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얀마 대통령은 미얀마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다. 미얀마는 1947년, 1974년, 2008년에 헌법을 채택했으며, 현재는 2008년 헌법을 사용한다. 2008년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연방 의회에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2021년 쿠데타 이후, 제1부통령 민 쉐가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고 있으며, 2024년 7월 22일부터는 민 아웅 흘라잉이 권한 대행을 겸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 정부 - 국가평화발전평의회
국가평화발전평의회는 1997년부터 2011년까지 미얀마에서 존재했던 군사 정권 기구로, 8888 항쟁 이후 권력을 장악한 군부가 운영했으며, 심각한 인권 침해를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미얀마 정부 -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미얀마 국민통합정부는 2021년 쿠데타 이후 민주주의 민족 동맹 당원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망명 정부로, 군부 저항과 민주주의 회복을 목표로 인민방위군을 결성하여 무장 투쟁을 벌이며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 미얀마의 대통령 - 네 윈
네 윈은 1962년 쿠데타로 권력을 잡고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을 통해 미얀마식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1988년까지 통치한 미얀마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미얀마의 대통령 - 테인 세인
테인 세인은 미얀마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미얀마 대통령을 역임하며 군부 고위직과 총리직을 거쳐 미얀마 민간 정부를 이끌었고, 정치범 석방 및 아웅산 수치와의 협력 등 개혁적인 정책을 추진했으나 로힝야족 문제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2015년 총선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미얀마의 대통령 | |
---|---|
개요 | |
![]() | |
직책 | 대통령 |
국가 | 미얀마 연방 공화국 |
로마자 표기 | Pyeongtaungsu Sammat Myanma Naingngandaw Sammat |
종류 | 국가 원수 |
스타일 | 각하 (공식) |
구성 | 내각 (정상적인 경우) 국방 및 안보 위원회 |
거주지 | 대통령궁 |
임명자 | 대통령 선거인단 |
임기 | 5년, 1회 연임 가능 |
급여 | 월 500만 차트/미화 2,380달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현직 | 민 아웅 흘라잉 (대행) |
취임일 | 2024년 7월 22일 |
지명자 | 연방 의회 |
전신 | 버마 총독 |
설립일 | 1948년 1월 4일 |
부통령 | 부통령 |
역사 | |
설립 | 1948년 1월 4일 |
2. 역사
미얀마의 대통령제는 1948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여러 차례 헌법 개정과 군부 쿠데타를 겪으며 변동을 겪었다.
1948년 첫 헌법에서는 대통령이 의회에서 선출되었고 행정권을 가졌지만, 1962년 네 윈의 쿠데타로 헌법이 정지되고 군정이 시작되면서 군 최고 결정 기관의 의장이 국가 원수 역할을 했다. 1974년 새 헌법에서는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이 권력을 잡고 대통령이 국가평의회 의장을 겸임했다.
1988년 다시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여 소 마웅, 딴 쉐 등이 국가 원수직을 수행했다. 2008년 헌법에서는 대통령이 의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되었고, 테인 세인, 틴쪼, 윈 민 등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021년 쿠데타 이후에는 군부가 민 쉐를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하고 비상사태를 선포하여 민 아웅 흘라잉이 국정 실권을 장악했다. 한편, 반 쿠데타 세력은 윈 민을 대통령으로 인정하며 국민통합정부를 구성했지만, 윈 민은 구속된 상태이다.
