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누타테이와 신호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누타테이와 신호장은 과거 도부 철도 기누가와 선에 존재했던 신호장이다. 1917년 11월 1일 오하라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22년 3월 19일 시모하라역으로, 1933년 1월 1일 기누타테이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1964년 10월 8일 기누타테이와역이 폐지되고 신호장으로 변경되었다. 역 주변에는 닛코 시립 후지와라 중학교와 국도 제121호선이 위치해 있으며, 인접역으로는 도부 월드 스퀘어역과 기누가와온센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닛코시의 철도역 - 닛코역
    일본 도치기현 닛코시에 위치한 닛코역은 JR 동일본 닛코선의 철도역으로, 1890년 개업하여 네오 르네상스 양식의 목조 역사가 간토의 역 백선에 선정되었으며, 현재는 주변 관광지로의 교통 거점 역할을 한다.
  • 닛코시의 철도역 - 후바사미역
    도치기현 닛코시에 위치한 후바사미역은 1890년 개업한 JR 동일본 닛코선의 지상역으로, 닛코역에서 관리하는 무인역이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1917년 개업한 철도역 - 서빙고역
    서빙고역은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1917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1978년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대사관 등이 있다.
  • 1917년 개업한 철도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도부 철도의 철도역 - 에소지마역
    에소지마역은 일본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에 위치한 도부 철도 도부 우쓰노미야선의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PASMO 대응 개찰기를 갖추고 있으며, 주택가에 인접해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고, 1944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82년에 고가역으로 역사를 이전했으며, 2023년 하루 평균 1,673명이 이용한다.
  • 도부 철도의 철도역 - 미나미우쓰노미야역
    미나미우쓰노미야역은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에 위치한 도부 철도 우쓰노미야 선의 역으로, 과거 야구장앞역으로 개업하여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아르데코풍 목조 역사와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기누타테이와 신호장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역명기누타테이와 신호장
로마자 표기Kinutateiwa
부역명없음
전보 약호키와
역 번호없음
소속 사업자동무 철도
소속 노선기누가와 선
기점으로부터의 거리시모이마이치 기점 11.6 km
소재지도치기현 닛코시 기누가와온센 오하라
역사
개업일1917년 11월 1일
폐지일없음
인접 역
이전 역TN 55 동무 월드 스퀘어
역간 거리1.0 km
다음 역기누가와온센 TN 56
역간 거리0.8 km
사진
기누타테이와 신호장
구내 (기누가와온센 측에서, 2010년 8월)
기타
비고없음

2. 역사

1917년 11월 1일 '''오하라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했다.[1] 1922년 3월 19일에는 '''시모하라역'''으로 역 이름을 변경했으며[2], 같은 해 11월 1일 역 위치를 이전했다[3]. 이후 1933년 1월 1일 '''기누타테이와역'''으로 다시 한번 역명을 변경했다[1]. 최종적으로 1964년 10월 8일 기누타테이와역은 폐지되고 신호장으로 변경되었다[1].

2. 1. 오하라역 시절 (1917년 ~ 1922년)

2. 2. 시모하라역 시절 (1922년 ~ 1933년)

1922년 3월 19일, 기존의 오하라역이 '''시모하라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일부 자료에서는 변경 시기를 다르게 보기도 하지만, 지방철도법에 따른 영업 시작을 보도한 관보[2]에는 이미 변경된 역명인 '시모하라'로 기록되어 있다. 같은 해 11월 1일에는 시모하라역이 오타키역 방면으로 1.1km 이전하였다[3]. 시모하라역이라는 이름은 1933년 1월 1일 키누타테이와역으로 다시 변경될 때까지 사용되었다[1].

2. 3. 기누타테이와역 시절 (1933년 ~ 1964년)


  • 1933년 (쇼와 8년) 1월 1일: 기존의 '''시모하라역'''에서 '''기누타테이와역'''으로 역명을 변경했다[1].
  • 1964년 (쇼와 39년) 10월 8일: 기누타테이와역이 폐지되고 신호장으로 변경됐다[1]. 같은 날 인접한 기누가와온센역이 시모이치역 방면으로 1.2km 이전하여 현재 위치에 신설 역사를 개업했다[4].

3. 역 주변

4. 인접역

도부 철도 기누가와 선에 속한 신호장이다. 시모이마이치 방면 이전 역은 도부 월드 스퀘어 역이고, 신후지와라 방면 다음 역은 기누가와온센 역이다.

참조

[1]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新潮社 2008-07
[2] 간행물 「地方鉄道駅設置」『官報』第2891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2-03-25
[3] 간행물 「地方鉄道営業哩程変更」『官報』第3018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2-11-07
[4]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アーカイブスセレクション23 東武鉄道 1950〜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