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판 이론은 사회 전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사회 이론으로, 막스 호르크하이머가 1937년 에세이에서 처음 정의했다. 마르크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을 결합하여 경제, 개인의 발달, 문화를 주요 관찰 영역으로 삼으며, 사회를 억압적인 권력 구조와 지배 이데올로기로 분석한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위르겐 하버마스는 신 비판 이론을 제시했다. 현대에는 낸시 프레이저, 악셀 호네트 등이 그 맥락을 이어가고 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커뮤니케이션 연구, 장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비판 이론은 마르크스주의 수정주의라는 비판과 함께, 정치적 실천의 부재, 엘리트주의, 난해성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등 이론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갈등 이론 - 사회 계층
사회 계층은 부, 소득, 사회적 지위 등 사회 경제적 요인에 따라 사람들을 분류하는 것이며, 사회적 불평등의 정도에 따라 상류층, 중산층, 하류층 등으로 나뉜다. - 대륙 철학 - 현존재
현존재는 "거기에 있음"을 뜻하는 독일어 단어로, 하이데거는 이를 통해 인간이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자신의 유한성과 개별성을 자각하고 존재 의미를 묻는 존재론적 특성을 탐구했지만, 나치즘 연관성 등의 비판도 받았다. - 대륙 철학 - 합리론
합리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시작되어 이성을 경험보다 중시하며, 직관과 연역을 통해 지식을 얻는 것을 강조하는 철학 사상이다. - 철학 운동 - 실용주의
실용주의는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어 찰스 샌더스 퍼스,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 등에 의해 발전된 철학 사조로, 실제적 효과와 결과를 중시하며 개념의 이해는 실용적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진리의 기준을 실생활의 유용성에 두는 반주지주의적 성격을 띤다. - 철학 운동 - 탈구조주의
탈구조주의는 1960년대 프랑스에서 구조주의를 비판하며 등장한 사상으로, 이항 대립 해체와 텍스트 의미의 유동성을 강조하며 문학 비평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론의 엄밀성 및 상대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한국 사회 문제 분석에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비판 이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야 | 사회철학 |
접근 방식 | 사회학 |
주요 특징 | |
영향 받은 사상 | 헤겔주의 |
주요 관심사 | 사회적 불평등 권력 구조 지배 이데올로기 문화 산업 이성 비판 |
목표 | 사회 변혁 및 해방 |
주요 학파 | |
주요 학파 | 프랑크푸르트 학파 |
핵심 개념 | |
핵심 개념 | 도구적 이성 재화숭배 문화 산업 재생산 억압 의사소통적 합리성 주체 해방 총체성 |
주요 비판 대상 | |
주요 비판 대상 | 실증주의 기능주의 기술 중심주의 자본주의 파시즘 전체주의 |
주요 이론가 | |
주요 이론가 | 테오도어 아도르노 막스 호르크하이머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발터 벤야민 에리히 프롬 위르겐 하버마스 악셀 호네트 낸시 프레이저 레이먼드 윌리엄스 스튜어트 홀 |
관련 분야 | |
관련 분야 | 문화 연구 정치철학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탈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
중요 영향 | |
중요 영향 | 사회학 정치학 인문학 문학 예술 |
비판 | |
비판 | 엘리트주의 비관주의 실천적 방향성 부족 |
세부 내용 | |
특징 | 사회의 권력 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변화를 추구함 |
목표 | 사회 정의와 인간 해방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비판 대상 | 기존 사회 질서와 지배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검토함 |
2. 역사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1937년 에세이 〈전통적 이론과 비판적 이론〉(Kritische Theoriede)에서 비판 이론을 처음 정의했다. 그는 비판 이론이 사회를 이해하거나 설명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사회 이론이라고 설명했다. 호르크하이머는 비판 이론을 마르크스 철학의 급진적이고 해방적인 형태로 제시하며, 논리적 실증주의가 제시한 과학 모델과 정통 마르크스주의 및 공산주의의 실증주의 및 권위주의를 비판했다. 그는 이론이 인간을 속박하는 상황에서 해방시키려고 할 때 "비판적"이라고 묘사했다.[12]
비판 이론은 사회적 권력 구조를 개념화하고 비판할 뿐만 아니라, 사회를 인간 주체와 연결하는 경험적 토대를 가진 모델을 수립한다.[14] 또한, 사회를 특정 가치 또는 규범("해야 할 것들")의 관점에서 비판하거나, 사회가 주장하는 가치(내재적 비판)의 관점에서 비판함으로써 규범적 차원을 포함한다.[13]
비판 이론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14]
