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역응급의료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역응급의료센터는 권역 내 중증 외상 환자의 응급 의료를 담당하기 위해 지정되는 의료기관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중앙응급의료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 등에서 지정하며, 시도별로 1개소 지정을 원칙으로 한다. 권역외상센터는 365일 24시간 중증외상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고, 외상 전문 인력 양성, 연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역 응급의료기관과의 협력 등을 수행한다. 세계 최초의 외상 센터는 1941년 영국 버밍엄에 개원한 버밍엄 사고 병원이며, 미국은 레벨 I부터 V까지의 외상 센터 등급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권역응급의료센터 - 동아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은 1990년 개원하여 교육, 연구, 진료를 통해 지역사회와 국가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동아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다양한 전문 센터와 최첨단 의료 장비를 갖추고 의료 공공성 강화와 의료 발전에 힘쓰고 있다.
  • 권역응급의료센터 - 원광대학교병원
    원광대학교병원은 1980년 개원하여 간 이식 수술 성공, 치매 치료제 연구 개발 등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전북익산응급의료센터로서 헬기 운용 및 건강 증진 프로그램,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1987년 국민연금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국민의 노후, 사망, 장애에 대비한 연금 지급과 복지 사업을 통해 국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며,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하여 기금 운용, 노후 설계 서비스 제공, 장애 심사 등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대한노인회
    대한노인회는 노인 권익 보호와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단체로, 1969년 설립 이후 여러 회장을 거쳐 현재까지 활동하며, 관련 법률에 의해 지원받는다.
  • 대한민국의 병원에 관한 - 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은 아산사회복지재단이 1989년 서울 송파구에 설립한 대규모 종합병원으로, 암, 심장, 어린이 병원 등 전문 센터를 운영하며 의료 연구 지원과 사회 공헌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병원에 관한 - 부산보훈병원
    부산보훈병원은 국가보훈부 산하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 운영하는 국립 병원으로,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 지역 주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권역응급의료센터
개요
외상센터
유형병원
전문 분야외상 치료
상세 정보
목표중증 외상 환자의 사망률 감소
주요 기능신속한 진단 및 치료
응급 수술
중환자 관리
재활 치료
시설 기준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영상의학실
진단검사실
인력 기준외상외과 전문의
신경외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흉부외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응급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급 (미국)
1등급 외상센터모든 유형의 외상을 치료할 수 있는 포괄적인 시설을 갖추고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2등급 외상센터대부분의 외상을 치료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1등급 센터만큼의 자원은 없을 수 있음
3등급 외상센터일부 외상을 치료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더 심각한 외상 환자는 상위 등급 센터로 이송
4등급 외상센터외상 환자를 초기 평가 및 안정화하고, 상위 등급 센터로 이송
5등급 외상센터외상 환자를 초기 평가 및 안정화하고, 필요한 경우 상위 등급 센터로 이송
법적 근거 (대한민국)
관련 법률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6조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지정)
기타
관련 용어골든 아워

2. 역사

세계 최초의 외상 센터는 1941년 영국 버밍엄에 설립된 버밍엄 사고 병원이다. 이 병원은 외상 환자 치료가 불충분하다는 조사 결과에 따라 만들어졌다.[5] 1947년, 화상 담당 팀을 포함한 3개의 외상 치료 팀을 운영했다. 1948년 7월, 국민 보건 서비스에 편입되었지만, 1993년에 문을 닫았다.[5]

1950년대 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에서 쇼크 외상 센터 개념을 고안했다. 1960년대 흉부외과 의사이자 쇼크 연구자인 R. 아담스 카울리는 1960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쇼크 외상 센터를 설립했다. 이곳은 세계 최초이자 가장 오래된 쇼크 외상 센터이다. 1966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쿡 카운티 병원이 미국에서 두 번째 외상 센터로 여겨진다. 데이비드 R. 보이드 의사는 미국 육군 징집 전인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쿡 카운티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했고, 제대 후 1967년부터 1968년까지 쇼크 외상 센터에서 최초의 쇼크 외상 펠로우로 일했다. 이후 쿡 카운티 병원으로 돌아와 쿡 카운티 외상 치료 유닛의 레지던트 디렉터를 맡았다.[7]

