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래플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래플링은 입식 및 그라운드 기술을 포함하며, 유도, 브라질리언 주짓수, 레슬링 등 다양한 무술 및 격투기에서 활용되는 기술이다. 기(Gi)와 노기(No-Gi) 스타일로 구분되며, 테이크다운, 서브미션, 핀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2006년 국제 레슬링 연맹(FILA)에서 신규 종목으로 인정받았으며, 입식, 그라운드, 기, 노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래플링은 격투 스포츠, 자기 방어, 법 집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한국에서도 점차 인기를 얻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술 - 관절기
    관절기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관절을 제압하는 기술로, 무술, 호신술, 격투기 등에서 활용되지만 부상 위험이 있어 전문가 지도하에 수련해야 하며 일부 기술은 사용이 금지되기도 한다.
  • 무술 - 타격기
    타격기는 신체 부위를 사용하여 상대를 가격하는 기술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전해 왔으며 격투 스포츠의 핵심 요소이자 자기 방어 및 정신 수양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그래플링
개요
정의그래플링은 다양한 무술, 스타일 및 격투기에서 사용되는 기술의 범위이다.
특징그래플링은 상대를 잡거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타격과 무기 사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기술 요소
주요 기술클린치
테이크다운
서브미션
세부 기술 종류레슬링
기무술
조르기
관절기
활용 분야
적용 무술유도
주짓수
레슬링
삼보
종합격투기
같이 보기
관련 문서그래플링 (동음이의)

2. 그래플링의 종류

그래플링은 크게 입식 그래플링과 그라운드 그래플링으로 나눌 수 있으며, 도복 착용 여부에 따라 기(Gi)와 노기(No-Gi) 그래플링으로 구분된다. 종합격투기에서 타격 기술을 제외한 것으로, 유도에서 인정되는 관절기는 대부분 유효하나, 힐 훅 등 일부 위험한 기술은 금지되어 있다.



고대 이집트 레슬링


기원전 2세기의 그리스 청동 조각상으로 판크라티온을 묘사하고 있다. 서 있는 선수는 그래플링 기술인 암바를 걸고 있다. 뮌헨 국립 고미술관 소장


인도네시아 프람바난 사원(9세기)의 그래플링 및 조르기 기술 부조


그래플링 기술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분할 수 있다.

  • '''클린치''': 두 선수가 서서 상대방의 상체에 다양한 클린치 홀드를 걸어 수행한다. 던지기나 테이크다운을 시도하거나 방어하는 데 사용된다.
  • '''테이크다운''': 서 있는 자세에서 상대방을 그라운드 자세로 유도하는 기술이다. 테이크다운을 성공한 그래플러는 유리한 포지션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던지기''': 상대방을 들어 올리거나 균형을 무너뜨려 공중으로 던지거나 바닥으로 넘어뜨리는 기술이다. 던지기의 목적은 그래플링 분야에 따라 다르며, 상대방을 무력화시키고 던지는 사람은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테이크다운 또는 제어 자세를 얻는 데 중점을 둔다.
  • '''스프롤''': 상대방이 테이크다운을 시도할 때 사용되는 방어 기술이다. 다리를 뒤로 뻗어 빠르게 펼치는 동작으로 수행되며, 제대로 수행하면 상대방의 등에 착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 '''서브미션''': 상대방을 질식시키는 초크와 관절이나 신체 부위에 부상을 입히는 관절기 두 종류가 있다. 스포츠 그래플링에서는 서브미션 기술에서 벗어날 수 없을 때, 말로 하거나 상대방을 탭하여 패배를 인정해야 한다. "탭 아웃"을 거부하는 경쟁자는 의식을 잃거나 심각한 부상의 위험이 있다.
  • '''제압 또는 제어 기술''': 핀은 상대방을 등에 대고 공격할 수 없는 자세로 고정하는 기술이다. 일부 경쟁 그래플링 스타일에서는 핀이 즉시 승리로 이어지며, 다른 스타일에서는 점수를 얻는 유리한 포지션으로 간주된다. 다른 제어 기술은 탈출이나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방을 엎드리게 하거나 네 발로 바닥에 엎드리게 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기술은 서브미션을 걸기 전에 사용될 수도 있다.
  • '''이스케이프''': 위험에서 벗어나거나 불리한 포지션에서 벗어나는 기술이다.
  • '''턴오버''': 상대방이 네 발로 기거나 엎드려 있을 때 점수를 얻거나 핀을 준비하거나 더 유리한 포지션을 얻기 위해 등을 보이도록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
  • '''리버설 또는 스윕''': 상대방이 그라운드에서 자신을 위에 두고 있을 때, 그래플러가 유리한 포지션을 얻을 수 있도록 조작하는 기술이다.


