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의용민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안보의용민병대(MVSN)는 1923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탈리아에서 정권을 잡은 후 개인 조직이었던 검은 셔츠단을 공공 조직으로 개편한 파시스트 민병대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의 대두와 파업으로 혼란스러웠던 이탈리아에서 검은 셔츠단은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 등을 공격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로마 진군으로 무솔리니를 권좌에 앉히는 데 기여했다. MVSN은 이탈리아가 참전한 여러 전역에서 활동했으며, 1943년 무솔리니 실각 후 해체되었다가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에서 부활했지만, 1943년 12월 국립 공화국 경비대로 개편되었다. MVSN은 로마 군대를 모방한 조직 구조를 가졌으며, 검은 셔츠와 페즈를 착용했다. 무솔리니의 파시즘과 MVSN의 제복은 다른 파시스트 운동에 영향을 미쳐 유사한 형태의 준군사 조직과 제복을 등장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준군사조직 - 아르디티 델 포폴로
아르디티 델 포폴로는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이탈리아에서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파시스트에 맞서 싸운 반파시스트 무장 단체였으나, 파시스트의 탄압으로 해체 후 단원들은 스페인 내전이나 이탈리아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하며 투쟁을 이어갔다. - 파시즘 정당의 당군 - 우스타샤 민병대
우스타샤 민병대는 1941년 크로아티아 독립국에서 의용군을 통제하기 위해 창설된 군사 조직으로, 세르비아인, 유대인, 집시 학살에 연루되었으며, 이후 크로아티아 국토방위군과 통합되어 반파르티잔 작전에 관여했다. - 파시즘 정당의 당군 - 히르덴
히르덴은 독일 점령기 노르웨이에서 나치당의 무장 조직으로, 릭스히르덴을 중심으로 해군, 비행단 등 다양한 조직으로 구성되어 반대자들을 상대로 폭력적인 작전을 수행하고 나치즘 사상을 전파했다. - 백색 테러 - 김두한
김두한은 일제강점기 주먹으로 활동하다 해방 후 정치인으로 변신한 인물로, 김좌진 장군 아들이라는 설이 있지만 논란이 있으며, 반일 활동, 정치 활동, 폭력 사건 등 다양한 행적을 보였고, 그의 삶은 여러 매체에서 재해석되었으나 평가는 엇갈린다. - 백색 테러 - 김구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통일운동가로서, 동학 입교, 치하포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인애국단 조직,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국가안보의용민병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국방 의용군 |
원어 명칭 | Milizia Volontaria per la Sicurezza Nazionale (이탈리아어) |
별칭 | 카미체 네레 스쿠아드리스모 의용군 |
약칭 | MVSN |
조직 및 활동 | |
창설 | 1919년 |
해체 | 1943년 12월 8일 |
종류 | 준군사조직 민병대 |
소속 | 국가 파시스트당 |
규모 | 351,000명 |
주둔지 | 로마 |
지휘부 | |
총사령관 | 참조 |
참모총장 | 참조 |
주요 활동 | |
참전 | 리비아 평정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스페인 내전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전역 |
2. 역사
국가안보의용민병대의 전신인 검은 셔츠단(Camicie Nere|카미치에 네레ita)은 1919년 무장대(Fasci di combattimentoita)로 처음 조직되었다. 이 조직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에 불만을 품은 많은 퇴역 군인들로 구성되었으며, 주로 사회주의 세력과의 투쟁을 목표로 삼았다. 이들의 검은색 제복은 이탈리아 육군의 정예 부대였던 아르디티의 복장에서 유래했으며, 과거 가리발디의 붉은 셔츠대처럼 복장 색깔에서 비롯된 별칭이다[14].
