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악동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악동요제는 1988년 처음 개최된 이후, 국악을 기반으로 한 동요를 발굴하고 보급하기 위해 열리는 행사이다. 1988년 KBS 어린이합창단이 참여한 국악동요발표회를 시작으로, 1992년부터 1995년까지 국립국악원과 EBS가 공동으로 창작국악동요제를 개최했다. 이후 1996년부터 KBS와 국립국악원이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매년 새로운 곡들을 선보였다. 2010년부터는 창작곡과 부르기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고 있다.

2. 역대 대회

국악동요제는 여러 해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개최되었다. 1988년과 1991년에는 국악동요발표회 형식으로, 1992년부터 1995년까지는 국립국악원과 EBS가 공동 주최하는 창작국악동요제 형식으로, 1996년부터는 국립국악원과 KBS가 공동 주최하는 국악동요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대회별 정보는 다음과 같다.

1988년, 1991년에 열린 국악동요 발표회와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열린 창작국악동요제의 정보는 하위 섹션에 이미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1996년부터 KBS와 국립국악원이 공동 주최한 국악동요제의 주요 내용만 간략하게 정리한다.


  • 1996년: 오영실 진행, '우리식구 별명' (김정철 작곡) 대상.
  • 1997년: 김병찬, 오영실 진행, '윷놀이' (오상문 작곡) 대상.
  • 1998년: 김홍성, 손미나 진행, '달궁 달궁' (이성동 작곡) 대상.
  • 1999년: 유열, 임성민 진행, '맑은물 흘러가니' (이순형 작곡) 대상.
  • 2000년: 김홍성, 변우영 진행, '세상 달궁' (이동재 작곡) 대상.[1]
  • 2001년: 심현섭, 홍소연 진행, '두꺼비' (손정우 작곡) 대상.
  • 2002년: 김현욱, 홍소연 진행, '반딧불이' (이은혜 작곡) 대상.
  • 2003년: 김현욱, 홍소연, 박은빈 진행, '시골마을' (이성복 작곡) 대상.
  • 2004년: 김현욱, 홍소연, 박은빈 진행, '어 어리두 배 짓자' (박경숙 지도) 대상.[1]
  • 2005년: 김홍성, 노현정 진행, '청개구리' (김애경 작곡) 대상.[1]
  • 2006년: 한석준, 고민정 진행, '코생이' (박수남 작곡) 대상.[1]
  • 2007년: 전현무, 고민정 진행, '대보름 줄놀이' (모형오 작곡) 대상.[1]
  • 2008년: 김기만, 고민정 진행, '함께' (김춘남 작곡) 대상.
  • 2009년: 이영호, 윤수영, 이수근 진행, '만파식적' (박주만 작곡) 대상.
  • 2010년: 오언종, 가애란, 황현희 진행, '할머니 무릎' (류정식 작곡) 대상.[1]
  • 2011년: 박태원, 정다은, 박성광 진행, 창작곡 부문 대상 '견우직녀' (박주만 작곡), 부르기 부문 대상 '꽃이 피었네' (어보원 노래).
  • 2012년: 조우종, 정다은, 정범균 진행, '동래학춤' (박은경 작곡) 대상.
  • 2013년: 오승원, 장수연, 신보라 진행, '거문고' (김여진 작곡) 대상.[1]
  • 2014년: 한석준, 송소희 진행, '향발춤' (조연경 작곡) 대상.[1]
  • 2015년: 한상헌, 이슬기, 남상일 진행, '꼬르륵 냠냠 쿨쿨' (이은정 작곡) 대상.[1]
  • 2016년: 조항리, 유지원, 유태평양 진행, '메주가 주렁 주렁' (류정식 작곡) 대상.

2. 1. 1988년 국악동요발표회

1988년에 열린 첫 번째 국악동요발표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곡들이 발표되었다.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달맞이꽃한원섭이진호이성천KBS 어린이합창단
2산길한원섭신현득이성천KBS 어린이합창단
3허재비김석곤한석준이성천KBS 어린이합창단
4두껍아 두껍아정문섭전래동요이성천KBS 어린이합창단
5뒷산에 올라황병훈이진호황병훈KBS 어린이합창단
6눈송이권덕원김원기권덕원KBS 어린이합창단
7끼리 끼리전인평김종상전인평KBS 어린이합창단
8나비의 꽃가게양주섭곽영석양주섭KBS 어린이합창단
9이문주이슬기김희조KBS 어린이합창단
10가을빛한동찬이진호김희조KBS 어린이합창단
11옥수수김남삼신순애김희조KBS 어린이합창단
12수숫대 울타리황경자신동일이상규KBS 어린이합창단
13달이 떴다이문주신현득이상규KBS 어린이합창단
14강변이성진최도규이상규KBS 어린이합창단
15달무리이광자권오순박일훈KBS 어린이합창단
16연날리기김계영엄성기박일훈KBS 어린이합창단
17자장가전인평신현득전인평KBS 어린이합창단
18물새 발자국백성기선용백성기KBS 어린이합창단
19산길신상춘박영숙박일훈KBS 어린이합창단
20시골버스정승환김재원이상규KBS 어린이합창단


2. 2. 1989년 국악동요발표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3. 1990년 국악동요발표회


