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리 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로리 로드는 2005년 출간된 돈 하킨스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로, 1966년 텍사스 웨스턴 대학교 농구팀의 우승 이야기를 다룬다. 흑인 선수 5명을 선발하여 논란을 일으켰지만, 돈 하킨스 코치는 팀을 이끌고 NCAA 토너먼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인종차별에 맞서는 모습을 그렸다. 영화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ESPY 어워드에서 최우수 스포츠 영화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패소의 스포츠 - 엘패소 버자즈
엘패소 버자즈는 1996년부터 2003년까지 엘패소 카운티 콜리시엄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 텍사스주 엘패소 연고의 아이스하키 팀이다. - 엘패소의 스포츠 - 엘패소 카운티 콜리시엄
엘패소 카운티 콜리시엄은 1942년 헌당 이후 엘패소 주요 행사 장소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중 포로 수용소, 멕시코 노동자 숙소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유명 아티스트 공연, 시설 개보수, 정치 집회 논란 등 다양한 역사를 가진 시설이다. - 특정 미국 사람을 소재로 한 작품 - 프라이머리 컬러스
1998년 개봉한 정치 드라마 영화 《프라이머리 컬러스》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선거 캠프를 배경으로 정치적 갈등, 스캔들, 인간적 고뇌를 그리며 평론가들의 긍정적 평가와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 지명에 올랐다. - 특정 미국 사람을 소재로 한 작품 - 어댑테이션
2002년 개봉한 영화 어댑테이션은 수잔 올리언의 소설 《난초 도둑》을 각색하는 찰리 카우프만의 고뇌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로, 니콜라스 케이지, 메릴 스트립 등이 출연하고 크리스 쿠퍼가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미국의 농구 영화 - 코치 카터
《코치 카터》는 켄 카터 감독이 이끄는 리치먼드 고등학교 농구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2005년 미국 영화로, 사무엘 L. 잭슨이 연기한 카터 감독의 엄격한 교육 방식과 선수들의 성장, 그리고 승리보다 중요한 가치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미국의 농구 영화 - 식스맨 (영화)
《식스맨》은 1997년 개봉한 스포츠 코미디 영화로, 형제 앙투안과 케니 타일러가 농구를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앙투안의 유령 도움과 갈등을 거쳐 케니가 결승 슛을 성공시키며 팀을 우승으로 이끈다.
글로리 로드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Glory Road |
감독 | 제임스 가트너 |
제작 | 제리 브룩하이머 |
각본 | 크리스 클리블랜드 베티나 지로이스 |
출연 | 조시 루커스 데릭 루크 존 보이트 |
음악 | 트레버 라빈 |
촬영 | 존 툰 제프리 L. 킴벌 |
편집 | 존 라이트 제이슨 헬먼 |
제작사 | 월트 디즈니 픽처스 제리 브룩하이머 필름스 텍사스 웨스턴 프로덕션 글로리 로드 프로덕션 |
배급사 | 브에나 비스타 픽처스 배급 |
개봉일 | 2006년 1월 13일 |
상영 시간 | 118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3천만 달러 |
흥행 수익 | 4290만 달러 |
2. 출연
이 영화에는 조시 루커스, 데릭 루크, 오스틴 니컬스, 존 보이트 등 여러 배우가 출연하였다. 주요 배역과 담당 배우는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주연

배역 | 배우 |
---|---|
돈 하스킨스 | 조시 루커스 |
바비 조 힐 | 데릭 루크 |
제리 암스트롱 | 오스틴 니컬스 |
아돌프 럽 | 존 보이트 |
메리 하스킨스 | 에밀리 데이셔넬 |
로스 무어 | 레드 웨스트 |
모 이바 | 에번 존스 |
데이비드 라틴 | 신 A.S. 커 |
오스턴 아티스 | 앨폰소 매콜리 |
해리 플라워노이 | 머카드 브룩스 |
윌리 워슬리 | 샘 존스 3세 |
윌리 케이거 | 더메인 래드클리프 |
네빌 셰드 | 앨 시어러 |
월티나 "티나" 말리치 | 타티아나 알리 |
웨이드 리처드슨 | 윌버 피츠제럴드 |
존 앤더슨 | 디노 웰스 |
토고 릴리 | 킵 위크스 |
딕 마이어 | 미치 에이킨스 |
데이비드 팔라시오 | 알레한드로 D. 에르난데스 |
루이스 보도인 | 제임스 올리버드 |
2. 2. 기타 제작진
wikitext역할 | 담당자 |
---|---|
협력 제작 | 팻 샌드스턴 |
배역 | 크레이그 핀캐넌, 리사 메이 핀캐넌, 마크 핀캐넌, 로나 크레스 |
미술 | 제프리 커클런드 |
세트 | 도리 쿠퍼 |
의상 | 앨릭스 프리드버그 |
1960년대 미국, 인종차별이 만연했던 시기, 텍사스 대학교 엘패소의 신임 남자 농구 코치 돈 하킨스는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NCAA 선수권 대회 우승을 목표로 인종에 구애받지 않고 최고의 선수들을 모아 팀을 꾸린다. 특히 다수의 흑인 선수를 영입한 결정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이었으며, 하킨스는 엄격한 훈련을 통해 팀을 하나로 만들어나간다.
