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6호선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국도 제6호선은 캘리포니아주에서 매사추세츠주까지 총 5,148.08km를 연결하는 주요 간선 도로이다. 캘리포니아, 네바다, 유타, 콜로라도, 네브래스카, 아이오와, 일리노이, 인디애나,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뉴욕, 코네티컷, 로드아일랜드, 매사추세츠 등 14개 주를 지나며, 여러 주간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한다. 1926년 처음 지정되어 여러 차례 확장 및 변경을 거쳤으며, 남북 전쟁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공화국 대육군 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드아일랜드주의 도로 - 로드아일랜드주도 제2호선
    로드아일랜드주도 제2호선은 로드아일랜드주 찰스타운에서 프로비던스까지 뻗어있는 33.6마일(54km)의 주도로이며, 워싱턴군, 켄트군, 프로비던스군을 지나 여러 주요 도로와 교차하고 1960년대 후반 일부 노선이 변경되었다.
  • 로드아일랜드주의 도로 - 국도 제44호선 (미국)
    국도 제44호선은 미국 뉴욕, 코네티컷, 로드아일랜드, 매사추세츠 4개 주를 통과하며, 허드슨 강을 따라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여러 지역 이름을 가지며, 1935년에 지정되었다.
  • 네바다주의 도로 - 링컨 하이웨이
    링컨 하이웨이는 1913년 미국 최초의 대륙 횡단 도로로 건설되어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미국을 가로지르는 메인 스트리트"라는 별칭으로 연선 도시와 마을에 번영을 가져다주고 미국의 도로 건설 및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미치며 역사적 가치를 기리고 있다.
  • 네바다주의 도로 -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
    라스베이거스 불러바드는 라스베이거스 대도시 지역을 관통하는 주요 도로이며, 사하라 애비뉴에서 러셀 로드까지의 구간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으로 불리며 카지노 메가리조트가 밀집해 있다.
  • 유타주의 도로 - 링컨 하이웨이
    링컨 하이웨이는 1913년 미국 최초의 대륙 횡단 도로로 건설되어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미국을 가로지르는 메인 스트리트"라는 별칭으로 연선 도시와 마을에 번영을 가져다주고 미국의 도로 건설 및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미치며 역사적 가치를 기리고 있다.
  • 유타주의 도로 - 국도 제30호선 (미국)
    미국 국도 제30호선은 미국을 동서로 횡단하는 주요 국도 중 하나로, 총 연장은 약 3,639km에 달하며, 오리건주에서 뉴저지주까지 이어진다.
국도 제6호선 (미국)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국가미국
노선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6
미국 국도 제6호선 노선도
미국 국도 제6호선 노선도
총 연장5,148.08 km (3,198.87 mi)
별칭Grand Army of the Republic 고속도로
개통1926년 11월 11일
방향 A서쪽
방향 B동쪽
기점캘리포니아주 비숍 ()
종점매사추세츠주 ()
주요 경유지
캘리포니아주
네바다주
유타주
콜로라도주
네브래스카주
아이오와주
일리노이주
인디애나주
오하이오주
펜실베이니아주
뉴욕주
코네티컷주
로드아일랜드주
매사추세츠주
주요 교차로(스패니시포크, UT)
(그린리버, UT 근처)
(덴버, CO)
(클라이브, IA)
(채나혼, IL)
(사우스홀랜드, IL와 레이크스테이션, IN 사이)
(게리, IN)
(볼링그린, OH)
(클리블랜드, OH)
(프로비던스, RI)

2. 경로

미국 국도 제6호선은 캘리포니아주 비숍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매사추세츠주 프로빈스타운까지 이어진다. 6번 국도가 통과하는 주와 거리는 다음과 같다.

