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민 총소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 총소득(GNI)은 한 국가의 국민이 생산 활동에 참여하여 얻은 소득의 총합을 의미하며, 1993년 국민총생산(GNP)의 명칭이 변경되어 소득을 받는 거주자의 관점에서 재정의되었다. GNI는 국내총생산(GDP)과 더불어 경제 지표로 활용되며, GDP에 해외로부터의 순수취 요소 소득을 더하여 계산된다. GNI는 생산, 분배, 지출의 세 가지 측면에서 측정 가능하며, 경제 성장, 소득 불평등, 해외 소득의 중요성 등 다양한 경제적 쟁점과 관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내총생산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 국내총생산 - 지역내총생산
    지역내총생산(GRDP)은 특정 지역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최종 재화 및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이며, 2014년 대한민국 GRDP는 1,484.5조원으로 소폭 증가했고 수도권이 높은 비중과 성장세를 보였으며, 지역별 GRDP 격차에 대한 분석이 이어진다.
  • 경제 지표 -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은 역대 정부의 경제 정책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IMF 외환 위기 이후 성장세가 둔화된 한국 경제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경제 지표 - 경제자유지수
    경제자유지수는 헤리티지 재단이 법치, 정부 규모, 규제 효율성, 시장 개방성 기준으로 177개국의 경제적 자유 수준을 평가하여 0~100점 점수로 '자유'에서 '억압'까지 5단계로 분류하는 지표이며, 경제 성장과 번영에 기여한다는 전제하에 각국 정부의 경제 정책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국민 총소득
일반 정보
명칭국민 총소득
로마자 표기Gukmin Chongsodeok
영어 명칭Gross National Income (GNI)
약칭GNI
정의
설명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결과로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
계산 방법국내 총생산(GDP) + (국외수취요소소득 - 국외지급요소소득)
관련 지표
관련 지표1인당 국민총소득(GNI per capita)
국민총생산(GNP)

2. 역사적 배경

현대적인 국민 총소득(GNP) 개념은 1934년 사이먼 쿠즈네츠미국 의회 보고서를 위해 국내총생산(GDP)과 함께 처음 개발했다.[6] 초기에는 미국과 영국 등에서 GNP를 경제 활동의 주요 척도로 사용했지만, 노르웨이 등 일부 국가는 GDP를 선호했다. 1991년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GDP를 중심으로 경제 지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953년 국민계정체계(SNA)에서 GNP는 "고정 자본 소비 준비금 공제 전, 해당 국가의 일반 거주자가 제공한 생산 요소에 귀속되는 제품의 시장 가치"로 정의되었다. GNP는 생산 개념으로 정의되었지만, 가치는 생산 요소 소유자가 얻은 소득을 기준으로 측정되었다.

1993년 SNA 개정판에서 GNP는 생산 요소의 관점이 아닌 소득을 받는 거주자의 관점에서 재정의되었다. 이를 반영하여 GNP는 GNI(국민총소득)로 명칭이 변경되었다.[7] "국가"라는 용어는 경제적 사용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GDP와 GNI 모두를 정의하는 데 동일한 거주 개념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다. GNP는 국민 소득 및 생산 계정에서 지출 데이터를 위해 계산된 GNI를 지칭하기 위해 계속 사용된다.

세계 은행의 GNI 랭킹은 다음과 같다.[25]