3. 줄거리
시즌이 진행되면서 텍사스 웨스턴 팀은 뛰어난 성적을 거두지만, 동시에 흑인 선수들을 향한 노골적인 인종차별과 위협에 시달린다. 선수들은 이러한 외부의 압박과 공포 속에서도 경기를 치러나가며 NCAA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한다.
토너먼트 결승에서 텍사스 웨스턴은 전원 백인 선수로 구성된 강호 켄터키 와일드캐츠 농구팀과 만난다. 하킨스 코치는 이 역사적인 경기에서 선발 라인업 전원을 흑인 선수로 내세우는 과감한 결정을 내린다. 경기 중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텍사스 웨스턴 선수들은 뛰어난 경기력으로 켄터키를 꺾고 72-65로 승리하며 NCAA 챔피언에 오른다. 이들의 우승은 단순한 스포츠의 승리를 넘어, 미국 사회의 인종차별에 맞선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3. 1. 배경
1960년대 미국은 백인 우월주의가 사회 전반에 퍼져 있었고, 특히 대학교 농구계에서는 흑인 선수에 대한 차별이 심했다. 당시에는 흑인 선수를 홈 경기에서는 1명, 원정 경기에서는 2명, 그리고 지고 있는 상황에서만 최대 3명까지 출전시킬 수 있다는 암묵적인 규칙이 존재했다.
3. 2. 돈 해스킨스의 부임과 선수 구성
돈 하킨스는 텍사스주 엘파소에 위치한 텍사스 웨스턴 대학교(당시 텍사스 웨스턴 칼리지) 남자 농구팀의 신임 헤드 코치로 부임했다.[1] 대학의 재정 지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하킨스는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을 목표로 인종에 관계없이 최고의 선수들을 영입하고자 했다.[1] 당시 미국 대학 농구계에는 흑인 선수의 출전 인원을 암묵적으로 제한하는 인종 차별적 관행(백인 우월주의)이 존재했지만,[2] 하킨스는 이에 얽매이지 않고 뉴욕, 인디애나주 등 미국 각지에서 재능 있는 흑인 선수 7명을 스카우트했다. 이들은 바비 조, 데이비드 라틴, 오스틴 아티스, 해리 플러노이, 윌리 워슬리, 윌리 케이저, 네빌 셰드였다.[2]
그 결과, 텍사스 웨스턴 광부 팀은 흑인 선수 7명과 백인 선수 5명으로 구성되었으며,[1][2] 이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구성으로 대학 관계자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1] 하킨스는 선수들에게 수비와 볼 배분 등 기본기에 충실할 것을 강조하고 엄격한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했다.[1][2] 그는 화려하고 개인적인 플레이를 금지하고,[2] 규율을 따르지 않거나 훈련에 성실히 임하지 않는 선수는 팀에서 제외하겠다고 선언하며 팀을 하나로 통합하려 노력했다.[1]
3. 3. 훈련과 갈등
돈 하킨스는 텍사스 웨스턴 칼리지의 남자 농구팀 헤드 코치로 부임했다. 엘파소에 위치한 이 대학은 재정 지원이 부족했기에, 하킨스는 NCAA 선수권 대회 우승을 목표로 인종에 상관없이 최고의 선수들을 영입하고자 했다. 그는 뉴욕, 인디애나 등지에서 바비 조, 데이비드 라틴, 오스틴 아티스, 해리 플로노이, 윌리 워즐리, 윌리 케이저, 네빌 셰드 등 유능한 흑인 선수 7명을 스카우트했다. 그 결과 텍사스 웨스턴 마이너스 팀은 백인 선수 5명과 흑인 선수 7명으로 구성되었고, 이는 대학 관계자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하킨스는 선수들에게 혹독한 훈련을 시켰으며, 화려하고 개인적인 플레이보다는 기본에 충실한 수비와 팀워크, 볼 배분을 강조했다. 또한 여자 문제, 술, 밤샘 등을 금지하고 농구에만 집중할 것을 요구했으며, 훈련 강도를 따라오지 못하는 선수는 팀에서 제외하겠다고 압박하며 팀을 하나로 묶으려 노력했다.
