Listening, language, and learning: Skills of highly qualified Listening and Spoken Language Specialists in educational settings 2010-06
[3] 서적 Introducción a la edición facsímil de la Reducción de las letras, y Arte para enseñar a hablar los mudos, con otros tratados tocantes a la lengua Griega y cifras https://ifc.dpz.es/r[...] Diputación Provincial de Zaragoza
[4] 서적 Never the Twain Shall Meet Gallaudet University Press 1987
[5] 서적 Train Go Sorry First Vintage Books 1995
[6] 서적 Forbidden signs : American culture and the campaign against sign langua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간행물 The Southern Ties of Helen Keller 2007
[8] 웹사이트 Introduction {{!}} AG Bell {{!}} Listening and Spoken Language http://www.agbell.or[...] 2017-04-19
[9] 웹사이트 2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Education of the Deaf (ICED) in July 2010 in Vancouver, Canada https://wfdeaf.org/n[...] 2016
[10] 서적 A Disabilit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Beacon Press
[11] 간행물 Marriage 1891
[12] 간행물 The Real "Toll" of A.G. Bell: Lessons about Eugenics 2009
[13] 서적 Talking Hands Simon & Schuster Paperbacks 2007
[14] 서적 Issues in Deaf Educ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2-06
[15] 간행물 Early Sign Language Exposure and Cochlear Implantation Benefits 2017-07
[16] 웹사이트 Welcome to Clarke http://www.clarkesch[...] 2013-09-05
[17] 웹사이트 Cleary School for the Deaf http://www.clearysch[...]
[18] 웹사이트 Memphis Oral School for the Deaf : Who We Are : Overview http://mosdkids.org/[...]
[19] 웹사이트 Moog Center for Deaf Education https://www.moogcent[...]
[20] 웹사이트 Tucker Maxon School https://www.tuckerma[...]
[21] 간행물 Language Development in Profoundly Dea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2000-03
[22] 웹사이트 More Than Meets the Eye http://gupress.galla[...]
[23] 간행물 Communication of Oral Deaf and Normally Hearing Children at 36 Months of Age https://www.research[...]
[24] 간행물 Signs of Resistance: Peer Learning of Sign Languages Within 'Oral' Schools for the Deaf 2013-05-01
[25] 간행물 The Role of Phonology in the Word Decoding Skills of Poor Readers: Evidence from Individuals with Prelingual Deafness or Diagnosed Dyslexia 2007-08-01
[26] 간행물 Psychosocial adjustment in adolescents who have used cochlear implants since preschool 2011-02
[27] 간행물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well-being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2008-12
[28] 서적 SAGE Reference - Oralism, Psychological Effects of
[29] 웹사이트 Sign Bilingualism in Spanish Deaf Education https://www.academia[...] 2008
[30] 서적 La comunidad sorda argentina: una mirada antropológica. https://www.academia[...] La Plata: Al Margen
[31] 웹사이트 Día Nacional de las Personas Sordas Argentinas. https://educacion.un[...] 2009
[32] 뉴스 Creación del primer Instituto Educativo Nacional Para Sordo Mudos. https://museosarmien[...]
[33] 서적 La escuela mixta en los institutos de Sordomudos. http://www.bnm.me.go[...] Tipografía de El Tiempo.
[34] 웹사이트 El Congreso de Milán y su efecto dominó en la República Argentina: Aproximación a algunos hechos relacionados con la comunidad sorda argentina. https://www.cultura-[...] 2008
[35] 뉴스 La escuela porteña donde se enseña a hablar a los chicos sordos. https://buenosaires.[...] 2017
[36] 간행물 Argentinien: Anfänge und Entwicklung der Erziehung Gehörloser [Argentina: Inicios y desarrollo de la educación del sordo] http://modalidadespe[...] Das Zeichen. Zeitschrift Zum Thema Gebärdensprache und Kommunikation Gehörlose, 38 1996
[37] 서적 Bilingüismo en sordos. http://www.memoria.f[...] IV Jornadas de Español como Lengua Segunda y Extranjera, 7 y 8 de noviembre de 2012, La Plata, Argentina. Experiencias, Desarrollos, Propuestas. En Memoria Académica.
[38] 서적 DERECHO A LA COMUNICACIÓN. SORDERA VS LENGUA DE SEÑAS ARGENTINA. https://repositorio.[...] Universidad siglo 21
[39] 웹사이트 El Derecho a la Minoría Sorda. Cultura Sorda. https://cultura-sord[...]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