거리 (mi)거리 (km)
캘리포니아주약 65.19km65.19km
네바다주약 491.89km491.9km
유타주약 601.83km601.83km
콜로라도주약 752.01km752.01km
네브래스카주약 600.40km600.4km
아이오와주약 514.35km514.35km
일리노이주약 289.49km289.49km
인디애나주약 239.79km239.79km
오하이오주약 399.12km399.12km
펜실베이니아주약 648.56km648.57km
뉴욕주약 125.67km125.67km
코네티컷주약 187.21km187.21km
로드아일랜드주약 42.65km42.65km
매사추세츠주약 189.90km189.9km
합계약 5148.07km5148.08km


2. 1. 캘리포니아주 (California)

캘리포니아주의 6번 국도는 비숍에서 네바다주 경계까지 이르는 짧은 2차선 남북 방향의 일반 도로이다. 1964년 주 고속도로 재번호 부여 이전에는 6번 국도가 현재 395번 국도, 14번 주도 (SR 14), 5번 주간고속도로 (I-5), I-110/SR 110, 그리고 SR 1를 따라 롱비치까지 연장되었다. 재번호 부여로 고속도로 구간이 모두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및 간선도로 시스템의 일부이다. 6번 국도의 이전 경로는 유명한 아로요 세코 파크웨이의 짧은 구간을 포함했다.

캘리포니아주 비숍에서 동쪽으로 향하는 모습


현재, 6번 국도는 비숍의 395번 국도에서 시작하여 약 4267.20m 서쪽 절벽 기슭에 있는 화이트 산맥 기슭의 챌펀트의 농장과 목장 사이를 북쪽으로 향한다. 약 약 48.28km를 지나면 카페와 주유소가 있는 벤턴에 도달한다. SR 120이 이곳에서 시작되어 모노 호수를 지나 리바잉, 티오가 패스를 넘어 요세미티 국립공원을 지나 샌 호아킨 계곡으로 서쪽으로 향한다. 6번 국도는 네바다주 경계까지 북쪽으로 계속 이어진다.

2. 2. 네바다주 (Nevada)

네바다주 구간은 캘리포니아주 경계에서 시작하여 엘리까지 이어진다. 네바다주 내 구간 길이는 약 491.89km이다.

2. 3. 유타주 (Utah)

유타주 구간은 네바다 주 경계에서 시작하여 스패니시 포크까지 이어진다.[1]

2. 4. 콜로라도주 (Colorado)

콜로라도주 구간은 유타주 경계에서 시작하여 네브래스카주 경계까지 이어진다. 콜로라도 내 구간은 약 752.01km이다.

2. 5. 네브래스카주 (Nebraska)

미국 6번 국도의 네브래스카주 구간은 콜로라도 주 경계에서 시작하여 아이오와 주 경계까지 이어진다. 네브래스카 주 내 총 길이는 약 600.40km이다.

2. 6. 아이오와주 (Iowa)

아이오와주에서 6번 국도는 약 514.35km의 거리를 가진다.[1] 이 도로는 네브래스카주 경계에서 시작하여 일리노이주 경계까지 이어진다.

2. 7. 일리노이주 (Illinois)

일리노이주 구간은 약 289.49km이다.[1]

거리 (mi)거리 (km)
아이오와약 514.35km319.6km
일리노이약 289.49km179.88km
인디애나약 239.79km149km


2. 8. 인디애나주 (Indiana)

인디애나주 구간은 일리노이주 경계에서 시작하여 오하이오주 경계까지 이어진다.

2. 9. 오하이오주 (Ohio)

클리블랜드의 디트로이트-슈페리어 다리


미국 6번 국도는 오하이오주 윌리엄스군에서 인디애나주 경계와 만나며 오하이오주로 들어온다. 이후 에저턴을 지나 브라이언 바로 남쪽을 통과하고, 나폴레옹, 볼링그린, 프리몬트를 거쳐 샌더스키만과 이리호 방향으로 북동쪽으로 향한다. 샌더스키를 지난 후에는 이리호의 남쪽 해안을 따라 휴런과 버밀리언을 통과한다. 로레인에서 찰스 베리 다리를 건너면 셰필드 호수, 에이번 호수, 베이 빌리지, 로키 리버의 레이크 로드, 레이크우드의 클리프턴 대로, 클리블랜드 에지워터 등 그레이터 클리블랜드의 서부 교외 지역을 통과한다. 클리블랜드 기념 쇼어웨이를 따라 다운타운 클리블랜드로 진입하며, 디트로이트-슈페리어 다리를 건너 시내로 들어간다. 퍼블릭 스퀘어와 클리블랜드 동쪽을 지나 이스트 클리블랜드의 유클리드 애비뉴와 유클리드 시의 차돈 로드로 동쪽으로 향한다. 레이크군, 게오가군을 거쳐 마지막으로 애슈터블라군으로 진입한 후 피매터닝 저수지 둑길을 따라 펜실베이니아주로 진입한다.