평범한 지역 팀들을 상대로 초반 승리를 거두면서, 하킨스는 흑인 선수들에게 코트 위에서 더 많은 자유를 부여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나 팀이 화려한 플레이 스타일로 승수를 쌓아가자, 당시 대학 농구계에서는 드물었던 노골적인 인종적 증오가 팀을 향해 쏟아지기 시작했다. 하킨스 감독의 가족에 대한 위협, 원정 경기 중 선수 폭행 사건이 발생했으며, 급기야 원정 숙소의 선수들 방이 인종차별주의자들에 의해 난입당해 파손되고 벽에 피로 모욕적인 글귀가 적히는 사건까지 벌어졌다.
점점 커지는 위협과 공포 속에서 선수들은 불안감을 느꼈고, 특히 흑인 선수들은 위축되어 열정적인 플레이를 주저하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진 시애틀 대학교와의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팀은 시즌 첫 패배를 당했다. 텍사스 웨스턴 마이너스 팀은 1966년 정규 시즌을 23승 1패의 성적으로 마감하고, 1966년 NCAA 토너먼트에 전국 랭킹 2위로 진출하게 되었다.
3. 4. NCAA 토너먼트와 결승전
텍사스 웨스턴 마이너스 농구팀은 1966년 정규 시즌을 23승 1패로 마감하고, NCAA 토너먼트에 전국 랭킹 2위로 진출했다.[1][2]
지구 결승전에서는 캔자스 대학교와 맞붙었다. 이 경기에는 캔자스 대학교의 스타 선수인 조 조 화이트가 출전했다. 경기는 바비 조 힐과 조 조 화이트의 가드 대결 양상으로 흘러갔으며, 돈 해스킨스 코치는 제리 암스트롱에게 조 조 화이트를 수비하도록 지시했다. 경기는 치열한 접전 끝에 2차 연장까지 이어졌다. 첫 연장 종료 직전, 윌리 케이저의 알리웁으로 동점이 되었고, 두 번째 연장 종료 직전에는 데이비드 라틴의 알리웁이 성공하는 듯했으나 골대에 매달렸다는 판정으로 테크니컬 파울이 선언되었다. 조 조 화이트가 자유투 2개를 모두 성공시켜 다시 동점이 되었다. 경기 막판, 캔자스 대학교의 공격 상황에서 조 조 화이트의 슛이 성공한 것처럼 보였으나, 슛 이전에 라인을 밟았다는 판정으로 무효 처리되면서 텍사스 웨스턴 마이너스가 극적으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2]
1966년 NCAA 대학부 농구 선수권 결승전은 메릴랜드주 컬리지 파크에서 열렸다. 상대는 당시 4번의 우승 경험을 가진 전설적인 코치 아돌프 럽이 이끄는 켄터키 대학교였다. 켄터키 팀은 루이 댐피어와 팻 라일리 등 전원 백인 선수들로 구성된 강팀이었으며, 럽 코치는 텍사스 웨스턴의 승리 가능성을 낮게 보았다.[1][2] 경기 전날 밤, 해스킨스 코치는 팀 미팅에서 결승전에는 7명의 흑인 선수들만으로 경기를 치를 것이라고 발표했다. 선발 라인업 전원을 흑인 선수로 구성하는 것은 당시로서는 전례 없는 결정이었다.[1][2]
경기 시작과 함께 해스킨스는 라틴에게 팻 라일리 위로 덩크를 성공시키라고 지시했고, 라틴은 이를 성공시켰다. 그러나 경기 초반, 팀의 핵심 리바운더인 주장 해리 플로노이가 부상으로 코트를 떠나고, 센터 데이비드 라틴마저 파울 트러블에 걸리며 텍사스 웨스턴은 위기를 맞았다.[1][2]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바비 조 힐의 결정적인 스틸 두 개로 동점을 만들었고, 전반전은 텍사스 웨스턴이 근소하게 앞선 채 마무리되었다.[1][2]
후반전에 켄터키 대학교가 반격에 나서며 역전했지만, 해스킨스는 파울 4개인 라틴을 다시 투입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그는 바비 조 힐에게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말고 팀 전체가 함께 싸울 것을 주문했다. 선수들은 득점을 쌓아가며 추격했고, 경기 종료 2분을 남기고 3점 차 리드를 잡았다. 마지막 18초를 남기고 켄터키의 공격 상황에서 바비 조 힐이 다시 한번 스틸에 성공했고, 이어진 공격에서 라틴이 덩크슛을 성공시키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최종 스코어 72-65로 텍사스 웨스턴 마이너스가 승리하며 NCAA 전국 챔피언에 등극했다.[1][2] 이 역사적인 승리 이후, 아돌프 럽 코치는 흑인 선수들에 대한 자신의 기존 생각을 재고하게 되었고, 이후 켄터키 대학교 농구팀에도 흑인 선수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1]