검은 셔츠단은 퇴역 군인 외에도 농민, 파시즘 운동 지지자, 반공주의 성향의 소지주 등이 가담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의 사병 조직 역할을 하며 폭력적인 활동을 통해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1922년 10월, 무솔리니의 로마 진군 당시 검은 셔츠단의 규모는 약 20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진군을 통해 무솔리니가 정권을 장악한 후, 검은 셔츠단은 국가 조직으로 편입되었다. 1923년 2월 1일, 검은 셔츠단은 공식적으로 국가안보 의용민병대(Milizia Volontaria per la Sicurezza Nazionale|밀리치아 볼론타리아 페르 라 시쿠레차 나치오날레ita, '''MVSN''')로 개칭되어 국방성 산하의 "제5의 군"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나치 독일이 돌격대(SA)를 숙청한 것과 달리, 기존 사병 조직을 국가 기관으로 흡수한 사례이다. MVSN은 정규군의 병역 연령에 해당하지 않는 청소년이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예비 전력을 훈련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했으며, 1936년까지 14개 사단, 133개 연대 규모로 성장했다.
MVSN은 여러 전쟁에 동원되었다. 1935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 참전하여 1936년 아디스아바바 점령에 기여했으며[16], 스페인 내전에도 파병되었으나 전투력과 사기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1939년 무솔리니는 육군과 MVSN의 통합을 시도했지만, 병력의 질적 차이와 지휘 체계의 불일치로 인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육군의 약점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1943년 8월, 무솔리니가 실각하고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MVSN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그러나 이후 무솔리니가 독일의 지원을 받아 북부에 수립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SI)에서 MVSN은 1943년 12월 8일 '''국가 경비군'''(Guardia Nazionale Repubblicana|과르디아 나치오날레 레푸블리카나ita, '''GNR''')으로 재편되었다. 또한, 1944년 6월에는 자발적으로 조직된 구 검은 셔츠단 출신 의용 부대들이 GNR의 보조 부대로 편입되어 "검은 여단"(Brigate Nere|브리가테 네레ita)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파시스트 정권의 몰락과 함께 이들 조직 역시 소멸하였다.
2. 1. 등장 배경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이탈리아 사회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전쟁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협상국으로부터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한다는 불만이 팽배했고, 이는 사회 곳곳에서 파업이 끊이지 않는 결과로 이어졌다. 또한 20세기 이탈리아에서는 사회주의자들이 영향력을 키우고, 농민과 노동자들이 이탈리아 공산당 창당을 통해 진보적인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기존의 대지주 세력이나 군부 등 보수 세력에게 큰 위기감을 안겨주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극단적인 보수 단체인 검은 셔츠단(Camicie Nere|카미치에 네레it)이 사회주의자들의 정치 및 경제 조직을 파괴할 목적으로 1919년 3월 처음 조직되었다. 각 분대는 '행동대'(Squadre d' Azione|스콰드레 다치오네it)라고 불렸다. 검은 셔츠단은 초기에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지만 사회에 불만을 품고 있던 많은 퇴역 군인들로 구성되었으며, 사회주의자들과의 싸움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았다.
같은 해 3월, 베니토 무솔리니는 파시스트당의 전신인 이탈리아 전투 파시( Fasci Italiani di Combattimento|파시 이탈리아니 디 콤바티멘토it)를 설립했다. 전투 파시의 핵심 역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퇴역 군인들이었으며, 이들은 의용병적인 성격을 띠었다. 이들의 제복은 이탈리아 육군이 독일 육군의 돌격대를 참고하여 창설한 특수부대인 Arditi|아르디티it 부대의 검은색 군복을 그대로 사용했다. 과거 가리발디의 의용군이 옷 색깔 때문에 "붉은 셔츠대"라고 불렸던 것을 본떠 이들은 "검은 셔츠단"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4].
검은 셔츠단에는 퇴역 군인뿐만 아니라 농민, 파시즘 운동에 공감하는 정치인, 그리고 반공주의를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려 했던 소지주 등 다양한 계층이 가담했다. 이탈리아 전투 파시가 세력을 넓혀감에 따라, 검은 셔츠단은 그 사병 조직으로서 사회 곳곳에서 폭력적인 행동을 일으키며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1921년 5월 총선에서 무솔리니는 자신을 지지하는 35명을 국회에 당선시켰고, 같은 해 11월에는 이탈리아 전투 파시를 "국가 파시스트당"으로 개편했다. 검은 셔츠단 역시 급격히 성장하여, 1922년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이어진 로마 진군 당시에는 그 수가 약 20만 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 검은 셔츠단은 여러 개의 연대로 나뉘어 각자 부대기를 가질 정도로 조직화되었다.
