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라조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라조프는 러시아 우드무르트 공화국에 위치한 도시로, 1678년 글라조보라는 마을로 처음 기록되었다. 1780년 예카테리나 2세의 지방 개혁으로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19세기 말 시베리아 철도가 지나가면서 농산물 거래와 수송이 발전했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공업화가 진행되었고, 러시아 내전 중 군사적으로 중요한 도시였다. 현재는 체페츠크 기계 공장이 위치하여 우라늄, 지르코늄, 칼슘 금속을 생산하며, 5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드무르트 공화국 - 우드무르트인
우드무르트인은 러시아 우드무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는 핀우고르계 민족으로, 우드무르트어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지만 최근 인구가 급감하고 있다. - 우드무르트 공화국 -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우드무르티야 공화국은 동유럽 평원의 카마강과 뱟카강 사이에 위치한 러시아의 공화국으로, 러시아인과 우드무르트인이 주요 민족을 이루며, 1920년 자치주에서 1990년 공화국으로 승격되었고, 습한 여름과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 기후를 가지며, 주민들은 러시아 정교회, 샤머니즘 또는 무종교를 믿는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중국, 북한과 국경을 접하며, 주도는 블라디보스토크이고, 온대 습윤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이며, 수산업, 기계 제작, 광업 등이 발달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글라조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도시 이름 | 글라조프 |
현지 이름 (우드무르트어) | 글라스 (Glaz) |
기타 이름 (우드무르트어) | 글라스카르 (Glazkar) |
행정 | |
국가 | 러시아 |
연방 주체 | 우드무르트 공화국 |
도시 지위 | 공화국 직할 도시 |
자치구 | 글라조프 도시 자치구 |
군 | 글라좁스키 군의 행정 중심지 |
수장 | |
수장 직함 | 수장 |
수장 이름 | 알렉산드르 베르시닌 |
역사 | |
최초 언급 | 17세기 |
도시 지위 획득 | 1780년 |
통계 | |
2010년 인구 조사 | 95,854명 |
인구 순위 | 러시아 내 179위 |
지리 및 위치 | |
좌표 | 58° 08′ N 52° 40′ E |
상징 | |
![]() | |
![]() |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427620–427622, 427624–427632, 427649 |
지역 번호 | 34141 |
웹사이트 | 글라조프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세기 말, 철도가 글라조프를 지나가게 되었고, 이후 시베리아 철도로 향하는 열차가 다니게 되었다.[1]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철도를 이용한 농산물 거래와 수송이 발전하기 시작했고,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공업화가 이루어졌다.[1] 20세기 후반에는 근교에 조립식 주택 단지가 널리 건설되었다.[1] 그러나 중심부는 1780년 도시가 되었을 당시의 신고전주의적인 도시 계획에 따른 가로가 남아 있으며, 전통적인 목조 주택도 많이 남아 있다.[1]
2. 1. 초기 역사
글라조프는 17세기 연대기에서 처음 마을로 언급되었으며, 1780년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1] 러시아 내전 동안 이 도시는 상당한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다. 1919년 6월 2일, 콜차크의 장군 아나톨리 페펠랴예프에 의해 점령되었다.[1]글라조프에 대한 기록은 1678년에 처음 나타났으며, 당시에는 글라조보라는 마을이었고, 글라조프라는 현지 명가의 이름을 따서 지은 지명이었다.[1]
예카테리나 2세의 지방 개혁 중인 1780년에 글라조프는 시의 지위를 얻었다.[1] 당시에는 뱌트카 현에 속했다.[1] 당시 인구는 천 명에 미치지 못했고, 중요하지 않은 시골 마을 시기가 길게 이어졌다.[1] 이 때문에 유배지로도 사용되었으며, 19세기 말의 작가 블라디미르 코롤렌코는 1880년대에 정치범으로 유배되어 이곳에 거주했다.[1]
2. 2. 도시 승격과 발전
글라조프는 17세기 연대기에서 처음 마을로 언급되었으며, 1780년 예카테리나 2세의 지방 개혁 과정에서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1] 러시아 내전 동안 이 도시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919년 6월 2일, 콜차크의 장군 아나톨리 페펠랴예프에게 점령되기도 했다.[1]글라조프에 대한 기록은 1678년에 처음 나타났는데, 당시에는 글라조보라는 마을이었으며, 글라조프라는 현지 명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1780년 예카테리나 2세의 지방 개혁으로 글라조프는 시의 지위를 얻었고, 당시 뱌트카 현에 속했다.[1] 당시 인구는 천 명이 채 되지 않았고, 오랫동안 중요하지 않은 시골 마을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유배지로도 사용되었는데, 19세기 말 작가 블라디미르 코롤렌코는 1880년대에 정치범으로 유배되어 이곳에서 거주했다.[1]