- 역사적 특수성을 지닌 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특정 시점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 지리학, 경제학, 사회학, 역사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을 포함한 모든 주요 사회 과학을 통합하여 사회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켜야 한다.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1947년 저서 《계몽의 변증법》에서 사회 지배의 근원에 대한 모호함을 설명하며, 이는 인간 해방과 정치적 자유의 가능성에 대한 비판 이론의 "비관론"을 낳았다.[16] 이는 나치즘, 국가 자본주의, 문화 산업의 부상이 마르크스주의 사회학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새로운 형태의 사회 지배로 나타났다는 역사적 상황에 기인한다.[17][18]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 따르면, 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은 마르크스주의의 "생산 관계"와 사회의 "생산력" 사이의 긴장을 없앴고, 시장은 중앙 계획으로 대체되었다.[19] 이는 사회 혁명이 아니라 파시즘과 전체주의로 이어졌다. 따라서 비판 이론은 지배 자체의 근원이었던 모순이 없는데도 지배가 지속되는 것에 대한 설명을 제시해야 했다.[20]
1960년대 유르겐 하버마스는 저서 《지식과 인간의 이해》(1968)에서 비판적 지식이 자기반성과 해방 지향성을 통해 자연과학이나 인문학과 구별된다고 주장하며 인식론적 논의를 새롭게 했다.[22] 하버마스는 도구적 합리성의 형태로 근대성 시대가 계몽의 해방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노예 상태로 향하는 전환을 의미한다는 견해를 공유했다.[8] 그는 막스 베버의 영향을 받아 근대성과 합리화 간의 관계를 탐구했으며, 헤겔의 독일 관념론에서 유래한 비판 이론의 요소들을 해체했지만, 그의 인식론은 대체로 마르크스주의적이다.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두 가지 생각은 공적 영역과 의사소통 행위 개념이며, 후자는 포스트모더니즘적 도전에 대한 반응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하버마스는 리처드 로티와 서신을 교환하며 철학적 프래그머티즘의 영향을 받았고, 사회학과 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상을 전개했다.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이론은 문화적 정체성의 단편화를 분석하는 동시에, 사회 문제를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위치시키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에 스스로를 개입시키며, 발견을 상대화함으로써 사회 문제를 정치화한다.
2. 1. 기원
마르크스는 그의 『포이어바흐에 대한 테제』 11항에서 '비판'의 개념을 이데올로기 비판으로 발전시켜 사회혁명의 실천과 연결시켰다. "철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세계를 해석해 왔을 뿐이다.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혁하는 것이다."[15] 마르크스는 『독일 이데올로기』를 포함한 초기 저술에서 허위의식과 이데올로기의 개념을 사회의 한 계층의 이익을 사회 전체의 이익인 것처럼 가장하는 것으로 발전시켰다.비판 이론은 카를 마르크스의 저작에서 출발한다. 노동 운동, 정당, 정치 운동을 통한 마르크스 저작의 수용은 상당히 일그러지고 단편적인 것이었으며, 그의 철학은 현재에도 재해석의 여지가 크다. 비판 이론은 마르크스의 이론을 부르주아 자본주의 비판으로만 보며, 경제학 학설이나 역사철학, 세계관으로는 여기지 않는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영향도 지적된다. 비판 이론의 방법론적 기초는 헤겔의 변증법에 있다.
2. 2. 프랑크푸르트 학파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1937년 에세이 〈전통적 이론과 비판적 이론〉에서 비판 이론을 처음 정의했다. 비판 이론은 사회 전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사회 이론이다. 호르크하이머는 비판 이론을 마르크스 철학의 급진적이고 해방적인 형태로, 논리적 실증주의와 정통 마르크스주의, 공산주의의 실증주의 및 권위주의를 비판했다. 그는 이론이 인간을 속박하는 상황에서 해방시키려고 할 때 "비판적"이라고 묘사했다.[12]비판 이론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역사적 특수성을 지닌 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 지리학, 경제학, 사회학, 역사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을 포함한 모든 주요 사회 과학을 통합하여 사회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켜야 한다.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1947년 저서 《계몽의 변증법》에서 사회 지배의 근원에 대한 모호함을 제시하며, 이는 인간 해방과 정치적 자유의 가능성에 대한 비판 이론의 "비관론"을 낳았다.[16] 이러한 모호함은 나치즘, 국가 자본주의, 문화 산업의 부상이 새로운 형태의 사회 지배로 나타났다는 역사적 상황에 기인한다.[17][18]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 따르면, 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은 마르크스주의의 "생산 관계"와 사회의 "생산력" 사이의 긴장을 없앴다. 시장은 중앙 계획으로 대체되었다.[19] 이는 파시즘과 전체주의로 이어졌다. 비판 이론은 지배 자체의 근원이었던 모순이 없는데도 지배가 지속되는 것에 대한 설명을 제시해야 했다.[20]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실증주의와 대립하는 입장을 취했다. 1961년부터의 실증주의와의 대결은 '실증주의 논쟁'으로 불리기도 한다.