3. 5. 우승과 그 이후
1966년 NCAA 대학부 농구 선수권 결승전은 메릴랜드주 컬리지 파크에서 열렸다. 텍사스 웨스턴 마이너스 팀의 상대는 당시 최고의 명장으로 꼽히던 아돌프 럽 감독이 이끄는 켄터키 대학교였다. 켄터키 팀은 루이 댐피어와 팻 라일리 등 전원 백인 선수로 구성된 최강팀으로 평가받았으며, 럽 감독은 텍사스 웨스턴 팀이 승산이 없다고 여겼다.[1][2]
경기 전날 밤, 돈 하킨스 감독은 역사적인 결정을 내렸다. 결승전에는 선발 5명을 포함해 오직 흑인 선수 7명만 기용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이는 당시 인종차별이 만연했던 미국 사회와 대학 농구계에 큰 파장을 일으킬 만한 결정이었다.[2]
경기 시작과 함께 데이비드 라틴은 팻 라일리 위로 강력한 덩크를 성공시키며 기선을 제압했다.[2] 하지만 경기 초반, 팀의 주장이자 포워드인 해리 플로노이가 부상으로 코트를 떠나고, 센터 라틴마저 파울 트러블에 걸리며 위기를 맞았다.[1][2]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바비 조의 결정적인 스틸 두 개에 힘입어 동점을 만들었고, 전반전을 근소하게 앞선 채 마쳤다.[1][2]
후반 들어 켄터키의 반격에 역전을 허용하고 라틴이 4번째 파울을 범하며 다시 위기에 몰렸지만, 하킨스 감독은 선수들에게 팀플레이를 강조하며 추격을 독려했다.[2] 텍사스 웨스턴 선수들은 뛰어난 스틸, 리바운드, 패스 능력을 선보이며 점수 차를 좁혔고, 경기 막판 다시 리드를 잡았다.[1] 종료 18초 전, 바비 조가 다시 한번 결정적인 스틸에 성공했고, 이어진 공격에서 라틴이 쐐기 덩크를 성공시키며 최종 스코어 72-65로 승리, NCAA 전국 챔피언에 등극했다.[1][2]
텍사스 웨스턴 마이너스 팀의 우승은 단순한 스포츠 경기의 승리를 넘어, 인종차별에 맞선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흑인 선수들만으로 백인 강호 팀을 꺾은 이 사건은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대학 농구계의 인종 통합을 앞당기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선수단은 엘파소로 돌아와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1] 켄터키의 아돌프 럽 감독 역시 이 경기를 통해 흑인 선수들에 대한 자신의 편견이 틀렸음을 인정하고, 이후 켄터키 대학 농구팀에 흑인 선수 영입을 허용하는 정책 변화를 이끌었다.[1]
4. 제작 과정
영화 ''글로리 로드''는 돈 하킨스 감독의 자서전에 기록된 텍사스 웨스턴 대학교 농구팀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1966년 NCAA 챔피언십 우승이라는 역사적인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3][4] 주요 촬영은 실제 사건의 배경이 된 텍사스 대학교 엘패소(과거 텍사스 웨스턴 칼리지)와 루이지애나의 여러 장소에서 진행되었다. 영화 제작 과정에서는 역사적 사실의 각색과 특정 인물 및 집단의 묘사를 둘러싸고 일부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5][6]
4. 1. 실화 바탕