순위2018201720162015201420132012201120102009200820072006
1206363.18억달러191947.53억달러184673.39억달러181913.95억달러176114.91억달러170012.9억달러165010.16억달러157272.91억달러151431.37억달러147405.8억달러150024.28억달러146512.11억달러143455.65억달러
2131813.73억달러119868.53억달러113239.73억달러108524.86억달러100969.66억달러91103.33억달러79347.21억달러67262.7억달러57523.2억달러48569.99억달러48355.53억달러48121.19억달러49314.13억달러
352265.99억달러48774.72억달러48110.03억달러49376.9억달러53390.76억달러58999.05억달러61015.79억달러57756.33억달러53766.01억달러47979.84억달러40708.6억달러33482.91억달러31605.29억달러
439053.22억달러36074.28억달러36472.25억달러37451.9억달러38536.23억달러38099.27억달러37541.54억달러38016.07억달러36625.24억달러35884.52억달러36017.65억달러32835.19억달러26852.06억달러
527774.06억달러27327.09억달러28199.43억달러28411.34억달러28442.84억달러28698.83억달러28247.13억달러28893.04억달러28477.03억달러28315.53억달러29042.24억달러28358.05억달러26454.89억달러
627520.35억달러25628.63억달러26068.56억달러27354.58억달러28014.99억달러26959.74억달러26125.25억달러25425.93억달러25409.57억달러26669.39억달러28008.64억달러25766.42억달러24148.2억달러
727278.94억달러24434.19억달러22441.17억달러20975.99억달러24297.2억달러24868.74억달러24320.61억달러22379.58억달러22345.08억달러22273.58억달러22221.43억달러20936.4억달러19892.88억달러
820383.77억달러18975.05억달러19365.04억달러20783.43억달러21472.47억달러21307.6억달러21435.83억달러22079.21억달러19162.6억달러15724.31억달러14909.75억달러13560.17억달러12416.41억달러
919152.75억달러18029.53억달러18404.99억달러20027.06억달러20279.64억달러19817.91억달러18925.48억달러17557.12억달러15556.15억달러15193.39억달러14843.45억달러13530.31억달러12249.94억달러
1016655.65억달러15696.35억달러15845.75억달러17229.11억달러19306.34억달러19528.47억달러18232.99억달러16170.83억달러15114.65억달러14479.37억달러14274.29억달러11527.72억달러9665.85억달러
1115801.09억달러14604.92억달러14398.04억달러16991.38억달러17850.99억달러18482.74억달러17732.64억달러15470.1억달러14963.63억달러13927.79억달러13685.93억달러11174.63억달러9413.26억달러
1215016.59억달러13546.4억달러14189.1억달러14408.32억달러14442.01억달러15142.69억달러13962.21억달러14557.58억달러14251.23억달러13184.95억달러12291.39억달러10917.26억달러9218.79억달러
1313704.37억달러12694.29억달러13097.59억달러13900.8억달러13660.27억달러13769.29억달러13594.17억달러11257.87억달러10533.02억달러10373.81억달러11186.47억달러10799.91억달러8980.63억달러
1413304.37억달러12599.79억달러12798.27억달러13204.07억달러13657.97억달러12989.58억달러12321.64억달러11199.02억달러10263.16억달러9886.63억달러10745.55억달러10007억달러8301.46억달러
1511590.49억달러11137.05억달러11596.86억달러12389.51억달러12375.33억달러12028억달러11672.92억달러10681.4억달러10251.86억달러9547.54억달러9000.62억달러8091.06억달러7532.05억달러


2. 1. 초기 개념

현대적인 국민총소득(GNP) 개념은 1934년 사이먼 쿠즈네츠미국 의회 보고서를 위해 국내총생산(GDP)과 함께 처음 개발했다.[6] 초기에는 미국과 영국 등에서 GNP를 경제 활동의 주요 척도로 사용했지만, 노르웨이 등 일부 국가는 GDP를 선호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1991년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GDP를 중심으로 경제 지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953년 국민계정체계(SNA)에서 GNP는 "고정 자본 소비 준비금 공제 전, 해당 국가의 일반 거주자가 제공한 생산 요소에 귀속되는 제품의 시장 가치"로 정의되었다. GNP는 생산 개념으로 정의되었지만, 가치는 생산 요소 소유자가 얻은 소득을 기준으로 측정되었다.

1993년 SNA 개정판에서 GNP는 생산 요소의 관점이 아닌 소득을 받는 거주자의 관점에서 재정의되었다. 이를 반영하여 GNP는 GNI(국민총소득)로 명칭이 변경되었다.[7] "국가"라는 용어는 경제적 사용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GDP와 GNI 모두를 정의하는 데 동일한 거주 개념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다.

GNP는 국민 소득 및 생산 계정에서 지출 데이터를 위해 계산된 GNI를 지칭하기 위해 계속 사용된다.

2. 2. 한국의 국민소득 통계 발전

한국은 1950년대부터 국민소득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하여 경제 개발 계획 수립 및 평가에 활용해 왔다. 1990년대 이후 국제 기준에 맞춰 통계 체계를 개선하고, 국민총소득(GNI) 등 새로운 지표를 도입하여 경제 분석의 정확성을 높였다. 특히, 2000년대 이후 한국 경제의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해외 소득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GNI 지표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3. 국민소득의 개념과 측정

국민소득은 한 나라의 경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 활동을 통해 얻은 소득의 총합을 의미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되고 활용된다.

국민소득을 측정할 때는 '국민'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국민'은 단순히 국적을 가진 사람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국가에 거주하며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국 국적을 가졌더라도 해외에서 일하는 사람은 그 나라의 거주자로 간주된다.[8] 법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국적보다는 실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국민소득은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모두 더하거나(생산물법), 생산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임금, 이자, 이윤 등을 모두 더하여(소득법) 측정할 수 있다.

