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민주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민주주의는 개인주의, 연대, 사회 자본주의, 포퓰리즘, 다원주의, 보조성, 청지기 정신 등을 핵심 개념으로 하는 정치 철학이다. 자크 마리탱, 교황 레오 13세, 에마뉘엘 무니에 등이 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 민주주의는 보수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와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했다. 유럽에서는 온건 보수주의 성향이 강하고,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해방신학의 영향으로 진보주의적 경향이 나타난다. 기독교 민주주의는 사회적 의제와 경제적 의제 모두에서 다양한 입장을 취하며, 역사적으로 19세기 레오 13세의 회칙 발표를 계기로 서유럽에서 흥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유럽 통합에 기여했으며, 21세기 들어 유럽 정치에서 영향력이 감소했다.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중부 및 동부 유럽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국제 기구인 중도민주국제(CDI)를 통해 교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기독교 민주주의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정치 이데올로기 |
중심 이념 | 기독교 |
핵심 가치 |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조화 사회 정의 연대 보조성 원칙 |
정치적 위치 | 중도주의와 중도우파 |
주요 지지 기반 | 기독교인 노동자 중산층 농민 |
역사적 배경 | |
기원 | 19세기 후반 유럽 |
주요 발전 |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Rerum Novarum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유럽 재건 |
주요 영향 | 가톨릭교회의 사회 교리 신칼뱅주의 프로테스탄트 윤리 |
이론적 기반 | |
주요 사상가 | 토마스 아퀴나스 자크 마리탱 교황 레오 13세 칼 바르트 라인홀드 니부어 |
사회경제적 관점 | 사회 시장 경제 노사 협조 복지 국가 옹호 자유 시장과 사회적 책임의 조화 |
정치적 관점 | 민주주의 법치주의 인권 존중 분권화 강조 보조성 원칙 |
사회 문화적 관점 | 전통적 가족 가치 중시 종교적 자유 보장 사회적 책임 강조 도덕적 가치 중요시 |
주요 정당 및 조직 | |
국제 조직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유럽 국민당 |
관련 정당 | 기독교 민주당 |
특징 및 논쟁점 | |
주요 특징 | 보수주의적 성향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조화 추구 사회적 책임 강조 종교적 가치 중시 |
주요 논쟁점 | 세속주의와의 관계 낙태, 동성애 등 사회 문제에 대한 입장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사이의 균형 |
관련 문서 | |
주요 문서 | Rerum Novarum Graves de Communi Re Quadragesimo Anno Laborem Exercens Sollicitudo Rei Socialis Centesimus Annus |
주요 인물 | 토마스 아퀴나스 존 칼뱅 교황 레오 8세 자크 마리탱 콘라트 아데나워 알치데 데 가스페리 교황 비오 11세 로베르 쉬망 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헬무트 콜 앙겔라 메르켈 헤르만 반 롬푀이 |
기타 | |
관련 이념 | 사회 보수주의 사회 시장 경제 공동체주의 가톨릭주의 연대 가톨릭 사회 교리 신칼뱅주의 |
2. 정치 철학
기독교 민주주의는 개인주의, 연대, 사회 자본주의, 포퓰리즘, 다원주의, 권역 주권, 보조성, 청지기 정신 등 다양한 핵심 개념을 포함한다.
자크 마리탱은 모든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이 동의하는 유일한 사상가는 아니지만, 이 이념에 가장 근접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기독교 민주주의 이념 형성에 영향을 준 다른 주요 사상가로는 레오 13세 교황, 비오 11세 교황, 에마뉘엘 무니에, 하인리히 페슈, 아브라함 카이퍼, 루이지 스투르조 등이 있다.
기독교 민주주의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에서 철학적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아퀴나스는 자연법에 기초한 인권을 옹호하고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강조했으며, 그의 사상은 보조성 개념과 국가가 국민을 섬겨야 한다는 믿음의 기초가 되었다. 신칼뱅주의 또한 존 칼뱅의 사상에 기반을 둔 구역 주권 개념을 통해 기독교 민주주의의 지적 요소로 작용했다.