로마 진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한 무솔리니와 파시스트당은 검은 셔츠단의 지위를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해야 했다. 이는 훗날 나치 독일에서 아돌프 히틀러가 돌격대(SA)를 처리했던 방식과는 달랐다. 나치는 장검의 밤 사건을 통해 기존 국방군(Reichswehr)[15]과 히틀러에게 충성하는 친위대(SS)를 우선시하며 돌격대를 숙청했지만, 파시스트당은 검은 셔츠대를 정식 국가 기관으로 편입시키기로 약속했다. 1923년 1월 14일,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검은 셔츠단을 육군, 해군, 공군, 카라비니에리와 마찬가지로 "왕의 군대"로 인정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1923년 2월 1일, 파시스트당은 검은 셔츠단을 '''국가안보 의용민병대'''(Milizia Volontaria per la Sicurezza Nazionale|밀리치아 볼론타리아 페르 라 시쿠레차 나치오날레it, '''MVSN''')로 공식 개칭하고, 육군, 해군, 공군, 카라비니에리에 이은 "제5의 군"으로서 국방성 산하 조직으로 편입시켰다. 이 조직은 1943년 9월 8일 카시빌레 휴전으로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 항복할 때까지 존속하게 된다.
2. 2. 초기 활동과 로마 진군 (1919년 ~ 1922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이탈리아 사회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전쟁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협상국으로부터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하면서 국내에서는 불만이 고조되었고, 파업이 끊이지 않았다.[14] 또한, 20세기 이탈리아에서는 사회주의자들이 부상하고 농민과 노동자들이 이탈리아 공산당 창당을 통해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면서, 기존의 대지주와 군부 등 보수 세력은 큰 위기감을 느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극우 성향의 검은 셔츠단이 사회주의 세력의 조직을 파괴할 목적으로 1919년 3월 처음 조직되었다. 각 분대는 '행동대'(Squadre d'Azioneit)라고 불렸다. 검은 셔츠단의 제복은 이탈리아 육군의 정예 돌격대였던 알디티의 검은 군복을 그대로 사용했으며, 과거 가리발디의 붉은 셔츠대처럼 옷 색깔을 따 '검은 셔츠대'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14]검은 셔츠단은 처음에는 불만을 품은 퇴역 군인들을 중심으로 조직되었으나, 점차 운동에 공감하는 농민, 정치인, 그리고 반공주의를 통해 이익을 얻으려던 소지주 등 다양한 계층이 가담하면서 세력을 확장했다. 1920년 말부터 검은 셔츠단은 기독교 사회주의자, 사회주의자뿐만 아니라 공산주의자, 공화주의자, 민주적 노동조합 등 파시즘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을 적으로 규정하고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고 파괴했다. 이 과정에서 수백 명의 무고한 사람들이 살해당했다. 이러한 폭력 활동과 전후 사회 혼란을 기회 삼아 검은 셔츠단은 급격히 성장하여 1921년 5월 총선에서는 베니토 무솔리니를 포함한 35명의 지지자를 의회에 진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같은 해 11월, 무솔리니는 이탈리아 전투 파시를 파시스트당으로 개편했다.
1922년 10월 24일, 나폴리에서 열린 파시스트당 대표자회의를 계기로 전국에 흩어져 있던 무장한 검은 셔츠단 대원들이 집결했다. 10월 28일, 이탈리아의 비행사이자 파시스트 지도자 중 한 명인 이탈로 발보 등의 지휘 아래, 검은 셔츠단은 로마 진군을 감행했다. 당시 로마 진군에 동원된 검은 셔츠단 대원의 수는 약 20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에게 무솔리니를 총리로 임명할 것을 요구하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무력으로 정부를 전복시키겠다고 협박했다. 국왕은 이러한 압력에 굴복하여 이튿날 무솔리니에게 정부 구성을 요청했다. 10월 31일, 무솔리니는 정권 장악을 공식 선언하고, 검은 셔츠단을 정규 군사 조직으로 개편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이후 검은 셔츠단이 국가안보의용민병대(MVSN)로 재편되는 기반이 되었다.