국민소득은 가치액으로 표시되는데, 이때 시장가격 표시와 요소비용 표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장가격 표시는 소비자가 실제로 물건을 살 때 지불하는 가격을 기준으로 하고, 요소비용 표시는 생산자가 생산 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는 가격을 기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국민소득'이라고 하면 요소비용 표시의 국민소득을 의미한다.[1]

최근에는 요소비용 표시의 국민소득을 '분배국민소득'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또한 '생산국민소득', '지출국민소득', '국민소득의 3면등가'와 같은 용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지 않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국민총생산(GNP)은 한 국가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생산한 최종 생산물의 가치 총액을 의미하며, 시장가격으로 표시된다. GNP는 고정자본 스톡의 소모에 대한 보전분을 포함한다. 요소비용 표시의 국민소득과 GNP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8]


  • GNP = (요소비용 표시의) 국민소득 + 간접세 - 보조금 + 자본소비


국내총생산(GDP)은 한 국가의 영토 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가치 총액을 의미한다. GNP는 '국민'이라는 거주자 기준을 사용하는 반면, GDP는 '국내'라는 공간적 개념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8]

  • 국민총생산 = 국내총생산 + 외국으로부터의 요소소득 수취 - 외국에 대한 요소소득 지급

3. 1. 국민소득의 정의

국민소득은 일정한 나라에서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거주하는 사람들이 생산 활동으로 벌어들인 순(최종)생산물의 가치액을 의미한다. 여기서 '국민'이라는 표현은 국적뿐 아니라, 일정 기간 한 국가에 거주하며 경제 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포함한다.[8]

국민소득은 개념적, 계수적으로 양면적 성격을 지닌다. 국민소득은 국민이 얻는 소득을 연상시키며, 이는 생산 활동에 대한 여러 형태의 공헌으로 발생한다. 소득은 생산요소 제공에 대한 지불이며, 이는 순생산물의 가치를 배분하는 형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민소득은 국민에 의해 생산된 순생산물의 가치로 정의될 수 있다.

국민소득을 추계하는 방법에는 생산물법과 소득법이 있다. 생산물법은 순생산물의 흐름(가치액)으로, 소득법은 생산요소에 대한 지불로 국민소득을 추계한다.

국민소득은 가치액 표시를 가지며, 이는 순생산물을 공통의 평가 척도로 통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격에 대해서는 시장가격표시와 요소비용표시 두 가지가 있으며, 국민소득은 관례적으로 요소비용 표시를 사용한다.

최근 일부 국가에서는 요소비용 표시의 국민소득을 '분배국민소득'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일반적인 관행으로 고치려는 경향이 있다. 생산국민소득, 지출국민소득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지만, 대한민국 국민소득 통계나 국제적인 관용어에서는 구분하지 않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국민소득의 3면등가의 원칙 또한 국제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용어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국민총생산(GNP)은 시장가격 표시로 표현되며, 고정자본 스톡 소모에 대한 보전분을 포함한다. 요소비용 표시의 국민소득과 GNP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GNP = (요소비용 표시의) 국민소득 + 간접세 - 보조금 + 자본소비

국내총생산(GDP)은 '국내'라는 공간적 개념을 기준으로 외국과의 경계를 정하는 반면, GNP는 '국민'이라는 거주자 기준을 사용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국민총생산 = 국내총생산 + 외국으로부터의 요소소득 수취 - 외국에 대한 요소소득 지급

3. 2. 국민총생산(GNP)과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Product, GNP영어(국민총생산)은 한 국가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생산한 최종 생산물의 가치 총액을 의미한다. Gross National Income, GNI영어(국민총소득)은 개념적으로 GNP와 동일하며, 생산 요소의 소유자가 얻은 소득을 기준으로 가치를 측정한다.[7] GNI는 GNP에서 해외로부터의 순수취 요소 소득을 더하여 계산한다. 1993년 이후 국제 통계에서는 GNP 대신 GNI를 사용한다.[11][12]

GNP는 1953년 국민 계정 체계(SNA)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고정 자본 소비 준비금 공제 전, 해당 국가의 일반 거주자가 제공한 생산 요소에 귀속되는 제품의 시장 가치"

GNP를 생산 개념으로 정의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치의 귀속은 생산 요소 소유자가 얻은 소득에 의해 정의되었다.