영화 ''글로리 로드''는 텍사스 웨스턴 대학교의 감독 돈 하킨스가 2005년 하이페리온 북스에서 출간한 동명의 자서전에서 묘사한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이 책은 하킨스의 선수 시절 (흑인 친구와의 일대일 경기를 통해 시야가 넓어진 이야기 포함)과 여자 농구 코치로서의 초기 삶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책은 1966년 텍사스 웨스턴 남자 농구팀과 챔피언십 이후의 상황에 초점을 맞춘다. 이 책은 출간 후 4개월 동안 다섯 번이나 재쇄되었으며, 뉴욕 타임스 북 리뷰에서 "편집자 선택"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글로리 로드''는 1966년 NCAA 챔피언십을 기념하기 위해 이름이 변경된 선 볼 근처 UTEP 캠퍼스의 한 거리의 이름이기도 하다.하킨스는 흑인 선수 5명을 선발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나중에 질문을 받자, 자신의 결정의 중요성을 축소했다. "저는 흑인 5명을 선발해야겠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냥 코트에 제 최고의 선수 5명을 내보내고 싶었을 뿐입니다. 저는 그저 경기에 이기고 싶었습니다."[3] 그는 미국 남부에서 대학 농구팀의 인종 차별 폐지를 진전시킨 것으로 평가받았지만, 자신의 책에서 "저는 분명히 어떤 인종 개척자가 되거나 세상을 바꾸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습니다."라고 썼다.[4]
덩크슛은 1967년부터 1976년까지 NCAA에서 금지되었는데, 텍사스 웨스턴 팀과 UCLA 선수 르윈 앨신더(나중에 카림 압둘자바로 더 잘 알려짐)의 성공도 그 이유 중 하나였다. 앨신더는 당시 NCAA에서 처음으로 선수 자격을 얻었다.
엔딩 크레딧 다음에는 텍사스 웨스턴 팀의 실제 선수들과의 인터뷰 장면이 나오는데, 여기에는 NCAA 결승에서 텍사스 웨스턴에 패한 상대팀인 켄터키 대학교의 선수와 NBA의 감독 팻 라일리도 포함되어 있다. 실제 돈 하킨스는 영화에서 주유소 직원 엑스트라로, 데이비드 라틴은 군대 바텐더 엑스트라로 출연했다.
1966년 팀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선수 이름 |
---|
데이비드 라틴 |
바비 조 힐 |
윌리 케이거 |
윌리 워슬리 |
제리 암스트롱 |
오스텐 아티스 |
네빌 셰드 |
해리 플로이 |
토고 레이리 |
루이스 보도인 |
딕 마이어스 |
데이비드 팔라시오 |
팀 전체는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돈 하킨스 코치가 이미 헌액된 지 10년 후인 2007년 9월 7일에 헌액되었다.
이 영화는 텍사스 웨스턴이 치렀던 중요한 경기를 생략했다. 1966년 3월 18일, 마이너스는 파이널 포에서 유타를 85-78로 꺾고 다음 날 밤에 열리는 전국 선수권 대회에 진출했다. 영화에서는 팀이 지역 결승에서 캔자스와 경기를 하고 다음 경기가 전국 선수권 대회였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5] 또한, 힐이 켄터키에서 두 번 연속 공을 가로채는 장면을 켄터키가 4점 차로 앞서고 있는 것처럼 묘사했지만, 실제로는 마이너스가 16-11로 앞서게 된 결과였다(우연히도 텍사스 웨스턴은 경기 나머지 시간 동안 한 번도 뒤지지 않았다).[6]
4. 2. 촬영
이 영화의 여러 장면은 과거 텍사스 웨스턴 칼리지였던 텍사스 대학교 엘패소(UTEP)와 엘패소 고등학교에서 촬영되었다. 다른 장면들은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 사우스이스턴 루이지애나 대학교(햄먼드), 뉴올리언스 예수회 고등학교, 과거 F. T. 니콜스 고등학교였던 더글러스 고등학교, 그리고 샬멧 고등학교(샬멧)에서 촬영되었다.영화 속 IHOP 장면은 뉴올리언스 바로 서쪽에 위치한 에어라인 하이웨이의 오래된 에어라인 모터스 식당에서 촬영되었다. 영화 초반 포트워스에서 여자 농구 경기가 열리는 학교 장면은 실제로는 엘패소 고등학교의 정문이며, 기둥 꼭대기에 새겨진 조각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점심시간 농구 쓰레기통 장면은 뉴올리언스에 흑인들을 위해 처음 지어진 고등학교인 부커 T. 워싱턴 고등학교에서 촬영되었다.