2. 3. 국방의용군(MVSN)으로의 개편과 활동 (1923년 ~ 1943년)
1922년 10월 로마 진군을 통해 베니토 무솔리니가 권력을 장악한 후, 1923년 파시스트당을 제외한 모든 정당을 불법화하고 이탈리아를 전체주의 국가로 만들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의 사병 조직이었던 검은 셔츠단은 국가 조직으로 개편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23년 1월 14일,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검은 셔츠단을 육해공군 및 경찰군과 동등한 "왕의 군대"로 인정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1923년 2월 1일, 검은 셔츠단은 공식적으로 국방의용군(Milizia Volontaria per la Sicurezza Nazionaleit, '''MVSN''')으로 개칭되어 국방성 산하의 "제5의 군"으로 편제되었다. 이는 나치 독일이 돌격대(SA)를 숙청했던 것과는 달리, 파시스트 정권이 검은 셔츠대를 국가 기관으로 흡수한 사례이다.[14]

국방의용군(MVSN)은 주로 국외 문제를 담당하는 육해공군이나 국내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군(카라비니에리)과는 달리, 정규군의 병역 연령에 해당하지 않는 청소년이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예비 전력을 훈련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했다. 초기에는 퇴역 군인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나, 점차 농민, 파시즘 동조자, 반공주의 성향의 소지주 등 다양한 계층이 합류했다. 1929년에는 전체 부대를 통솔하는 4개의 야전군(raggruppamenti)이 창설되었으며, 1936년까지 총 14개 사단과 133개 연대를 편성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1936년에는 조직 개편이 이루어져, 각 연대는 2개 대대로 구성되었다. 1개 대대는 파시스트당 청년단 출신의 청소년 병사로, 다른 1개 대대는 경험 많은 퇴역 군인이나 중장년층으로 편성하는 연령별 구분이 시행되었다. 또한, 당내 친위 부대인 '통솔 경비 대대'(Moschettieri del Duce), 본토에 편입된 알바니아 지역의 4개 연대, 아프리카 식민지의 7개 연대가 증설되었다. 경찰군을 보조하는 치안 유지 임무도 추가되어 관련 부문이 신설되었다.
MVSN은 여러 전쟁에 동원되었다. 1935년 10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하자 6개 사단이 투입되어 1936년 5월 1일 정규군과 함께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입성했다.[16] 스페인 내전에는 4개 의용병 사단 중 3개 여단이 파병되었으나, 전투력과 사기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정규군으로 구성된 "리토리오 여단"에 비해 의용병 중심의 여단들은 전의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1939년 10월, 무솔리니는 만성적인 자금 부족에 시달리던 육군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육군과 국방의용군의 통합을 시도했다. MVSN 사단은 "의용 사단"으로, 연대는 "의용병 연대"로 육군에 배속되었으나, 병력의 질적 문제와 지휘 체계 및 장비의 불일치로 인해 오히려 육군의 약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40년 기준으로 약 34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던 MVSN은 북아프리카 전선에 새롭게 편성된 3개 사단(제1, 제2, 제4사단)을 파견했지만, 이들은 영국군과의 전투에서 큰 손실을 입고 괴멸되었다. 전쟁 후반에는 제4사단 "M"과 제5사단 "아프리카"가 추가로 투입되었다.
1943년 8월, 무솔리니가 실각하고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국가 조직으로서의 국방의용군(MVSN)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이로써 1923년부터 약 20년간 지속된 MVSN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 (이후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에서 재편된 국가 경비군(GNR)은 별개의 조직이다.)