1993년 SNA 개정판에서 GNP 정의는 생산 요소의 관점이 아닌 소득을 받는 거주자의 관점에서 재구성되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GNP는 GNI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국가" 부분은 국내총생산(GDP)와 GNI 모두를 정의하는 데 동일한 거주 개념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사용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유지되었다.[7]

사이먼 쿠즈네츠는 1934년 미국 의회 보고서에서 GNP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6] 미국은 1991년까지 GNP를 총 경제 활동의 주요 척도로 사용했으나, 이후 GDP로 전환했다.[16] 미국 경제 분석국(BEA)은 GDP가 다른 경제 지표와 비교하기 쉽고,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이 이미 GDP를 채택했다는 점을 전환 이유로 들었다.[17]

일본에서는 2000년에 국민 경제 계산(국민 소득 통계) 체계가 변경되면서 GNI가 새로운 통계 항목으로 도입되었다. GNI는 GDP에 "해외로부터의 소득 순수취"를 더한 값이다.

실질 GNI는 실질 GNP에서 고려되지 않는 수출입 가격 변화에 따른 소득 증가분("교역 이득")을 포함한다.

일본은 2005년부터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노동력 감소로 GDP 기반 성장은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외 자산에서 얻는 소득 증가로 GNI 기반 성장은 지속될 것이다. 2006년 경제산업성의 산업구조심의회 신성장정책부회는 신 경제 성장 전략 등에서 GNI를 중시해야 한다는 제언을 했다.

일본 정부는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10년 안에 1인당 GNI를 150만 엔 늘리는 목표를 설정했다. 세계 경제에서 국경 없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일본의 자본인재외국 투자 증가는 GNI에 기여할 것이다. 앞으로 일본의 성장을 위해서는 확대되는 해외시장에서의 수익 기회를 활용하고 전략적인 자본인재 투자가 중요 과제가 된다.[26]

3. 3. 국내총생산(GDP)과의 관계

국내총생산(GDP)은 한 국가의 영토 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가치 총액을 의미한다. 국민 총소득(GNI)은 GDP에 해외로부터 순수취 요소 소득(임금, 이자, 배당 등)을 더한 값이다.[14] 즉, GNI = GDP + 해외로부터의 순수취 요소 소득이다.

개념설명
GDP한 국가의 영토 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가치 총액
GNIGDP + 해외로부터의 순수취 요소 소득 (임금, 이자, 배당 등)



GNI는 GDP에 해외 투자를 통해 거주자가 얻은 소득을 더하고, 해외 거주자가 국내 경제에서 얻은 소득을 뺀 경제 통계이다.[13]

GDP는 국가 내 경제 활동 규모를, GNI는 국민의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많은 국가에서 GDP와 GNI는 큰 차이가 없지만, 개발도상국의 경우 해외 원조나 자본 유입으로 인해 차이가 클 수 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6년 미국의 GNI는 GDP보다 1.5% 높았지만,[19] 같은 해 아르메니아의 GNI는 GDP보다 4.45% 높았다.[21]

일본의 경우, 일본의 국민 경제 계산에서 2000년에 국내 총생산에 "해외로부터의 소득 순수취"를 더한 개념으로 GNI가 도입되었다.

3. 4. 국민소득의 측정 방법

국민소득은 생산, 분배, 지출 세 가지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다.

  • 생산 측면: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모두 더하여 측정한다. 이를 생산물법이라고도 부른다.
  • 분배 측면: 생산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임금, 이자, 이윤 등을 모두 더하여 측정한다. 이를 소득법이라고도 부른다.
  • 지출 측면: 최종 생산물에 대한 지출, 즉 소비, 투자, 정부 지출, 순수출(수출-수입)을 모두 더하여 측정한다.

3. 5. 시장가격 표시와 요소비용 표시

시장가격 표시는 최종 생산물의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국민소득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요소비용 표시는 생산 요소에 대한 지불액을 기준으로 국민소득을 평가하는 방식이다.[1] 일반적으로 '국민소득'이라고 하면 요소비용 표시의 국민소득을 의미한다.[1]

순생산물의 가격에 대해 두 가지 표현이 가능하다.[1] 하나는 순생산물의 구입자 입장에서 단위당 '간접세-보조세'의 액수를 가격에 포함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생산자의 관점에서 가격을 단위당 '간접세-보조금'을 제외한 수준으로 보는 것이다.[1]

  • 시장가격 표시(at market price): 순생산물의 구입자 입장에서 단위당 '간접세-보조세'를 포함하여 평가한 가치액 표시다.[1]
  • 요소비용 표시(at factor cost): 생산자의 관점에서 단위당 '간접세-보조금'을 제외하고 평가한 가치액 표시다.[1]

4. 국민소득의 구성 요소

국민소득은 생산, 분배, 지출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 분배 국민소득: 임금, 이자, 배당 등 생산 요소 시장에서 각 경제 주체에게 분배된 소득을 의미한다.
  • 지출 국민소득: 소비저축으로 구성되며, 저축은 투자에 사용된다. 민간 및 정부의 소비, 투자, 그리고 대외 채권 증가액을 합한 것이다.