비판 이론의 발전은 1931년 막스 호르크하이머가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사회연구소 소장에 취임하면서 시작되었다. "비판 이론"이라는 명칭은 1937년 호르크하이머의 논문 "전통적 이론과 비판 이론"에서 따왔다. 비판 이론의 대표작은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르 아도르노가 1944-1947년에 공동 집필한 《계몽의 변증법》이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주변 연구자들의 작업이 프랑크푸르트 학파로 불리게 되었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나치즘과의 대결 경험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이루었다. 비판 이론은 1968년대 세계적인 대학 분쟁 속에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2. 3. 하버마스와 신(新) 비판 이론
위르겐 하버마스는 1960년대 비판적 사회이론의 지지자로서, 그의 저서 『지식과 인간의 이해』(1968)에서 비판적 지식이 자기반성과 해방 지향성을 통해 자연과학이나 인문학과 구별된다고 주장했다.[22] 그는 도구적 합리성의 형태로 근대성 시대가 계몽의 해방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노예 상태로 향하는 전환을 의미한다는 견해를 공유했다.[8]하버마스는 막스 베버의 영향을 받아 근대성과 합리화 간의 관계를 탐구했다. 그는 헤겔의 독일 관념론에서 유래한 비판 이론의 요소들을 해체했지만, 그의 인식론은 대체로 마르크스주의적이다.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두 가지 생각은 공적 영역과 의사소통 행위 개념이다. 하버마스는 리처드 로티와 서신을 교환하며 철학적 프래그머티즘의 영향을 받았고, 사회학과 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상을 전개했다.
하버마스의 사상은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르 아도르노 등의 "구(舊) 비판 이론"과 구별하여 "신(新) 비판 이론"으로 불린다.
2. 4. 현대 비판 이론
낸시 프레이저, 악셀 호네트, 주디스 버틀러, 라헬 예기 등은 현대 비판 이론을 연구하는 철학자들이다.[23] 호네트는 저서 『이성의 병리학』과 『비판이론의 유산』에서 현대 비판 이론의 목적을 설명하려 했다.[23][24] 예기는 비판 이론의 원래 의도와 현대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는 현대 비판 이론 사용에 대한 새로운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3] 버틀러는 비판 이론을 성(gender) 개념과 관련하여 억압과 불평등에 대해 수사적으로 도전하는 방식으로 맥락화한다.[25]호네트는 '인정 이론'을 확립했다.[26] 이 이론에서 그는 개인이 자신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책임을 지려면 주변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료와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면 개인은 자신과 타인에 대해 완전히 책임질 수 없고 진정한 자유와 해방을 경험할 수 없으며, 자기실현을 달성할 수 없다.
예기는 자본주의가 사회에 미치는 비용을 비판한다. 그녀는 저술을 통해 비판 이론과 관련하여 자본주의의 필요성과 활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27] 예기의 비판 이론 해석은 위르겐 하버마스의 이론과는 다르게, 경제를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호네트의 견해를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28] 그녀는 호네트의 신념을 공유하며, 호네트에 대한 비판에 맞서 그를 옹호하는 저술을 많이 남겼다.[29]
하르무트 로자는 예기의 '관계 없는 관계'로서의 소외 개념에 대한 변증법적 반대 개념으로 공명 개념을 제시했다.[30][31] 로자는 이 용어를 후기 현대 주체가 사회에서 일시적인 자기 효능감을 경험하는 순간, 즉 세계의 어떤 측면과 일시적인 관계를 맺는 순간을 지칭한다.[31] 로자는 자신을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 이론 전통 내에서 활동하는 사람으로 묘사하며, 사회적 가속화 개념을 통해 후기 현대성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을 제시한다.[32] 그러나 그의 공명 이론은 테오도어 아도르노의 "사회를 냉정하게 바라보는" 전통에서 벗어났다는 비판을 받는다.[33]
3. 주요 개념 및 특징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1937년 에세이 "전통적 이론과 비판적 이론"(Kritische Theoriede)에서 비판 이론을 처음으로 정의하면서, 사회를 이해하거나 설명하는 것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사회 이론이라고 설명했다.[12] 그는 이론이 인간을 속박하는 상황에서 해방시키려고 할 때 "비판적"이라고 묘사했다.[12]
비판 이론의 특징 중 하나는 테오도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가 1947년 저서 『계몽의 변증법』에서 상세히 설명했듯이, 사회 지배의 궁극적인 근원이나 기반에 대한 모호함이다. 이러한 모호함은 인간 해방과 정치적 자유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비판 이론의 "비관론"을 낳았다.[16]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게 있어서 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은 마르크스주의의 "생산 관계"와 사회의 물질적 "생산력" 사이의 전통적인 긴장을 효과적으로 없앴다. 상품 분배를 위한 "무의식적" 메커니즘으로서의 시장은 중앙 계획으로 대체되었다.[19]
『정치경제학 비판에의 기여 서문』에서 카를 마르크스가 예측한 것과는 달리, 이러한 변화는 "사회혁명"이 아니라 파시즘과 전체주의로 이어졌다. 그 결과, 유르겐 하버마스의 말을 빌리자면, 비판 이론은 "호소할 만한 아무것도 남지 않았고, 생산력이 생산 관계와 해로운 공생 관계를 맺게 되면서, 비판이 그 희망을 기댈 수 있는 역동성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20]
1960년대, 유르겐 하버마스[21]는 그의 저서 『지식과 인간의 이해』(1968)에서 비판적 지식이 자기반성과 해방에 대한 지향성을 통해 자연과학이나 인문학과 구별되는 원리에 기반한다고 밝혔다.[22] 그는 도구적 합리성의 형태로 근대성 시대가 계몽의 해방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노예 상태로 향하는 전환을 의미한다고 보았다.[8] 하버마스의 작업에서 비판 이론은 독일 관념론에서 이론적 뿌리를 넘어서 미국 프래그머티즘에 더 가까워졌다.