19세기 레오 13세 교황은 회칙 『레룸 노바룸(Rerum Novarum)』을 통해 노동자들의 비참한 상황과 그에 대한 대응 필요성을 인식하며 당시 사회주의와 노동조합 운동에 대항했다. 이후 비오 11세 교황의 『콰드라제시모 안노(Quadragesimo Anno)』에서 가톨릭 교회의 입장이 더욱 명확해졌다.
기독교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국가관은 권력 분립이며, 경제는 인간성을 유지하며 운영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과세 전 소득 평등을 주장하지만, 많은 기독교 민주당은 자본주의 자체에 회의적이지 않다.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은 국가의 시민에 대한 의무를 중시하지만, 기독교 사회주의에는 반대한다. 유럽의 기독교 민주당은 경제적으로 우경화되어 정부 역할을 축소하는 자유주의 경제를 지향하면서도 소득 이전을 강화하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라틴 아메리카의 기독교 민주당은 더 좌익적인 경제관을 포함하지만,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정부 역할이 다시 중시되는 상황이다.
기독교 민주주의는 도덕관과 전통에 있어 보수적이다. 소득 불균형이 가족과 지역 사회를 파괴한다는 인식하에 극단적인 자유주의에 회의적이며, 무종교적인 사회주의에도 적대적이다.
기독교 민주주의는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지만,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뉜다. 유럽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은 온건 보수파가 주류인 반면,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해방신학의 영향을 받아 진보주의적 경향이 강하다.[42] 따라서 기독교 민주주의는 일반적인 정치 사상의 범주를 넘어, 좌우를 떠나 다른 이데올로기와 공통되거나 상반되는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 보수주의: 결혼, 낙태 등 전통적 가치관 및 법과 질서를 중시하고, 세속주의와 진화론에 비판적이며, 반공적인 입장을 취한다.
- 자유주의: 인권과 개인주의를 중시하지만, 세속주의에 저항하고 개인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의무를 다해야 함을 강조한다.
- 사회주의: 공동체와 사회적 연대, 복지 국가를 옹호하고 시장 경제에 대한 규제를 지지하지만, 유럽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은 대부분 시장 경제를 지지하고 계급 투쟁에 집착하지 않는다(단, 해방신학을 신봉하는 라틴 아메리카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은 예외).
제프리 K. 로버츠와 패트리샤 호그우드는 "기독교 민주주의는 도덕과 기독교 교리의 틀 안에서 자유주의, 보수주의, 사회주의의 가치관을 포함한다"고 평가한다.[43]
2. 1. 개인주의
개인주의(Personalism)는 일반적으로 에마뉘엘 무니에와 관련된 정치적 이념이다.[9] 개인의 지성, 책임, 가치에 초점을 맞춘다.[9] 인간은 존엄성과 정치적 권리를 가진 자유로운 존재이지만, 이러한 권리는 공동선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9] 또한 진정한 인간의 자유는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사용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9] 개인주의적이고 집단주의적인 인간관에 반대하며,[9] 사람들은 공동체의 일원이 될 때 온전해진다고 강조한다.[9]이는 다음과 같은 실제 정책으로 이어진다.