4. 1. 분배 국민소득

분배 국민소득은 생산 요소 시장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각 경제 주체에게 분배된 소득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임금 및 봉급, 개인업주 소득, 재산 소득(이자, 배당, 임대료 등), 법인 소득, 정부 소득 등이 포함된다.[1] 분배 국민소득은 가계의 소비, 기업의 투자, 정부의 재정 지출 등 경제 활동의 원천이 된다.[1]

국민 총소득(GNI)에는 해외에서 근무하는 통근 근로자 및 계절 근로자의 급여 및 임금이 포함되지만, 근로자가 해외 가족에게 보내는 송금은 포함되지 않는다.[1] 예를 들어, 많은 프랑스 거주자가 룩셈부르크, 모나코 또는 스위스에서 일하기 때문에 프랑스의 GNI가 GDP보다 높다. 반면, 인도는 송금 수취 규모가 가장 큼에도 불구하고 GNI가 GDP보다 낮다.[1]

GNI에는 임대료, 이자 및 "이윤"과 같은 재산 소득도 포함된다.[1] "이윤"에는 기업의 분배 소득(배당금)과 외국인 직접 투자에 대한 재투자된 이익, 즉 기업이 유보한 이익이 모두 포함된다.[1] IMF 국제수지 매뉴얼에 따르면, 이러한 이익은 외국인 직접 투자자에게 기업의 지분 소유 비율에 따라 분배된 다음 지분 추가를 통해 그들이 재투자하는 것으로 간주된다.[1]

유럽 연합 국가의 GNI에는 EU 기관으로부터 받은 보조금도 포함되며, EU 기관에서 수취하는 관세는 제외된다.[1]

4. 2. 지출 국민소득

생산되고 분배된 소득은 소비와 저축으로 나뉘는데, 저축된 소득은 설비나 재고품 구입 등 투자에 사용된다. 따라서 지출 국민 소득은 소비 및 저축, 즉 투자 면에서 파악한 국민소득이라고 할 수 있다.[8] 지출 국민소득은 민간 및 정부의 재화 및 서비스 소비액, 투자액, 그리고 대외 채권 증가액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8] 다시 말해 지출 국민소득에 감가상각비와 간접세를 더한 것이 국민총지출이 된다.[8]

5. 실질 국민소득과 명목 국민소득

실질 국민소득(real national income)이란 국민소득의 시간적인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이다. 이는 기준 시점의 가격으로 평가된 가치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963년의 실질 GNP를 생각할 때, 적절한 기준 연도를 선택하여 1963년의 명목 GNP를 기준 연도 가격으로 바꾸어 표시한다.[8]

명목 GNP를 실질 GNP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GNP 디플레이터(Deflator)를 사용한다. GNP 디플레이터는 일종의 물가지수이다.[8]

다음은 2023년 세계은행에서 발표한 GNI (아틀라스 방법) 자료이다.

GNI(아틀라스 방법) 비교 (GNI와 GDP)
2023 세계은행(현재 US$ 백만)
국가GNI(아틀라스 방법)[8]GNI[9]GDP[10]
aa - cbb - cc
}



다음은 명목 국민 총소득(아틀라스 방법) 상위 15개국 자료이다.[11]