2. 1. 대한민국

2012년, 대한민국 정부는 권역외상센터 설치 및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전국 주요 병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시작했다.[39] 2014년, 첫 권역외상센터들이 공식 지정되어 운영을 시작했다.[40] 2017년, 북한 귀순 병사 총격 사건 당시 권역외상센터의 역할이 주목받으며, 중증외상 시스템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권역외상센터 지원 강화를 주요 보건의료 정책으로 추진하며, 인력 확충 및 처우 개선, 시설 및 장비 보강 등에 힘썼다. 그러나 여전히 의료 인력 부족, 과도한 업무 부담, 낮은 수가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정된 권역외상센터는 다음과 같다.[41]

권역명관할구역지정병원비고
서울서울특별시국립중앙의료원중앙응급의료센터
경기북부경기북부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42]경기동북권역응급의료센터
경기남부경기남부아주대학교병원경기서남권역응급의료센터
인천인천광역시가천대학교 길병원인천권역응급의료센터
충남충청남도단국대학교병원충남천안권역응급의료센터
충북충청북도충북대학교병원충북청주권역응급의료센터
대전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대전을지대학교병원대전지역응급의료센터
전북전북특별자치도원광대학교병원전북익산권역응급의료센터
전남전라남도목포한국병원전남목포권역응급의료센터
광주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병원광주권역응급의료센터
강원강원특별자치도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원주충주권역응급의료센터
경북경상북도안동병원경북안동권역응급의료센터
경남경상남도경상국립대학교병원경남진주권역응급의료센터
대구대구광역시경북대학교병원대구권역응급의료센터
울산울산광역시울산대학교병원울산권역응급의료센터
부산부산광역시부산대학교병원부산권역응급의료센터
제주제주특별자치도제주한라병원제주권역응급의료센터


2. 2. 세계

세계 최초의 외상 센터는 1941년 영국 버밍엄에서 개원한 버밍엄 사고 병원이다.[5] 이 병원은 1948년 국민보건서비스에 편입되었으나 1993년에 폐쇄되었다.[5] 미국에서는 1966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쿡 카운티 병원에 최초의 민간 쇼크 외상 부서가 설립되었다.[7] 이후 R. 아담스 카울리가 메릴랜드 대학교에 쇼크 외상 센터를 설립하며 외상 센터의 개념이 발전했다.[8]

3. 대한민국의 권역외상센터

권역외상센터는 권역 내에서 발생하는 외상환자의 응급의료를 담당하기 위하여 지정된다.[39] 시도별로 1개소를 지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추가로 지정할 수 있다.[40]

권역명관할구역지정병원비고
서울서울특별시국립중앙의료원중앙응급의료센터
경기북부경기 북부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42]경기동북권역응급의료센터
경기남부경기 남부아주대학교병원경기서남권역응급의료센터
인천인천광역시가천대학교 길병원인천권역응급의료센터
충남충청남도단국대학교병원충남천안권역응급의료센터
충북충청북도충북대학교병원충북청주권역응급의료센터
대전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대전을지대학교병원대전지역응급의료센터
전북전북특별자치도원광대학교병원전북익산권역응급의료센터
전남전라남도목포한국병원전남목포권역응급의료센터
광주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병원광주권역응급의료센터
강원강원특별자치도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원주충주권역응급의료센터
경북경상북도안동병원경북안동권역응급의료센터
경남경상남도경상국립대학교병원경남진주권역응급의료센터
대구대구광역시경북대학교병원대구권역응급의료센터
울산울산광역시울산대학교병원울산권역응급의료센터
부산부산광역시부산대학교병원부산권역응급의료센터
제주제주특별자치도제주한라병원제주권역응급의료센터


3. 1. 지정 현황

대한민국은 전국을 29개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지정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총 39개소가 운영 중이다.[38] 닥터헬기가 배치된 병원은 '''진한 글씨'''로 강조되어 있다.