2. 4. 1991년 국악동요발표회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얼싸좋다송택동송택동임진옥조선일보 소년소녀 합창단
2첫여름김남삼이진호박일훈조선일보 소년소녀 합창단
3여름바람신상춘박경용박일훈조선일보 소년소녀 합창단
4이닦기 노래정승환윤이현윤명원조선일보 소년소녀 합창단
5방아노래이성천고려가사이성천김윤영, 정소희
6여름한원섭오승희윤명원김진하, 최옥선
7고추잠자리김남삼정춘자임진옥고은목 어린이 중창단
8새보기김정자임석재김철호고은목 어린이 중창단
9우리집에 왜왔니김삼곤이준관전인평고은목 어린이 중창단
10달무리정문섭원오순윤명원고은목 어린이 중창단
11우덕상우덕상전인평김건영
12제기차기김형자정태모김철호최영준
13팽이치기김정실김정실김철호맹승호
14새쫓는 소리오세균이정님박일훈과천 어린이 합창단
15아리랑고개김계영김삼진김계영과천 어린이 합창단
16개미나그네이순형최옥환전인평과천 어린이 합창단
17얼레꼴레문원자문원자임진옥과천 어린이 합창단
18꼴망태기한동찬최병엽전인평과천 어린이 합창단


2. 5. 1992년 창작국악동요제

1992년부터 1995년까지 국립국악원과 EBS가 공동으로 창작국악동요제를 개최하였다.

1992년 11월 1일 일요일 오후 2시에 국립국악원 소극장(우면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11월 8일 일요일 오후 4시 40분부터 6시 20분까지 EBS 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유열과 김연주가 맡았다.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모깃불최옥환이순형최동선고잔국교 합창단
2술래잡기이성동이성동임진옥이승은
3대보름날신진수신진수김철호조혜미, 허지혜
4그리운 그 밤권오순신상춘임진옥정경화, 이방글
5서원웅전은주박일훈황현준
6잠자리제해만김진덕최동선정계은, 변진아, 정혜윤
7방아타령염근수송택동이병욱김성진
8아기도깨비신현득김종한윤명원이정연
9산길홍정희홍정희박일훈주민아, 주희택
10대추나무 산새염근수정연택이병욱조문희
11반딧불엄성기정운룡윤명원이아람, 최주미, 연수현, 최지영
12윷놀이김하나김남삼김철호김겨울
13추석달나성오영환박일훈조경미
14우리형제전래동요장순양임진옥김민우
15연날리기우덕상우덕상김철호이평은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인기상: 추석달 (작곡: 오영환)
  • 장려상: 대추나무 산새 (작곡: 정연택), 술래잡기 (작곡: 이성동)
  • 동상: 우리형제 (작곡: 장순양), 윷놀이 (작곡: 김남삼)
  • 은상: 방아타령 (작곡: 송택동)
  • 금상: 잠자리 (작곡: 김진덕)
  • 대상: 모깃불 (작곡: 이순형)

2. 6. 1993년 창작국악동요제

1993년 9월 22일 오후 2시에 국립국악원 소극장 (우면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10월 3일 오후 3시 35분부터 5시까지 EBS 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유열과 박미숙이 맡았다.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풍년놀이김종영신상춘이준호김지영 외 3명
2도라지꽃김종성정운룡조광재조문희
3할머니의 강아지양회성김남삼조광재심현아 외 9명
4바람개비박용열이명호조광재곽현영
5방울소리최옥환이순형이준호장옥재 외 8명
6차전놀이채부심박영근이준호박종진
7금도끼 은도끼박영신박영신이준호김효진, 김유경
8썰매이원수이성동조광재김소연
9교실안에 봄이김교현문원자조광재성진영
10이슬최옥환이동재이준호방인선
11개구장이 산복이이은구오상문이준호김주영 외 2명
12가랑비정래미이정미이준호염유경, 박정언
13정월 보름 쥐불놀이이빈가이화정이준호정수진
14새재아리랑이재현홍정희이준호주민아 외 3명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대상: 풍년놀이 (작곡: 신상춘)
  • 금상: 개구장이 산복이 (작곡: 오상문)
  • 은상: 할머니의 강아지 (작곡: 김남산), 차전놀이 (작곡: 박영근)
  • 동상: 썰매 (작곡: 이성동), 도라지꽃 (작곡: 정운룡)
  • 장려상: 정월 보름 쥐불놀이 (작곡: 이화정), 이슬 (작곡: 이동재), 방울소리 (작곡: 이순형)

2. 7. 1994년 창작국악동요제

1994년 9월 6일 오후 2시에 국립국악원 소극장 (우면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9월 19일 오후 6시 15분부터 7시 40분까지 EBS 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임백천, 김연주가 맡았다.

번호곡명작사작곡노래
1도깨비 방망이박수진김애경고우리 외 6명
2들창 밖에는 노래합니다김해영김평주장고은
3뜸부기최옥환이순형최선정 외 3명
4바람분다백창우김현숙박경미 외 2명
5뱃노래박성규정연택정진경 외 9명
6생일전날최정심최상평김현주
7술래잡기김종영오상문신관영 외 3명
8술래잡기이동재이동재최정윤
9지신밟기김종영박혜정유정선
10찜통더위이강산이강산신지영 외 11명
11박시애우덕상김대윤
12친구사이김교현김종한최민영
13탈춤김경락신진수오동학 외 3명
14풍년이빈가이화정남상훈 외 6명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곡명작곡
동상도깨비 방망이김애경
동상술래잡기오상문
동상탈춤신진수
은상술래잡기이동재
은상찜통더위이강산
금상뜸부기이순형
금상우덕상
대상뱃노래정연택


2. 8. 1995년 창작국악동요제

1995년 10월 5일 오후 3시에 국립국악원 소극장 (우면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1995년 10월 14일 오후 4시 50분부터 오후 6시 20분까지 EBS 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유열과 이상아가 맡았다.

