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대비 왕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대비 왕씨는 고려 공양왕의 생모이다. 충렬왕의 손녀이자 연덕부원대군 왕훈의 딸로, 정원부원군과 혼인하여 두 아들을 낳았다. 차남 왕요가 공양왕으로 즉위하면서 복녕궁주에 봉해졌고, 자예정명익성사제혜덕삼한국대비의 존호를 받았다. 공양왕은 생모인 왕씨를 극진히 모셨으며, 1392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장남은 정양군 왕우이며, 차남은 공양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대비 - 문화왕후
문화왕후 김씨는 고려 성종의 왕비로, 원정왕후를 낳고 목종과 현종을 양육했으며, 1029년 대비에 봉해졌고, 그녀의 장례 절차는 다른 왕후들의 장례에도 영향을 주었다. - 14세기 출생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14세기 출생 - 경선공주
경선공주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딸로, 1393년 심종에게 하가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며, 남편의 사망 후 1446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고종 때 공주로 봉해졌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국대비 왕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국대비 왕씨 |
원래 이름 | 왕씨 |
다른 이름 | 없음 |
별명 | 복녕궁주(福寧宮主) |
추존 칭호 | 삼한국대비(三韓國大妃) |
생애 | |
출생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미상 |
사망 | 몰년 미상(沒年 未詳) |
사망지 | 미상 |
배우자 | 정원부원군(定原府院君) |
자녀 | 왕우(王瑀) 공양왕(恭讓王) |
가문 | |
왕조 | 고려(高麗) |
부모 | 부: 연덕부원대군(延德府院大君) 모: 안의비 조씨 (安懿妃 趙氏) |
기타 정보 | |
종교 | 불교(佛敎) |
시호 | 자예정명익성사제혜덕삼한국대비(慈睿貞明翼聖思齊惠德三韓國大妃) |
2. 생애
고려의 왕족으로, 생년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생일은 음력 1월 17일이다.[13] 아버지는 연덕부원대군 왕훈(王塤)이며, 할아버지는 충렬왕의 아들인 강양공 왕자(王滋)이다.[14][10] 어머니는 안의비 조씨(安懿妃 趙氏)이다.[14][10]
같은 왕족인 정원부원군 왕균(王鈞)과 혼인하여[14] 아들 둘을 두었는데, 장남은 정양군 왕우(王瑀)이고 차남은 훗날 고려의 마지막 왕이 되는 공양왕 왕요(王瑤)이다.[14]
1389년(공양왕 원년), 창왕이 폐위되고 차남 왕요가 이성계 일파의 추대로 왕위에 오르자,[3] 그해 음력 11월 '''복녕궁주'''(福寧宮主)에 봉해졌다.[15][3] 이듬해인 1390년(공양왕 2년) 음력 4월에는 '''자예정명익성사제혜덕삼한국대비'''(慈睿貞明翼聖思齊惠德三韓國大妃)라는 존호를 받고 정식으로 국대비가 되었으며, 그녀를 위한 관청인 숭녕부(崇寧府)가 설치되고 거처는 정명전(貞明殿)이라 불렸다.[16][4][17] 공양왕은 법적인 어머니(양모)인 왕대비 정비 안씨보다 생모인 국대비 왕씨를 더욱 극진히 모셨다고 전해진다.[12][5]
국대비가 된 후 남경(현재의 서울특별시 일대[18])을 다녀오기도 했으며,[19] 1391년(공양왕 3년) 그녀의 생일에는 대사면이 이루어져 이숭인, 하륜, 권근 등이 풀려나기도 했다.[6] 같은 해 국대비 왕씨, 정비 안씨, 순비 노씨의 3대 조상에게 시호가 추증되었다.[14][7]
1392년(공양왕 4년) 음력 3월 10일, 손자인 세자 왕석이 명나라에서 돌아왔다는 보고를 받은 기록[21]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역사 기록에 등장하지 않는다.[9] 언제 어디서 사망했으며 어디에 묻혔는지 등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2. 1. 가계