권역명관할권역지정병원
중앙대한민국 전역국립중앙의료원
서울서북서울특별시 종로구, 중구, 용산구, 은평구, 마포구, 서대문구서울대학교병원
서울동북서울특별시 노원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경기도 남양주시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서울서남서울특별시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경기도 광명시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서울동남서울특별시 송파구, 성동구, 광진구, 서초구, 강남구, 강동구, 경기도 구리시, 하남시, 양평군한양대학교의료원강동경희대학교 병원
인천인천광역시 중구, 동구, 남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옹진군, 경기도 부천시, 시흥시가천대학교 길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인하대학교병원
경기서북경기도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인천광역시 강화군명지병원
경기동북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양주시, 포천시, 연천군, 강원도 철원군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경기서남경기도 수원시, 안산시, 오산시, 화성시, 안양시,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아주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경기동남경기도 성남시, 광주시, 용인시, 이천시분당서울대학교병원, 분당차병원
강원영동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고성군,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양양군,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강릉아산병원
강원춘천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양구군, 인제군, 홍천군, 화천군, 경기도 가평군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원주충주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영월군, 횡성군, 경기도 여주시, 충청북도 충주시, 단양군, 제천시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대전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계룡시,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부여군, 청양군,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충남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
충북청주충청북도 청주시, 괴산시, 보은군, 음성군, 증평군, 진천군충북대학교병원
충남천안충청남도 천안시, 당진시, 서산시, 아산시, 예산군, 태안군, 홍성군, 경기도 평택시, 안성시단국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광주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강진군, 곡성군, 나주시, 담양군, 보성군, 영광군, 장성군, 장흥군, 함평군, 화순군, 전라북도 고창군, 순창군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전북익산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군산시, 충청남도 서천군, 보령시원광대학교병원
전북전주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김제시, 남원시, 부안군, 완주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전북대학교병원(조건부)
전남목포전라남도 목포시, 무안군, 신안군, 영암군, 완도군, 진도군, 해남군목포한국병원
전남순천전라남도 순천시, 고흥군, 광양시, 구례군, 여수시순천성가롤로병원
제주제주특별자치도제주한라병원
부산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김해시, 양산시, 밀양시, 거제시동아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대구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산시, 고령군, 성주군, 영천시, 청도군,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 의료원
울산울산광역시울산대학교병원
경북안동경상북도 안동시, 문경시, 봉화군, 영양군, 영주시, 예천군, 의성군, 청송군안동병원
경북구미경상북도 구미시, 김천시, 칠곡군, 상주시구미차병원
경북포항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 울릉군포항성모병원
경남창원경상남도 창원시, 의령군, 창녕군, 함안군삼성창원병원
경남진주경상남도 진주시, 고성군, 남해군, 사천시, 산청군, 통영시, 하동군, 함양군경상국립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중증외상센터)는 권역 내 외상환자 응급의료를 담당하며, 시도별 1개소 지정이 원칙이나 추가 지정이 가능하다.[39][40]

권역명관할구역지정병원비고
서울서울특별시국립중앙의료원중앙응급의료센터
경기북부경기북부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42]경기동북권역응급의료센터
경기남부경기남부아주대학교병원경기서남권역응급의료센터
인천인천광역시가천대학교 길병원인천권역응급의료센터
충남충청남도단국대학교병원충남천안권역응급의료센터
충북충청북도충북대학교병원충북청주권역응급의료센터
대전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대전을지대학교병원대전지역응급의료센터
전북전북특별자치도원광대학교병원전북익산권역응급의료센터
전남전라남도목포한국병원전남목포권역응급의료센터
광주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병원광주권역응급의료센터
강원강원특별자치도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원주충주권역응급의료센터
경북경상북도안동병원경북안동권역응급의료센터
경남경상남도경상국립대학교병원경남진주권역응급의료센터
대구대구광역시경북대학교병원대구권역응급의료센터
울산울산광역시울산대학교병원울산권역응급의료센터
부산부산광역시부산대학교병원부산권역응급의료센터
제주제주특별자치도제주한라병원제주권역응급의료센터


3. 2. 역할 및 기능

권역응급의료센터는 365일 24시간 중증외상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한다.[39] 외상외과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외상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40] 외상 관련 연구 및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외상 관리 시스템 발전에 기여한다.[41] 또한, 지역 내 응급의료기관, 소방, 경찰 등과 협력하여 중증외상 환자 이송 및 치료 체계를 구축한다.

3. 3. 문제점 및 개선 과제

권역외상센터는 중증외상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지정된 의료기관이지만, 여러 문제점과 개선 과제를 안고 있다.

