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평화지원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평화지원단은 특수전사령부 예하 1,000명 규모로 운영되며,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 유지 활동 임무 수행을 위해 1개월 이내 파병이 가능하도록 즉응 태세를 유지한다. 예비지정부대와 별도지정부대로 나뉘어 육해공군에서 병력을 지원받아 파병 임무를 수행하며, 파병부대원 및 지휘관은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 후 선발된다. 국제평화지원단은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리며, 흑룡, 구상나무, 기러기, 개나리를 부대 상징으로 한다. 과거 동티모르, 이라크, 아이티, 아프가니스탄, 필리핀 등지에 파병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군특수전사령부 - 제707특수임무단
    제707특수임무단은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대테러 특수임무 부대로, 1981년 창설되어 대테러 및 인질 구출, 유사시 비밀 작전 수행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백호'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육군특수전사령부 - 특수전학교
    특수전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 부대 요원 양성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1951년 특수전교육단으로 창설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특수작전최종공격통제관(SOTAC) 과정 등을 운영하고 50여 만 명의 특수요원을 양성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단 - 제1경비단
    대한민국 대통령과 청와대 및 주변 지역 경호를 주요 임무로 하는 육군 부대인 제1경비단은 5.16 군사 정변 당시 친위대를 모태로 1996년 창설되었으며, 용산 집무실 이전 후 중요성이 감소, 병력이 축소되어 현재 본부와 제30경비대대("청룡"), 제33경비대대("백호")로 구성되어 장비들을 운용한다.
  • 대한민국 육군의 단 - 제707특수임무단
    제707특수임무단은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대테러 특수임무 부대로, 1981년 창설되어 대테러 및 인질 구출, 유사시 비밀 작전 수행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백호'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인천 계양구 소재의 관공서 - 인천광역시계양도서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인천광역시계양도서관은 2004년 3월에 문을 연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공공 도서관으로, 여러 자료실, 열람실, 강당과 함께 자료 대출 및 반납, 주말 무료 영화 상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인천 계양구 소재의 관공서 - 인천계양우체국
    인천계양우체국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서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1949년 부평우체국으로 개국하여 199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계양구와 부평구 일대의 우체국 및 우편취급국을 관할하며 우편, 물류, 금융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영업과, 우편물류과, 지원과, 경영지도실로 조직되어 있다.
국제평화지원단
기본 정보
이름국제평화지원단
원어이름國際平和支援團
로마자 표기Gukje Pyeonghwa Jiwondan
영어 이름International Peace Supporting Standby Force
국제평화지원단 휘장
휘장
활동 기간2010년 7월 10일 ~ 현재
병과특전사
역할해외파견 지역 평화유지활동 및 파견 장병 교육
규모
명령 체계육군특수전사령부
본부인천광역시 계양구
별명온누리부대
군가국제평화지원단가
전신제5공수특전여단
지휘관대령 김대성 (육사 49기)

2. 편성

국제평화지원단은 특전사 예하 1,000명 규모로 운영되며, 파병 임무 부여 시 1개월 이내 파병이 가능하도록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갖춘다.[1]

2. 1. 예비 및 별도 지정 부대

특전사 예하 2개 여단에 각 1개 대대씩과 해병대 1개 대대, 총 1,000명 규모로 운영되는 예비지정부대는 파병부대와 임무를 교대하거나 추가 파병이 필요할 때 투입된다. 기능별 파병 소요에 대비하기 위해 육군, 해군, 공군에서 1,000명 규모로 별도지정부대도 운영한다. 육군공병대대, 특공대대, 항공중대, 기계화보병중대, 군사경찰소대, 폭발물처리반을 운영한다. 해군은 해상수송부대, 해난구조반, 탐색 구조대를 운영하고, 해병대는 UAV소대를 운영한다. 공군은 항공수송부대를 운영한다.