대회 주최자에 따라 규칙이 다른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한판승과 포인트제를 병용하며, 관절기·조르기에 의한 승부, 또는 테이크다운·포지셔닝·패스 가드·리버설 등에 주어지는 포인트에 의한 승부, 동점 포인트라면 판정에 의한 승부를 특징으로 한다.

에디 브라보는 주짓수 선수이면서 노기(No-Gi)의 선진성을 여러 번 주장하며, 장 자크 마차도 등 기(Gi)를 중시하는 주짓수 선수와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셰이크 타흐눈 빈 자예드 왕자가 사비로 개최하는 "ADCC 서브미션 파이팅 세계 선수권 대회 (통칭 아부다비 컴뱃)"가 그래플링 세계 최고봉의 대회로 알려져 있다.[13] 일본의 종합격투기 선수 키쿠타 사나에는 2001년 ADCC 88kg 미만급에서 우승했으며, 일본 그래플링의 제일인자로 여겨진다.

2010년 8월부터 9월에 걸쳐, 올림픽의 하부 대회인 제1회 스포츠 어코드 월드 컴뱃 게임즈(월드 게임즈의 격투기 버전)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그래플링에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여, 2013년에 국제 레슬링 연맹(FILA)은 레슬링 스타일에서 제외하고 판크라티온의 한 종목으로 취급한다.[11][12] 2015년에 논 올림픽 스타일 레슬링으로 부활했다.[12]

2. 1. 입식 그래플링

두 명의 레슬러의 대결.

스탠드업 그래플링은 두 명의 격투가들이 선 자세에서 싸움을 시작할 때 사용되는 모든 그래플링 및 클린치 파이팅 기술을 말한다. 방어적인 스탠드업 그래플링은 상대방의 고통 유발 기술과 그래플링 기술에서 벗어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공격적인 그래플링 기술은 서브미션 기술, 트래핑, 테이크다운 및 던지기 등을 포함한다. 스탠드업 그래플링은 타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타격하는 동안 상대의 팔을 잡거나, 상대가 효과적으로 타격할 수 없도록 거리를 조절하거나, 상대를 가까이 끌어들여 무릎 공격을 가할 수 있다.

격투 스포츠에서 스탠드업 그래플링은 주로 성공적인 테이크다운과 던지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래플링은 글리마의 주요 부분이며, 두 격투가가 모두 그라운드에 가게 되면 경기는 그라운드에서 계속된다. MMA와 같은 다른 무술 스포츠에서도 경기는 그라운드에서 계속될 수 있다.

2. 2. 그라운드 그래플링

thumb에서 누운 기술(''굳히기'')의 목표는 조르기, 관절 꺾기 또는 상대를 제압하는 것이다.]]

'''누운 상태의 그래플링'''은 그래플러가 더 이상 서 있는 자세가 아닐 때 적용되는 모든 그래플링 기술을 말한다. 누운 상태의 그래플링을 특징으로 하는 대부분의 무술과 격투 스포츠의 큰 부분은 위치 선정과 우세한 자세를 얻는 것이다. 우세한 자세(보통 위쪽)는 우세한 그래플러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일어서서 탈출을 시도하거나, 상대를 제어하고 지치게 하기 위해 제압하거나 홀드를 얻거나, 서브미션 홀드를 실행하거나, 상대를 공격하는 것이 포함된다. 반면에 하위 그래플러는 상황에서 벗어나 자세를 개선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윕 또는 리버설을 사용한다. 일부 종목, 특히 가드가 사용되는 종목에서는 하위 그래플러도 서브미션 홀드를 통해 아래에서 경기를 끝낼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상대방을 풀 가드에 묶어둘 수 있기 때문에 하위 자세에서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서브미션 때문에 더 자신감을 느낀다.[13]