  • 의료 인력 부족 및 과도한 업무 부담: 특히 외상외과 의사의 부족은 심각한 문제로, 이로 인해 의료진의 번아웃(Burnout)이 발생하고 있다.
  • 낮은 수가 및 재정적 어려움: 중증외상센터 운영에 필요한 충분한 재정 지원이 부족하여 병원의 재정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 외상 환자 진료 외 업무 부담: 외상 환자 진료 외에도 일반 응급 환자 진료, 행정 업무 등으로 인해 의료진의 업무 부담이 과중되고 있다.
  • 중증외상센터 간 연계 및 협력 부족: 중증외상센터 간, 그리고 중증외상센터와 지역 응급의료기관 간의 유기적인 연계 및 협력이 부족하다.

4. 외국의 외상센터

1940년에 설립된 버밍엄 사고 병원(버밍엄)은 세계 최초의 외상 센터였다.


외상 센터는 중증 외상이 전문적이고 경험이 풍부한 다학제적 치료와 전문화된 자원을 필요로 하는 자체적인 질병 과정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생겨났다. 세계 최초의 외상 센터이자, 아픈 환자가 아닌 부상자를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설립된 최초의 병원은 1941년 잉글랜드에서 부상자 치료가 부적절하다는 일련의 연구 결과에 따라 개원한 버밍엄 사고 병원이었다. 1947년까지 이 병원은 각각 2명의 외과 의사와 1명의 마취과 의사로 구성된 3개의 외상 팀과 3명의 외과 의사로 구성된 화상 팀을 갖추었다. 이 병원은 1948년 7월 국민보건서비스가 설립되면서 그 일부가 되었으며 1993년에 폐쇄되었다.[5] 현재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는 잉글랜드에 27개의 중증 외상 센터, 스코틀랜드에 4개, 웨일스에 1개를 두고 있다.

救命救急センター|구명구급센터일본어일본의 응급의료기관으로, 미국과 유사하게 외상 센터를 레벨별로 구분한다.[1] 일본의 응급의료체계는 외상센터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1]

Level V 외상 센터는 초기 평가, 응급 처치, 진단 능력, 그리고 더 높은 수준의 치료 시설로의 이송을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의 외상 치료 서비스 범위에 따라 수술 및 중환자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외상 훈련을 받은 간호사가 즉시 대기하며, 응급실에 환자 도착 시 의사가 진료할 수 있어야 한다. 매일 24시간 운영되지 않는 경우, 시설은 시간 외 외상 대응 프로토콜을 갖춰야 한다.

시설은 성인 외상 센터, 소아 외상 센터 또는 성인 및 소아 외상 센터로 지정될 수 있다. 병원에서 성인 및 소아 환자 모두에게 외상 치료를 제공하는 경우, 각 그룹에 대한 등급 지정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I 성인 외상 센터는 소아 외상 수술이 그 자체로 전문 분야이기 때문에 레벨 II 소아 외상 센터일 수도 있다. 성인 외상 외과 의사는 일반적으로 어린이에게 수술적 외상 치료를 제공하는 데 전문적이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실제 적용에서의 차이는 상당하다. 성인 외상 센터와 달리 소아 외상 센터는 레벨 I 또는 레벨 II의 두 가지 등급만 있다.

4. 1. 미국

미국에서 병원은 미국 외과 학회(ACS)가 정한 특정 기준을 충족하고 인증 심사 위원회(Verification Review Committee)의 시설 심사를 통과하면 외상 센터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25], 공식 지정은 각 주의 법률에 따라 결정된다. 미국의 외상 센터는 레벨 I(레벨 1)부터 레벨 III(레벨 3)까지 등급이 매겨진다(일부 주에서는 레벨 V(레벨 5)까지 등급을 매기기도 한다).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웩스너 의료 센터(Ohio State University Wexner Medical Center), 오하이오 콜럼버스에 위치한 레벨 1 외상 센터


메모리얼 허먼–텍사스 메디컬 센터(Memorial Hermann–Texas Medical Center), 텍사스 휴스턴에 위치한 레벨 1 외상 센터


잭슨 메모리얼 병원(Jackson Memorial Hospital), 플로리다 마이애미에 위치한 레벨 1 외상 센터


최고 레벨의 외상 센터는 신경외과학, 정형외과 등 전문 분야의 훈련을 받은 의사[26], 외상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간호사[27][28]뿐만 아니라, 매우 고성능의 의료 진단 설비를 갖추고 있다. 반면, 낮은 레벨의 외상 센터에서는 초기적인 응급 처치, 높은 레벨의 외상 센터로의 전송 수배만 수행할 수 있다.