순위2023년2022년2021년2020년2019년2018년2017년2016년2015년2014년2013년
1268945.43억달러255269.12억달러236847.36억달러214454.53억달러217341.59억달러207091.55억달러192248.1억달러184339.36억달러181240.86억달러177250.39억달러170230.66억달러
2188992.6억달러182060.73억달러168835.73억달러148437.75억달러145128.89억달러133854.55억달러121049.48억달러113879.27억달러108831.63억달러102465.9억달러91938.38억달러
348598.78억달러53245.75억달러54878.96억달러51691.46억달러53152.23억달러53003.91억달러49430.05억달러48875.82억달러50064.72억달러56560.61억달러62259.73억달러
445591.33억달러45276.41억달러43299.64억달러39890.08억달러41055.22억달러39374.44억달러36170.63억달러36466.23억달러37400.19억달러38583.06억달러38078.4억달러
536302.37억달러33945.42억달러30644.76억달러26617.34억달러28900.71억달러27925.97억달러27522.84억달러28185.36억달러28900.71억달러28798.62억달러28909.03억달러
632669.9억달러32974.27억달러30527.7억달러26519.67억달러28785.36억달러27647.74억달러25640.94억달러26088.89억달러27372.58억달러28740.55억달러27440.28억달러
730724.64억달러30782.21억달러29689.19억달러25991.75억달러28616.03억달러27133.3억달러24395.94억달러22467.84억달러20975.98억달러24570.07억달러25711.01억달러
822445.85억달러22617.46억달러21536.54억달러19280.07억달러20853.49억달러20452.43억달러18994.54억달러19382.63억달러20842.47억달러21379.91억달러21794.25억달러
921626.33억달러20754.04억달러18654.77억달러17126.97억달러19530.67억달러19200.5억달러18084.97억달러18399.92억달러20040.23억달러21223.05억달러21423.06억달러
1020847.58억달러18794.08억달러18212.93억달러16863.63억달러17522.53억달러16889.27억달러15678.9억달러15852.29억달러17252.34억달러20209.98억달러19411.17억달러
1119623.39억달러18683.27억달러17258.58억달러16692.81억달러17509.92억달러16705.17억달러15557.16억달러15020.19억달러16988.49억달러18497.54억달러18524.26억달러
1218354.76억달러17743.07억달러16892.14억달러15750억달러16556.18억달러15051.75억달러13523.19억달러14269.46억달러14651.4억달러15314.71억달러15285.97억달러
1316819.99억달러15822.14억달러14703.31억달러13756.26억달러14311.94억달러13724.3억달러12673.17억달러13096.02억달러14419.71억달러14289.57억달러13629.31억달러
1415564.47억달러15330.31억달러14266.23억달러12872.71억달러13926.24억달러13267.18억달러12635.72억달러12815.03억달러13219.02억달러13552.56억달러13601.91억달러
1515543.36억달러13785.49억달러12566.93억달러11293.23억달러12418.46억달러11911.61억달러11433.1억달러11903.81억달러12805.12억달러13119.3억달러12676.98억달러



다음은 구매력 평가(PPP) 기준 상위 15개국 자료이다.[12]

{| class="wikitable sortable"

|-

!순위

!colspan=2|2023년

!colspan=2|2022년

!colspan=2|2021년

!colspan=2|2020년

!colspan=2|2019년

!colspan=2|2018년

!colspan=2|2017년

!colspan=2|2016년

!colspan=2|2015년

!colspan=2|2014년

!colspan=2|2013년

|-

!1

|||343885.34억달러

|||315760.43억달러

|||286208.62억달러

|||250445.16억달러

|||242326.56억달러

|||223552.35억달러

|||205676.96억달러

|||191698.12억달러

|||186081.38억달러

|||179842.37억달러

|||171407.08억달러

|-

!2

|||275251억달러

|||259260억달러

|||237776억달러

|||214795.88억달러

|||217608.47억달러

|||208833.83억달러

|||198371.5억달러

|||189833.69억달러

|||181295.39억달러

|||174453.51억달러

|||162416.42억달러

|-

!3

|||143240.38억달러

|||128582.38억달러

|||112503.41억달러

|||96397.73억달러

|||98374.36억달러

|||91319.72억달러

|||82643.62억달러

|||77061.81억달러

|||71209.94억달러

|||67322.48억달러

|||64168.31억달러

|-

!4

|||65542.54억달러

|||62540.21억달러

|||58666.81억달러

|||55548.42억달러

|||56161.85억달러

|||55484.53억달러

|||54569.3억달러

|||53384.19억달러

|||54044.53억달러

|||52215.91억달러

|||51943.08억달러

|-

!5

|||63661.21억달러

|||58843.75억달러

|||55986.76억달러

|||49529.42억달러

|||50214.59억달러

|||47303.28억달러

|||44912.48억달러

|||42684.96억달러

|||39777.09억달러

|||38833.9억달러

|||37125.82억달러

|-

!6

|||60923.87억달러

|||57994.14억달러

|||53516.36억달러

|||45423.77억달러

|||44347.91억달러

|||41287.05억달러

|||37053.98억달러

|||34405.87억달러

|||34286.1억달러

|||36393.25억달러

|||36118.53억달러

|-

!7

|||43255.89억달러

|||40557.11억달러

|||37284.03억달러

|||33703.62억달러

|||35270.47억달러

|||31978.38억달러

|||30504.29억달러

|||29246.93억달러

|||29328.75억달러

|||31077.98억달러

|||30771.82억달러

|-

!8

|||42350.79억달러

|||39840.79억달러

|||36695.95억달러

|||32896.82억달러

|||{{cvt|3

6. 소득 결정 이론

소득 결정 이론은 국민소득의 크기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28] 국민소득은 사회의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28] 총공급은 생산 활동을 통해 만들어지며, 이는 기업과 근로자에게 소득을 제공한다.[28] 이 소득은 다시 소비나 저축으로 이어져 총수요를 형성한다.[28]

