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평화발전평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평화발전평의회(SPDC)는 1988년 8888 항쟁 이후 미얀마 군부가 권력을 장악하고 1997년까지 운영한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를 대체하여 1997년부터 2011년까지 존재했던 미얀마의 군사 정권 기구이다. SLORC는 사 마웅 장군이 의장을 맡았고, SPDC로 개편된 이후에는 탄 슈웨가 의장직을 수행했다. SPDC는 2010년 총선 이후 2011년 민정 이양 과정을 거쳐 해산되었다. SPDC 정권은 살인 및 임의 처형, 소년병 강제 징집, 강제 이주, 강제 노동, 정치범 수감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 정부 -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미얀마 국민통합정부는 2021년 쿠데타 이후 민주주의 민족 동맹 당원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망명 정부로, 군부 저항과 민주주의 회복을 목표로 인민방위군을 결성하여 무장 투쟁을 벌이며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 미얀마 정부 - 미얀마의 대통령
미얀마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 1948년 독립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2008년 헌법에 따라 간접 선출되지만, 헌법 제정, 군부 통치, 그리고 2021년 쿠데타로 인해 역할과 권한, 정통성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 미얀마의 정치 - 미얀마 연방의회
미얀마 연방의회는 흘루토에서 양원제 의회로 변화해왔으나 쿠데타로 폐지 및 기능이 정지되기도 했으며, 인민 대표원과 민족 대표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로서 군부 임명 의석을 가진 특징이 있다. - 미얀마의 정치 - 황금의 삼각지대
황금의 삼각지대는 미얀마, 태국, 라오스 국경 지역을 아우르는 마약 생산 지역을 지칭하며, 1940년대 후반 아편 재배 이동으로 형성되어 헤로인 및 메스암페타민 생산 중심지가 되었다.
국가평화발전평의회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일반 명칭 | 미얀마 |
수도 | 양곤 (1988–2006) 네피도 (2006–2011) |
가장 큰 도시 | 양곤 |
공용어 | 버마어 |
종교 | 테라바다 불교 (2008년부터 국교) |
통화 | 미얀마 짯 |
면적 | 676,570 km² |
차량 통행 방향 | 우측 통행 |
국가번호 | 95 |
오늘날 | 미얀마 |
역사 | |
시작일 | 1988년 9월 18일 |
시작 사건 | 1988년 군사 정권 장악 |
사건 1 | 국명을 "버마"에서 "미얀마"로 변경 |
날짜 1 | 1989년 6월 18일 |
사건 2 | 아세안 선언 |
날짜 2 | 1997년 7월 23일 |
사건 3 | 사프란 혁명 |
날짜 3 | 2007년 8월 15일 |
사건 4 | 선거 |
날짜 4 | 2010년 11월 7일 |
사건 5 | 아웅산 수치 석방 |
날짜 5 | 2010년 11월 13일 |
사건 6 | 미얀마 연방 공화국으로 국명 변경 |
날짜 6 | 2011년 1월 31일 |
종료 사건 | 국가평화발전위원회 해산 |
종료일 | 2011년 3월 30일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정 하의 단일 국가 |
국가 원수 | 의장 |
대표 | 부의장 |
부대표 | 총리 |
의장 1 | 소 마웅 |
의장 1 임기 시작 | 1988년 |
의장 1 임기 종료 | 1992년 |
의장 2 | 탄 슈웨 |
의장 2 임기 시작 | 1992년 |
의장 2 임기 종료 | 2011년 |
부의장 1 | 탄 슈웨 |
부의장 1 임기 시작 | 1988년 |
부의장 1 임기 종료 | 1992년 |
부의장 2 | 마웅 에 |
부의장 2 임기 시작 | 1992년 |
부의장 2 임기 종료 | 2011년 |
총리 1 | 소 마웅 |
총리 1 임기 시작 | 1988년 (최초) |
총리 1 임기 종료 | 1992년 |
총리 2 | 탄 슈웨 |
총리 2 임기 시작 | 1992년 |
총리 2 임기 종료 | 2003년 |
총리 3 | 킨 늉 |
총리 3 임기 시작 | 2003년 |
총리 3 임기 종료 | 2004년 |
총리 4 | 소 윈 |
총리 4 임기 시작 | 2004년 |
총리 4 임기 종료 | 2007년 |
총리 5 | 테인 세인 |
총리 5 임기 시작 | 2007년 |
총리 5 임기 종료 | 2010년 (마지막) |
입법부 |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 (1988–1997) 국가평화발전위원회 (1997–2011) |
인구 통계 | |
1990년 | 41,335,187명 |
2000년 | 46,719,698명 |
2010년 | 50,600,827명 |
경제 | |
GDP (PPP) | 1521억 5천만 달러 |
GDP (PPP) 기준 연도 | 2010년 |
1인당 GDP (PPP) | 3,090 달러 |
명목 GDP | 380억 8천만 달러 |
명목 GDP 기준 연도 | 2010년 |
1인당 명목 GDP | 774 달러 |
기타 정보 | |
인간 개발 지수 (HDI) | 0.526 |
HDI 기준 연도 | 2011년 |
국가 모토 | (없음) |
국가 | 카바 마 쩨이(ကမ္ဘာမကျေ) 세상이 끝날 때까지 |
데모님 | 버마인 |
2. 역사
1988년 9월,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로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tate Law and Order Restoration Council, 약칭: SLORC)가 전권을 장악한 이래, 이 나라는 2011년 3월 30일까지 군사 정권이 지속되었다. 1997년 11월 15일 SLORC는 국가평화발전평의회(SPDC)로 개편되었다.