19세기 말, 철도가 글라조프를 지나가게 되었고, 이후 시베리아 철도로 향하는 열차가 다니게 되었다.[1]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철도를 이용한 농산물 거래와 수송이 발전하기 시작했고,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공업화가 이루어졌다.[1] 20세기 후반에는 조립식 주택 단지가 근교에 널리 건설되었다.[1] 그러나 중심부는 1780년 도시가 되었을 당시의 신고전주의적인 도시 계획에 따른 가로가 남아 있으며, 전통적인 목조 주택도 많이 남아 있다.[1]
2. 3. 러시아 내전 시기
러시아 내전 당시 글라조프는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1919년 6월 2일, 콜차크의 장군 아나톨리 페펠랴예프가 이 도시를 점령했다.[1]2. 4. 소비에트 연방 시기
19세기 말에 철도가 지나갔고, 후에 시베리아 철도로 향하는 열차가 다니게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철도를 이용한 농산물 거래와 수송으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공업화가 진행되었다. 20세기 후반에는 조립식 주택 단지가 근교에 널리 퍼졌다. 그러나 중심부는 1780년에 시가 되었을 당시의 신고전주의적인 도시 계획에 따른 가로가 남아 있으며, 전통적인 목조 주택도 많이 남아 있다.3. 행정 구역 및 지위
지방 자치체로서 글라조프는 '''글라조프 도시 자치구'''로 통합된다.[4]
3. 1. 행정 중심지
행정 구역 틀 내에서 글라조프는 글라조프스키 구의 일부는 아니지만, 글라조프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3] 행정 구역으로서, 글라조프는 별도로 '''공화국 중요 도시'''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3]3. 2. 공화국 중요 도시
행정 구역 틀 내에서 글라조프는 글라조프스키 구에 속하지 않지만, 글라조프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3] 행정 구역으로서 글라조프는 별도로 '''공화국 중요 도시'''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3]3. 3. 도시 자치구
러시아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글라조프는 글라조프스키 구의 일부는 아니지만, 글라조프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3] 행정 구역으로서 글라조프는 별도로 공화국 중요 도시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3] 지방 자치체로서, 공화국 중요 도시인 글라조프는 '''글라조프 도시 자치구'''로 통합된다.[4]4. 경제
글라조프는 우라늄, 지르코늄, 칼슘 금속의 러시아 주요 생산 업체인 체페츠크 기계 공장으로 유명하다. 기계 제작 외에도 목공, 의류, 식품 산업이 발달해 있다. 주요 기업은 체페츠키 기계 공장이며, 그 외에는 기계 공업과 건자재 공업 등이 입지해 있다.[1]
4. 1. 체페츠크 기계 공장
글라조프는 핵발전소, 군사 및 우주 기술용 우라늄, 지르코늄, 칼슘 금속의 러시아 주요 생산 업체인 체페츠크 기계 공장(러시아어: Чепецк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으로 유명하다. 이 회사는 농축 우라늄 등 핵연료를 제조하고 있다.4. 2. 기타 산업
글라조프는 핵발전소, 군사 및 우주 기술용 우라늄, 지르코늄, 칼슘 금속의 러시아 주요 생산 업체인 '체페츠크 기계 공장'(러시아어: Чепецк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으로 유명하다. 기계 제작 외에도 목공, 의류, 식품 산업이 발달해 있다.체페츠키 기계 공장은 농축 우라늄 등 핵연료를 제조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계 공업과 건자재 공업 등이 입지해 있다.
5. 교육
5. 1. 주요 교육 기관
블라디미르 코롤렌코의 이름을 딴 글라조프 국립 사범대학과 이жев스크 국립 기술 대학교의 글라조프 분교를 포함하여 5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6. 유명 인물
- 올가 크니페르: 배우이자 안톤 체호프의 아내이다.
- 뱌체슬라프 나고비친: 정치인이다.
- 타티야나 바라므지나: 소련 영웅이다.
- 엘리자베타 툭타미셰바: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6. 1. 블라디미르 코롤렌코
블라디미르 코롤렌코의 이름을 딴 글라조프 국립 사범대학이 글라조프에 있다.참조
[1]
법률
Law #75-RZ
[2]
인구조사
2010Census
[3]
법률
Law #46-RZ
[4]
법률
Law #56-RZ
[5]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