외상 센터 운영에는 상당한 예산이 필요하며,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예산 문제로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긴급 서비스 수요 예측이 어렵고, 센터별 환자 수 차이가 크다는 문제도 있다.

원격지 환자의 신속한 이송을 위해 헬리패드를 갖춘 외상 센터가 많다. 헬리콥터는 지상 구급차보다 빠르고,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미국 외과 학회(ACS)는 공식적으로 병원을 외상 센터로 지정하지 않으며, ACS 인증 없이도 외상 센터로 운영되는 병원도 있다. 대부분 주에서는 외상 센터 지정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고 있으며, ACS는 병원의 ACS 표준 준수 여부 확인 및 보고 역할만 수행한다.[30]

미국 외상 학회는 존스 홉킨스 외상 연구 대책 센터와 협력하여 외상 정보 교환 프로그램 (TIEP)[31]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질병 예방 관리 센터가 창설했다. TIEP는 미국 내 외상 센터 목록, 외상 관련 데이터 수집 및 정보 교환을 지원한다.

'''레벨 I''' 외상 센터는 모든 외상에 24시간 대응 가능한 외과 의사 및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33], 중증 환자 연간 최소 환자 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중증 환자 치료 시 생존율을 20~25% 향상시킬 수 있다.[32]

24시간 필수 인력은 다음과 같다.

  • 외과 의사
  • emergency physician|응급의학 전문의영어
  • 마취과 의사
  • 간호사
  • 교육 프로그램
  • 예방 및 아웃리치 프로그램


일반 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성형외과, 마취과, 응급의학과, 방사선과, 내과, 구강악안면외과, 이비인후과, 심폐소생술 등 다양한 전문 분야의 신속한 치료를 24시간 제공해야 한다. 레벨 I 외상 센터는 외상 치료 교육, 장애 예방을 선도하고 지역 사회의 의뢰 자원 역할을 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갖추어야 한다.[34]

'''레벨 IV''' 외상 센터는 레벨 III 외상 센터 자원이 부족한 일부 주에 존재하며, 초기 평가, 안정화, 진단, 상위 레벨 시설로의 이송을 제공한다. 외상 치료 범위에 따라 수술 및 중환자 치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외상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즉시 대기하며, 응급실 환자 도착 시 의사가 대기해야 한다. 상위 레벨 외상 센터와의 전원 협약이 필요하다.

'''레벨 V''' 외상 센터는 초기 평가, 응급 처치, 진단, 상위 레벨 시설로의 이송을 제공한다. 외상 치료 범위에 따라 수술 및 중환자 치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외상 훈련 간호사가 즉시 대기하며, 응급실 환자 도착 시 의사가 진료해야 한다. 24시간 운영되지 않는 경우, 시간 외 외상 대응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4. 2. 영국



외상 센터는 중증 외상이 전문적이고 경험이 풍부한 다학제적 치료와 전문화된 자원을 필요로 하는 자체적인 질병 과정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생겨났다. 세계 최초의 외상 센터이자, 아픈 환자가 아닌 부상자를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설립된 최초의 병원은 1941년 잉글랜드에서 부상자 치료가 부적절하다는 일련의 연구 결과에 따라 개원한 버밍엄 사고 병원이었다. 1947년까지 이 병원은 각각 2명의 외과 의사와 1명의 마취과 의사로 구성된 3개의 외상 팀과 3명의 외과 의사로 구성된 화상 팀을 갖추었다. 이 병원은 1948년 7월 국민보건서비스가 설립되면서 그 일부가 되었으며 1993년에 폐쇄되었다.[5] 현재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는 잉글랜드에 27개의 중증 외상 센터, 스코틀랜드에 4개, 웨일스에 1개를 두고 있다.