2. 1. 1948년 헌법 (버마 연방)
1947년에 제정된 초대 헌법에서 대통령은 민족대표원(상원)과 지역대표원(하원) 의원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행정권을 가지고 있었다. 조언을 제공하는 보조 기관으로 총리와 국무 대신으로 구성된 연방 정부(내각)가 존재했으며, 총리는 하원의 지명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했고, 국무 대신은 총리의 지명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했다. 총리와 국무 대신은 모두 지역대표원의 의원이어야 하며, 연방 정부는 하원에 대해 연대 책임을 졌다. 이는 의원내각제적 요소가 강했음을 보여준다. 임기는 5년이었으며, 각 주요 민족에서 순차적으로 선출되는 불문율이 있었다.[34]대 | 대통령 | 소속 정당 | 임기 | 재임 기간 | 비고 | ||
---|---|---|---|---|---|---|---|
1 | 사오 쉐 타익 စဝ်ရွှေသိုက်|사오 쉐 타익my Sao Shwe Thaik|사오 쉐 타익영어 | --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AFPFL) | 1 | 1948년 1월 4일 - 1952년 3월 16일 | ||
2 | 바 우 ဘဦး|바 우my Ba U|바 우영어 | --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AFPFL) | 2 | 1952년 3월 16일 - 1957년 3월 13일 | ||
3 | 윈 마웅 မန်းဝင်းမောင်|윈 마웅my Win Maung|윈 마웅영어 | --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AFPFL) | 3 | 1957년 3월 13일 - 1962년 3월 2일 | 임기 만료 전에 해임[34] |
2. 2. 1962년 군부 쿠데타와 군정 (1962-1974)
1962년 네 윈 장군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34] 이로 인해 1948년에 제정된 헌법은 효력을 잃었고, 군사 정권이 수립되었다. 군 최고 결정 기관인 연방 혁명 평의회 의장이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다.2. 3. 1974년 헌법 (버마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1974년 국민투표를 통해 채택된 두 번째 헌법은 단원제 입법부인 인민 의회(Pyithu Hluttaw)를 창설했으며,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의 구성원들이 대표를 맡았다. 이 헌법은 버마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헌법이었으며 임기는 4년이었다. 이때 네 윈이 대통령이 되었다.[34]1974년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국가를 대표하며, 국가평의회 의장이 대통령을 맡았다. 국가평의회는 인민 의회(국회) 폐회 중에 법적 구속력을 가진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국가평의회는 지방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선출된 국회의원 28명과 수상으로 구성되었으며, 의장은 대통령이 맡았다. 비상사태 선언이나 조약의 체결·비준·탈퇴 등 고도의 정치적 권한이 부여되었다.
# | 이름 | 사진 | 출생일-사망일 | 취임일 | 퇴임일 | 정당 |
---|---|---|---|---|---|---|
4 | 네 윈 | ![]() | 1911년-2002년 | 1974년 3월 2일 | 1981년 11월 9일 | 버마사회주의계화당 |
5 | 산 유 | ![]() | 1918년-1996년 | 1981년 11월 9일 | 1988년 7월 25일 | 버마사회주의계화당 |
6 | 셩 룬 | 1923년-2004년 | 1988년 7월 27일 | 1988년 8월 12일 | 버마사회주의계화당 | |
- | 에 고[35] | -- | 1921년-2006년 | 1988년 8월 12일 | 1988년 8월 19일 | 버마사회주의계화당 |
7 | 마웅 마웅 | -- | 1925년-1994년 | 1988년 8월 19일 | 1988년 9월 18일 | 버마사회주의계화당 |
2. 4. 1988년 군부 쿠데타와 군정 (1988-2011)
1988년, 소 마웅이 이끄는 군부 쿠데타가 다시 발생하여 국가 질서 회복 평의회(SLORC)가 권력을 장악했다. 이후 국가 질서 회복 평의회는 국가 평화 발전 평의회(SPDC)로 개칭되었다.[17] SLORC/SPDC 의장은 대통령을 대신하여 국가 원수직을 수행했다. 소 마웅과 딴 쉐 등이 이 직책을 맡았다.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소 마웅 | 1988년 9월 18일 ~ 1992년 4월 23일 | 국가 질서 회복 평의회(SLORC) 의장, 1989년 6월 18일 미얀마 연방으로 국명 변경 |
딴 쉐 | 1992년 4월 23일 ~ 2011년 3월 30일 | 국가 평화 발전 평의회(SPDC) 의장 |
1962년부터 1974년까지 미얀마에서는 군사 정권의 최고 결정 기관인 연방 혁명 평의회 의장이 대통령을 대신하여 국가 원수직을 수행했다. 1988년 이후에는 군사 정권의 최고 결정 기관인 국가평화발전평의회(SPDC) 의장이 대통령을 대신하여 국가 원수직을 수행했다.