오하이오주에는 그레이터 클리블랜드에 6번 국도의 대체 노선이 있다.

2. 10. 펜실베이니아주 (Pennsylvania)

펜실베이니아주에서 6번 국도는 미드빌 서쪽 약 32.19km 지점부터 마타모라스 동쪽 약 648.56km 지점까지 뻗어 있다. 오하이오주 경계에서 코넛 레이크의 US 322까지는 남동쪽으로 이어지다가, 6번 국도가 322번 국도와 합류하여 미드빌로 동쪽으로 향하며, 도시 서쪽에서 US 19와 만난다. 시내 남쪽에서 322번 국도는 분기되지만, 6번 국도와 19번 국도는 미드빌을 통과하는 동안 계속 합류한다. 두 도로는 북쪽으로 밀 빌리지까지 이어지며, US 6N과의 교차로에서 분기된다.

나머지 구간은 뉴욕주-펜실베이니아주 경계와 거의 평행하게 이어진다. 워렌 근처에서 짧은 거리를 US 62와 합류한다. 팩토리빌에서 US 11이 북쪽에서 6번 국도와 합류하여 스크랜턴까지 함께 주행하며, 여기서 11번 국도는 남쪽으로, 6번 국도는 동쪽으로 계속된다. 밀포드에서 6번 국도는 US 209와 만나고, 두 도로는 북동쪽으로 향하며 마타모라스에서 포트 제비스까지 델라웨어강을 건넌다.

2. 11. 뉴욕주 (New York)



뉴욕주에 있는 US 6번 국도는 약 127.14km 구간으로, 오렌지, 퍼트넘, 웨스트체스터 군을 지나며 뉴욕 시 북부 교외를 거쳐 주 남부를 통과한다. 이 도로는 포트 저비스에서 US 209번 국도와 함께 주에 진입한다. 두 도로는 도시 바로 북쪽에서 갈라지며, US 209번 국도는 킹스턴으로 접근하기 위해 더 북쪽으로 향한다. 반면 US 6번 국도는 주로 뉴욕주 남부를 동서 방향으로 운행한다.[11]

US 6번 국도의 일부 구간은 고센과 해리먼 사이에서 뉴욕주도 17번(NY 17; The Quickway)과 중복된다. 이 경로는 현재 I-86의 일부가 되도록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해리먼에서 US 6번 국도는 뉴욕주에서 가장 큰 인터체인지 중 하나를 지나는데, 이곳에서 US 6번 국도/NY 17번 국도가 I-87(뉴욕주 스루웨이) 및 NY 32번과 만난다. NY 17번 국도는 평면 교차로가 되어 남쪽으로 향하고, US 6번 국도는 허리만 주립공원으로 동쪽으로 향하면서 제한된 접근 고속도로로 남아 있다. 공원 동쪽 근처에서 US 6번 국도는 팰리세이즈 주간 고속도로와 교차하고, 역사적인 베어 마운틴 다리까지 이 도로와 중복되며, 이곳에서 US 6번 국도는 US 202번과 합류하며, 허드슨 고지의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며 허드슨강을 건너면서 시골의 2차선 도로로 좁아진다.[11]

강 반대편에서 오렌지군을 나와 웨스트체스터로 향하는 US 6번 국도와 US 202번 국도는 피크스킬까지 허드슨강을 따라 운행하며, US 9번과 잠시 중복된 후 세 노선이 갈라진다. US 6번 국도는 웨스트체스터군 북부와 퍼트넘군을 거쳐 북동쪽으로 계속 진행된다. 슈럽 오크에서 US 6번 국도는 미국의 최초이자 가장 경치가 좋은 장거리 고속도로 중 하나인 역사적인 태코닉 주립 공원로와 인터체인지를 갖는다. 브루스터에서 US 6번 국도는 다시 US 202번 국도와 합류하여 코네티컷주로 함께 운행한다. US 6번 국도와 US 202번 국도는 또한 브루스터에서 I-84, I-684, NY 22번과 큰 인터체인지를 갖는다.[11]

2. 12. 코네티컷주 (Connecticut)