=== 주요 참전 부대 ===
여단 명칭 | 원어 명칭 |
---|---|
제1 검은 셔츠 여단 "디오 로 부올레" | 1ª Divisione CC.NN. "Dio lo Vuole" |
제2 검은 셔츠 여단 "피아메 네레" | 2ª Divisione CC.NN. "Fiamme Nere" |
제3 검은 셔츠 여단 "펜네 네레" | 3ª Divisione CC.NN. "Penne Nere" |
=== 편제 (시기별) ===
구성 | 세부 내용 |
---|---|
사단 사령부 | - |
3개 연대 | 각 연대: 1개 기관총 중대 (기관총 12정), 2개 의용병 대대 (각 대대: 1개 기관총 중대 (브레다 8mm 기관총 8정), 3개 의용병 중대, 포병 중대) |
포병 대대 | 1개 |
공병 대대 | 1개 |
예비 대대 | 2개 |
위생 부대 | 1개 |
식량 부대 | 1개 |
말 수송 부대 | 1개 |
기계 수송 부대 | 1개 |
'''참고:''' 의용군 사단은 3개 보병 대대를 보유했지만 중기관총(MMG)은 배치되지 않았고, 1개 소대에 3정의 경기관총만 있었다. 예비 부대는 1개 소대당 1정의 경기관총만 배치되었다.[20]
구성 | 세부 내용 |
---|---|
사단 사령부 | - |
2개 연대 | 각 연대: 3개 대대, 1개 박격포 부대, 1개 대전차 부대 |
기관총 대대 | 1개 |
포병 연대 | 2개 포병 부대 (75mm/27), 1개 포병 부대 (100mm/17), 2개 대공포 부대 |
공병 대대 | 1개 (1개 위생 부대, 3개 야전 병원, 1개 보급 부대 포함) |
수송 부대 | 1개 |
2. 4. 몰락과 재편 (1943년 ~ 1945년)
1943년 무솔리니가 실각하고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면서[14], 국가 조직으로서의 검은 셔츠단(MVSN)은 해체되었다. 1943년 9월 8일 카시빌레 휴전으로 MVSN의 활동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그러나 이후 무솔리니가 나치 독일의 괴뢰국인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SI), 일명 살로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검은 셔츠단은 재편되었다. 1943년 12월 8일, MVSN은 '''국가 경비군'''(Guardia Nazionale Repubblicana|과르디아 나치오날레 레푸블리카나ita, '''GNR''')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GNR은 명목상 전차 사단이나 공정 부대 등 야전 부대를 포함했으나, 실제로는 이전보다 조직의 수준이 크게 저하되어 파르티잔 토벌조차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독일군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GNR은 점차 유명무실한 존재가 되었다.
한편, 일부 옛 검은 셔츠단 대원들이 자발적으로 파르티잔과 싸우기 위해 의용 부대를 조직하기도 했다. 1944년 6월, 이러한 의용 부대들은 GNR의 보조 부대로 편입되어 '검은 여단'(Brigate Nere|브리가테 네레ita)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재편 노력에도 불구하고 파시스트 민병대는 몰락을 피할 수 없었다.
3. 조직
베니토 무솔리니는 검은 셔츠단의 지도자로서 공식적으로는 사령관-총사령관(Comandante Generale)이자 명예 상등병 계급을 가졌으나, 실제 조직 운영은 군대의 장군에 해당하는 참모총장(Capo di Stato Maggiore)이 맡았다. 국가안보의용민병대(MVSN)는 고대 로마 군대의 편제를 모방하여 조직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사르데냐 군 시대부터 이어져 온 근대적 부대 명칭을 사용하는 정규군(육군, 해군, 공군, 카라비니에리)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이탈리아 왕을 명목상 총사령관으로 하는 정규군과 달리, 파시스트당의 사병 부대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베니토 무솔리니를 유일한 총사령관으로 한다는 점이 중요한 특징이었다[17]. 부대 단위 명칭 역시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조나(사단), 레기오(연대), 코호르스(대대) 등의 명칭을 채택했으며, 구체적인 편제와 계급 구조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
3. 1. 기본 조직
국가안보의용민병대의 부대 단위 명칭은 고대 로마군의 구조에서 유래했으며, 다른 유럽 군대에서 흔히 사용하는 용어와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 'battaglione'(대대)는 여러 언어에 동족어가 있지만, 민병대는 로마식 명칭을 사용했다. 조직적으로는 이탈리아 왕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정규군(육군, 해군, 공군, 카라비니에리)과 달리, 당의 사병 조직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베니토 무솔리니를 유일한 총사령관으로 삼는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17].다음은 민병대에서 사용된 부대 단위와 그에 대응하는 현대 군대 편제이다.
로마식 명칭 (이탈리아어) | 의미 | 현대 군대 대응 편제 |
---|---|---|
Zona | 구역 | 사단 |
Legione (군단) | 군단 | 연대 |
Coorte (코호트) | 대대 | 대대 |
Centuria (백인대) | 백인대 | 중대 |
Manipolo (매니플) | 중대 | 소대 |
Squadra (분대) | 분대 | 분대 |
이 부대들은 다음과 같이 3개의 하위 부대가 하나의 상위 부대를 구성하는 삼각 편제 원칙에 따라 조직되었다.
