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택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택영은 미국의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에서 영어학 박사 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및 켄트 주립 대학교에서 방문 학자로 재직했다.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영어대학 학장을 역임했고, 정신분석학, 생태학, 미국 및 영국 소설, 서사 이론, 한국 문학 등을 연구했다. 13권의 학술저서, 8권의 번역서를 출간했으며, 평론가로 등단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을 국내에 소개하고 라캉, 프로이트 관련 저서를 번역했다. 김환태 평론대상, 자랑스러운 경희인상 등을 수상했으며, 한국연구재단 우수학자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권택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권택영 | |
한글 | 권택영 |
한자 | 權澤英 |
로마자 표기 | Gwon Taekyeong |
기본 정보 | |
출생 | 1947년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문학 평론가, 번역가 |
모교 |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
직장 | 경희대학교 |
2. 학력 및 교육
연도 | 학위/직책 | 학교 및 학과 | 연구 분야 |
---|---|---|---|
1980년 8월 | 영어학 박사 |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 |
1986년 | 방문 학자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비판 이론 |
2001년 | 방문 학자 | 켄트 주립 대학교 | 정신분석학, 도교 |
[1]
13권의 학술저서, 문학작품과 비평 이론에 관한 8권의 번역서를 출간했고, 많은 국내 논문과 국제 1급 논문(A&HCI)을 게재했다. 이청준 소설에 대한 평론으로 평론가로 등단했다. 1990년대에 국내에 포스트모더니즘을 본격적으로 소개해 반향을 일으켰으며, 라캉을 번역해 정신분석을 소개했고, 이후 프로이트 전집이 번역·소개되는 계기를 마련했다.[1]
13권의 학술저서, 문학작품과 비평 이론에 관한 8권의 번역서를 출간했고, 많은 국내 논문과 국제 1급 논문(A&HCI)을 게재했다. 이청준 소설에 대한 평론으로 평론가로 등단했다. 1990년대에 국내에 포스트모더니즘을 본격적으로 소개해 반향을 일으켰으며, 라캉을 번역해 정신분석을 소개했고, 이후 프로이트 전집이 번역·소개되는 계기를 마련했다.[1]
권택영은 연구서, 비평집, 번역서, 편서를 저술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경력
4. 연구 분야
1986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방문 학자로 재직하며 비판 이론을 연구했다.[1] 2001년에는 켄트 주립 대학교에서 방문 학자로 재직하며 정신분석학과 도교를 연구했다.[1]
주요 연구 분야는 정신분석학, 생태학, 미국 및 영국 소설, 서사 이론, 신경인문학, 한국 문학, 도교 등이다.[1]
5. 수상
연도 상 이름 1997년 제8회 김환태 평론문학상 1997년 자랑스러운 경희인상 1997년 올해의 뛰어난 평론가상 (김환태 평론가상)[1] 1997년 경희대학교 자랑스러운 동문상[1] 2000년 이후 경희대학교 석좌교수[1] 2010년~2011년 경희대학교 펠로우[1] 2012년~2017년 한국연구재단(NRF) 인문학 분야 우수학자 펠로우십[1] 자료 없음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연구상 다수 수상[1]
6. 저서
6. 1. 연구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1990 | 《후기 구조주의 문학이론》 | 민음사 |
1990 | 《포스트 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 민음사 |
1994 | 《라캉과 욕망》 | 문예출판사 |