번호곡명작사작곡노래
1강강술래송선영한지영이진경
2땅따먹기장순양장순양이기연 외 3
3정월대보름나성오영환임혜영
4물놀이신현득서희원정현정
5자장가구전고현민김지혜 외 2
6신나게 북쳐보자장시몬오상문김영지 외 5
7탈춤추세이명호이명호신나라 외 4
8굴렁쇠김종영이동재이태희 외 4(푸름이)
9정말정말 이상해조무근황선만허석환 외 1
10가마소 가이염근수김정철이현지 외 6(어린이 노래그룹 작은평화)
11이슬방울김삼진허윤희이혜진
12어부가장영철정운룡이영주 외 9(부산고운노래부르기모임)
13다듬이 소리송명호조원경정혜민 외 4
14보물 찾기김교현신상춘안진영 외 4



대상은 송명호 작사, 조원경 작곡, 정혜민 외 4명이 부른 〈다듬이 소리〉가 수상하였다.

2. 9. 1996년 국악동요제

1996년 11월 1일 금요일 오후 5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KBS 위성 1TV를 통해 11월 13일 수요일 오후 10시부터 11시까지 방송되었다. 진행은 오영실이 맡았다.

'''본선 경연'''

번호곡명작사작곡노래
1맷돌선용황선만김범준, 김재현, 김주완, 전충환, 한신, 옥재혁
2나의 꿈은이동재장영철조우식, 지윤영, 채주연, 한림, 정주원, 전주현, 이은아
3우리 장단 배워보자전지인전지인박선혜, 박계라, 한은정, 김여수, 원보배, 박혜린
4아침이슬한석준송예순김영지, 이선주
5산아이최도규정운룡하주은, 이서경, 이예지, 하주원, 김원경
6메뚜기김종상류지원김영진, 이지윤, 김정은, 배현경, 채우리, 문혜준, 장은아
7우리들의 꿈안영선이용탁이동은, 이동주
8당징지곽혜숙곽혜숙양인정, 김현정
9내탓이야우덕상우덕상김민정
10우리식구 별명김진식김정철어린이 노래그룹 '작은평화'



'''위촉작품'''

곡명작사작곡노래
위촉작품그림자임병호이해식백민성
위촉작품꽃구름 진달래조념전인평예쁜 아이들
위촉작품둥글둥글 둥실둥실송혜진박범훈KBS 어린이합창단
위촉작품사물놀이송혜진채치성KBS 어린이합창단
위촉작품햇빛소리원일원일채치성, 조경자, 채수경, 채길용



대상은 김정철이 작곡한 '우리식구 별명'이 수상하였다.

2. 10. 1997년 국악동요제

1997년 9월 9일 화요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KBS 위성 1TV를 통해 10월 12일 일요일 오전 11시 30분부터 오후 1시까지 방송되었다. 진행은 김병찬, 오영실이 맡았다.

본선 경연에는 총 10곡이 참가했으며, 위촉 작품은 5곡이었다.

'''본선 경연'''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아기와 노랑나비김종한김종명윤영선조현아, 김은정, 김지현, 이하림, 김민선, 전혜정, 정현정
2구구단 놀이윤오섭윤오섭김만석김영지, 서은영, 구정연, 김예나, 이나드리
3대금소리안재현안재현김명석윤은지, 육여은, 고윤선
4꿈배를 띄우자박혜정김종영조광재김예슬, 김진호, 최재훈, 조윤지, 유연미, 오유진, 김린, 오유진, 김소연, 이경미, 박사라, 홍서희
5개나리꽃전지현최정애박선혜, 고혜진, 백소연, 최문경
6누야생각박선영박지은김만석노내경
7떡방아이순형최옥환지원석이찬혁, 정수빈, 하석현, 권민종, 김미경
8시계이동재조무근조광재김윤석, 박소윤, 최정윤, 김수연, 김태완, 조은비
9윷놀이오상문공병호윤영선이현주, 백자영, 김지영, 강수진, 이연지
10춤추는 바다곽혜숙이순덕김명석박정현, 김지은, 이별아, 박소진, 윤지원, 황정은, 김성은, 이현숙



'''위촉 작품'''

곡명작사작곡노래
위촉작품또 잊으셨나이병욱금나영김용우, 예쁜아이들
위촉작품우리교실이상규이진호작은평화
위촉작품바닷가에서이종구서정슬색동 어린이 합창단
위촉작품산을 보고 있으면이준호허동인허정윤, 우혜경
위촉작품연필과 지우개조광재김종상노래친구들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가작: 대금소리 (안재현 작곡), 떡방아 (이순형 작곡)
  • 장려상: 시계 (이동재 작곡), 꿈배를 띄우자 (박혜정 작곡), 춤추는 바다 (곽혜숙 작곡)
  • 동상: 아기와 노랑나비 (김종한 작곡), 개나리꽃 (전지현 작곡)
  • 은상: 누야생각 (박선영 작곡)
  • 금상: 구구단 놀이 (윤오섭 작곡)
  • 대상: 윷놀이 (오상문 작곡)

2. 11. 1998년 국악동요제

1998년 9월 15일 오후 7시 30분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10월 2일 오후 1시 10분부터 2시 4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김홍성, 손미나가 맡았다.