- 3 Squadre (분대) = 1 Manipolo (소대)
- 3 Manipoli (소대) = 1 Centuria (중대)
- 3 Centuriae (중대) = 1 Coorte (대대)
- 3 Coorti (대대) = 1 Legione (연대)
- 3 Legioni (연대) = 1 Divisione (사단 - 야전 사단)
- 3개 이상의 Legioni (연대) = 1 Zona (구역 - 행정 구역)
검은 셔츠단 시절 초기 병력은 15개 사단으로 나뉘어, 각 사단은 3개 대대로 구성된 133개 연대에 배속되었다. 이와 별도로 사단에 속하지 않는 독립 연대 10개도 존재했다. 1929년 조직 개편을 통해 모든 부대를 총괄하는 4개의 야전군(raggruppamenti)이 상위 부대로 창설되었으나, 기본적인 편제는 1920년대 내내 유지되었다.
1936년에 새로운 개편이 이루어졌다. 1개 연대는 2개 대대로 축소되었는데, 한 대대는 파시스트 청년단 출신의 청소년 병사로, 다른 대대는 숙련된 퇴역 군인 및 고령 징집병으로 구성하는 연령별 구분이 시행되었다. 또한, 당내 친위 부대 격인 무솔리니 호위대대(Moschettieri del Duce), 본토에 편입된 알바니아 지역의 4개 연대,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의 7개 연대가 증설되었다. 추가로 경찰력을 보조하는 치안 유지 임무가 추가되었고, 이를 위한 관련 부문이 창설되었다.
민병대는 여러 전쟁에 투입되었다.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제1사단부터 제6사단까지 투입되었으며, 제7사단은 전쟁 중 편성이 완료되지 못했다.
- 제1 검은 셔츠 사단 "3월 23일"
- 제2 검은 셔츠 사단 "10월 28일"
- 제3 검은 셔츠 사단 "4월 21일"
- 제4 검은 셔츠 사단 "1월 3일"
- 제5 검은 셔츠 사단 "2월 1일"
- 제6 검은 셔츠 사단 "티베레"
- 제7 검은 셔츠 사단 "치레네" (미편성)[18]
- 스페인 내전: 일부 병력을 차출하여 의용군단(CTV) 내 4개 의용병 사단 중 3개 여단을 편성했다(제4 의용 여단 "리토리오"는 정규군). 전쟁 중 손실로 인해 현지 의용병과 혼성 부대로 재편성되기도 했다.
- 제1 검은 셔츠 여단 "디오 로 부올레" (Dio lo Vuole, 신께서 원하신다)
- 제2 검은 셔츠 여단 "피암메 네레" (Fiamme Nere, 검은 불꽃)
- 제3 검은 셔츠 여단 "펜네 네레" (Penne Nere, 검은 깃털)
-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기준으로 민병대는 34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 북아프리카 전역에 새로 편성된 제1, 제2, 제4사단을 증원군으로 파견했으나, 이들은 영국군과의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고 괴멸되었다. 전쟁 후반에는 제4사단 "M"과 제5사단 "아프리카"가 추가로 투입되었다.
치안 유지 임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부문들이 창설되었다.
- 방공·해안 경비군
- 대공포 부대
- 해안포 부대
- 산림 경비군
- 국경 경비군
- 교통 경비군
- 선박 경비군
- 통신 경비군
- 수송 경비군
- 학생 징집군
일반적인 민병대 사단(1940년 기준 추정)의 편제는 다음과 같았다.