하버마스의 근대성과 합리화 간의 관계에 대한 생각은 막스 베버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두 가지 생각은 공적 영역과 의사소통 행위의 개념이다.
3. 1. 사회 비판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1937년 에세이 "전통적 이론과 비판적 이론"에서 비판 이론을 처음 정의했다. 비판 이론은 사회 전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사회 이론이다. 마르크스 철학의 급진적이고 해방적인 형태로서, 인간을 속박하는 상황에서 해방시키려고 할 때 "비판적"이라고 묘사했다.[12]비판 이론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역사적 특수성을 지닌 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특정 시점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 지리학, 경제학, 사회학, 역사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 등 모든 주요 사회 과학을 통합하여 사회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다.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이론은 문화적 정체성의 단편화를 분석하여 근대주의 시대의 구성을 문제 삼는다. 동시에 사회 문제를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위치시키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에 스스로를 개입시키며, 그들의 발견을 상대화함으로써 사회 문제를 정치화한다.[13]
마르크스는 『포이어바흐에 대한 테제』 11항에서 '비판'의 개념을 이데올로기 비판으로 발전시켜 사회혁명의 실천과 연결시켰다. "철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세계를 해석해 왔을 뿐이다.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혁하는 것이다."[15]
현대 비판이론을 이해하고 비판하는 데 집중해 온 현대 철학자들과 연구자들로는 낸시 프레이저, 악셀 호네트, 주디스 버틀러, 라헬 예기가 있다. 호네트는 그의 저서 『이성의 병리학』과 『비판이론의 유산』에서 현대적 맥락에서 비판이론의 목적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23][24]
호네트는 '인정 이론'을 확립했다.[26] 이 이론에서 그는 누군가가 자신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책임을 지려면 주변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인정 없이는 개인은 자기실현을 달성할 수 없다.
예기는 자본주의가 사회에 미치는 비용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한다. 그녀의 저술 전반에 걸쳐 그녀는 비판이론과 관련하여 자본주의의 필요성과 활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 왔다.[27]
예기의 '관계 없는 관계'로서의 소외 개념에 대한 변증법적 반대 개념으로 하르무트 로사는 공명 개념을 제시했다.[30][31] 로사는 자신을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 전통 내에서 활동하는 사람으로 묘사하며, 그의 사회적 가속화 개념을 통해 후기 현대성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을 제시한다.[32]
비판 이론은 카를 마르크스의 저작에서 출발한다. 비판 이론은 마르크스의 이론을 부르주아 자본주의 비판으로만 보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으로부터의 영향도 지적되고 있다. 비판 이론의 방법론적 기초는 헤겔의 변증법에 있다.
비판 이론의 주요 관찰 영역은 경제학, 개인의 발달, 그리고 문화이다. 마르크스주의와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결합하여, “사회”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 사회는 단순히 “특정 시대 인류의 총체”로만 여겨지지 않고, 오히려 개인을 압도하는 형태로 대치되어, 인간의 성격과 행동의 가능성을 광범위하고 인간이 사회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강력하게 형성하는 다양한 “관계”로서 파악된다. 그때 특별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이 가정에서의 사회화(정신분석학적 요인으로서의 가정) 및 대중매체, 대중문화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증대하는 기술화, 과학적 진보, 그리고 그것에서 유래하는 관료제에 의해 소외가 진행되고 개인의 의미가 상실된다. 도구적인 이성은 세계와 인간을 오직 효용의 관점에서만 보는 것이다.
개개인에게 포괄적인 사회적 통제를 행사하고, 이상주의, 신형식주의, 관습, 또는 창의성을 개인의 성격에 대치되는 것으로 억압하는 “전체주의적 관리 사회”가 있다. 헤르베르트 마르쿠제의 저서 『일차원적 인간』은 이러한 전체주의적 관리 사회를 분석하고 비판한 것이다.