'''본선 경연'''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옳지 옳지 그래야지류지원엄성기공우영안혜련, 엄정은, 이새롬, 성다혜
2달팽이김동숙김동숙지원석강민아
3운동회김애경박수진김만석김신아, 문은영, 문수진, 이연지, 박지수, 이하림, 여정아, 김지현, 진상희
4고사리손이정면금나영조혜리
5생일축하 한마당이인경박정현안현정최고운, 오효진, 유수진, 곽동근, 박찬우, 권정은, 박소미, 박소진, 박정현, 이지은, 라일옥
6겨울나무임선손광세김만석최혁진
7서당놀이이기경권기원지원석한은경, 임누리, 진보라, 이혜신, 서민정, 탁지영, 이용범, 김정민, 한송희, 박성민, 이수진, 함소라
8줄다리기고현선강철수최영직, 김정윤, 박창현, 이상우, 김유나, 기태연, 장소영, 정원정
9웃음이란 선물문원자엄기원최병서, 권희주, 김나영, 송예슬, 석경훈
10달궁 달궁이성동윤석중지원석이단비, 조푸름, 강형옥, 김서인, 김종민, 김지홍, 김현지, 김형배, 송태윤, 윤지영, 전병수, 정연원, 한세미, 황의성



'''위촉 작품'''

곡명작사작곡노래
위촉작품전설을 찾을래요김용우정채봉예쁜아이들
위촉작품우물가김창완김창완이든
위촉작품꿈보따리 희망보따리김철호이홍주노래친구들
위촉작품여름날오상문임석재정소연, 임소희, 문희나, 김민주, 이민주, 박혜윤, 박혜언, 최보림, 노지현



'''수상 내역'''

부문곡명작곡
가작옳지 옳지 그래야지류지원
가작줄다리기고현선
장려상달팽이김동숙
장려상겨울나무임선
장려상운동회김애경
동상웃음이란 선물문원자
동상고사리손이정면
은상서당놀이이기경
금상생일축하 한마당이인경
대상달궁 달궁이성동


2. 12. 1999년 국악동요제

1999년 10월 12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10월 16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40분까지 KBS 1TV에서 방송되었다. 진행은 유열과 임성민이 맡았다.

'''본선 경연'''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팽이치기최경진최경진최재륜박채리, 강진희, 강미나, 박아름, 고아영, 박소미, 서다혜, 심주연
2꽃초롱 별초롱곽혜숙윤복진김나연김나연, 안지영, 이나경, 양유미, 신나래, 이석원, 박정현
3가을잠자리김가나다최갑규백성기이하림, 진상희, 유성진, 조효정, 이보경, 최황작, 김하연, 김현지
4잠방울 꿈방울조은희정혜훈이준호박민하, 김소영, 조은혜, 인현진, 김다혜, 이하경
5왕도토리이기경염근수윤영선이효진, 김지훈, 권정은, 송진택, 이지은, 안송이, 이아람, 이정욱, 이지혜
6맑은물 흘러가니이순형이순형노부영이찬혁, 하석민, 유정원, 김정현, 조상은
7타작소리송택동송택동한상일송예슬, 안은별, 이지헌, 장윤라, 이소정, 문효영, 박수정, 송은경



'''위촉 작품'''

곡명작곡작사노래
위촉작품쥐생원계성원신현득(개사)대모유치원
위촉작품하늘이김영동이창건예쁜아이들
위촉작품새롬이의 세발자전거홍동기박광종이찬호, 김성은



대상은 이순형 작곡의 '맑은물 흘러가니'가 수상하였다.

2. 13. 2000년 국악동요제

2000년 9월 5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10월 5일 오후 4시부터 5시 2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김홍성, 변우영이 맡았다.[1]

'''본선 경연'''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방안의 꽃(이쁘고타령)고승하김용택공유영김혜선, 남수지, 조아라, 윤혜인
2우리들 세상류동일류동일이태원엄세원, 김다영, 김수연, 김서영, 우소영, 김다엘, 조혜은, 이지은
3별하나 꿈하나김옥기김재원허윤희전선희, 이지향, 최지현, 김현정, 박지선, 정한나, 박선영
4세상 달궁이동재전래가사정동희난우초등학교 민요부
5탈춤놀이이성동정구성지원석명성 중창단
6동동동김경아김경아김요섭김현혜, 김소영, 김예진, 안성미, 김나윤, 박찬영, 안송이, 김수연, 박정현
7솔방울곽혜숙이원수강예원조푸름



'''위촉 작품'''

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위촉작품사랑의 꿈김회경덕신김회경이자람
위촉작품내가 지은 집안현정정하나안현정김희정, 맹세창
위촉작품무말랭이이순형이순형김성경정지수, 이지영, 장혜주, 이제화, 엄정윤, 박정현, 신상수, 하근영, 이희정, 안현, 주현주, 김동화, 이성원



대상은 이동재 작곡의 '세상 달궁'이 수상하였다.[1]

2. 14. 2001년 국악동요제

2001년 9월 25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10월 5일 오후 4시부터 5시 2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심현섭홍소연이 맡았다.

'''본선 경연'''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생일축하 상사도야이성복이성복노부영고현희, 임하영, 정화연, 양승윤, 김재경, 김예지, 김지혜, 김수지, 박인경, 차정은
2늴리리 버들피리이기경임석재이기경정은주, 주진희, 정혜승, 이은혜, 최인영, 박송희, 마상흠
3김성지김희정윤영선양지은, 김진영, 최연욱, 강연정, 최연주, 이해나, 최문석, 김수지, 강연주, 고영주
4다듬이 소리김진숙송명호김만석손정민
5조약돌허정미이명주김명석김태성
6할아버지 고향박은영황대익김철호김우건
7할아버지 안경조은희윤복진공우영박정현, 강진희, 김준석, 정원준, 박선영, 이경연
8두꺼비손정우전래가사유은선안정아, 김은지, 서다혜, 한지윤, 김태희, 김현지, 이윤환
9귀한 말씀우덕상우덕상김민선박정은, 천지민, 이지민, 태혜송



'''위촉곡'''

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위촉곡널뛰기이동재전래가사이상균김수연, 장다빈, 김용주, 김미현, 정소라, 이수정, 김다민
위촉곡간지러워요김삼곤조무근김삼곤최민정, 박수정, 이규임, 박신영, 이영한
위촉곡깨어진 새알껍지신동일박목월신동일한음어린이합창단



대상은 손정우 작곡의 '두꺼비'가 수상하였다.