미국 국도 제6호선은 코네티컷주에서 약 187.17km 뻗어있다. 이 도로는 뉴욕주 사우스이스트에서 국도 제202호선과 중첩되어 들어온 후, 잠시 코네티컷주 댄버리를 지나 킬링리에서 로드아일랜드주 경계에서 끝난다. 코네티컷 서부에서 국도 6호선은 I-84와 근접하게 평행하거나 중첩되며, 댄버리, 워터베리, 브리스톨, 하트퍼드 교외 지역의 지역 도로 역할을 한다. 이 도로는 불클리 다리에서 코네티컷 강(I-84 및 국도 44호선과 중첩)을 건넌다. 코네티컷 동부에서 국도 6호선은 하트퍼드와 프로비던스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 중 하나이며, 윌리만틱 및 대니얼슨의 작은 도시 지역을 통과한다. 그 후, 코네티컷 턴파이크의 미표시 구간은 로드아일랜드 주 경계를 건너기 직전에 국도 6호선과 합류한다.

2. 13. 로드아일랜드주 (Rhode Island)

국도 제6호선은 로드아일랜드주에서 포스터(코네티컷주 킬링리와의 서부 경계)에서 이스트 프로비던스(매사추세츠주 시콩크와의 동부 경계)까지 약 약 42.65km에 걸쳐있다. 프로비던스 안과 주변 지역에서 국도 6호선은 주도 10호선, 국도 1A호선, 국도 44호선, I-95, I-195와 중첩된다.

2. 14. 매사추세츠주 (Massachusetts)

매사추세츠주에서 6번 국도는 약 약 189.10km 뻗어 있으며,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와 워햄 사이에서 I-195와 평행을 이루며, 지역 상업로 역할을 한다. 6번 국도는 케이프 코드로 이어져 보언에서 올린스까지 새거모어 다리를 건너 고속도로로 이어진다. 올린스 북쪽에서는 다시 일반 도로가 되어 프로빈스타운에서 종착한다. 프로빈스타운의 서쪽 방향 표지판은 비숍에서 더 짧게 끝나는 것으로 변경되었지만, 프로빈스타운의 동쪽 방향 표지판은 여전히 원래의 해안에서 해안까지 이어지는 롱비치 종점을 반영하고 있다.

3. 주요 교차 도로

US 6영어은 미국의 여러 주를 횡단하며, 다양한 주간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거나 일부 구간에서 함께 달린다. 이러한 교차점과 합류 지점은 운전자에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주간고속도로와 국도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6번 국도가 여러 도로와 교차 및 합류한다는 사실만 간략하게 언급한다.

3. 1. 주간고속도로 (Interstate Highways)

다음은 미국 6번 국도가 교차하거나 일부 구간에서 중첩되는 주간고속도로 목록이다.

주간고속도로
주간고속도로 제15호선
주간고속도로 제25호선
주간고속도로 제7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76호선
주간고속도로 제8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84호선
주간고속도로 제9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95호선
주간고속도로 제18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195호선
주간고속도로 제27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294호선
주간고속도로 제295호선
주간고속도로 제355호선
주간고속도로 제38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476호선
주간고속도로 제48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67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68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684호선



6번 국도는 위에 나열된 주간고속도로 외에도 여러 주간고속도로와 교차하며, 일부 구간에서는 합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유타주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15호선과 산타킨에서 스패니시 포크까지 합류하고, 콜로라도주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70호선과 그린 리버 서쪽에서 아이더호 스프링스 동쪽까지 거의 평행하게 달리며 여러 번 합류하고 분리된다.

3. 2. 국도 (US Highways)

US 6영어은 다음과 같은 국도와 교차하거나 일부 구간에서 중첩된다.