3. 2. 학제적 연구
비판 이론은 지리학, 경제학, 사회학, 역사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사회를 더 잘 이해해야 한다고 본다.[14] 이는 사회를 특정 시점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즉 역사적 특수성을 가진 전체로 파악하기 위함이다.[14]3. 3. 규범적 차원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1937년 에세이 〈전통적 이론과 비판적 이론〉에서 비판 이론을 사회 전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사회 이론으로 정의했다. 이는 사회를 이해하거나 설명하는 것만을 목표로 하는 기존 이론과는 다르다. 호르크하이머는 논리적 실증주의가 제시한 과학 모델과 정통 마르크스주의, 공산주의의 실증주의 및 권위주의를 비판하며, 비판 이론이 인간을 속박하는 상황에서 해방시키려고 할 때 "비판적"이라고 묘사했다.[12]비판 이론은 일반적인 가치 이론의 관점에서 사회를 비판하거나, 사회가 주장하는 가치의 관점에서 사회를 비판하는 (내재적 비판) 규범적 차원을 포함한다.[13] 비판 이론은 사회적 권력 구조를 개념화하고 비판할 뿐만 아니라, 사회를 인간 주체와 연결하는 경험적 토대를 가진 모델을 수립한다.[14]
3. 4. 성찰성과 실천 지향성
마르크스 철학의 급진적이고 해방적인 형태인 비판 이론은 사회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을 넘어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사회 이론이다.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비판 이론이 인간을 속박하는 상황에서 해방시키려고 할 때 "비판적"이라고 설명했다.[12]비판 이론은 사회적 권력 구조를 개념화하고 비판할 뿐만 아니라, 사회를 인간 주체와 연결하는 경험적 토대를 가진 모델을 수립한다.[14] 마르크스는 『포이어바흐에 대한 테제』 11항에서 "철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세계를 해석해 왔을 뿐이다.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혁하는 것이다."라고 명시하며 사회혁명의 실천과 이데올로기 비판을 연결시켰다.[15]
1960년대 유르겐 하버마스는 비판적 지식이 자기반성과 해방에 대한 지향성을 통해 자연과학이나 인문학과 구별되는 원리에 기반한다고 밝혔다.[22] 그는 도구적 합리성의 형태로 근대성 시대가 계몽의 해방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노예 상태로 향하는 전환을 의미한다고 보았다.[8]
4. 주요 학파 및 분파
막스 호르크하이머가 1931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사회연구소 소장에 취임하면서 비판이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비판이론'이라는 명칭은 1937년 호르크하이머의 논문 "전통적 이론과 비판이론"에서 따왔다.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함께 1944~1947년에 공동 집필한 『계몽의 변증법』은 비판이론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이들은 권위주의적 성격 연구를 통해 전체주의 체제를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주변 연구자들의 작업은 프랑크푸르트 학파로 불리게 되었다. 나치즘과의 대결 경험은 비판이론에 새로운 도약을 가져왔다. 아도르노의 제자들은 1933년~1945년의 사건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찾고자 했고, 이것이 그들에게 비판이론을 가져다주었다. 비판이론은 1968년대 세계적인 대학 분쟁 속에서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독일에서는 루디 두체케가 큰 영향을 미쳤다.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등의 비판이론은 "구 비판이론"으로, 위르겐 하버마스가 대표하는 새로운 사상은 "신 비판이론"으로 불리게 된다.
이 외에도 비판 이론은 비판적 장애학Critical disability studies영어, Critical legal studies|비판적 법학영어, Critical management studies|비판적 경영학영어, Critical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비판적 국제관계 이론영어, Critical race theory|비판적 인종 이론영어, 비판 교육학, 비판 심리학, Critical data studies|비판적 데이터 연구영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난민 지위[39] 및 이민법[40] 해석, 금융 시장과 중앙은행에 대한 비판적 금융 연구[41] 등에도 적용된다.