만약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작으면 생산물이 과잉되어 생산 축소와 소득 감소를 초래하고, 반대로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크면 생산과 국민소득이 증가한다.[28] 이러한 조정 과정을 통해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국민소득의 크기가 결정된다.[28]

간단한 모형에서 총공급으로 발생한 소득은 소비 또는 저축으로 사용된다.[28] 소득 전부가 소비된다면 투자 수요가 없더라도 총수요는 총공급과 균형을 이룬다.[28] 그러나 저축이 발생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소득의 일부가 회수되지 않는 셈이므로 저축만 있고 투자가 없는 경제는 생산과 국민소득 규모를 축소시킨다.[28]

저축은 순환에서 빠져나가는 '누출'이고, 설비나 기계 증설 등에 대한 수요인 투자는 순환에 다시 들어오는 '주입'이다.[28] 누출된 만큼 주입이 이루어지면 경제 순환은 원활하게 유지된다. 즉, 저축과 투자가 같으면 된다.[28] 그러나 소비자의 저축 결정과 기업가의 투자 결정은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저축과 투자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28]

투자가 저축보다 적으면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작아져 생산물 과잉이 발생하고, 기업은 생산 규모를 줄이게 된다.[28] 이는 국민소득 감소와 실업 증대로 이어진다.[28] 반대로 투자가 저축보다 많으면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하여, 기업은 생산을 확대하고 국민소득이 증가한다.[28] 결국, 저축과 투자가 같아지는 수준에서 국민소득의 균형 수준이 결정되고, 이때 총수요와 총공급도 균형을 이루게 된다.[28] 이러한 분석 방법을 '저축 투자의 소득 결정론'이라고 한다.[28]

재정과 무역이 없는 폐쇄 경제를 가정했지만, 실제로는 재정 활동과 무역 활동이 소득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28] 조세 징수는 저축처럼 민간 수요의 누출 요인이고, 정부 지출은 투자처럼 민간 수요에 대한 주입 요인이다.[28] 또한, 수입은 국내 수요의 누출 요인, 수출은 주입 요인으로 작용한다.[28] 따라서 소득 결정은 저축, 조세 수입, 투자, 정부 지출, 수출입 등의 균형 조정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28]

7. 국민소득과 관련된 주요 쟁점

국민 총소득(GNI)은 한 국가의 국민이 생산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이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에 해외 투자를 통해 얻은 소득을 더하고, 해외 거주자가 국내에서 얻은 소득을 뺀 값으로 계산된다.[13] GNP는 기술 발전과 상품의 양적 증가를 모두 "경제 성장"으로 간주한다.[13]

국가의 자본이나 노동력이 국경 밖에서 사용되거나 외국 기업이 자국에서 운영될 때, GDP와 GNP는 서로 다른 측정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2009년 미국의 GDP는 14.119조달러, GNP는 14.265조달러였다.[14]

최근 국제 통계에서는 국민 총생산(GNP) 대신 국민 총소득(GNI)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11][12]

7. 1. 경제 성장과 국민소득

일본은 2005년부터 총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등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앞으로 노동력 인구 감소로 인해 국내총생산(GDP)을 기반으로 한 높은 경제 성장은 어려울 것이다.[26] 그러나 대외 자산에서 얻는 이자나 배당 등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총소득을 기반으로 한 경제 성장은 지속될 것이다.[26] 국민총생산 대신 국내총생산이 경제 정책의 목표가 되어 왔지만, 2006년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신성장정책부회가 정리한 신 경제 성장 전략 등에서 국민총소득(GNI)을 중시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26]

1인당 '''국민총소득'''을 10년 만에 150만 엔 늘린다는 목표가 정부의 성장 전략에 포함되어 있다.[26] 세계 경제에서 국경 없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일본에서 외국으로의 자본인재 투자 증가는 피할 수 없다.[26] 이러한 투자수익국내총생산(GDP)에는 반영되지 않지만, 외국에 대한 투자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면 '''국민총소득'''에 기여한다.[26] 앞으로 일본이 순조롭게 성장하려면 확대되는 해외시장에서의 수익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며, 전략적인 자본인재 투자가 중요한 과제이다.[26]

7. 2. 해외 소득의 중요성 증대

글로벌 경제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일본에서 외국으로의 자본인재 투자가 증대되고 있다.[26] 이러한 투자의 수익은 국내총생산(GDP)에는 반영되지 않지만, 국민총소득(GNI)에는 기여한다. 앞으로 일본이 순조롭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확대되는 해외 시장에서의 수익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고, 전략적인 자본과 인재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26]

일본은 2005년부터 총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등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노동력 인구 감소로 인해 국내총생산을 기반으로 한 높은 경제 성장은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대외 자산에서 얻는 이자나 배당 등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총소득을 기반으로 한 경제 성장이 지속될 것이다. 경제산업성의 산업구조심의회 신성장정책부회는 2006년에 신 경제 성장 전략 등에서 국민총소득(GNI)을 중시해야 한다는 제언을 하였다.