영화 초반 텍사스 웨스턴 칼리지 장면에서는 웰스파고 플라자와 엘패소 시내의 체이스 뱅크 빌딩이 배경으로 보이는데, 웰스파고 플라자는 1971년에 완공되었고, 체이스 뱅크 빌딩은 1990년대 초까지 텍사스 커머스 은행 건물이었다.
전 댈러스 스타스의 경기 실황 중계 아나운서였던 랄프 스트랭기스가 코트사이드 방송인 역할로 작은 배역을 맡았다. 배우 벤 애플렉은 원래 돈 하스킨스 코치 역할로 캐스팅되었으나, 이전 약속 때문에 참여하지 못했다. NBA 포인트 가드 커크 힌리치 역시 영화 출연 제안을 받았지만 "시간 제약 때문에" 거절했다.[7]
텍사스 웨스턴과 시애틀 대학교 농구 경기 방송 장면에서는 아나운서들이 엘패소 방송국 KTSM 대신 플로리다주 탤러해시에 있는 FM 라디오 스포츠 방송국 WTSM의 콜 사인을 실수로 사용하는 오류가 있었다.
4. 3. 논란
영화 개봉 후, 켄터키 대학교 팬들과 애돌프 룹 감독 지지자들은 영화가 룹 감독을 인종차별주의자로 묘사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영화 속 바비 조 힐의 "룹은 그를 영입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대사가 대표적인 예로 지적되었다. 당시 동남부 컨퍼런스(SEC)의 다른 팀들처럼 켄터키 팀 역시 백인 선수로만 구성된 것은 사실이었으나, 켄터키는 1950년대부터 흑인 선수가 포함된 다른 컨퍼런스 팀들과 경기를 치른 최초의 SEC 팀 중 하나였고, 약 10년간 유일하게 그런 경기를 가졌다. 또한 앨라배마 대학교나 미시시피 주립 대학교 등이 통합 팀과의 경기를 거부하여 NCAA 토너먼트 초청을 거절했을 때, 켄터키가 대신 참가하기도 했다. 룹 감독은 1964년부터 켄터키 출신 흑인 선수인 웨스 언셀드와 버치 비어드 영입을 시도했으며, 1969년 톰 페인이 켄터키 최초의 흑인 선수가 되기 전까지 다른 8명의 흑인 선수에게 정식 장학금을 제안했다. 다만 룹은 이 선수들에게 SEC에서 겪게 될 인종차별적 어려움에 대해 미리 경고했고, 언셀드와 비어드는 결국 루이빌 대학교로 진학했다.이스턴 텍사스 주립 대학교(현 텍사스 A&M 대학교-커머스)와의 경기 장면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영화에서는 이스턴 텍사스 주립대 팬들이 텍사스 웨스턴 선수들에게 팝콘과 음료를 던지고 인종 비방을 외치는 모습이 그려졌으며, 이후 선수들의 호텔 방에 인종차별적 낙서가 칠해진 장면도 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이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텍사스 A&M-커머스는 디즈니와 영화 제작진에게 공식적인 사과를 요구했다. 디즈니는 영화가 다큐멘터리가 아니며 시간 제약상 여러 사건을 압축, 각색해야 했고 특정 집단을 부정적으로 묘사할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하며 오해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으나, 직접적인 사과는 하지 않았다. 이에 텍사스 A&M-커머스 총장은 영화에서 학교가 묘사된 방식을 고려할 때 디즈니의 해명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이 논란은 텍사스 주 상원에서 주를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영화에 대한 주 정부의 재정 지원을 보류하는 법안을 검토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5. 사운드트랙
2006년 1월 10일, 할리우드 레코드 레이블을 통해 영화 음악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다. 영화 음악은 음악가 트레버 라빈이 오케스트레이션을 담당했으며, 다양한 아티스트가 작곡한 음악이 수록되어 있다.