4. 1.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이론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이론은 비판 이론의 또 다른 주요 결과물이다. 메타 내러티브, 합리성, 보편적 진리와 같은 근대주의 시대의 구성을 문제 삼기 위해 문화적 정체성의 단편화를 분석한다. 동시에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사회 문제를 위치시키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에 스스로를 개입시키며, 그들의 발견을 상대화함"으로써 사회 문제를 정치화한다.[34] 이는 "산업 및 기업 자본주의의 정치 경제 시스템으로의 진화와 함께했던 권위와 불의의 형태"에 관심을 두는 근대주의 비판 이론과는 차이를 보인다.의미 자체는 사회 구조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불안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결과적으로 연구는 광범위한 일반화보다는 지역적 현상에 초점을 맞춘다. 탈근대 비판 연구는 또한 연구자의 작업이 "안정적인 타자에 대한 객관적인 묘사"라는 생각을 거부하는 '표상의 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대신 많은 탈근대 학자들은 "자신들의 작업의 '정치와 시학'에 대한 반성을 장려하는 대안"을 채택했다.[34]
"비판 이론"이라는 용어는 저자가 사회학적 용어로 작업하면서도 사회 과학이나 인문 과학을 공격하여 그러한 질의 틀 "외부"에 머무르려고 할 때 종종 수용된다. 미셸 푸코가 그러한 저자 중 한 명으로 묘사되어 왔다.[35] 장 보드리야르 또한 비전통적이고 비판적인 사회학자라는 점에서 비판 이론가로 묘사되어 왔다.[36] 그러나 이러한 수용은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거의 또는 전혀 관련이 없다.[37]
4. 2. 커뮤니케이션 연구
유르겐 하버마스는 1960년대 비판 이론을 커뮤니케이션학 연구로 재정의하며, 의사소통적 합리성과 왜곡된 의사소통을 다루었다.[21] 그는 『지식과 인간의 이해』(1968)에서 비판적 지식이 자기반성과 해방 지향성을 통해 자연과학이나 인문학과 구별된다고 주장했다.[22]하버마스는 막스 베버의 영향을 받아 근대성과 합리화 (사회학) 간의 관계를 탐구했다. 그는 헤겔의 독일 관념론에서 유래한 비판 이론 요소를 해체하면서도, 그의 인식론은 대체로 마르크스주의적이었다. 하버마스의 가장 영향력 있는 두 가지 개념은 공론장과 의사소통 행위이며,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났다. 하버마스는 리처드 로티와의 서신 교환을 통해 프래그머티즘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사상은 사회학과 철학의 경계를 넘나들었다.
4. 3. 기타 분파
Critical disability studies|비판적 장애학영어, Critical legal studies|비판적 법학영어, Critical management studies|비판적 경영학영어, Critical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비판적 국제관계 이론영어, Critical race theory|비판적 인종 이론영어, 비판 교육학, 비판 심리학, Critical data studies|비판적 데이터 연구영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판 이론이 적용되고 있다.비판 이론은 난민 지위[39] 및 이민법[40]을 해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비판적 금융 연구는 비판 이론을 금융 시장과 중앙은행에 적용한다.[41]
파울로 프레이레(Paulo Freire)는 교육/교육학에 비판 이론을 처음으로 적용한 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저서 ''억압받는 자들을 위한 교육학(Pedagogy of the Oppressed)''은 현재 ''비판적 교육학(critical pedagogy)''으로 알려진 철학 및 사회 운동의 중요한 저술로 평가받는다.[42][43] 프레이레는 브라질 성인들의 읽기와 쓰기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식민지배자와 피식민지배자 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계급 분석을 포함시켰다. 그는 전통적인 교육학을 "교육의 은행 모델(banking model of education)"이라고 비판하며, 이는 학생을 지식으로 채워야 할 빈 그릇으로 취급한다고 지적했다. 대신 교육학은 학습자를 지식의 공동 창조자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판 이론 모델에서 교사는 모든 지식을 제공하는 사람이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학생들로부터 배우는 참여자이며 대화를 나누는 사람이다. 목표는 식민지배자와 피식민지배자의 이분법과 유사한 교사 대 학생이라는 억압적인 구조에서 학습자를 해방하는 것이다. 학생이 사회적 권력 구조와 위계를 분석하고 불균형과 불평등을 단순히 인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비판 이론 교육학은 학습자가 그러한 성찰을 반추하고 억압적인 현상 유지를 거부하기 위해 행동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42][44]
비판적 환경 정의는 환경 정의에 비판 이론을 적용한다.[45]
5. 비판 및 논쟁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1937년 에세이 "전통적 이론과 비판적 이론"에서 비판 이론을 처음 정의하면서, 사회 전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사회 이론이라고 설명했다.[12] 그는 논리적 실증주의가 제시한 과학 모델과 정통 마르크스주의, 공산주의의 실증주의 및 권위주의를 비판하며, 이론이 인간을 속박하는 상황에서 해방시키려고 할 때 "비판적"이라고 묘사했다.[12]
비판 이론은 사회적 권력 구조를 개념화하고 비판할 뿐만 아니라, 사회를 인간 주체와 연결하는 경험적 토대를 가진 모델을 수립한다.[14]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이론은 문화적 정체성의 단편화를 분석하고 사회 문제를 정치화한다.[14]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계몽의 변증법』에서 사회 지배의 궁극적인 근원이나 기반에 대한 모호함이 인간 해방과 정치적 자유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비판 이론의 "비관론"을 낳았다고 설명했다.[16] 이는 나치즘, 국가 자본주의, 문화 산업의 부상이 새로운 형태의 사회 지배로 나타났기 때문이다.[17][18]