3. 임무

국제평화지원단은 국제 평화 유지 활동 참여 임무가 부여되면 1~2개월 안에 파병될 수 있도록 즉응 태세를 유지한다. 해외에 파견되어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 유지 활동 임무를 수행한다.[1] 전시 또는 국가 위기 시에는 작전계획에 명시된 임무를 수행한다.[2]

훈련중인 국제평화지원단 장병들

4. 파병 부대 및 지휘관 선발

국제평화지원단의 파병 부대 및 지휘관은 국방부합참의 지침에 따라 선발된다. 파병 부대원은 파병 전담 부대 및 별도 지정 부대 편성 인원을 중심으로 선발하며, 자체 충원이 어려울 경우 각 군에서 중앙 선발한다. 파병부대 지휘관은 해당 병과 장교를 선발하며, 전투 근무지원부대의 경우 전투병과 장교도 선발 가능하다.[1]

4. 1. 파병 부대원 선발

파병 부대원은 파병 전담 부대 및 별도 지정 부대 편성 인원을 중심으로 선발하며, 자체 충원이 곤란한 인원은 각 군에서 중앙 선발한다. 각 군 참모총장국방부합참의 편성 지침을 근거로 파병 부대원을 선발하여 그 결과를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한다.[1] 각 군 참모총장 및 합참의장은 선발 결과를 파병 1개월 전까지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해야 한다.[1]

4. 2. 파병 부대 지휘관 선발

파병부대 지휘관은 파병부대 임무를 고려하여 해당 병과 장교를 선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전투 근무지원부대의 경우 전투병과 장교를 선발할 수 있다. 부대 지휘관은 가급적 파병 전담부대 및 별도지정부대에서 선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해당 부대에 가용자원이 없을 경우 각 군의 추천을 받아 합참의장이 선발하여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한다. 전투병과 장교를 전투근무지원부대 지휘관으로 선발하는 경우 부지휘관 또는 선임장교는 전투근무지원병과 장교로 보직하고, 전투근무지원병과 장교를 전투근무지원부대 지휘관으로 선발하는 경우 부지휘관 또는 선임장교는 전투병과 장교로 보직하여야 한다.[1]

5. 복장 규정

파병 요원은 각 군 고유 복장을 착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 파병 근무 기장

국방부 장관은 파병 근무 기장령을 제정하여 파병 요원에게 파병 근무 기장을 수여할 수 있다. 파병 근무 기장은 현지에서 정상적으로 임무를 마치고 복귀한 요원에게 수여된다. 각 군 참모총장은 매년 말일을 기준으로 파병 근무 기장 소요를 판단하여 다음 연도 예산에 반영한다.

7. 역대 주요 파병

국제연합 평화유지군(PKF)의 일원으로 동티모르에 파병된 상록수 부대 (1999년~2003년)는 대한민국 국군 역사상 최초의 국제 평화 유지 활동 파병 사례이다.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을 결정한 동티모르에서 혼란이 발생하자, 대한민국은 특전사 대대와 지원 병력으로 구성된 상록수부대를 파견했다.[14]

미영 연합군의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자이툰부대 (2004년~2008년)가 파병되었다.[13] 자이툰부대는 인도적 지원 활동과 더불어 치안 유지, 정보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이라크 재건에 기여했다. 자이툰부대와 함께 쿠웨이트에 주둔한 다이만부대 (2004년~2008년)는 군수 보급 및 병력 공수 임무를 수행하며 무사고 비행 기록을 세웠다.[13]

2010년 아이티 지진 이후, UN 안보리 결의에 따라 단비부대 (2010년~2012년)가 아이티에 파병되어 복구 및 재건 활동을 펼쳤다.[12]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오쉬노부대 (2010년~2014년)가 내전 및 테러로 악화된 치안 안정과 재건 지원을 위해 활동했다.[11] 경호, 항공 지원, 대사관 경계, 작전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 오쉬노부대는 우리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1]

필리핀에 파견된 아라우 부대 (2013년~2014년)는 태풍 하이옌으로 큰 피해를 입은 타클로반 지역 재건을 위해 파견되었다.[11] 아라우부대는 대규모 인원과 장비를 동원하여 도로 및 건물 복구, 잔해 제거, 기술 학교 운영, 의료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7. 1. 동티모르 상록수부대 (1999년 ~ 2003년)

동티모르는 1999년 8월 주민투표를 통해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을 결정했다. 그러나 독립에 반대하는 친 인도네시아계 민병대가 주민들을 학살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자, 국제연합은 다국적군 파견을 결정했다.[14]

이에 대한민국 국회도 1999년 9월 '국군부대의 동티모르 다국적군 파병동의안'을 통과시켰다. 특전사 1개 대대와 의료 및 공병 요원 등 419명으로 구성된 상록수부대가 파병되었다. 상록수부대는 2000년 2월부터 유엔 평화유지군(PKF)으로 지위가 변경되어 활동했다.[14]

상록수부대는 대한민국 국군 역사상 최초로 국제 평화 유지 활동을 위해 파병된 보병 부대로, 2003년 10월까지 임무를 수행하고 철수했다.[14]

상록수부대 군의관이 의료 혜택이 절대 부족한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 상태를 살펴보고 있다.