- 인간의 생명은 신성하며 그 자체로 목적이므로, 낙태와 안락사에 반대한다.[9]
- 가족 단위는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보호되어야 한다.[9]
- 전통적인 성 역할은 존중되어야 하며, 이는 동성 결혼에 대한 거부로 이어진다.[9]
- 자유는 도덕적 허용의 허가증이 아니다.[9]
개인주의는 일반적으로 기독교 민주주의의 기저를 이루어, 특히 생명권, 가족권, 원조권, 참정권, 양심의 자유, 종교의 자유와 같은 인권으로 이어진다.[9]
현대 개인주의적 관점은 생태주의적 가치에서 영감을 받기도 한다. 로완 윌리엄스는 인간과 신의 관계로 묘사하는 개인주의를 끝없는 경제 성장에만 초점을 맞추고 자연 환경에 해로운 현대 자본주의와 대조한다.[9]
2. 2. 연대와 사회 자본주의
기독교 민주주의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에서 철학적 뿌리를 찾을 수 있으며, 그의 존재론과 기독교 전통에 대한 사상은 보조성 개념의 기초가 되었다.[1] 아퀴나스에 따르면, 인권은 자연법에 기초하며 인간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2] 예를 들어, 음식은 인간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인권이다. 아퀴나스는 인간이 신의 형상이며, 이는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따른다고 주장했다. 모든 인간은 그 본성을 공유하기 때문에 평등하다.[3]자크 마리탱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토미즘적 자연법과 조화시키려고 시도한 중요한 신스콜라주의 학자였다.[4] 그는 토미즘적 재산 개념을 사용하여 불평등을 줄이고, 개인이 자신의 재산을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을 경우 국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마리탱과 에마뉘엘 무니에는 또한 개인주의라는 그들의 사상을 발전시키는 데 토미즘적 사고를 사용했다.[6] 이러한 사상들은 국가가 국민을 섬겨야 하며 인류 전체에 보편적 연대가 있다는 믿음으로 이어졌다.[7]
2. 3. 포풀라리스모
루이지 스투르조는 포풀라리즘(popolarismo)을 주창했는데, 이는 국민의 자유롭고 유기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정치 시스템을 의미한다.[1] 이 이념은 정비례 대표제, 기둥화, 합의 민주주의와 연결된다.[1]2. 4. 다원주의
다원주의는 인간이 사회적 틀 안에 자리 잡고 있다는 개념으로, 구역 주권과 보조성을 통해 사회 공동체의 자율성과 국가의 역할을 설명한다. 구역 주권에서 각 구역은 하나님과 관련된 활동 영역을 갖는다. 이러한 구역 주권의 관점에서 국가의 역할은 공적 정의를 추구하는 것이다.2. 5. 청지기 정신
청지기 정신은 기독교 민주주의의 핵심 개념 가운데 하나로 언급된다.[1][2][3]3. 정치적 관점
기독교 민주주의는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지만, 일반적인 정치 사상의 좌우 스펙트럼을 넘어 다른 정치 이데올로기와 공통되거나 상반되는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유럽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은 대체로 온건 보수주의 성향을 띠며, 여러 국가에서 주요 보수 정당 역할을 한다. 반면 라틴 아메리카의 기독교 민주당은 해방신학의 영향으로 국가에 따라 정치적 스펙트럼 상의 위치가 다양하며, 칠레 기독교 민주당처럼 좌경화된 경우도 있고, 멕시코 국민행동당처럼 우경화된 경우도 있다.[42]
기독교 민주주의는 보수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와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는다.
- '''보수주의''': 결혼, 낙태 등 전통적 가치관 및 법과 질서를 중시하고, 세속주의와 진화론에 비판적이며, 반공적인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사회 구조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반드시 현상 유지를 지향하지는 않는다.
- '''자유주의''': 인권과 개인주의를 중시한다. 그러나 세속주의에 저항하고, 개인이 공동체의 일원이며 이에 대한 의무를 갖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 '''사회주의''': 공동체와 사회적 연대, 복지 국가를 옹호하고, 시장 경제에 대한 어느 정도의 규제를 지지한다. 그러나 유럽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은 대부분 시장 경제를 지지하고, 계급 투쟁에 집착하지 않는다(단, 해방신학을 신봉하는 라틴 아메리카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은 예외).