2. 15. 2002년 국악동요제

2002년 9월 3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9월 21일 토요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1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김현욱, 홍소연이 맡았다.

'''경연곡'''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맑고 푸른 숲김희정전지혜김명석송은지
2콩 넌 죽었다권옥자김용택김명석정우정
3단비최경진최경진윤영석오태훈, 홍서윤, 이규임, 이영한, 이화진, 박수정
4반딧불이이은혜이슬기김명석김신은, 최은영, 오세영, 김민진, 오소라, 김지혜, 임성윤, 박귀단, 최문영, 박이슬, 정주희
5풀피리유민희김동연윤영선김종인, 김창주, 김찬양, 강율리아, 나수경, 윤서영, 안도형, 백한빛, 백아랑
6밤 한톨이 떽떼굴안진현전래동요윤영선김효진, 정희정, 정혜승, 장서희, 백슬기, 서보경, 김인정, 허지원, 문유선
7이슬정우령이슬기변계원김민지, 송지희, 이정은, 정서연, 박준희, 이지은
8별하나 별둘이기경이기경이기경박소현, 안희련, 정빛나, 이은혜, 최인영, 양기련, 이지효
9걸음마문원자문원자변계원김수지



'''위촉곡'''

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위촉곡장난꾸러기 빗방울계성원계성원계성원민경제, 이현승, 권유정
위촉곡나랏말씀이손정우훈민정음 서문변계원안정아, 조성하, 오은혜, 가승진, 박송이, 이세진, 최교령, 김자은, 조혜정, 구세희, 소다미, 최민지, 강소정, 김영조, 김태림
위촉곡우리들이 사는 세상김정수김정수김정수이혜정, 이희정



대상은 이은혜 작곡의 〈반딧불이〉가 수상하였다.

2. 16. 2003년 국악동요제

2003년 9월 2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9월 13일 토요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1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김현욱, 홍소연, 박은빈이 맡았다.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댕기홍영기이은하이상균정빛나, 오서윤, 서보경, 차예원, 박송희, 정창화, 정좋은, 이정은, 김은정, 윤주현, 백정한, 이지헌, 신유지
2어깨동무김애경박수진공우영김민지, 임준규, 엄윤주, 김민정, 유민형, 윤종민, 경유정, 한윤주, 김현경
3우리엄마허지영이석현김성경오수영
4호박꽃 호박벌이은정박수진공우영남윤지, 손장병, 임수빈, 이유정, 임윤지, 이다전, 김재원
5쥐불놀이손정우이슬기변계원강소정
6시골마을이성복임석재이상균김수지, 차정은, 최고은, 최수지, 이승연, 정다울, 신슬아
7아기숨소리안은아이성관변계원윤희진
8꽃이 피었네이성동최옥선김미림김보람, 박선영, 유현지, 성아름다비, 이시온, 이예은, 이희진, 우현지, 박경언, 소신아, 박재은, 김예슬, 이상희, 강현민, 오한나, 양예원, 조효진
9해님눈물 달님눈물김민정김민정윤영선이수란, 이여경, 윤경희, 노화진, 최영민, 원미정, 이옥란, 이영남, 배진승, 배수영, 이윤경
10알깨는 병아리김애영양승찬김성경홍서영, 배정민, 배지우, 박혜림, 허욱, 신은지, 박정인, 배지원, 백지연, 엄지, 정진슬, 홍근영
11누나생각전우현전우현김미림고아라
12강강수월래류정식이슬기윤영선황현한, 김지은, 문신영, 안수진, 최유진, 이희원, 이정윤, 김지수, 오지은



대상은 이성복 작곡의 '시골마을'이 수상하였다.

2. 17. 2004년 국악동요제

2004년 9월 7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다.[1] KBS 1TV에서 2004년 9월 25일 낮 12시 45분부터 오후 2시 45분까지 방송되었다.[1] 진행은 김현욱, 홍소연, 박은빈이 맡았다.[1]

번호곡명작곡/지도작사편곡노래
1복조리김희정김종영윤영선박예니, 윤서원, 이지윤, 공정빈, 김수진, 정희영, 최서윤, 최우석, 옥지윤, 이하림, 김주성, 김채윤
2고양 김매기 소리(자진방아타령)김애경김만석이나경, 이재연, 엄윤주, 김민정, 유민형, 윤종민, 경유정, 김현경, 한윤주
3달놀이이성동윤석중김만섭이예은, 최효빈, 소신아, 최효림, 박성신, 김예슬, 이하은
4불무불무김태영노부영김진아, 이다솜
5달팽이안진현노부영황인조, 엄준식, 윤희수, 이지형, 이준용
6아기와 노랑나비정우령김종영노부영김지연, 김여설, 김지후, 황한슬, 전상아, 신유섭, 최선경, 황보하영, 한정원
7죔죔죔 짝짜쿵이성복이복자김만석고예현, 이민지, 정수연, 김유현, 홍성철, 김한별, 정민경
8몸돌려(고양 논매기 소리)박용진윤영선김윤지, 이동재, 김혜인, 안민아, 조경훤, 구혜윤, 김민범, 홍재민, 차수현, 박재현, 최정환, 윤송이
9반달곰 겨울나기홍재근김완기노부영김가은
10이거리 저거리 각거리안영준윤영선박수진, 박태영, 임그리나
11시상달궁류정식이슬기윤영선서정현, 안수진, 이정윤, 최유진
12어 어리두 배 짓자박경숙김만석장영인, 윤형재, 김민중, 김경은, 이지연, 김서우, 최소영, 이송희, 최예은, 윤지현, 이성민, 남상호, 장치근, 주소현, 설동윤