생년은 확실하지 않으나, 생일은 음력 1월 17일이다.[13] 충렬왕(忠烈王)과 정신부주(貞和宮主, 또는 貞信府主)[10]의 장남인 강양공(江陽公) 왕자(王滋)의 손녀이다.[14][10] 아버지는 연덕부원대군 왕훈(延德府院大君 王塤)이고, 어머니는 안의비 조씨(安懿妃 趙氏)이다.[14][10] 남편은 정원부원군 왕균(定原府院君 王鈞)이며[14], 슬하에 정양군(定陽君) 왕우(王瑀)와[14]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恭讓王) 왕요(王瑤)를[14] 두었다.- '''증조부''' : 충렬왕(忠烈王) 왕거(王昛, 1236년~1308년, 재위:1274년~1298년, 1298년~1308년)[14][10]
- '''증조모''' : 정신부주(貞信府主 또는 貞和宮主, ?~1319년)[14][10]
- '''조부''' : 강양공 왕자(江陽公 王滋, ?~1308년)[14][10]
- '''조모''' : 미상
- '''아버지''' : 연덕부원대군 왕훈(延德府院大君 王塤, 생몰년 미상)[14][10]
- '''어머니''' : 안의비 조씨(安懿妃 趙氏, 생몰년 미상)[14][10]
- '''남편''' : 정원부원군 왕균(定原府院君 王鈞, 생몰년 미상)[14]
- * '''장남''' : 정양군 왕우(定陽君 王瑀, 생몰년 미상)[14]
- * '''차남''' : 공양왕 왕요(恭讓王 王瑤, 1345년~1392년, 재위:1389년~1392년)[14]
2. 2. 대비 시절
왕족이었던 그녀는 같은 왕족인 정원부원군과 결혼하여 아들 둘을 낳았다. 이 중 차남 왕요는 1389년(공양왕 원년) 창왕이 폐위된 후 이성계 일파의 추대를 받아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으로 즉위했다.[3] 그녀는 아들이 왕위에 오른 해인 1389년 음력 11월 '''복녕궁주'''(福寧宮主)에 봉해졌고,[15][3] 이듬해인 1390년(공양왕 2년) 음력 1월 15일에는 그녀를 위한 관청인 숭녕부(崇寧府)가 설치되었다.[16][4] 이어 같은 해 음력 4월 13일 '''자예정명익성사제혜덕삼한국대비'''(慈睿貞明翼聖思齊惠德三韓國大妃)라는 존호를 받았으며, 그녀의 거처는 정명전(貞明殿)으로 불리게 되었다.[17][4]공양왕은 법적인 어머니(양모)인 왕대비 정비 안씨보다 생모인 그녀를 더욱 극진히 모셨다. 특히 공양왕이 왕대비 안씨에게는 문안을 드리지 않고 그녀에게만 문안을 드리자, 신하들이 왕대비에게도 문안을 드릴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12][5]
정식으로 국대비가 된 그녀는 1391년(공양왕 3년) 음력 2월 남경(현재의 서울특별시 일대[18])을 다녀왔으며,[19] 그 해 음력 5월에는 그녀를 위한 잔치가 열렸다.[20] 또한 1391년 그녀의 생일에는 대사면이 시행되어 이숭인, 하륜, 권근 등이 사면을 받아 남경 밖에서 자유롭게 살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은 남경에 잠시 머물다가 개경으로 돌아갔다.[6] 같은 해 음력 7월 21일에는 그녀와 정비 안씨, 공양왕비 순비 노씨의 3대 조상에게 시호가 올려졌다. 이때 그녀의 아버지 연덕부원대군에게는 양효공(良孝公), 어머니 조씨에게는 안의비(安懿妃), 할아버지인 강양공에게는 정강공(靖康公)의 시호가 각각 추증되었다.[14][7] 이첨이 올린 상소에 따르면, 당시 왕씨는 건강하게 지내고 있었다고 한다.[8]
2. 3. 사망과 후손
1392년(공양왕 4년) 음력 3월 10일 손자인 세자 왕석의 귀국 소식을 보고받았다는 기록[21]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그녀의 이름은 문헌에 등장하지 않는다.[9] 언제 어디서 생을 마감했으며 어디에 묻혔는지는 전혀 알 수 없다. 1392년 당시 공양왕의 나이가 48세였으므로, 국대비 왕씨는 이미 노년기에 접어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나이는 60세를 넘었을 것으로 보인다.왕씨에게는 두 아들이 있다. 장남 정양군 우(瑀)는 1389년(공양왕 원년)부터 공양왕의 4대조 제사를 맡아 지냈으며, 사후 경희(景禧)라는 시호를 받았다. 정양군은 아들 둘[22]과 딸 하나를 두었는데, 딸은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덕왕후 사이의 아들인 무안대군과 혼인하였다[23]. 차남 요(瑤)는 공양왕이다.