제프리 K. 로버츠와 패트리샤 호그우드는 "기독교 민주주의는 도덕과 기독교 교리의 틀 안에서 자유주의, 보수주의, 그리고 사회주의가 지닌 여러 가치관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43]
3. 1. 사회적 의제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사회 보수주의적이며, 낙태와 동성 결혼에 대해 비교적 회의적인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일부 기독교 민주당에서는 이러한 것들의 제한적인 합법화를 수용하기도 한다. 이들은 사형과 안락사에 반대하며, 일관된 생명 윤리를 옹호하고, 마약 금지를 지지한다.[1] 기독교 민주당은 종종 자국의 기독교 유산을 주장하고 기독교 윤리를 명시적으로 확인하며, 국가 무신론에 반대한다.[2]3. 2. 경제적 의제
기독교 민주주의는 공동체, 사회 정의, 연대를 강조하며, 복지 국가, 노동 조합, 시장 세력 규제를 지지한다.[42] 계급 투쟁 개념을 거부하고 공동 결정을 선호한다. 미국의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은 분배주의적 경제 체제, 특히 노동자 소유와 경영을 지지한다.[6][7][8]기독교 민주주의적 복지 국가는 가족 지원을 목표로 하며, 사회 보험과 사회 서비스 제공에 중간 기관에 의존하기도 한다.[42]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은 청지기직 원리에 따라 미래 세대를 위해 지구를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민에 대해 관용적인 견해를 갖는 경향이 있다.[42]
4. 역사
기독교 민주주의의 기원은 프랑스 혁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 프랑스 공화주의와 가톨릭 교회는 서로 깊은 적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혁명 정부가 교회를 공격하고, 교회의 토지를 몰수하고, 사제들을 박해했기 때문이다.[44] 19세기 말,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레룸 노바룸을 발표하여 노동자들의 고통을 인지하고 처우 개선을 위한 방안을 주장했다. 그는 경제적 자유주의를 비판하고 사회주의의 부상을 경계했으며, 노동 관계에 대한 조합주의적 접근 방식을 장려했다.[44] 레룸 노바룸은 가톨릭 노동 운동에 지적 기반을 제공했으며, 유럽 전역에서 기독교 노동조합이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44]
4. 1. 19세기
프랑스 혁명 이후 가톨릭 교회는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에 적대적이었으나, 자유주의 가톨릭 신자들의 도전을 받았다. 가톨릭 사회 교리가 발전하면서, 사회 가톨릭 신학자들과 활동가들은 노동자들의 이익을 옹호했다. 가톨릭 정치 운동은 자유주의 국가로부터 가톨릭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해 일어났다.예를 들어, 네덜란드에서는 1879년 보수적인 개신교도들이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혁명당을 설립했다. 반혁명당은 권력이 하나님에게서 유래하는 것이지 국민에게서 유래하는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었다. 이러한 입장은 기독교 역사학이라고 불린다.[2]
4. 2. 『레룸 노바룸』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1891년 교황 레오 13세가 발표한 회칙 레룸 노바룸은 기독교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회칙은 당시 노동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인식하고,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44] 레룸 노바룸은 사회주의와 노동조합 운동이 부상하던 시기에 발표되어, 가톨릭 교회가 사회 문제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제시한 것이다. 이후 교황 비오 11세는 콰드라제시모 안노를 통해 이러한 입장을 더욱 발전시켰다.[44]레룸 노바룸의 영향으로 유럽 전역에서 가톨릭 노동 운동과 기독교 노동조합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은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와 사회 정의 실현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파시즘의 부상은 기독교 민주주의 세력에게 큰 위협이 되었다. 파시스트 정권은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정당들을 해산시키거나, 이들이 저항 운동을 지원하도록 압박했다.
4. 3. 전후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독교 민주주의는 유럽에서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기독교 민주당은 전후 정치 상황을 지배했으며,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헌법 제정에 기여했다.[1] 유럽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은 유럽 연합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이탈리아에서는 베네딕토 15세의 지원을 받아 1919년 이탈리아 인민당이 창당되었다.[2]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당 독재 시기에는 활동하지 않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의 패색이 짙어지자 기독교 민주당이 결성되어 전후 이탈리아 정치에서 제1당으로 군림했다.[2]
독일에서는 라인강 유역과 베스트팔렌 지방의 가톨릭 교회를 지지 기반으로 중앙당과 바이에른 인민당이 결성되어 보수적인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에게까지 지지를 확대하고 있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기독교민주연합과 기독교사회연합(바이에른 주만의 지역 정당)은 독일의 주요 정당으로서 여러 차례 정권을 잡았다.[3]
4. 4. 21세기
21세기 들어 유럽의 기독교 민주당은 영향력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일부 정당은 종교적 강조를 줄이고 세속적인 정당으로 변화하기도 했다. 한편, 무슬림 국가의 일부 정당들은 기독교 민주주의 전통을 참고하기도 한다.5. 서유럽 외 지역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독교 민주주의는 유럽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중도민주국제는 기독교 민주당의 국제 기구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국제 정치 기구이다.