- 사단 사령부
- 2개 연대
- 각 연대는 3개 대대
- 각 연대는 1개 박격포 부대
- 각 연대는 1개 대전차 부대
- 1개 기관총 대대
- 1개 포병 연대
- 2개 포병 부대 (75mm/27 곡사포)
- 1개 포병 부대 (100mm/17 곡사포)
- 2개 대공포 부대
- 1개 공병 대대
- 1개 위생 부대
- 3개 야전 병원
- 1개 보급 부대
- 1개 수송 부대
3. 2. 치안 유지 부문
특수 민병대는 또한 치안 경찰 및 헌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조직되었으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임업 민병대
- 국경 민병대
- 고속도로 민병대
- 항만 민병대
- 우편 및 전신 민병대
- 철도 민병대
- 대학 민병대
- 대공 및 해안 포병 민병대, 두 개의 민병대를 통제하는 통합 사령부:
- * 대공 민병대
- * 해안 포병 민병대
3. 3. 계급
베니토 무솔리니는 Comandante Generale|코만단테 제네랄레it(총사령관)로서 1935년에 Caporale d'Onore|카포랄레 도노레it(명예 상등병) 계급을 받았다. 또한 아돌프 히틀러에게는 Caporale Onorario|카포랄레 오노라리오it(명예 상등병) 계급을 신설하여 수여했다. 다른 모든 계급은 옛 로마군의 계급과 거의 유사하게 만들어졌다.조직적으로는 기본적으로 이탈리아 왕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육군, 해군, 공군 및 카라비니에리와 달리, 당의 사병 조직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베니토 무솔리니를 유일한 총사령관으로 삼는 점이 특징적이었다[17]. 부대 단위 명칭도 근대적 호칭을 사용하는 정규군과 달리, 고대 로마의 관직명을 사용했다.
구분 | 이탈리아어 계급명 | 대응 계급 |
---|---|---|
장관 | Comandante Generale|코만단테 제네랄레it | 대장 |
Luogotenente Generale Capo di S.M|루오고테넨테 제네랄레 카포 디 에스.엠.it | 중장 | |
Luogotenente Generale|루오고테넨테 제네랄레it | 소장 | |
Console Generale|콘솔레 제네랄레it | 준장 | |
장교 | Console Comandante|콘솔레 코만단테it | 대령 |
Primo Seniore|프리모 세니오레it | 중령 | |
Seniore|세니오레it | 소령 | |
Centurione|첸투리오네it | 대위 | |
Capomanipolo|카포마니폴로it | 중위 | |
Sottocapomanipolo|소토카포마니폴로it | 소위 | |
Aspirante Sottocapomanipolo|아스피란테 소토카포마니폴로it | 사관후보생 | |
부사관 및 병 | Primo Aiutante|프리모 아이우탄테it | 상사 |
Aiutante Capo|아이우탄테 카포it | 준위 | |
Aiutante|아이우탄테it | 하사 | |
Primo Capo Squadra|프리모 카포 스콰드라it | 상사 | |
Capo Squadra|카포 스콰드라it | 하사 | |
Vicecapo Squadra|비체카포 스콰드라it | 병장 | |
Camicia Nera Scelta|카미치아 네라 셸타it | 상병 | |
Camicia Nera|카미치아 네라it | 이등병 |
4. 제복
검은 셔츠단은 이탈리아 육군과 동일한 제복을 착용했지만, 검은색 셔츠와 검은색 넥타이, 그리고 검은색 페즈를 추가로 착용했다. 제복 재킷의 옷깃에는 휘장 대신 두 개의 끝이 있는 검은색 불꽃 모양 장식이 달렸고, 육군의 별 대신 묶인 파스키(속간)가 부착되었다.[8] 일부 장교와 ''두체 친위대''(무솔리니의 경호대)는 전체가 검은색인 정복을 착용하기도 했다.