2. 5. 2008년 헌법 (미얀마 연방 공화국)
2008년에 제정된 현행 헌법에 따라 대통령과 두 명의 부통령은 연방 의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된다. 대통령 임기는 5년이다. 대통령이 임기 중 사임할 경우, 제1부통령이 일시적으로 대통령 대행을 맡게 되며, 7일 이내에 연방 의회에서 후임 대통령을 선출해야 한다.[19][20]이 헌법에 따라 테인 세인, 틴쪼, 윈 민 등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 6. 2021년 쿠데타 이후
2021년 쿠데타 이후, 대통령직 처리는 쿠데타 세력과 반(反) 쿠데타 세력 간에 나뉘어 있다.쿠데타 세력인 미얀마 국군은 제1부통령 민 쉐를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하고, 헌법 417조[21]에 따라 비상사태를 선포하여 국정 실권을 국군 총사령관 민 아웅 흘라잉이 취임한 '''국가행정평의회 의장'''으로 이관했다.
2024년 7월 22일부터 민 아웅 흘라잉은 병세 치료 중인 민 쉐를 대신하여 대통령 권한대행도 겸임하고 있다.[22]
한편, 반(反) 쿠데타 세력은 2021년 3월 2일 연방의회 대표 위원회(CRPH) 임시 내각과 2021년 4월 16일 국민통합정부(NUG)를 발족하여 쿠데타 이전 대통령인 윈 민을 계속 대통령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쿠데타 이후 윈 민은 국군에 구속되어 부통령이 권한을 대행하고 있다.
3. 대통령 선출 방식 (2008년 헌법)
미얀마의 대통령은 국민이 직접 선출하지 않고, 대통령 선거인단(သမ္မတရွေးချယ်တင်မြှောက်ရေးအဖွဲ့my)이라는 선거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선출된다. 이 선거인단은 세 개의 위원회로 구성된다.
- 각 지역 또는 주에서 선출된 국회의원 비율을 대표하는 위원회
- 각 읍(township) 인구를 기준으로 선출된 국회의원 비율을 대표하는 위원회
- 국방군 사령관이 직접 지명한 군인 출신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위원회
세 위원회는 각각 대통령 후보를 한 명씩 지명한다. 그 후, 연방 의회의 모든 국회의원이 세 후보에게 투표한다. 여기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대통령이 되고, 나머지 두 명은 부통령이 된다.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다.
만약 대통령이 임기 중 사임하거나 사망하는 경우, 대통령 선거인단이 다시 소집되어 세 위원회가 각각 후보를 지명한다. 이들 중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남은 임기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한다.
이러한 절차는 1947년 헌법에 규정된 절차와 유사하다. 1947년 헌법에서는 의회의 상원과 하원 의원들이 비밀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했다.[14]
4. 대통령의 자격 (2008년 헌법)
미얀마 헌법에 따르면 미얀마의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19]
- 미얀마 국민이어야 한다.
- 만 45세 이상이어야 한다.
- 국회 의원 자격이 있어야 한다.
- 연방과 국민에게 충성해야 한다.
- 부모 모두 미얀마 국민이어야 한다.
- 정치, 행정, 경제, 군사 등 국정에 정통해야 한다.
- 대통령 선거 시점까지 최소 20년 이상 미얀마에 지속적으로 거주해야 한다. (단, 국가의 허가를 받은 해외 체류 기간은 거주 기간으로 인정)
- 본인, 부모, 배우자, 자녀는 외국 국적자이거나 외국에 충성을 맹세하면 안 된다.