2. 3. 기(Gi) 그래플링

도복을 입고 경기하는 방식으로, 도복을 잡고 기술을 거는 것이 허용된다. 유도, 브라질리언 주짓수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2010년 3월 27일과 28일에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제3회 그래플링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는데, 타카 쿠노우가 기 부문에서 우승하여 일본 선수 최초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11]

2. 4. 노기(No-Gi) 그래플링

"노기" 그래플링은 도복을 착용하지 않고 경기하는 방식이다. 상대방의 옷을 잡는 대신, 몸통과 머리 등 신체의 자연스러운 부분을 잡고 기술을 사용한다.[7] 노기 그래플링은 레슬링, 서브미션 그래플링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노기 경기에서는 선수들이 찰과상이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래쉬가드라는 셔츠를 상의에 착용하기도 한다.

국제 레슬링 연맹(FILA)은 2006년에 그래플링을 새로운 종목으로 인정했으며[11], 2007년에는 FILA 주최로 제1회 그래플링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3. 그래플링 기술

그래플링 기술은 크게 클린치, 테이크다운 및 던지기, 서브미션, 핀 또는 제압 기술, 스윕, 리버설, 턴오버, 이스케이프로 세분할 수 있다.


  • '''클린치''': 두 선수가 서서 상대방의 상체에 다양한 클린치 홀드를 걸어 수행한다. 클린치 기술은 던지기나 테이크다운을 시도하거나 방어하는 데 사용된다.
  • '''테이크다운''': 한 명의 그래플러가 서 있는 자세에서 상대방을 그라운드 자세로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테이크다운을 성공한 그래플러는 유리한 포지션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던지기''': 한 명의 그래플러가 상대방을 들어 올리거나 균형을 무너뜨려 공중으로 던지거나 바닥으로 넘어뜨리는 기술이다. 던지기의 목적은 그래플링 분야에 따라 다르며, 상대방을 무력화시키고 던지는 사람은 서 있는 상태로 유지하거나 테이크다운 또는 제어 자세를 얻는 데 중점을 둔다.
  • '''스프롤''': 상대방이 테이크다운을 시도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어 기술이다. 다리를 뒤로 뻗어 한 번에 빠르게 펼치는 동작으로 수행된다. 제대로 수행하면 상대방의 등에 착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 '''서브미션''': 상대방을 질식시키는 초크와 관절이나 신체 부위에 부상을 입히는 관절기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스포츠 그래플링에서는 서브미션에서 벗어날 수 없을 때, 말로 하거나 상대방을 탭하여 패배를 인정해야 한다. "탭 아웃"을 거부하는 경쟁자는 의식을 잃거나 심각한 부상의 위험이 있다.
  • '''제압 또는 제어 기술''': 핀은 상대방을 등에 대고 공격할 수 없는 자세로 고정하는 기술이다. 일부 경쟁 그래플링 스타일에서는 핀이 즉시 승리로 이어지며, 다른 스타일에서는 점수를 얻는 유리한 포지션으로 간주된다. 다른 제어 기술은 탈출이나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방을 엎드리게 하거나 네 발로 바닥에 엎드리게 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기술은 서브미션을 걸기 전에 사용될 수도 있다.
  • '''이스케이프''': 위험에서 벗어나거나 불리한 포지션에서 벗어나는 기술이다.
  • '''턴오버''': 상대방이 네 발로 기거나 엎드려 있을 때 점수를 얻거나 핀을 준비하거나 더 유리한 포지션을 얻기 위해 등을 보이도록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
  • '''리버설 또는 스윕''': 상대방이 그라운드에서 자신을 위에 두고 있을 때, 그래플러가 유리한 포지션을 얻을 수 있도록 조작할 때 발생한다.


종합격투기에서는 타격 기술을 제외하고, 유도에서 인정되는 관절기 대부분이 유효하다. 단, 힐 훅 등 일부 위험한 기술은 금지되어 있다.[10]

그래플링은 '''기'''(''Gi'', "주짓수 도복(기)"를 착용하는 규칙)와 '''노기'''(''No-Gi'', "주짓수 도복(기)"를 착용하지 않는 규칙)의 두 종류가 있다. 노기의 경우에도 상반신에 래쉬가드라고 불리는 찰과상 방지나 미끄럼 방지를 목적으로 한 셔츠를 착용한다.