대상은 박경숙이 지도한 '어 어리두 배 짓자'가 수상했다.[1]

2. 18. 2005년 국악동요제

2005년 9월 6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9월 17일 오후 1시 20분부터 2시 3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김홍성, 노현정이 맡았다.[1]

참가한 곡들과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1]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개굴개굴전호신이성동변계원박채경, 홍성철, 이지현, 최예본, 오한솔, 조소연, 박소영, 정하은, 안드보라
2소꿉놀이조홍기전래가사이태원박우성
3달밤이성동윤석중윤영선아리랑 어린이예술단 (김지현, 신아현, 김한빛, 박소은, 정이주, 이소진, 이현빈, 최예진, 김산들, 김지수)
4꼬방꼬방이수하전래가사윤영선사공민, 이승연, 김수민, 박민지, 배덕우, 송준형, 이헌성
5불꽃놀이이수지이수지변계원백보현
6청개구리김애경박수진윤영선윤종민, 김현경, 한윤주, 김소연, 허윤영, 정지윤, 양현무, 김민경, 주예슬, 조소현, 전소현
7가을이 깊어간다이은정이슬기윤영선이다정, 이한나, 이소윤, 송다원, 윤서현
8콩털이 사랑콩이기경유영미변계원이규빈
9산마을류정식이성관이태원이지연, 이정은, 이슬우, 정민경, 김예슬, 배은설, 이건화, 소신아
10봄맞이조아라조아라이태원윤해정
11거북놀이손정우김명희이태원이지연, 안민아, 김하늘, 이성민, 남상호, 장치근, 구혜윤, 조경훤, 조영재, 설동은, 이은별
12사방치기황옥경황옥경변계원백희원, 백지원, 백현준, 양수진, 김한별, 조주영, 황은서, 윤제원



대상은 김애경 작곡의 '청개구리'가 수상하였다.[1]

2. 19. 2006년 국악동요제

2006년 9월 8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10월 3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2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한석준, 고민정 아나운서가 맡았다.[1]

참가한 곡들은 다음과 같다.[1]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하늘바람채기병채기병공우영바람소리 친구들
2달맞이 노래이수지이수지황호준밝은소리 중창단
3사물악기가 된 도깨비모형오모형오정동희어린이 소리패 "까치소리"
4코생이박수남박수남고영욱박소영
5댕글 댕글 감형제들이은정채정미공우영윤소현, 송다원, 장윤영, 최은지, 이한나, 윤정인, 송준혁, 안재경, 김민선
6하루살이이성동이성동정동희박소은, 강나은, 이조은, 황수민, 박혜민, 김산들, 김지수
7염소최윤정이상교황호준조소현
8신나는 강강술래윤순희이성관황호준도기원, 이유진, 이하은, 하은조, 김다은, 신선경, 하지연, 황은서, 서지연
9메밀묵 찹쌀떡임수연임수연공우영동요드림 중창단
10잠자리 꽁꽁류동일류동일정동희예쁜그림 중창단
11참새웃음전호신김종영고명욱정이주, 박우용, 김영기, 김다혜, 김한결, 장윤영, 홍성철, 손유림
12쇠스랑질 소리안영준전래가사고명욱체리토마토 중창단



대상은 박수남 작곡의 '코생이'가 수상하였다.[1]

2. 20. 2007년 국악동요제

2007년 9월 7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9월 24일 오전 10시 15분부터 낮 12시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1] 진행은 전현무, 고민정 아나운서가 맡았다.[1]

참가곡 및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1]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널뛰기동수연김종영정동희동요를 만드는 아이들
2방귀부인이석진이석진황호준고유정
3한가위김소영김소영황호준체리토마토 중창단
4내 별명이성동이성동계성원아리랑 어린이중창단
5탁탁슥슥 제기차기류동일류동일정동희어울림중창단
6눈썹없는 달님은이기영유영미계성원이규빈
7대보름 줄놀이모형오모형오공우영고창동리 어린이 소리패
8나물노래이승복전래가사공우영소리아띠
9어깨동무 치동무윤순희윤순희정동희밝은소리 중창단
10세상에는 비밀이 없는 법이다최경진정태모황호준김가은, 김하림
11까치밥이수지이수지계성원명성 어린이 중창단
12이 빠진 날김태영김태영공우영애기나리 중창단



대상은 모형오 작곡의 '대보름 줄놀이'가 수상하였다.[1]

2. 21. 2008년 국악동요제

2008년 9월 5일 금요일 오후 7시 30분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김기만, 고민정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았다. 2008년 9월 13일 토요일 오후 3시 40분부터 5시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참가곡은 다음과 같다.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상상여행송지선송지선정동희봄꽃빛아이들
2시험보는 날이성동이성동계성원노수현
3고운비김보현김보현김보현조현지
4나물노래김용택이성복김성경죽마친구들
5자장노래이민영이민영계성원소리재단사
6구리구리 쇠똥구리이은정김원경이정면인지예
7함께김춘남안진영, 김춘남정동희애기나리중창단
8내동생김은지김은지정동희박세영
9멸치와 갈치김혜란김혜란계성원밝은소리 중창단
10굿거리와 자진모리 이야기류정식류정식이정면최은지, 안재경
11고추장떡 먹는날문원자손미경김성경동요랑이 중창단
12열려라 참깨김형자이복자이정면반창엽, 반창운



대상은 김춘남 작곡의 '함께'가 수상하였다.