또한, 대통령은 취임 선서를 하는 즉시 어떠한 정당 활동에도 참여할 수 없다.
5.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 (2008년 헌법)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다.[13] 2008년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미얀마의 안보 및 국방 문제를 담당하는 국가 국방 및 안보 위원회 회의를 소집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을 가진다.[13]
6. 역대 대통령 목록
# | 이름 | 사진 | 출생일-사망일 | 취임일 | 퇴임일 | 정당 |
---|---|---|---|---|---|---|
버마 연방(Union of Burma) | ||||||
1 | 사오 쉐 타익 | ![]() | 1894년-1962년 | 1948년 1월 4일 | 1952년 3월 16일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 |
2 | 바 우 | ![]() | 1887년-1963년 | 1952년 3월 16일 | 1957년 3월 13일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 |
3 | 윈 마웅 | ![]() | 1916년-1989년 | 1957년 3월 13일 | 1962년 3월 2일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 |
- | 네 윈[34] | 1911년-2002년 | 1962년 3월 2일 | 1974년 3월 2일 | 따머도(1962-1972) 버마사회주의계획당(1972-1974) | |
버마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Socialist Republic of the Union of Burma) | ||||||
4 | 네 윈 | 1911년-2002년 | 1974년 3월 2일 | 1981년 11월 9일 | 버마사회주의계획당 | |
5 | 산 유 | 1918년-1996년 | 1981년 11월 9일 | 1988년 7월 25일 | 버마사회주의계획당 | |
6 | 세인 룬 | 1923년-2004년 | 1988년 7월 27일 | 1988년 8월 12일 | 버마사회주의계획당 | |
- | 에 고[35] | -- | 1921년-2006년 | 1988년 8월 12일 | 1988년 8월 19일 | 버마사회주의계획당 |
7 | 마웅 마웅 | -- | 1925년-1994년 | 1988년 8월 19일 | 1988년 9월 18일 | 버마사회주의계획당 |
- | 소 마웅 | -- | 1928년-1997년 | 1988년 9월 18일 | 1988년 9월 23일 | 따머도 |
버마 연방(Union of Burma) | ||||||
- | 소 마웅 | -- | 1928년-1997년 | 1988년 9월 23일 | 1989년 6월 18일 | 따머도 |
미얀마 연방(Union of Myanmar)[36] | ||||||
- | 소 마웅 | -- | 1928년-1997년 | 1989년 6월 18일 | 1992년 4월 23일 | 따머도 |
- | 딴 쉐 | ![]() | 1933년- | 1992년 4월 23일 | 2011년 3월 30일 | 따머도 |
미얀마 연방 공화국(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 ||||||
8 | 테인 세인 | ![]() | 1945년- | 2011년 3월 30일 | 2016년 3월 30일 | 통합단결발전당 |
9 | 틴 초 | ![]() | 1946년- | 2016년 3월 30일 | 2018년 3월 21일 | 국민민주연맹 |
- | 민 쉐 | 1951년- | 2018년 3월 21일 | 2018년 3월 30일 | 통합단결발전당 | |
10 | 윈 민 | ![]() | 1951년- | 2018년 3월 30일 | 2021년 2월 1일 | 국민민주연맹 |
- | 민 쉐 | 1951년- | 2021년 2월 1일 | 2024년 7월 22일 | 통합단결발전당 | |
- | 민 아웅 흘라잉 | ![]() | 1956년- | 2024년 7월 22일 | 현재 | 따머도 |
참조
[1]
웹사이트
NLD cuts salaries of MPS, ministers, saves nearly K6b
https://web.archive.[...]
2020-01-12
[2]
뉴스
Junta Watch: Old Faces Reappear, Coup Leader Declares Himself Buddhism's Savior and More
https://irrawaddy.co[...]
2022-03-14
[3]
웹사이트
Myanmar coup: who are the military figures running the country?
https://www.theguard[...]