3. 1. 클린치 (Clinch)



'''클린치'''는 상대방과 밀착하여 잡기 싸움을 하는 기술이다. 테이크다운, 던지기, 서브미션 기술 등의 공격을 준비하거나 방어하는 데 사용된다. 방어적인 클린치는 상대방의 고통 유발 기술에서 벗어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클린치는 타격과 함께 공격적, 방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격하는 동안 상대의 팔을 잡거나, 상대가 효과적으로 타격할 수 없도록 거리를 좁히거나, 상대를 가까이 끌어들여 무릎 공격을 가할 수 있다.

3. 2. 테이크다운 (Takedown)

선 자세에서 상대를 넘어뜨리는 기술이다. 방어적인 스탠드업 그래플링은 상대방이 시도할 수 있는 고통 유발 기술과 그래플링 기술에서 벗어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반면, 공격적인 그래플링 기술에는 서브미션 기술, 트래핑, 테이크다운, 던지기 등이 포함되며, 이는 심각한 피해를 입히거나 경기를 그라운드로 옮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격투 스포츠에서 스탠드업 그래플링은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테이크다운과 던지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8]

3. 3. 던지기 (Throw)



던지기는 상대를 들어 올려 던지는 기술이다. 유도, 레슬링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공격적인 그래플링 기술에는 테이크다운과 던지기가 포함된다.[9] 스탠드업 그래플링에서 던지기는 성공적인 테이크다운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3. 4. 서브미션 (Submission)

서브미션은 상대방의 항복을 받아내는 기술이다. 크게 조르기와 관절 꺾기로 나뉜다. 종합격투기에서는 타격기를 제외한 관절기 대부분이 유효하며, 유도에서 인정되는 관절기는 유효하다. 단, 힐 훅 등 일부 위험한 기술은 금지된다.[10]

3. 4. 1. 조르기 (Choke)

Choke영어는 상대방의 목을 압박하여 항복을 받아내는 그래플링 기술이다.

3. 4. 2. 관절 꺾기 (Joint Lock)

종합격투기에서는 타격 기술을 제외한 관절기 대부분이 유효하다. 유도에서 인정되는 관절기는 유효하며, 힐 훅 등 일부 위험한 기술은 금지되어 있다.[10]

3. 5. 포지션 잡기 (Positional Control)

누운 상태의 그래플링은 그래플러가 서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되는 모든 그래플링 기술을 말한다. 누운 상태의 그래플링을 특징으로 하는 대부분의 무술과 격투 스포츠에서는 위치 선정과 우세한 자세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우세한 자세(보통 위쪽)에 있는 그래플러는 일어서서 탈출, 상대 제압 및 지치게 하기, 서브미션 실행, 상대 공격 등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다. 반면에 아래쪽에 있는 그래플러는 스윕이나 리버설을 통해 상황에서 벗어나 자세를 개선하려 한다. 가드가 사용되는 일부 종목에서는 아래쪽 그래플러도 서브미션으로 경기를 끝낼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풀 가드에 상대를 묶어둘 수 있어 하위 자세에서 더 자신감을 갖기도 한다.

3. 5. 1. 스윕 (Sweep)

스윕은 불리한 포지션에서 유리한 포지션으로 역전하는 기술이다. 리버설이라고도 한다.[13] 주로 하위 그래플러가 상황에서 벗어나 자세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일부 종목, 특히 가드가 사용되는 종목에서는 하위 그래플러도 서브미션 홀드를 통해 아래에서 경기를 끝낼 수 있다.

3. 5. 2. 이스케이프 (Escape)

불리한 포지션에서 벗어나는 기술이다. 하위 그래플러는 상황에서 벗어나 자세를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윕 또는 리버설을 사용한다.

3. 5. 3. 턴오버 (Turnover)

Turnover영어는 상대방의 등을 바닥에 닿게 만드는 기술이다.