2. 22. 2009년 국악동요제

2009년 9월 18일 금요일 오후 7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다. KBS 1TV에서 10월 2일 금요일 오후 3시 40분부터 오후 5시까지 방송되었다. 진행은 이영호, 윤수영, 이수근이 맡았다.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짱아짱아 고추짱아박성자김경선김성경딸기와 고구마
2모기의 겨울나들이김재한김재한김성경원유리, 원현식
3징검다리이성빈이명선안현정소리 재단사
4널뛰기이은실이은실김성경아리새 중창단
5반찬타령전선전선안현정김소현
6매앰맴채정미임수연계성원귀여운 아이들
7군밤송지선송지선이정면동요 스케치
8놀이하자김일중김일중김일중해맑은 아이들
9김장하는 날김혜란김혜란계성원가온누리
10만파식적박주만박주만이정면동요드림
11이여이여 할망할망유영미이기경계성원이규빈
12나무의 노래모형오진성호안현정아름드리 중창단



우수상은 임수연 작곡의 '매앰맴'과 이기경 작곡의 '이여이여 할망할망'이 수상했다. 대상은 박주만 작곡의 '만파식적'이 수상했다.

2. 23. 2010년 국악동요제

2010년 9월 2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2010년 9월 23일 목요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KBS 1TV에서 방송되었다. 진행은 오언종, 가애란, 황현희가 맡았다.[1]

이 해부터 '국악동요 창작곡 부문'과 '국악동요 부르기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기 시작했다.[1]

'''국악동요 창작곡 부문'''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한 여름의 낮잠이수영윤학준계성원노래마을 아이들
2개구리 소풍박혜림박혜림김만석서민지
3할머니 무릎김종영류정식김만석예쁜 꼬마 친구들
4밥 한그릇김종영안진현황호준임한슬
5우리네 바람 이야기이수영노영원황호준희망드림 중창단
6날개 달린 오징어박윤미유용재계성원한음 어린이
7꽃마을황베드로정희선김만석늘해랑 중창단
8종이 꿈나무최은정최은정황호준보라 꿈나무



'''국악동요 부르기 부문'''

번호곡명작사작곡노래
1널뛰기김종명동수연음악친구들
2뱃노래박성규정인택조성윤
3메밀묵 찹쌀떡임수연임수연한빛소리 중창단
4청개구리박수진김애경봉천 하늘나리 중창단



창작곡 부문 우수상은 '날개 달린 오징어'(작곡: 유용재, 노래: 한음 어린이)가, 부르기 부문 우수상은 '메밀묵 찹쌀떡'(노래: 한빛소리 중창단)이 수상했다. 대상은 '할머니 무릎'(작곡: 류정식, 노래: 예쁜 꼬마 친구들)이 수상했다.[1]

2. 24. 2011년 국악동요제

2011년 8월 18일 오후 5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9월 13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박태원, 정다은, 박성광이 맡았다.

'''국악동요 창작곡 부문'''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보름달 축제김드리김드리김만석아리나무 중창단
2바다왕 멸치이수영김세은황호준해맑은 아이들
3틀려도 괜찮아, 어때이옥자진성호계성원애기나리 중창단
4씨름놀이박은경박은경김만석포도나무 중창단
5별가사리정수은임수연계성원별자리 아이들
6제주어 배워보카박순동박순동계성원밝은 소리 중창단
7콩깍지조연경조연경황호준소리천사
8견우직녀박주만박주만김만석노마 중창단



'''국악동요 부르기 부문'''

번호곡명작사작곡노래
1잠자리 꽁꽁류동일류동일장혜리, 김서연, 이예슬
2눈썹 없는 달님은유영미이기경임진호
3꽃이 피었네이성동최옥선어보원
4락락속속 제기차기류동일류동일권정대, 권정교
5콩털이 사랑콩유영미이기경고나은
6꽃마을황베드로정희선강서진



'''수상 내역'''

부문곡명(참가자)
국악동요 창작곡 부문인기상씨름놀이 (포도나무 중창단)
우수상씨름놀이 (박은경)
대상견우직녀 (박주만)
국악동요 부르기 부문우수상콩털이 사랑콩 (고나은)
대상꽃이 피었네 (어보원)


2. 25. 2012년 국악동요제

2012년 8월 31일 오후 5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2012년 10월 1일 월요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KBS 1TV에서 방송되었다. 조우종, 정다은, 정범균이 진행을 맡았다.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뚝배기이광휘김재한정동희소리천사
2동래학춤박은경박은경김만석꿈이 크는 아이들
3정읍의 자랑배상철배상철김만석동초소리 아랑단
4떡을 만들어 보자권미현권미현강솔잎노래마을 아이들
5말하나가박희순박상현강솔잎애기나리 중창단
6얼쑤 얼씨구선용이성복정동희햇빛나리 중창단
7야호 신나는 점심시간권영미권영미정동희조은빈
8곤충 자랑현상두현상두이정면아랫범실 아이들
9어쩌지권정미현동근강솔잎박소현, 김나영
10나의 소원최민지최민지이정면이윤서
11닥종이 인형최현식최소영이정면동요드림