5. 영향
무솔리니의 국가안보의용민병대(검은 셔츠단, 블랙셔츠)의 정신과 때로는 제복은 파시즘에 영향을 받은 다른 국가의 조직들에게 모방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지도자 | 조직 | 셔츠 색깔 / 별칭 |
---|---|---|---|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Sturmabteilung|슈투름압타일룽de(돌격대) | 갈색 셔츠 (Braunhemden|브라운헴덴de) |
영국 | 오스왈드 모슬리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검은 셔츠 (블랙셔츠) |
불가리아 | Асен Кантарджиев|아센 칸타르지예프bg | 불가리아 정신 발전 병사 연합 (Съюз на ратниците за напредъка на българщината|시에우지에트 나 라트니치테 자 나프레디에카 나 비엘가르슈치나타bg, 통칭 라트니크) | 빨간 셔츠 |
미국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미국 은색 군단 | 은색 셔츠 (실버 셔츠) |
멕시코 | 니콜라스 로드리게스 카라스코 | Acción Revolucionaria Mexicanista|악시온 레볼루시오나리아 메히카니스타es (혁명 멕시코주의 행동, 통칭 카미사스 도라다스) | 황금 셔츠 (골든 셔츠). 카라스코는 이전에 초국가주의적이고 반공주의적인 준군사 단체인 녹색 셔츠(Camisas Verdes)를 창설했으나, 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장군 집권 후 해산되었다. |
브라질 | 플리니오 살가도 | 브라질 통합주의 운동 | 녹색 셔츠 (Camisas Verdes|카미사스 베르데스pt) |
아일랜드 자유국 | 에인 오더피 | 육군 동료 협회 (Army Comrades Association) | 파란 셔츠 (블루셔츠) |
"블루셔츠"라는 명칭은 캐나다의 파시스트 조직인 캐나다 국민 사회주의 통일당, 중화민국의 청의사, 프랑코주의 스페인의 팔랑헤 에스파뇰라 구성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루마니아의 파시스트 준군사 조직인 철위대, 유고슬라비아의 파시스트 유고슬라비아 급진 연합, 그리고 아일랜드 블루셔츠의 후계 조직 격인 국가 기업당(Fine Gael, 에인 오더피 창설) 구성원들은 녹색 셔츠를 입었다.
카시빌 휴전 이후 블랙셔츠는 해산되었고,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에서는 국립 공화국 경비대와 블랙 여단이 민병대 역할을 수행했으며, 공화국 경찰대와 함께 활동했다.
결론적으로, 무솔리니가 창시한 파시즘과 그 핵심 조직인 블랙셔츠의 특징, 특히 특정 색깔의 셔츠를 입고 활동하는 사병 부대 운영 방식은 여러 국가의 유사 파시즘 세력에게 큰 영향을 주며 모방되었다. 앞서 언급된 나치의 갈색 셔츠단을 비롯하여, 시대를 불문하고 다양한 국가에서 여러 색깔의 "셔츠단"이 조직되었으며, 이는 블랙셔츠의 제도나 복장 양식을 참고한 경우가 많다.
참조
[1]
서적
Mussolini's Italy: Life Under the Fascist Dictatorship, 1915–1945
Penguin Books
[2]
서적
Il gas di Mussolini. Il fascismo e la guerra d'Etiopia
https://books.google[...]
Editori riuniti
[3]
문서
The Blackshirt Division Order of Battle
Giovanni Volpe Editore
[4]
문서
Italian Army Infantry Regulation of 1939
[5]
문서
The Blackshirts Division TO&E
[6]
문서
The Blackshirts Division TO&E
[7]
서적
Axis Forces in Yugoslavia 1941–45
Osprey Publishing
[8]
웹사이트
Regio Esercito - Uniformi della M.V.S.N. - Regolamento 1935 - Ufficiali
http://www.regioeser[...]
[9]
웹사이트
Braun war Farbe der Nazis in der NS-Zeit
https://www.zeit.de/[...]
Die Zeit
2011-11-17
[10]
서적
Blackshirt: Sir Oswald Mosley and British Fascism.
Viking
[11]
서적
Camisas, escudos y desfiles militares : los Dorados y el antisemitismo en México, 1934-1940
Escuela Nacional de Estudios Profesionales Acatlán (UNAM)
2000
[12]
웹사이트
Integralistas estão de volta e resgatam camisas verdes - Política
https://politica.est[...]
Estadão
2020-01-11
[13]
웹사이트
Eoin O'Duffy's Blueshirts and the Abyssinian crisis
https://www.historyi[...]
historyireland.com
2013-02-12
[14]
서적
Mussolini's Italy: Life Under the Fascist Dictatorship, 1915-1945
Penguin Books
[15]
문서
독일재군비선언
[16]
뉴스
이탈리아군, 수도 아지스 아베바를 점령
大阪毎日新聞
1936-05-02
[17]
문서
친위대의 충성선서
[18]
문서
The Blackshirt Division Order of Battle
Giovanni Volpe Editore
[19]
문서
Italian Army Infantry Regulation of 1939
[20]
문서
The Blackshirts Division TO&E
[21]
문서
The Blackshirts Division TO&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