# | 제목 | 길이 |
---|---|---|
1 | People Get Ready | 2:43 |
2 | Ain't That Peculiar | 3:00 |
3 | Uptight (Everything's Alright) | 2:54 |
4 | Dancing in the Street | 2:40 |
5 | I'm on My Way to Canaan | 3:23 |
6 | Can You Do It | 2:20 |
7 | Shake It Up, Baby (aka Twist And Shout) | 2:30 |
8 | Down in the Boondocks | 2:36 |
9 | I've Been Loving You Too Long (To Stop Now) | 3:13 |
10 | Ain't That Good News | 2:40 |
11 | I Will Make the Darkness Light | 2:25 |
12 | Glory Road | 4:19 |
총 길이: | 32:43 |
6. 평가 및 수상
미국 주류 평론가들 사이에서 이 영화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이 영화는 15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로튼 토마토에서 55%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점수는 5.92/10점이다. 평론의 합의는 "스포츠 영화만큼 전형적이지만, 이 약자의 이야기는 여전히 감동적인 이야기의 힘으로 승리한다"이다.[14] 메타크리틱에서는 평론가들의 리뷰에 100점 만점의 가중 평균을 부여하는데, 글로리 로드는 3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58점을 받았다.[15]
이 영화는 2006년 ESPY 어워드에서 최우수 스포츠 영화상을 수상했다.[16] 또한, 2006년 글로리 로드는 휴머니타스 상 후보에 올랐다.[17] 2007년에는 블랙 릴 어워드에서 최우수 각색 또는 오리지널 각본 및 최우수 오리지널 또는 각색 노래 부문 후보에 올랐다.[18]
참조
[1]
웹사이트
Glory Road (2006)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2]
웹사이트
Glory Road (2006)
https://boxofficemoj[...]
Box Office Mojo
2013-02-10
[3]
뉴스
Ex-Miners coach Don Haskins wasn't playing the hero during a racially charged 1966 championship, but Hollywood doesn't seem to mind.
http://www.abqtrib.c[...]
Albuquerque Tribune
2006-01-11
[4]
서적
Glory Road
Hyperion
2006
[5]
웹사이트
1966 NCAA Tournament Summary
https://www.sports-r[...]
[6]
웹사이트
ESPN Classic - Texas Western's 1966 title left lasting legacy
https://www.espn.com[...]
2021-11-23
[7]
뉴스
Skiles lauds Chandler's play; Coach calls game 7-footer's best yet
Chicago Tribune
2005-11-21
[8]
웹사이트
Adolph Rupp: Fact and Fiction
http://www.bigbluehi[...]
[9]
웹사이트
Texas A&M-Commerce Wants Apology For Glory Road Movie Portrayal
https://web.archive.[...]
2006-02-10
[10]
간행물
Underdue Murph heads enrollment/marketing
http://www.tamu-comm[...]
Texas A&M University Commerce
2006-03-01
[11]
뉴스
Senators want film funds to hinge on portrayal of state.
https://www.chron.co[...]
Houston Chronicle
2007-05-15
[12]
웹사이트
Glory Road (2006) - DVD Widescreen
http://www.barnesand[...]
Barnes & Noble
2013-03-06
[13]
웹사이트
Glory Road Blu-Ray
http://www.barnesand[...]
Barnes & Noble
2013-03-06
[14]
웹사이트
Glory Road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0-06-20
[15]
웹사이트
Glory Road (2006)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13-02-25
[16]
웹사이트
2006 ESPY Awards Winners
https://web.archive.[...]
2006
[17]
웹사이트
Past Winners
http://www.humanitas[...]
HumanitasPrize.Org
[18]
웹사이트
Winners
http://blackreelawar[...]
Black Reel Awards
[19]
웹사이트
Glory Road
https://www.boxoffic[...]
Amazon.com
2013-06-26
[20]
웹인용
Glory Road (2006)
https://boxofficemoj[...]
Box Office Mojo
2013-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