교차 또는 중첩되는 국도
캘리포니아주국도 제395호선
네바다주국도 제95호선
국도 제50호선
국도 제93호선
유타주국도 제89호선
국도 제191호선
국도 제50호선
I-70
콜로라도주국도 제24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85호선, 국도 제87호선
콜로라도주국도 제36호선
콜로라도주국도 제34호선
콜로라도주국도 제138호선
콜로라도주국도 제385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34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83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283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136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183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281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81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77호선
네브래스카주국도 제275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59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71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169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69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65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63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151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61호선
아이오와주국도 제67호선
일리노이주국도 제150호선
일리노이주국도 제34호선
일리노이주국도 제51호선
일리노이주국도 제52호선
일리노이주국도 제30호선
일리노이주국도 제45호선
인디애나주국도 제41호선
인디애나주국도 제421호선
인디애나주국도 제35호선
인디애나주국도 제31호선
인디애나주국도 제33호선
오하이오주국도 제127호선
오하이오주국도 제24호선
오하이오주국도 제23호선
오하이오주국도 제20호선
오하이오주국도 제250호선
오하이오주국도 제20호선
오하이오주국도 제42호선, 국도 제322호선, 국도 제422호선
오하이오주국도 제20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322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19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6N호선, 국도 제19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62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219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15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220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11호선
펜실베이니아주국도 제209호선
뉴욕주국도 제209호선
뉴욕주국도 제9W호선, 국도 제202호선
뉴욕주국도 제9호선
뉴욕주국도 제202호선
코네티컷주국도 제7호선, 국도 제202호선
코네티컷주국도 제44호선
로드아일랜드주국도 제1호선
로드아일랜드주국도 제44호선


4. 역사

left

미국 6번 국도의 경로는 1922년에 지정된 3번 노선이 시초였다. 이 노선은 프로빈스타운에서 시작하여 프로비던스, 하트퍼드, 댄버리를 거쳐 뉴욕-코네티컷 경계선까지 이어졌다.[2][3] 1925년 말, 주간 고속도로 공동 위원회는 미국 국도의 예비 계획을 승인했는데, 이때 6번 국도는 뉴잉글랜드와 뉴욕 남동부에 한정되었으며, 댄버리까지는 기존의 3번 노선과 동일했고, 거기서 서쪽으로 7번 국도를 따라 브루스터까지 이어졌다.[4]

1926년 말 최종 계획이 승인될 무렵, 뉴욕-펜실베이니아 경계선의 포트 제르비스에서 서쪽으로 케인의 120번 국도까지 두 번째 구간이 추가되었다.[5] 그러나 1927년 4월 노선 기록에 따르면 동부 구간은 브루스터까지, 즉 뉴욕 경계선까지만 이어졌고, 서부 구간은 양쪽 방향으로 확장되어 킹스턴까지 동쪽으로, 이리까지 서쪽으로 연장되었다(후자는 미국 120번 국도의 일부 대체). 또한 서부 구간은 카본데일과 툰카녹 사이에서 106번 국도와 교환되어, 미국 6번 국도가 스크랜턴을 통과하게 되었다.[6] 1928년에는 베어 마운틴 다리를 통해 허드슨강을 건너는 새로운 노선이 추가되면서 뉴욕을 관통하는 구간이 연결되었고, 킹스턴과 포트 제르비스 사이의 옛 노선은 최초의 6N번 국도가 되었다.[7]

미국 6번 국도는 뉴잉글랜드에서 3번 노선의 일반적인 경로를 대체했지만, 일부 구간은 다른 노선을 사용했다. 케이프 코드의 경우, 3번 노선은 현재 28번 국도인 남쪽 노선을 사용했지만, 6번 국도는 버저즈 만과 올린스 사이의 더 직접적인 경로를 택했으며, 이는 6번 국도의 남쪽 끝이었고 현재는 6A번 국도로 알려져 있다. 코네티컷에서는 6번 국도가 사우스 코벤트리 역사 지구를 경유했지만, 3번 노선은 앤도버를 경유했었고, 옛 노선은 6A번 국도가 되었다. 현재 6번 국도는 옛 3번 노선에 있으며, 사우스 코벤트리 노선은 31번 국도가 운행한다. 플레인빌과 우드버리 사이에서도 6번 국도는 다른 노선이 선택되었는데, 3번 노선은 밀데일과 워터베리를 경유했고, 1932년 주 고속도로 재지정에서 14번 국도와 10번 국도의 일부가 되었다.[8] 하트퍼드와 테리빌 사이 구간을 제외하면, 6번 국도는 대부분 원래 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 차이점은 댄버리에서 뉴욕 주 경계선까지 서쪽으로 가는 길이었는데, 6번 국도는 서쪽으로 똑바로 갔지만, 3번 노선은 댄버리 지역을 남쪽으로 벗어나 리지필드를 통과하여 남서쪽으로 굽어 경계선까지 이어졌다. 이 중 일부는 7번 국도가 되었고, 나머지는 1932년에 35번 국도가 되었다.[2][3][6]

