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쉬노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쉬노 부대는 2010년 7월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대한민국 국군 부대이다. 아프가니스탄 내전과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치안 악화로 국제안보지원군(ISAF)이 창설되자, 대한민국은 유엔 결의안에 따라 오쉬노 부대를 파병했다. 오쉬노 부대는 4년간 활동하며 한국 지역재건팀(PRT)을 지원하고, 주둔지 방어, 호송, 경호,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2014년 6월 해단식을 갖고 철수했다. 부대는 경호경비대, 항공지원대, 작전지원대, 본부근무대로 구성되었으며, 특전사, 해병대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아프가니스탄 관계 - 미라클 작전
미라클 작전은 2021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로부터 현지 협력자들과 그 가족 390명을 KC-330 시그너스 수송기로 대피시킨 작전으로, 카불 국제공항의 혼란, 아프간 정부 기능 마비 등의 어려움 속에서 진행되었다. - 대한민국-아프가니스탄 관계 - 동의부대
동의부대는 대한민국 국군의 의료지원 부대로, 1970년 8월 창설되어 베트남에 파병되었고 1973년 3월 철수하였으며, 고현석, 안종설, 김상태 등 여러 지휘관을 거쳤다. - 대한민국의 평화 유지군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은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유지활동 임무를 수행하며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과거 다양한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 평화 유지에 기여해왔으며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린다. - 대한민국의 평화 유지군 - 대한민국 아이티 재건지원단
대한민국 아이티 재건지원단은 2010년 아이티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파견되어 도로 및 교량 복구, 학교 및 병원 건설, 의료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2012년 철수한 대한민국 군 부대이다. - 2014년 폐지 - 청원군
청원군은 충청북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토였고, 2014년 청주시에 통합되기 전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문의문화재단지, 대청댐 등의 주요 시설이 있었다. - 2014년 폐지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은 해양 안전과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수산부 소속 외청으로, 해상 경비, 해난 구조, 해상 범죄 수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해양 주권 수호와 국민의 생명 및 재산 보호에 힘쓰고 있다.
오쉬노부대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한민국 아프가니스탄 재건지원단 |
원어 이름 | RoK Joint Support Group for the Afghanistan |
활동 기간 | 2010년 7월 ~ 2014년 6월 23일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종류 | 다목적 전투부대 |
역할 | 아프가니스탄의 안정화와 지역 재건 지원 |
규모 | 232명 |
본부 | 아프가니스탄 파르완 주 차리카 시 |
별명 | 오쉬노부대 (Oshino 部隊, Oshino Division) |
표어 | 친구, 동료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
참전 | |
참전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2. 역사
대한민국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의 안정화와 재건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요청에 부응하여 2010년 7월 오쉬노부대를 파병했다. 오쉬노부대는 약 4년간 현지에서 지역재건팀(PRT) 보호 및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2014년 6월 임무를 완료하고 철수했다.
2. 1. 파병 배경
1989년 소련군이 철수한 후,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내전이 발생했다. 2001년 탈레반 정권이 붕괴된 이후에는 탈레반 무장세력의 테러 활동으로 인해 수많은 사회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고, 수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는 등 아프가니스탄의 치안 상황은 극도로 악화되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UN은 2001년 안보리 결의안 제1383호를 통해 국제안보지원군(ISAF)을 창설하여 아프가니스탄의 안정화와 재건지원 활동을 추진했다. 이어 2009년 10월 8일에는 안보리 결의안 제1890호를 채택하여 유엔 회원국들에게 아프가니스탄의 안정과 재건을 위한 파병을 공식적으로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국제사회의 요청에 부응하여 파병을 결정하였고, 2010년 2월 25일 국회 본회의에서 파병 동의안이 통과되었다. 이를 근거로 같은 해 7월, 오쉬노부대가 창설되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었다.
2. 2. 부대 해체
오쉬노부대는 2010년 7월 파병 이후 약 4년간 아프가니스탄에서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였다. 임무를 마치고 2014년 6월 23일 현지에서 해단식을 가졌으며, 이후 부대원들은 대한민국으로 복귀하였다.3. 임무
오쉬노부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한국 지역재건팀(PRT)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PRT는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보건, 의료, 교육, 농촌 개발 등 아프가니스탄 재건 사업을 진행했으며, 오쉬노부대는 이들의 안전한 활동을 보장하고 관련 시설을 방호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3. 1. 주요 임무
오쉬노부대의 핵심 임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한국 지역재건팀(PRT)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것이었다. PRT는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보건, 의료, 교육, 농촌 개발 등 재건 사업을 수행했으며, 오쉬노부대는 이들의 안전한 활동을 보장하는 역할을 맡았다. 구체적인 임무는 다음과 같다.- 지역재건팀(PRT) 지원 및 보호: PRT 요원들이 안전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상 및 공중 호송, 근접 경호 등을 제공했다.
- 주둔지 및 시설 방호: PRT가 활동하는 주둔지와 오쉬노부대 자체 시설에 대한 방호 및 경계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카불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사관의 방호 및 경계도 담당했다.
- 정찰 활동: 아프가니스탄 현지 상황을 파악하고 잠재적 위협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지상 및 항공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3. 2. 부대 구성
오쉬노부대는 다음 4개 부대로 이루어져 있다.- 경호경비대: 지상 호송, 경호, 기지 방호 및 경계, 카불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방호 및 경계 임무를 수행한다.
- 항공지원대: 공중 호송 및 항공 정찰 임무를 수행한다.
- 작전지원대: 전투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 본부근무대
부대원들은 대부분 특전사, 해병대 출신이거나 항공, 통신, 정비, 보급, 의무 등의 주특기를 가진 병, 부사관, 장교들로 구성되어 있다.
오쉬노부대는 민간 전문가 주도로 보건, 의료, 교육, 농촌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건 사업을 추진하는 한국 지역재건팀(PRT)을 지원하며, 주둔지 방어, PRT 요원의 활동 시 호송, 경호, 정찰 임무 등을 수행한다.
3. 3. 부대원 구성
오쉬노부대의 부대원들은 대부분 특전사와 해병대 출신 장병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 외에도 항공, 통신, 정비, 보급, 의무 등 다양한 주특기를 가진 병, 부사관, 장교들이 포함되어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부대의 다양한 임무 수행에 기여했다.4. 장비
(내용 없음)
4. 1. 무인 항공기(UAV)
오쉬노 부대는 리모아이-006 무인 항공기를 활용하여 정찰 및 정보 수집 임무를 수행했다.5. 의의 및 평가
(내용 없음)
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