4. 주요 그래플링 종목 및 단체

그래플링은 타격 없이 기술을 사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경기이다. 자유형 레슬링에 서브미션을 더한 형태(서브미션 레슬링과 거의 동일)이며, 타격이 없는 종합격투기라고 할 수 있다. 대회 주최자에 따라 규칙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판승과 포인트제를 함께 사용한다. 관절기·조르기에 의한 승리, 또는 테이크다운·포지셔닝·패스 가드·리버설 등에 주어지는 점수로 승리하거나, 점수가 같으면 판정으로 승부를 결정한다.[13]

에디 브라보는 주짓수 선수이면서 노기(No-Gi)의 선진성을 여러 번 주장하였고, 장 자크 마차도 등 기(Gi)를 중시하는 주짓수 선수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미국 유학 중 브라질리언 주짓수에 매료된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셰이크 타흐눈 빈 자예드 왕자가 사비로 개최하는 "ADCC 서브미션 파이팅 세계 선수권 대회 (통칭 아부다비 컴뱃)"가 그래플링 세계 최고 권위의 대회로 알려져 있다.[13] 키쿠타 사나에는 2001년 ADCC 88kg 미만급에서 우승한 일본의 종합격투기 선수로, 일본 그래플링의 일인자로 여겨진다.

주요 그래플링 종목 및 단체는 다음과 같다.


  • ADCC 서브미션 파이팅 세계 선수권 대회(ADCC 서브미션 파이팅 세계 연맹 주최)
  • 그래플링 세계 선수권 대회(세계 레슬링 연합 주최)
  • 세계 노기 주짓수 선수권 대회(국제 브라질리언 주짓수 연맹 주최)
  • ADCC ASIA TRIAL (일본 레슬링 협회 주최)[14]
  • ADCC JAPAN CUP (ADCC JAPAN 주최)
  • 전일본 서브미션 아츠 레슬링 선수권 대회 (일본 서브미션 아츠 레슬링 연맹 주최)
  • FILA 전일본 그래플링 & 팡크라치온 선수권 대회 (FILA 일본 그래플링 & 팡크라치온 위원회 주최)
  • 전일본 노기 주짓수 선수권 (일본 브라질리언 주짓수 연맹 주최)
  • 전일본 그래플링 선수권 (ZST 주최)


여러 프로 종합격투기 단체에서 그래플링 규칙으로 경기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서 그래플링 규칙을 채택하고 있는 프로 단체는 다음과 같다.

  • 브라질리언 주짓수 - 일본 브라질리언 주짓수 연맹의 중추를 담당하는 IF-PROJECT 주최 프로 대회 "GI"(기)
  • QUINTET


다음 단체는 종합격투기 규칙 경기를 진행하는 한편, 별도로 그래플링 규칙 경기를 개최하고 있다.

  • PRIDE - PRIDE 컨텐더스 룰.
  • 프로페셔널 슈토 - 슈토 그래플링.
  • 판크라스 - 캐치 레슬링.
  • ZST - 그래플링 대회는 "GT-F"라는 대회명을 사용한다.
  • DEEP X - X가 붙으면 그래플링 경기가 된다.
  • DEEP JEWELS
  • 스맥걸 - SGG 룰.
  • CAGE FORCE
  • VALE TUDO JAPAN - VTJ 그래플러스 크라운.
  • RIZIN FIGHTING FEDERATION
  • IMPACT - 프로/아마추어 관계없이 참가하는 흥행.

5. 그래플링의 활용

그래플링 기술은 자기 방어 및 경찰의 법 집행에서 중요하게 활용된다. 자기 방어를 위해 가르치는 가장 일반적인 그래플링 기술은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탈출 기술과 고통 제어 기술이다.[4][5][6]

무에타이에서는 클린치 홀드로 알려진 더블 깃싸움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지만, 장기간의 그래플링은 선수들을 분리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반면 복싱, 킥복싱, 태권도, 가라테, 펜싱 등의 종목에서는 그래플링이 허용되지 않는다.

5. 1. 격투 스포츠

아마추어 레슬링, 유도, 브라질리언 주짓수와 같은 일부 격투 시스템은 타격을 허용하지 않고 그래플링 기술만을 사용한다.[4][5] 스모와 컴뱃 주짓수 같이 일부 그래플링 무술은 제한적인 타격(손바닥으로 치는 것)을 허용하기도 한다.[4][5] 반면 슈토종합격투기 시합에서는 그래플링과 타격이 모두 사용된다.[6]

MMA에서 그래플링은 필수적인 기술이다. 그래플링 기술은 타격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경기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합격투기에서는 타격 기술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관절기가 허용되지만, 힐 훅 등 일부 위험한 기술은 금지된다.

그래플링 경기는 착의 여부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뉜다.

  • '''기''' (''Gi'', 착의 격투기): "주짓수 도복(기)"를 착용하는 규칙
  • '''노기''' (''No-Gi'', "주짓수 도복(기)"를 착용하지 않는 규칙): 상반신에 래쉬가드(찰과상 방지 및 미끄럼 방지 목적의 셔츠)를 착용하기도 한다.