뉴욕에서 6번 국도는 베어 마운틴 다리를 건너는 37번 국도("다리 노선"으로 알려짐)를 모두 대체했고, 일부 17번 국도와 중복되었으며, 미들타운에서 포트 제르비스까지 번호가 없는 도로로 지정되었다.[9][10] 원래 노선은 곧 미국 6N번 국도가 되었고, 50번 국도를 대체했으며, 현재는 209번 국도의 일부이다. 펜실베이니아의 6번 국도는 "오토 트레일"로 알려진 7번 국도, 즉 '''루즈벨트 고속도로'''를 대체했다.[3] 루즈벨트 고속도로 협회는 1930년까지 6번 국도를 통해 케이프 코드까지 이름을 연장했다.[11]

1925년 계획에는 6번 국도의 일부가 될 다른 두 개의 노선, 즉 시카고, 일리노이에서 오마하, 네브래스카까지의 US 32와 링컨, 네브래스카에서 그릴리, 콜로라도까지의 US 38이 포함되었다.[4] 1926년 조정 과정에서 US 38은 링컨에서 오마하까지 동쪽으로 연장되어 US 77이 북쪽으로 수시티, 아이오와까지 연장될 수 있게 되었다. 이 노선들은 오마하에서 종단 간 연결되어 디트로이트-링컨-덴버 고속도로의 상당 부분을 대체했다. 이 고속도로는 프린스턴에서 분기하여 졸리엣을 경유하여 시카고 남쪽을 우회했다. 이들은 기존의 주 고속도로를 따랐다.[3][5]

1931년 6월 8일, US 32의 대부분과 US 38의 전부가 US 6의 서쪽 연장이 되었고, 루즈벨트 고속도로라는 이름도 함께 사용되었다.[12] 서부 펜실베이니아와 중앙 인디애나를 연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도로[3]가 사용되었으며, 졸리엣 서쪽은 구 디트로이트-링컨-덴버 고속도로의 일부를 사용했다. 옛 서쪽 끝에서 형성된 이리, 펜실베이니아로 가는 짧은 구간은 US 6N이 되었고, US 32는 일리노이에 남아 시카고에서 프린스턴까지 독립적으로 운행하며 병행하여 US 6와 데번포트, 아이오와까지 연결되었다.[7] 1934년에 US 32는 US 34에 흡수되었다.

1936년 12월, 미국 주 고속도로 관료 협회는 US 6 (그리고 루즈벨트 고속도로)를 매사추세츠주 케이프 코드에서 롱비치, 캘리포니아까지의 대륙 횡단 노선으로 만들었다.[14][15] 이는 위긴스, 콜로라도에서 남서쪽으로 덴버까지 새로운 노선을 따라 로키 산맥을 넘어 리드빌, 콜로라도까지, 그랜드 정션, 콜로라도까지 US 24과, 스페니시 포크, 유타까지 US 50과 겹쳐서 운행하게 되었다. 스페니시 포크에서 엘리, 네바다까지는 아직 개선되지 않은 도로를 따랐고, 엘리에서 남부 캘리포니아까지의 나머지 구간은 캘리포니아에서 거의 남북으로 운행하는 옛 미들랜드 트레일을 따랐다. 1952년 9월, 델타에서 동쪽으로 약 약 257.49km 길이의 개선되지 않은 구간의 포장이 완료되었고, 이를 기념하는 이틀간의 축하 행사가 열렸다.[7]

엘리 (네바다)의 US 6에 있는 공화국 대육군 고속도로 표지판


미국 육군의 윌리엄 L. 앤더슨 주니어는 US 6을 남북 전쟁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공화국 대육군 고속도로로 지정할 것을 권고했다. 남북 전쟁 참전 용사 아들들은 1934년 4월에 이 이름을 사용하도록 추진하기 시작했다. 매사추세츠는 1937년 2월 2일에 이 이름을 적용한 첫 번째 주였으며, 모든 주가 동의한 것은 적어도 1948년이 되어서였다. 이 고속도로는 1953년 5월 3일에 롱비치에서 공식적으로 헌정되었지만, 루즈벨트 고속도로 협회는 적어도 1960년대까지는 계속 존재했다.[16]