1995 |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 문예출판사 |
1995 | 《영화와 소설 속의 욕망》 | 민음사 |
1997 | 《다문화 시대의 글쓰기》 | 문예출판사 |
1998 | 《프로이트: 성과 권력》 | 문예출판사 |
2001 | 《감각의 영역에서: 라캉과 영화 해석》 | 민음사 |
2002 | 《라캉, 장자, 그리고 한국의 깃발》 | 민음사 |
2003 | 《잉여 향락의 시대: 지젝과 포스트산업 사회》 | 문예출판사 |
2005 | 《몸과 미학》 | 경희대학교 출판부 |
2010 | 《자크 라캉: 자연과 인간》 | 한국문화사 |
2014 | 《바이오-휴머니티: 인간과 자연의 경계를 넘어》 | 집문당 |
2015 | 《권택영의 한국 문학 선집》 | 기만-G. 출판사 |
2017 | Nabokov’s Mimicry of Freud: Art as Science영어 | Lexington Books |
2018 | 《사고의 속임수: 왜 인공지능은 인간의 뇌가 될 수 없는가》 | 글항아리 |
2021 | 《감정: 따뜻하고 친밀한 느낌의 중요성》 | 글항아리 |
6. 2. 비평집
- 《다문화시대의 글쓰기》 (문예출판사, 1997)[2]
- 《권택영 평론선집》 (지만지, 2015)
- 《포스트구조주의와 문학 이론》 (민음사, 1990)[2]
-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0)[2]
- 《소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예, 1995)[2]
- 《영화와 소설 속의 욕망》 (민음사, 1995)
- 《프로이트: 성과 권력》 (문예, 1998)[2]
- 《감각의 영역에서: 라캉과 영화 해석》 (민음사, 2001)[2]
- 《라캉, 장자, 그리고 한국의 깃발》 (민음사, 2002)
- 《잉여 향락의 시대: 지젝과 포스트산업 사회》 (문예, 2003)
- 《몸과 미학》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5)
- 《권택영의 한국 문학 선집》 (지만지, 2015)
6. 3. 번역서
출판 연도 | 저자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91 | 노먼 킹슬리 메일러 | 밤의 군대들 | 제삼기획 | |
1993 | 빈센트 B. 라이치 | 해체비평이란 무엇인가 | 문예출판사 | |
1997 | 엘리자베드 라이트 | 정신분석비평 | 문예출판사 | |
1997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롤리타 | 민음사 | |
1998 | 자크 라캉 | 욕망 이론 | 문예출판사 | 공역 |
1999 | 어니스트 밀러 헤밍웨이 | 여명의 진실 | 문학사상 | |
2004 | 토머스 머튼 | 장자의 도 | 은행나무 | |
2010 | 잭 런던 | 야성의 부름 | 민음사 |
6. 4. 편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90 | 포스트구조주의와 문학 이론 | 민음사 | [2] |
1990 |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 민음사 | [2], 2012년 10쇄 |
1991 |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 문예출판사 | 「문학 - 외국이론이 비판적 수용」 |
1994 | 라캉과 욕망 | 문예 | 라캉의 주요 저작 편집 및 번역, 꾸준히 판매됨 |
1995 | 소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문예 | [2], 문화체육부 올해의 책 선정, 2012년 11쇄 |
1995 | 영화와 소설 속의 욕망 | 민음사 | |
1997 | 다문화 시대의 글쓰기 | 문예 | 김환태 평론가상 수상[2] |
1998 | 프로이트: 성과 권력 | 문예 | [2] |
2001 | 감각의 영역에서: 라캉과 영화 해석 | 민음사 | [2] |
2002 | 라캉, 장자, 그리고 한국의 깃발 | 민음사 | |
2003 | 잉여 향락의 시대: 지젝과 포스트산업 사회 | 문예 | |
2005 | 몸과 미학 | 경희대학교 출판부 | |
2010 | 자크 라캉: 자연과 인간 | 한국문화사 | 문화체육관광부 올해의 책 선정 |
2014 | 바이오-휴머니티: 인간과 자연의 경계를 넘어 | 집문당 | 아산재단 지원 |
2015 | 권택영의 한국 문학 선집 | 기만-G. 출판사 | 20세기 한국 문학 평론가 50인 중 하나 |