유르겐 하버마스는 『지식과 인간의 이해』에서 비판적 지식이 자기반성과 해방에 대한 지향성을 통해 자연과학이나 인문학과 구별된다고 밝혔다.[22] 그는 도구적 합리성의 형태로 근대성 시대가 계몽의 해방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노예 상태로 향하는 전환을 의미한다고 보았다.[8]
현대 철학자들과 연구자들은 비판 이론을 이해하고 비판하는 데 집중해 왔다. 낸시 프레이저, 악셀 호네트, 주디스 버틀러, 라헬 예기 등이 대표적이다.[23][24] 호네트는 '인정 이론'을 통해 개인이 주변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아야 자신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26] 예기는 자본주의가 사회에 미치는 비용에 대해 비판하며, 하르무트 로사는 공명 개념을 제시하여 후기 현대 주체가 사회에서 일시적인 자기 효능감을 경험하는 순간을 설명했다.[30][31]
비판 이론은 종종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으로 불리지만, 정통 마르크스주의자와 마르크스-레닌주의 철학자들로부터 수정주의라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46] 마틴 제이는 비판 이론의 1세대가 특정 철학적 의제나 이데올로기를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체제의 각성제"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46]
'''내셔널 포스트'''의 브루스 파디는 비판 이론의 정당성에 대한 어떤 도전도 비판 이론 지지자들의 논제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성, 논리 및 증거의 주장은 특권과 권력의 표현이므로, 어떤 도전자도 편견 있는 억압자라는 오명을 감수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51]
'''컨버세이션'''의 로버트 다니쉬는 비판 이론과 더 광범위한 현대 인문학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보다는 현재 세계를 비판하는 데 너무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했다.[52]
5. 1. 실천적 지침 부재
비판 이론은 정치적 행동에 대한 명확한 지침(실천)을 제시하지 않고, 종종 어떠한 해결책도 명시적으로 거부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47] 이러한 비판은 주로 프랑크푸르트 학파 1세대에 해당하며, 현대 이론에서는 정치 문제가 훨씬 더 단호하게 다루어진다.[48]렉스 기브슨은 비판 이론이 파벌적이고, 순응적이며, 엘리트적이고, 겸손하지 않으며, 개인주의에 반대하고, 순진하며, 지나치게 비판적이고, 모순적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49]
5. 2. 엘리트주의 및 난해성
비판 이론은 그 언어가 지나치게 어렵고 대중이 접근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아왔다.[50] 이러한 언어 문제에 대해, 일각에서는 더 명확하고 쉬운 언어를 요구하는 것은 반지성적인 태도이며, 새로운 '가능성의 언어'가 필요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은 새로운 언어를 이해하고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50]5. 3. 기타 비판
비판 이론가들은 종종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으로 불리지만, 일부 마르크스주의 개념을 비난하고 마르크스주의 분석을 다른 사회학적 및 철학적 전통과 결합하는 경향 때문에 정통 마르크스주의자와 마르크스-레닌주의 철학자들로부터 수정주의라는 비난을 받아왔다.[46]비판 이론은 정치적 행동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실천)을 제공하지 않고, 종종 명시적으로 어떠한 해결책도 거부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47]
비판 이론은 "다른 지식, 과학 또는 실천 이론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렉스 기브슨은 비판 이론이 파벌적이고, 순응적이며, 엘리트적이고, 겸손하지 않고, 개인주의에 반대하며, 순진하고, 너무 비판적이며, 모순적이라고 주장한다. 휴즈와 휴즈는 하버마스의 이상적인 공론 이론이 "합리적인 화자들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많이 이야기하지만, 행위자들의 행동에 대해서는 거의 이야기하지 않는다. 느낌, 지각, 상상력, 신체적 경험은 이러한 이론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49][50]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비판 이론이 "그들이 폭로하고 변화시키려고 하는 합리화, 관료화, 문화만큼 좁고 억압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49][50]
비판 이론의 언어는 이해하기 너무 어렵다는 비판을 받아왔지만, "이러한 언어 문제에 대한 반론에는 더 명확하고 접근 가능한 언어에 대한 요구가 반지성적이며, 새로운 '가능성의 언어'가 필요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은 새로운 언어를 이해하고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 포함된다"라고 반박한다.[50]
'''내셔널 포스트'''에 기고한 브루스 파디는 "비판 이론의 정당성에 대한 어떤 도전도 그들의 [비판 이론 지지자들의] 논제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성, 논리 및 증거의 주장은 특권과 권력의 표현이다. 따라서 어떤 도전자도 편견 있는 억압자라는 오명을 감수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51]
'''컨버세이션'''에 기고한 로버트 다니쉬는 비판 이론과 더 광범위한 현대 인문학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들려고 노력하기보다는 현재 세계를 비판하는 데 너무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했다.[52]
6. 한국 사회에의 영향
비판 이론은 현재까지도 한국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 내용이 학계 외부로 잘 알려지지 않아 오해를 받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ritical theory
https://www.britanni[...]