수상 내역
곡명작곡
대상동래학춤박은경
우수상곤충 자랑현상두
인기상떡을 만들어 보자권미현


2. 26. 2013년 국악동요제

2013년 8월 31일 토요일 오후 5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9월 20일 금요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방송되었다. 진행은 오승원, 장수연, 신보라가 맡았다.[1]

번호곡명작곡작사편곡노래
1오줌쟁이김재한김재한원영석태양의아이들
2피리 배우기류정식류정식정동희류연서, 류연우
3눈꽃마을 아기별이은정이수영이정면김나영
4어디만큼 강가조연경조연경강상구음악친구들
5아리랑 엄마 사랑윤학준최은정이정면꿈이크는아이들
6별마루정성우정수은원영석한승헌
7흥겨운 탈놀이 한판황옥경박성자이정면해솔 중창단
8한가위조경찬김명희(연우)강상구김민지
9거문고김여진최경민원영석어린이정가단'아리'
10난다지 온다지이기경유영미정동희서연지
11배꼽시계서은희서은희강상구늘해랑중창단
12자치기이규빈유지나정동희이하경, 이하진



인기상은 류연서, 류연우가 부른 〈피리 배우기〉, 최우수상은 황옥경 작곡의 〈흥겨운 탈놀이 한판〉, 대상은 김여진 작곡의 〈거문고〉가 수상하였다.[1]

2. 27. 2014년 창작국악동요제

2014년 8월 29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한석준 아나운서와 국악인 송소희가 진행을 맡았다.[1] 방송은 9월 9일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KBS 1TV를 통해 방영되었다.[1]

2014년 창작국악동요제 참가곡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달빛 가야금정수은신은상이정면유정민
2줄타기박주만박주만김만석정소윤
3상모야 돌아라전구슬전구슬김만석곳고리 중창단
4판소리 한마당 벌려보자류정식류정식김만석류연우
5꼬마장군 삼총사홍재근홍재근원영석홍지희
6향발춤조연경조연경원영석참 춤소리 어린이 국악단
7손끝 열매김재한김재한강상구황민서
8촘생이의 기도황금녀오남훈이정면꿈이 크는 아이들
9통일 지우개한경아유경수이정면김세훈
10나는야 껌딱지유영미이기경강상구태랑 초등 중창단
11둥이 둥이 꼬마둥이정수은배인숙강상구허선혜
12세종대왕의 마음정수은박선영원영석하늘소리 중창단



대회 결과, 조연경 작곡의 '향발춤'이 대상을 수상하였다.[1]

2. 28. 2015년 창작국악동요제

2015년 8월 28일 오후 5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9월 29일 오후 3시 45분부터 5시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다. 진행은 한상헌, 이슬기, 남상일이 맡았다.[1]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꼬르륵 냠냠 쿨쿨이은정이은정이동훈시연이와 준희
2아침연기김종영이재성윤보영계성 샛별 중창단
3바람이 깜짝윤석구정보형심영섭둘둘 친구
4자장노래최유란정혜은서지원정희지
5쇠똥구리야이옥자황옥진박한규이서연, 장유나
6밤 한 톨이 어디에서 왔을까?류정식류정식윤근영남부꾸러기
7제비꽃이준관조희순정다정뜰에봄
8요콩내콩오남훈오남훈이정면꿈이 크는 아이들
9항아리황옥진성찬경송정남지빈
10개미친구들장은미장은미김만석소리어울림 중창단
11밤밤 밤부리김영기진성호유태환촐람생이들의 숨비소리
12콩베개조혜진조혜진원영석하늘소리 중창단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1]


  • 우수상: 요콩 내콩 (작곡: 오남훈), 콩베개 (작곡: 조혜진)
  • 최우수상: 항아리 (작곡: 성찬경)
  • 대상: 꼬르륵 냠냠 쿨쿨 (작곡: 이은정)

2. 29. 2016년 창작국악동요제

2016년 8월 25일 오후 5시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녹화가 진행되었으며, KBS 1TV를 통해 9월 14일 오후 1시 20분부터 2시 40분까지 방송되었다. 조항리, 유지원, 유태평양이 진행을 맡았다.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밥도둑한초롱윤학준손다혜또래 친구들
2속담사전정수은임수연유민희태양의 아이들
3나만 좋아해정수은정성우김백찬강린하
4사이좋은 우리 형제김선미박수연유민희원지한, 이유신
5이빠지는 날고수진고수진박한규김찬하, 임수현
6내 동생 걸음마조경찬조경찬선중규귀염둥이 중창단
7할머니 무릎베개김민철김민철박한규김도은, 성아림
8밥타령한은선손정아유민희꿈이 크는 아이들
9까만 집 하얀 집김재한김재한김백찬홍승효, 홍지효
10요술부채한은선최유경박한규샛별중창단
11메주가 주렁 주렁한은선류정식손다혜이서연, 최유은
12매미의 꿈정수은배인숙선중규소리어울림중창단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우수상: 매미의 꿈 (작곡: 배인숙), 밥도둑 (작곡: 윤학준)
  • 최우수상: 사이좋은 우리 형제 (작곡: 박수연)
  • 대상: 메주가 주렁 주렁 (작곡: 류정식)

참조

[1] 서적 국악동요 작곡을 위한 노랫말 모음집 1987-04
[2] 간행물 국악동요발표회 및 학술발표회 1987-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