에디 브라보는 노기(No-Gi)의 선진성을 주장하며, 장 자크 마차도 등 기(Gi)를 중시하는 주짓수 선수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미국 유학 중 브라질리언 주짓수에 매료된 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의 셰이크 타흐눈 빈 자예드 왕자가 사비로 개최하는 "ADCC 서브미션 파이팅 세계 선수권 대회"는 그래플링 세계 최고봉의 대회로 알려져 있다.[13]

여러 프로 종합격투기 단체에서 그래플링 규칙 경기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프로 단체들은 다음과 같다.

  • 브라질리언 주짓수 - 일본 브라질리언 주짓수 연맹의 중추를 담당하는 IF-PROJECT 주최 프로 대회 "GI"(기)
  • QUINTET


다음 단체는 종합격투기 규칙 경기와 함께 그래플링 규칙 경기를 개최한다.

  • PRIDE - PRIDE 컨텐더스 룰.
  • 프로페셔널 슈토 - 슈토 그래플링.
  • 판크라스 - 캐치 레슬링.
  • ZST - 그래플링 대회는 "GT-F"라는 대회명을 사용한다.
  • DEEP X - X가 붙으면 그래플링 경기가 된다.
  • DEEP JEWELS
  • 스맥걸 - SGG 룰.
  • CAGE FORCE
  • VALE TUDO JAPAN - VTJ 그래플러스 크라운.
  • RIZIN FIGHTING FEDERATION
  • IMPACT - 프로/아마추어 관계없이 참가하는 흥행.

5. 2. 자기 방어

그래플링 기술과 그래플링 기술에 대한 방어는 자기 방어 및 경찰의 법 집행에서도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자기 방어를 위해 가르치는 가장 일반적인 그래플링 기술은 기술에서 벗어나는 탈출 기술과 고통 제어 기술의 적용이다.[4][5][6]

5. 3. 법 집행

경찰관을 비롯한 법 집행 기관에서는 용의자를 체포하고 제압하기 위해 그래플링 기술을 훈련한다. 이들은 상대방에게 부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제압할 수 있는 고통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훈련한다.[4][5][6]

6. 한국 그래플링의 역사와 현황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그래플링' 문서의 '한국 그래플링의 역사와 현황' 섹션 내용을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О грэпплинге https://rusgrappling[...]
[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pitt.edu[...] 2019-06-05
[3] 웹사이트 Judo Self-Defense Forms: Goshin Jutsu http://judoinfo.com/[...] 2011-07-10
[4] 웹사이트 Sumo Wrestling: Practical Techniques for the Martial Artist https://www.grapplea[...] 2013-04-05
[5] 웹사이트 What is Combat Jiu-Jitsu? https://www.bjj-spot[...] 2018-01-30
[6] 서적 Warriors of the 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 Citadel Press Inc. 2004-12-01
[7] 웹사이트 The Judo Rank System - Belts http://judoinfo.com/[...] 2009-07-31
[8] 웹사이트 Why Grappling is Great for Kids https://cagefitgyms.[...] 2019-04-15
[9] 웹사이트 NAGA Submission Grappling, BJJ Tournaments & Reality Fighting - NagaFighter.com http://www.nagafight[...] 2013-01-17
[10] 뉴스 Grind - India's first professional grappling tournament http://samagya.in/ep[...] 2017-05-09
[11] 뉴스 レスリング改革で脚光「グラップリング」五輪競技入りあるか https://web.archive.[...] 2014-12-17
[12] 보도자료 富山英明理事が5人の“最高審判”へ、女子シングレットはセパレート・タイプもありうる?…UWW理事会 http://www.japan-wre[...] 公益財団法人日本レスリング協会 2015-01-18
[13] 웹사이트 【Fight&Lifeコラム】ZUFFA & ADCC/高島学 http://www.fnlweb.co[...] 2010-02-28
[14] 웹사이트 ISAMI reversal present ADCCアジア予選(ASIA TRIAL)2013 http://www.adccj.com[...]
[1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pitt.edu[...] 2019-06-05
[16] 웹인용 Judo Self-Defense Forms: Goshin Jutsu http://judoinfo.com/[...] 2011-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