2021-02-23
[4]
웹사이트
Why is the military taking control in the Myanmar coup?
https://www.latimes.[...]
2021-03-10
[5]
웹사이트
Myanmar Military Seizes Power
https://www.irrawadd[...]
2021-03-10
[6]
웹사이트
A decade after junta's end, Myanmar military back in control
https://apnews.com/a[...]
2021-03-10
[7]
뉴스
Myanmar Extends State of Emergency For Six Months Until February
https://www.bloomber[...]
2022-08-01
[8]
뉴스
Myanmar junta leader assumes presidential powers as president takes 'sick leave,' state media reports
https://www.cnn.com/[...]
2024-10-07
[9]
뉴스
Myanmar Junta Defends Min Aung Hlaing's Presidential Power Grab as 'Constitutional'
https://www.irrawadd[...]
2024-10-07
[10]
뉴스
Junta Watch: Old Faces Reappear, Coup Leader Declares Himself Buddhism's Savior and More
https://irrawaddy.co[...]
2022-03-14
[11]
뉴스
The leader of Myanmar's army government is named acting president so he can renew state of emergency
https://apnews.com/a[...]
2024-10-07
[12]
뉴스
FACTBOX – Myanmar's new political structure
https://archive.toda[...]
2011-08-21
[13]
서적
Return of the junta: why Myanmar's military must go back to the barracks
Bloomsbury Academic
2023
[1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Union of Burma
http://www.blc-burma[...]
[15]
서적
The State in Myanmar
NUS Press
[16]
서적
Burma under British rule—and before
A. Constable & Co., ltd.
[17]
간행물
"Legal Constraints on Civil Society in Burma" (conference paper), Strengthening Civil Society in Burma. Possibilities and Dilemmas for International NGOs
Amsterdam: Transnational Institute and the Burma Centrum Nederland, Royal Tropical Institute. Via Burma Library
[18]
웹사이트
NLD cuts salaries of MPS, ministers, saves nearly K6b
https://web.archive.[...]
2023-11-01
[19]
뉴스
ミャンマー大統領辞任=健康不安が理由か
https://www.jiji.com[...]
2018-03-21
[20]
뉴스
ミャンマー大統領が辞任 7日以内に後任選出
https://www.nikkei.c[...]
2018-03-21
[21]
간행물
ミャンマー連邦共和国憲法(日本語訳), 『ミャンマー軍事政権の行方』調査報告書
https://www.ide.go.j[...]
아시아경제연구소
2021-02-13
[22]
웹사이트
ミャンマー大統領代行の健康状態悪化、国軍トップ最高司令官に職務移譲…昨年から寝たきり状態に
https://www.yomiuri.[...]
読売新聞電子版
2024-07-28
[23]
문서
연방혁명평의회의장
[24]
문서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의장
[25]
문서
국가평화발전평의회 의장
[26]
문서
국가행정평의회의장
[27]
문서
국민통일정부 대리대통령
[28]
문서
국민통일정부 대통령 권한대행
[29]
웹인용
미얀마 개황: 미얀마의 식민지 시대와 사회주의 시대
https://terms.naver.[...]
2011-08
[30]
웹인용
kotra 국가정보 - 미얀마: 미얀마의 정치사회동향
https://terms.naver.[...]
2013-12-31
[31]
웹인용
미얀마 개황: 미얀마의 정치체제
https://terms.naver.[...]
2011-08
[32]
뉴스
수치 여사, 수렴청정이나 개헌이냐
http://www.hankookil[...]
2016-01-31
[33]
뉴스
FACTBOX - Myanmar's new political structure
https://web.archive.[...]
2011-08-21
[34]
문서
혁명위원회 주석
[35]
문서
대통령 권한대행
[36]
기타
군사정권 당시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 의장이었다가 1997년 11월 15일부터 국가평화발전위원회 의장으로 바뀌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