2022-11-28
[2]
논문
Critical theory as ideology of the new class: Rereading Jürgen Habermas
[3]
서적
The Idea of a Critical The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The Left Hemisphere
https://www.versoboo[...]
2023-05-18
[5]
문서
Horkheimer 1982, 244
[6]
서적
From Modern to Postmodern Social Theory (and Beyond)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8
[7]
서적
Critical Theory and Society: A Reader
Routledge
[8]
서적
Habermas: Key Contemporary Thinkers
Polity
[9]
서적
Foundations of Critical Theory
http://dx.doi.org/10[...]
Routledge
2021
[10]
백과사전
Critical Theory
[11]
웹사이트
Critical Theory Today: A User-Friendly Guide
https://www.routledg[...]
2023-05-18
[12]
문서
Horkheimer 1982, p. 244.
[13]
백과사전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05-03-08
[14]
백과사전
Critical Theor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06-10
[15]
웹사이트
Theses on Feuerbach
http://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15-04-11
[16]
서적
Dialectic of Enlightenment
Stan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Twelve Lectures
MIT Press
[18]
서적
Theory and Politics: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eory
[19]
서적
Dialectic of Enlightenment
[20]
서적
The Entwinement of Myth and Enlightenment
[21]
서적
Introduction to Critical Sociology
Irvington Publishers
[22]
논문
Critical Approaches to Continental Philosophy: Intellectual Community, Disciplinary Identity, and the Politics of Inclusion
https://www.academia[...]
[23]
논문
Situating Rahel Jaeggi in the Contemporary Frankfurt Critical Theory
2021-05-21
[24]
논문
What’s critical about critical theory? The case of Habermas and gender
[25]
잡지
Judith Butler Wants Us to Reshape Our Rage
https://www.newyorke[...]
2020-02-09
[26]
논문
New Directions for a Critical Theory of Work: Reading Honneth Through Deranty
2018-05
[27]
논문
Nancy Fraser and Rahel Jaeggi, Capitalism: A Conversation in Critical Theory
2021-04
[28]
논문
Immanent Critique of Capitalism as a Form of Life: On Rahel Jaeggi's Critical Theory
2021-05
[29]
논문
Situating Rahel Jaeggi in the Contemporary Frankfurt Critical Theory
2021-05-21
[30]
서적
Alien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31]
서적
Resonanz: eine Soziologie der Weltbeziehung
Suhrkamp
2016
[32]
서적
Social Acceleration: A New Theory of Modernity
https://www.degruyt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12-31
[33]
서적
Resonanz oder: Das Ende der kritischen Theorie
[34]
서적
North American Critical Theory After Postmodernism
Palgrave Macmillan
2012
[35]
논문
Foucault: His influence over accounting and management research. Building of a map of Foucault's approach
http://www.inderscie[...]
2015-07-04
[3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Jean Baudrillard, Module on Postmodernity
https://www.cla.purd[...]
2017-06-16
[37]
서적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05-04-22
[38]
서적
Postmodernism
[39]
서적
Migration, Recognition and Critical Theory
2021
[40]
학술지
In liberty's shadow: The discourse of refugees and asylum seekers in critical race theory and immigration law/Politics
https://doi.org/10.1[...]
2013
[41]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Critical Finance Studies
https://doi.org/10.4[...]
Routledge
2020
[42]
웹사이트
Paulo Freire's Pedagogy of the Oppressed : Book Summary
http://www.theeducat[...]
2014-07-09
[43]
서적
The Critical Turn in Education: From Marxist Critique to Postructuralist Feminism to Critical Theories of Race
Routledge
2016
[44]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W.W. Norton & Company
1979
[45]
학술지
Special issue: environmental justice and epistemic violence
2019
[46]
서적
The Dialectical Imagination: A History of the Frankfurt School and the Institute of Social Research, 1923–195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47]
웹사이트
The Frankfurt School and Critical Theory
https://www.iep.utm.[...]
[48]
학술지
Exploring a Critical Theory of politics
https://revistaselet[...]
2022-06-20
[49]
웹사이트
Understanding Critical Theory
https://www.simplyps[...]
2022-11-03
[50]
웹사이트
9.8 PROBLEMS WITH CRITICAL THEORIES OF EDUCATION
https://members.aect[...]
[51]
뉴스
How Canada's secular religion of cultural self-hate took hold
https://nationalpost[...]
2023-06-24
[52]
웹사이트
The humanities should teach about how to make a better world, not just criticize the existing one
http://theconversati[...]
2023-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