1964년 캘리포니아 주 고속도로 재지정의 일환으로, 국도 6호선(US 6)은 캘리포니아주 비숍에서 국도 395호선(US 395)과의 교차점까지 단축되었다. 국도 395호선 및 I-110/SR 110을 포함하여 다른 노선과 중첩되지 않는 이전 노선의 일부는 SR 14로 재지정되었다.[7][17]

1983년 초부터 약 1년 동안 국도 6호선은 유타주 시슬 마을을 파괴한 대규모 산사태로 인해 단절되었다가, 협곡 벽 위로 길을 폭파하여 재건되었다. 이 산사태는 미국 역사상 가장 비용이 많이 든 산사태로 남아있다.

1970년대부터 아이오와주에서 국도 6호선의 일부는 영구적으로 I-80으로 이전되었다. 국도 71호선과 아데어 사이의 첫 번째 구간은 1972년에 노선이 변경되었고,[18] 1980년에는 아데어와 덱스터 사이, 알투나와 뉴턴 사이, 윌튼과 데이븐포트 사이의 세 구간이 주간 고속도로로 이전되었다.[19][20][21] 2003년 7월 1일, 덱스터와 아델 사이의 약 24.14km 구간은 댈러스 카운티로 이관되었다.[22]

2015년, 미국 주 고속도로 및 교통 관료 협회(AASHTO)는 콜로라도 교통부의 요청에 따라 콜로라도주 라이플 시를 통과하는 국도 6호선을 폐지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는 현재 표지판에는 반영되지 않았지만, 국도 6호선이 라이플과 그랜드 정션 사이에서 단절되었음을 의미한다.[25]

5. 여담

미국 내에서 가장 많은 주를 통과하고 있으며, 통과하는 주만 하여도 14개 주가 있다.[1] 알래스카주, 하와이주, 워싱턴 D.C.를 제외한 미국 본토 내 48개 주 중에서 가장 많이 통과하는 국도 노선이다.

참조

[1] 지도 2014-03-01
[2] 지도 The official National Survey maps and guide for Southern New England: Massachusetts, Connecticut, Rhode Island http://www.broermaps[...]
[3] 지도 Auto Road Atlas http://www.broermaps[...]
[4] 서적 Report of Joint Board on Interstate Highways, October 30, 1925, Approv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November 18, 192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11-14
[5] 지도 United States System of Highways Adopted for Uniform Marking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https://commons.wik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3-11-07
[6] 간행물 United States Numbered Highway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1927-04
[7] 웹사이트 U.S. 6: The Grand Army of the Republic Highway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8] 지도 state map http://www.kurumi.co[...]
[9] 서적 Automobile Blue Book: Standard Touring Guide of America Automobile Blue Books
[10] 서적 Automobile Blue Book: Standard Touring Guide of America Automobile Blue Books
[11] 뉴스 Sixty Roosevelt Highway Association Members in Session 1930-09-25
[12] 뉴스 Roosevelt Highway Route is Extended to Colorado 1931-06-18
[13] 뉴스 Roosevelt Highway Association Renders Valuable Services 1935-12-26
[14] 뉴스 Roosevelt Highway at Last Gets Official Routing over No. 50 http://udn.lib.utah.[...] 1936-12-31
[15] 뉴스 1937-01-06
[16] 뉴스 4-Lane Rt. 6 plan to be Discussed in Smethport 1966-02-17
[17] 지도 1963 State Highway Map and 1963 District VII State Highway Numbering Map http://www.cahighway[...]
[18] 지도 2010-09-29
[19] Google maps Overview of Iowa 925 https://maps.google.[...] 2010-09-29
[20] Google maps Overview of Iowa 926 https://maps.google.[...] 2010-09-29
[21] Google maps Overview of Iowa 927 https://maps.google.[...] 2010-09-29
[22] 뉴스 Road Transfer Draws Worry 2003-07-01
[23] 지도 2013-12-27
[24] 지도 2010-09-29
[25] AASHTO minutes 2015-06-06
[26] 서적 The Road Atlas Rand McNal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