7. 2. 이라크 자이툰부대 (2004년 ~ 2008년)

미영 연합군의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서희·제마부대를 파병하였다. 그러나 이라크 치안 부재 등으로 전후 처리에 어려움을 겪던 미국이 전투병 파병을 요청함에 따라, 2004년 4월 3천여 명 규모의 자이툰부대가 파병됐다.[13] 자이툰부대는 도시·농촌 재건사업 지원, 치안 유지, 정보 인프라 구축 활동 등 70여 개의 프로젝트를 통해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했다. 또한, 치안 담당 이라크 경찰의 교육 훈련, 순찰차 등 치안 장비 지원, 치안 시설 복구 및 지뢰 제거, 공공시설 복구, 도로 건설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쳤다. 2008년 철수할 때까지 4년 8개월 동안 연인원 17,700여 명의 병력으로 이라크 평화 재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동맹군들 사이에 ‘민사 작전의 롤 모델’로 평가받았다.[13]

이라크 아르빌에서 평화·재건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자이툰부대 장병들이 지뢰 탐지를 하고 있다.

7. 3. 이라크 다이만부대 (2004년 ~ 2008년)

다이만부대는 쿠웨이트에 주둔하면서 자이툰부대와 다국적군에 대한 군수 보급 및 병력 공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부대는 이라크 출입항 시 항공기의 안전을 위해 고도로 숙련된 전술 비행 능력을 발휘했다.[13] 4년 3개월의 임무 수행 기간 동안 무사고 비행 기록을 세웠으며, 4만 4천여 명의 병력과 4천 6백여 톤의 군수 물자를 수송하였다. 또한 지구 86바퀴에 해당하는 3400000km를 비행하는 기록을 달성했다.[13]

경례를 하고 있는 이라크 다이만 부대 장병들의 사진이다.

7. 4. 아이티 단비부대 (2010년 ~ 2012년)

2010년 아이티 대지진 이후 UN 안보리 결의안 제1908호에 따라 아이티의 복구, 재건 및 안정화를 위해 파병되었다.[12]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국가로서 역할을 다하고 아이티가 꿈과 희망을 되찾을 수 있도록, 2010년 2월 27일 공병부대를 주축으로 한 단비부대를 신속히 파병하였다.[12] 단비부대는 UN 내에서 최고 파병 부대로 성공적인 임무를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12] 대한민국 국군이 UN과 함께한 20년의 세월 속에서 가장 찬란하게 빛나는 역사이고,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UN 198개 회원국의 자랑이자 개발도상국들의 롤 모델로 꼽힌다.[12] 지난 60여 년간 경험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를 전수해 주는 단비부대의 활약은 UN의 19개 파병국 중 그 어떤 활동보다 의미 있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12]

단비부대 장병들이 레오간시 희망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이티 아이들에게 티셔츠를 나눠주고 있다.



7. 5. 아프가니스탄 오쉬노부대 (2010년 ~ 2014년)

오쉬노부대는 내전 및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무장 세력의 테러로 악화된 치안을 안정시키고 재건 지원을 위해 2010년 7월 1일부터 2014년 6월 26일까지 파병되었다.[11] 경호경비대(지상 호송, 경호 작전, 기지 방호 및 경계 작전 담당), 항공지원대(공중 호송 및 정찰 임무), 경비 중대(아프가니스탄 주재 한국 대사관 경계 임무), 작전지원대(오쉬노부대 전투 임무 지원)의 4개 부대로 구성되어 임무를 수행하였다.[11] 오쉬노부대는 적대 세력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상황별 반복 훈련과 최첨단 장비 운용 및 작전 경험을 통해 우리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1]

아프가니스탄 오쉬노 부대원의 사진

7. 6. 필리핀 아라우부대 (2013년 ~ 2014년)

필리핀에 파견된 아라우 부대는 2013년 12월 21일부터 2014년 12월 22일까지 활동했다.[11] 아라우는 필리핀 현지어로 '태양, 희망, 날'을 뜻하며, '어둠 뒤에 태양이 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13년 11월 태풍 하이옌으로 큰 피해를 입은 필리핀 타클로반 지역의 재건을 돕기 위해 파견되었다.