2017 | 나보코프의 프로이트 모방: 과학으로서의 예술 | 렉싱턴 북스, 로먼 & 리틀필드 | |
2018 | 사고의 속임수: 왜 인공지능은 인간의 뇌가 될 수 없는가 | 글항아리 | |
2021 | 감정: 따뜻하고 친밀한 느낌의 중요성 | 글항아리 |
7. 주요 논문
연도 | 논문 제목 | 학술지 |
---|---|---|
2000 | 라캉의 궁정적 사랑과 롤리타 | 비평과이론 |
2001 | 죽음 충동이 플롯을 만들다: 돈 드릴로의 백색 소음 | 영문학회지 |
2002 | 신화적 지식 속 쾌락의 변형 | 라캉 & 현대 정신분석 |
2002 | 버틀러의 퀴어 이론과 정신분석 | 영문학 페미니즘 연구 |
2002 | 응시로서의 제스처적 삶: 라캉과 창래 리의 다문화 윤리 | 영문학회지 |
2003 | 토니 모리슨의 슐라: 현실과 몸의 정치학 | 현대 소설 연구 |
2003 | 미학의 귀환: 슬라보예 지젝의 정신분석 속 현실 | 비평과이론 |
2004 | 영원 회귀: 신역사주의와 정신분석의 대립을 넘어서 | 영문학 현대 연구 |
2004 | 프로이트로의 회귀: 라캉의 기표는 사랑인가 증오인가? | 라캉 & 현대 정신분석 |
2004 | 부정성의 정치: 아도르노와 장자 | 한국문학이론비평 |
2005 | 켈러의 위안부에서의 기억 방식 | 호손 & 미국 소설 연구 |
2005 | 계몽주의와 부정성: 『마오 2』와 『네이티브 스피커』에 묘사된 한국 이미지 | 미국학 저널 |
2005 | 『종생기』: 증상의 관점에서 본 이상 작품 | 한국문학이론비평 |
2006 | 라캉과 조이스: 증상으로서의 글쓰기 | 한국 제임스 조이스 저널 |
2006 | 미국 소설 속의 한국 외상: 『조선 에피소드』와 『딕티』의 반복되는 이미지 | 미국 소설 연구 |
2007 | 엠페도클레스의 뿌리줄기와 라캉의 본성 | 한국문학이론비평 |
2007 | 조이스와 라캉에서 재고된 숫자 4 | 제임스 조이스 저널 |
2007 | 도교의 관점에서 본 에머슨의 실용주의: 생태학으로의 수정 | 영문학회지 |
2008 | 메일러의 『밤의 군대』에 나타난 전쟁의 현상학 | 영문학회지 |
2008 | 숭고한 아름다움과 생산적 순환: 제3의 공간의 역할 | 변혁적 도전: 현대 문명과 그 너머 |
2008 | 탈고전 서사학으로의 전환: 타자로서의 공간과 시간 | 한국문학이론비평 |
2008 | 나보코프의 『롤리타』에 나타난 암시적 작가의 위치 | 미국 소설 연구 |
2009 | 이청준 소설의 증상적 읽기 | 한국문학이론비평 |
2009 | 미국과 유럽의 서사 이론: 암시적 작가와 서술자 | 아시아 태평양 연구 저널 |
2009 | 서사학의 패러다임 전환: 구조에서 독서 경험으로 | 유토피아: 사회 패러다임 연구 저널 |
2009 | 서사 속 이론과 형식: 제네트와 메타픽션 | 미국학 저널 |
2010 | 프로이트 유산에 대한 논쟁과 패러다임 전환 | 영문학회지 |
2010 | 현상학적 몸: 김춘수의 꽃과 이청준의 『고향으로의 귀환』 | 한국문학이론비평 |
2010 | 몸의 물질성과 패러다임 전환 | 경희대학교 인문학 연구 |
2011 | 생태 인문주의의 이론적 배경: 생명 인류로의 지향 | 한국문학이론비평 |
2011 | 공동체의 이론으로서의 메를로-퐁티의 상호 얽힘 | 영문학회지 |
2013 | 신경 인문학: 기억과 인지에 대한 최근의 담론 | 정신분석 |
8. A&HCI 등재 국제 학술지 논문
- 2010: "기억의 물질성: 프로이트의 늑대인간과 기억의 생물학적 차원." 《뉴 리터러리 히스토리》 41. 1(2010 겨울): 213–232.
- 2011: "프로이트에 맞선 나보코프의 기억 전쟁" 《아메리칸 이마고》 68.1 (2011 봄): 67–91.
- 2015: "《정글 속의 짐승》에서의 위선적 행위로서의 사랑." 《헨리 제임스 리뷰》 36 (2015): 148–162.
- 2016: 반건호, 권택영, & 홍민하. "의학교육에서의 공감." 《공감의 심리학과 신경생물학》. 편집. 와트, 더글러스 F. & 자크 팡켑, 뉴욕: 노바 바이오메디컬 출판사, pp. 229-258.(도서 챕터)
- 2020: 권택영. “나보코프와 불확정성: 프리실라 마이어의 《세바스찬 나이트의 진짜 삶》의 경우." 《소설 연구》 52.1(2020 봄), pp. 101-102.(도서 서평)
참조
[1]
뉴스
장편 '사랑의 의지'펴내는 평론가 권택영씨
http://news.joins.co[...]
JoongAng Ilbo
1999-03-02
[2]
간행물
"New Literary History': 41:233–34 (2010)"
https://muse.jhu.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