7. 3. 국민소득 지표의 한계와 대안

국민소득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와 서비스만을 포함하며, 가사 노동, 자원봉사 등 무급 노동은 반영하지 않는다. 또한 환경 파괴, 자원 고갈 등 경제 활동의 부정적인 외부 효과도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국민소득 지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국민총행복(GNH), 녹색 GDP 등 지속 가능한 발전 지표가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8. 한국의 국민소득 현황과 과제

한국은 1960년대 이후 경제 개발 정책을 추진하여 국민 소득이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고,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며, 가계 부채가 증가하는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8. 1. 더불어민주당의 국민소득 증대 정책

주어진 원문은 일본의 국민총소득 증대 정책에 대한 내용이며, 더불어민주당의 정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원문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8. 2. 한국 경제의 과제

한국 경제는 저성장을 극복하고 잠재 성장률을 높여야 한다. 또한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고 사회 통합을 강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가계 부채 문제 해결과 금융 안정성 확보도 중요한 문제이다.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 더불어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26]

참조

[1] 웹사이트 World Bank's Income Groups https://ourworldinda[...] 2024-10-08
[2] 서적 Economic development Addison-Wesley 2012
[3] 간행물 Monitoring GNI for own resource purposes http://ec.europa.eu/[...] Eurostat 2016-06-23
[4] 웹사이트 CRISIS RECOVERY IN A COUNTRY WITH A HIGH PRESENCE OF FOREIGN-OWNED COMPANIES: The Case of Ireland https://www.socialeu[...] IMK Macroeconomic Policy Institute, Hans-Böckler-Stiftung 2017-01
[5] 웹사이트 detailed methodology – World Bank Data Help Desk https://datahelpdesk[...] 2024-08-10
[6] 서적 A history of national accounting IOS Press 2005
[7] 웹사이트 VII. The primary distribution of income account https://www.elibrary[...]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11-10
[8] 웹사이트 GNI. Atlas method (current US$)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4-10-08
[9] 웹사이트 GNI (current US$)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4-10-08
[10] 웹사이트 GDP (current US$)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4-10-08
[11] 웹사이트 GNI, Atlas method http://data.worldban[...] 2022-10-23
[12] 웹사이트 GNI, PPP (international $) http://data.worldban[...] 2022-10-23
[13] 서적 Beyond Growth Beacon Press 1996
[14] 웹사이트 Flow of Funds Accounts of the United States http://www.federalr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2018-08-23
[15] 간행물 Glossary:Gross national income (GNI) http://ec.europa.eu/[...] Eurostat 2016-06-23
[16] 웹사이트 BEA: Glossary "G" https://www.bea.gov/[...] Bureau of Economic Analysis 2007-09-05
[17]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as a Measure of U.S. Production https://apps.bea.gov[...] 1991-08
[18] 뉴스 Beyond GDP https://www.economis[...] 2016-07-27
[19] 웹사이트 BEA: The World Bank - US figures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2017
[20] 웹사이트 BEA: Armenia GNP https://www.macrotre[...] Macrotrends 2019
[21] 웹사이트 BEA: Armenia GDP https://www.macrotre[...] Macrotrends 2019
[22] 웹사이트 BEA: Migration Rate and Associated Issues in Armenia in 2016–2017 https://www.un.am/en[...] UN Armenia 2017
[23] 웹사이트 BEA: Inflow of Remittances by Balance of Payments https://www.cba.am/e[...] Central Bank of Armenia 2019
[24] 웹사이트 GNI (Current USD) in Armenia https://www.helgilib[...]
[25] 웹사이트 GNI, Atlas method http://data.worldban[...] 2020-02-21
[26] 웹사이트 今なぜ「GDP」ではなく「GNI」が日本経済にとって重要なのか? https://diamond.jp/a[...] 2013-07-01
[27] 웹인용 World Bank's Income Groups https://ourworldinda[...] 2020-03-05
[28] 글로벌2 소득결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