2. 1.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 (SLORC) 시기 (1988년 ~ 1997년)
1988년 9월 18일, 8888 항쟁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사 마웅 장군(이후 원수로 진급)이 이끄는 미얀마 군대가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고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를 결성했다.[28] SLORC는 명령 제1/1988호를 통해 군부의 권력 장악을 선언하고, 명령 제2/1988호를 통해 1974년 미얀마 헌법에 따른 모든 국가 권력 기관을 폐지했다. 폐지된 기관에는 입법부, 각료 회의(내각), 인민재판소 회의(사법부), 인민검찰 회의(검찰청), 인민감사원 회의(감사원), 주/지역, 읍/면, 구/마을 인민 평의회가 포함되었다.SLORC는 이전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 정부 차관들의 직무도 종료시켰다. SLORC 초대 의장은 사 마웅 장군이었으며, 그는 총리직도 겸임했다. 1992년 4월 23일, 탄 슈웨 장군(이후 원수)이 사 마웅의 뒤를 이어 SLORC 의장과 총리직을 모두 승계받았다.
1997년 11월 15일, SLORC는 해체되고 국가평화발전평의회(SPDC)로 개편되었다. 기존 SLORC 구성원 대부분은 SPDC 군사 정권에 포함되었으나, 일부는 제외되었다.
2. 2. 국가평화발전평의회 (SPDC)로의 개편 (1997년)
1988년 9월,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로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tate Law and Order Restoration Council, 약칭: SLORC)가 전권을 장악한 이래, 이 나라는 2011년 3월 30일까지 군사 정권이 지속되었다. 정권 발족 당시, 서방 국가로부터 경제 제재를 받아 국고는 거의 비어 있었지만, 일본의 실업가 오노데라 코키 씨가 당시 미얀마 정부가 대사관용으로 이미 구입해 둔 도쿄 시나가와구에 있는 토지의 절반을 약 3억달러에 매입하여 그 돈으로 급한 불을 껐다고 한다.[28]1997년 11월 15일, SLORC는 해체되고 국가평화발전평의회(SPDC)로 개편되었다. 폐지된 SLORC의 구성원 대부분은 SPDC 군사 정권에 포함되었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었다. SPDC 내 서열 상위는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계급 |
---|---|---|
의장 | 탄 슈웨 | 상급대장 |
부의장 | 마웅 에이 | 상급대장보 |
국군통합참모총장 | 투라 슈웨 만 | 대장 |
총리 | 테인 세인 | 대장 |
제1서기 | 틴 아웅 민 우 | 대장 |
2. 3. 2010년 총선과 민정 이양 (2011년)
2010년 미얀마 총선거 이후 2011년 1월 31일 투라 슈웨 만이 하원의장으로 임명되었고, 2월 4일 테인 세인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틴 아웅 민 우는 부통령 취임). 같은 날 마웅 에이는 은퇴했다.[28] 테인 세인 대통령에 의한 조각(組閣)에 따라 2011년 3월 30일에 국가평화발전평의회는 해산되었다.[28]3. 국명
군사 정권은 발족 직후 국호를 미얀마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미얀마 연방'''(영어: Union of Burma)으로 변경했으며, 1989년 6월 18일에는 대외적인 국호를 '''미얀마 연방'''(Union of Myanmar영어)으로 다시 개칭했다. 그러나 군사 정권을 부정적으로 보는 국가에서는 계속해서 '버마'라는 명칭을 사용해, 국가마다 미얀마의 국명 표기가 갈리는 사태가 발생했다.
한편, 국내에서의 미얀마어 국호는 군사 정권이 종료될 때까지 변경되지 않았다.
4. 주요 인물
국가평화발전평의회(SPDC)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12]
- 탄 슈웨: 의장, 원수
- 마웅에: 부의장, 차수
- 투라슈웨만: 국군 통합 참모장, 대장. 2010년 미얀마 총선거 이후 2011년 1월 31일 하원의장 역임.
- 테인 세인: 총리 겸 대장, 이후 대통령 역임. 2010년 미얀마 총선거 이후 2011년 2월 4일 대통령 선출.
- 티하투라틴아웅민트오: 제1서기, 대장, 이후 부통령 역임.
SPDC 내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
- 의장: 탄 슈웨 상급대장
- 부의장: 마웅 에이 상급대장보
- 국군통합참모총장: 투라 슈웨 만 대장
- 총리: 테인 세인 대장
- 제1서기: 틴 아웅 민 우 대장
4. 1. 의장
(출생–사망)(1928–1997)

(193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