아라우부대는 520여 명의 대규모 인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해군 상륙함 2대, 중형굴삭기 등 재해 복구 장비 19종 30대, 물자 12종 35톤을 동원했다. 이는 이라크에 파견되었던 자이툰부대 다음으로 큰 규모였다. 아라우부대는 주요 도로 및 건물 복구, 잔해 제거, 기술 학교 운영, 의료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 태풍 피해 복구에 크게 기여했다.[11]

8. 부대 소개

국제평화지원단가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대한의 빛나는 용사들

세계의 평화 위해 여기 모였다

조국의 명예와 세계의 평화 위해

대한의 정예부대 그 위상 높이자

세계평화유지 위해 하나된 우리

그 이름 명예롭다 국제평화지원단

우리는 세계의 용맹한 전우들

평화수호 위해 여기 뭉쳤다

해맑은 웃음과 세계 미래 위해

보람찬 최고 부대 그 전설 만들자

세계평화유지 위해 하나된 우리

그 이름 명예롭다 국제평화지원단



부대 명칭, 부대 마크, 부대 상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8. 1. 부대 명칭

국제평화지원단의 별칭은 '온누리 부대'이다. '온누리'는 '모든 것'을 뜻하는 '온'과 '지구촌'을 뜻하는 '누리'를 합친 말로, 평화와 희망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다.[1]

8. 2. 부대 마크

과거 제5공수특전여단 시절 마크


지구본은 부대가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태극 무늬는 세계로 향하는 대한민국을 상징한다. 월계수는 영광, 승리, 평화 유지를 뜻하며, 청색은 평화, 희망, 무한한 역량을 의미한다.

8. 3. 부대 상징



지구본은 부대가 활동하는 전 세계를, 태극무늬는 세계로 뻗어 나가는 '대한민국'을 상징하며, 월계수는 영광, 승리, 평화 유지를 뜻한다. 청색은 평화와 희망, 무한한 역량을 의미한다.

참조

[1] 뉴스 파병전담부대 '온누리 부대' 창설 https://web.archive.[...] 코나스넷 2010-07-01
[2] 뉴스 육군, 파병전담 '온누리부대'(국제평화지원단) 창설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0-07-01
[3] 간행물 대한민국 국방부 국군의 해외파병업무 훈령 전문 대한민국 국방부 2018-01-24
[4] 웹사이트 합동참모본부 해외파병 현황 https://web.archive.[...] 2021-12-11
[5] 논문 대한민국 국가대표 동명부대! 소통, 성장 그리고 도약 2018
[6] 웹사이트 합동참모본부 해외파병 현황 https://web.archive.[...] 2021-12-11
[7] 논문 UN 및 국내 PKO 동정 : UAE 아크부대 파병의 의미와 전략적 발전방안 2015
[8] 웹사이트 합동참모본부 해외파병 현황 https://web.archive.[...] 2021-12-11
[9] 논문 한빛부대 파병의 성과확대 및 향후 발전방안 2019
[10] 웹사이트 합동참모본부 해외파병 현황 https://web.archive.[...] 2021-12-11
[11] 논문 “상처 입은 필리핀에 꿈과 희망을!” -아라우 부대- 2014
[12] 논문 PKO 저널 : UN도 감탄한 아이티 최고 파병부대, 단비부대 2012
[13] 웹사이트 용감한 자이툰부대 뒤 '든든한 다이만부대' https://www.joongang[...]
[14] 간행물 동티모르 상록수부대의 파병활동 성과와 파병부대의 활동방향 2006
[15] 서적 국군의 해외파병업무 훈령 전문 대한민국 국방부 2018-01-24
[16] 서적 국군의 해외파병업무 훈령 전문 대한민국 국방부 2018-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