3. 가계도
- 증조부 : 고려 제25대 왕 충렬왕 (忠烈王, 1236년~1308년, 재위:1274년~1298년, 1298년~1308년)[10]
- 증조모 : 정신부주 (貞信府主, ?~1319년)[10]
- * 조부 : 강양공 자 (江陽公 滋, ?~1308년)[10]
- * 조모 : 미상
- ** 아버지 : 연덕부원대군 훈 (延德府院大君 塤, 생몰년 미상)[10]
- ** 어머니 : 안의비 조씨 (安懿妃 趙氏, 생몰년 미상)[10]
'''본인 : 국대비 왕씨'''
* 남편 : 정원부원군 균 (定原府院君 鈞, 생몰년 미상)
** 장남 : 정양군 우 (定陽君 瑀, 생몰년 미상)
** 차남 : 고려 제34대 왕 공양왕 (恭讓王, 1345년~1392년, 재위:1389년~1392년)
참조
[1]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11-14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11-14
[3]
서적
高麗王朝史: 1 – 6
https://books.google[...]
Academic History
2000
[4]
서적
https://books.google[...]
Yeogang Publishing House
1991
[5]
웹사이트
《동사강목》제17하 - 1390년
http://db.itkc.or.kr[...]
2019-02-14
[6]
서적
https://books.google[...]
Shinseowon
2006
[7]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11-14
[8]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11-14
[9]
문서
《고려사》권46〈세가〉권46 - 공양왕 4년 3월 - 통사 이현이 세자의 귀국일자를 보고하다
[10]
서적
https://books.google[...]
Cheongmoksan
2008
[11]
웹인용
《고려사절요》권34 - 공양왕1 1390년
http://db.itkc.or.kr[...]
2019-02-14
[12]
웹인용
《동사강목》제17하 - 1390년
http://db.itkc.or.kr[...]
2019-02-14
[13]
문서
《고려사》권46〈세가〉권46 - 공양왕 3년 1월 - 국대비의 생일에 우인열 등을 사면하다
[14]
문서
《고려사》권46〈세가〉권46 - 공양왕 3년 7월 - 왕대비·국대비·순비의 시호를 추증하다
[15]
문서
《고려사》권45〈세가〉권45 - 공양왕 원년 11월 - 왕의 일가를 책봉하고 사면령을 내리다
[16]
문서
《고려사》권45〈세가〉권45 - 공양왕 2년 1월 - 왕의 어머니를 위해 숭녕부를 설치하다
[17]
문서
《고려사》권45〈세가〉권45 - 공양왕 2년 4월 - 왕 어머니의 존호를 높이다
[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남경
https://terms.naver.[...]
[19]
문서
《고려사》권46〈세가〉권46 - 공양왕 3년 2월 - 국대비가 남경에서 오다
[20]
문서
《고려사》권46〈세가〉권46 - 공양왕 3년 5월 - 국대비를 위해 잔치를 베풀다
[21]
문서
《고려사》권46〈세가〉권46 - 공양왕 4년 3월 - 통사 이현이 세자의 귀국일자를 보고하다
[22]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정양부원군 왕우가 4친의 제사를 맡다
[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무안대군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