4. 3. 일본

救命救急センター일본어일본의 응급의료기관으로, 미국과 유사하게 외상 센터를 레벨별로 구분한다.[1] 일본의 응급의료체계는 외상센터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Verification, Review, and Consultation Program for Hospitals http://www.facs.org/[...] 2017-11-23
[2] 서적 The Trauma Manual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 웹사이트 Consultation/Verification Program Reference Guide of Suggested Classification http://www.facs.org/[...]
[4] 서적 Consultation/Verification Program, Reference Guide of Suggested Classification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5] 서적 Trauma: Emergency Resuscitation, Perioperative Anesthesia, Surgical Manage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05-17
[6] 웹사이트 Accident Statistics https://www.stanford[...] Stanford Children's health 2020-04-19
[7] 뉴스 Medical World News 1967-01-27
[8] 웹사이트 R Adams Cowley Shock Trauma Center History http://www.umm.edu/s[...]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2008-03-27
[9] 웹사이트 Old Cook County Hospital page http://www.cchil.org[...] Cook County Hospital
[10] 웹사이트 National Safety Council Presents David R. Boyd, MDCM, FACS, With Service to Safety Award https://secure.facs.[...]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11] 뉴스 Sunnybrook doctor names to Order of Canada Community July 8, 2009 City Centre Mirror
[12] 뉴스 Fraser Health regional trauma program receives distinction award media@fraserhealth.ca 2016-07-05
[13] 웹사이트 ACS Verification Site Visit Outcomes http://www.facs.org/[...] 2017-11-23
[14] 웹사이트 About the VRC Program http://www.facs.org/[...]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15] Webarchive Trauma Information Exchange Program http://www.amtrauma.[...] 2012-08-05
[16] 간행물 Trauma Center Designation and Verification by Level of Trauma Care American Trauma Society
[17] 논문 Trauma Center Staffing, Infrastructure, and Patient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rauma Center Need 2015
[18] 뉴스 UTMB trauma center Level 1 again http://www.chron.com[...] 2011-03-25
[19] 웹사이트 Trauma & Critical Care Center-Trauma Center levels http://www.kkh.go.th[...] Department of Hospital Health
[20] 웹사이트 Emergency Trauma Center http://pioneershospi[...] 2014-12-29
[21] 서적 Trauma: Emergency Resuscitation, Perioperative Anesthesia, Surgical Manage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2] 간행물 R Adams Cowley Shock Trauma Center History http://www.umm.edu/s[...]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2008-03-27
[23] 간행물 Old Cook County Hospital page http://www.cchil.org[...] Cook County Hospital
[24] 간행물 National Safety Council Presents David R. Boyd, MDCM, FACS, With Service to Safety Award https://secure.facs.[...]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5] 웹사이트 Verification Review Committee http://www.facs.org/[...]
[26] 서적 The Trauma Manual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7] 간행물 Consultation/Verification Program Reference Guide of Suggested Classification http://www.facs.org/[...]
[28] 서적 Consultation/Verification Program, Reference Guide of Suggested Classification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9] 간행물 ACS Verification Site Visit Outcomes http://www.facs.org/[...]
[30] 간행물 About the VRC Program http://www.facs.org/[...]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31] 간행물 Trauma Information Exchange Program http://www.amtrauma.[...] American Trauma Society
[32] 보도자료 Stanford University Medical Center Releases Community Benefits Summary http://www.lpch.org/[...] Stanford University Medical Center 2008
[33] 뉴스 UTMB trauma center Level 1 again http://www.chron.com[...] 2011-03-25
[34] 간행물 Trauma & Critical Care Center-Trauma Center levels http://www.kkh.go.th[...] Department of Hospital Health
[35] 간행물 Emergency Trauma Center http://pioneershospi[...]
[36] 웹사이트 杉岡洋一「我が国における外傷センターの整備は喫緊の課題」 https://www.qsr.mlit[...] 国土交通省 九州地方整備局 2019-05-08
[37] 웹인용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6조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7-08-28
[38] 웹인용 응급의료권역 및 권역응급의료센터 적정개소 수 http://korealaw.go.k[...] 대한민국 법제처 2017-09-08
[39] 웹인용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30조의2 http://www.korealaw.[...] 대한민국 법제처 2017-11-26
[40] 웹인용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7조의2 http://www.korealaw.[...] 대한민국 법제처 2017-11-26
[41] 뉴스 [의료바이오]을지대병원, 권역외상센터 개소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7-11-26
[42] 뉴스 이국종 호소에도 "시끄럽다" 민원속출 외상센터 위기 https://news.joins.c[...] 조선일보 2018-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