스페인에서는 스페인 인민민주당(PDP)과 같은 소규모 기독교 민주당이 등장했지만, 분열과 정치적 필요성 부족으로 실패하고 스페인 국민당에 흡수되었다.
스웨덴에서는 스웨덴 기독교민주당(Christian Democrats)이 1964년 세속화에 대한 반발로 설립되었고, 핀란드와 덴마크에서도 유사한 정당들이 기독교 학교 옹호와 세속적 경향에 반대하며 등장했다. 북유럽 기독교 민주당은 루터파 국교 내 비국교 기독교인과 평신도 활동가들을 대표했다. 네덜란드에서는 프로테스탄트 정당들이 가톨릭국민당과 합쳐 기독교민주당을 결성했다.
영국에서는 가톨릭 사회 길드가 가톨릭 신자들이 노동당 내에서 활동하도록 장려했고, 인민과 자유 그룹은 스페인 내전 중 가톨릭 신자들의 고통에 대한 반응으로 설립되는등 기독교 민주주의가 산발적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기독교 국민 동맹(Christian Peoples Alliance)이 기독교 민주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민주노동당과 해산된 기독교민주당이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으로 활동했다.
미국에는 주요 기독교 민주주의 운동이 없었지만, 미국 연대당(American Solidarity Party)과 같은 소규모 정당과 공공정의센터(Center for Public Justice)와 같은 기독교 민주주의 공공 정책 기구가 존재한다.
5. 1. 라틴 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초기 기독교 민주주의는 20세기 초에 형성되었으며, 이들 정당은 일반적으로 보수적이었고 주요 목표는 가톨릭 교회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었다.[12] 이들 정당은 기독교를 민주적 가치의 기원이자 근본으로 보고 사회의 유기적 개념, 분권화, 그리고 조합주의를 옹호했다.[12]1960년대와 1970년대에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은 더욱 진보적으로 변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1961년부터 1963년까지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결과였다.[12] 이는 라틴 아메리카 가톨릭교회 내 해방 신학의 성장으로 이어졌고, 이는 기독교 민주주의적 계급 중재보다 계급 투쟁을 강조했다.[12] 또한,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미국 사회주의 반대 정책으로 인해 기독교 민주당은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사회 개혁을 요구할 수 있었다.[12]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은 근대주의와 기술관료제를 받아들이고 중앙 집중식 계획을 옹호하기 시작했다.[12] 1980년대에는 워싱턴 컨센서스와 같은 국제적 추세로 인해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은 자국의 신자유주의 정책을 수용했고, 이는 이후 선거에서 패배로 이어졌다.[12] 이 기간 동안 기독교 민주당은 민주주의를 위한 힘을 행사해왔는데, 예를 들어 민주 베네수엘라를 설립하는 데 기여한 COPEI[12]와 피노체트에 대한 주요 반대 세력인 칠레의 PDC가 있다.[12]
기독교 민주주의는 특히 칠레(''칠레 기독교 민주당 참조'')와 베네수엘라(''COPEI(베네수엘라 기독교 민주당) 참조'')에서 중요했고, 부분적으로는 멕시코에서도 중요했는데, 2000년 멕시코 대통령 비센테 폭스의 집권 이후 펠리페 칼데론(''멕시코 국민행동당 참조'')이 뒤를 이었다. 쿠바는 섬과 망명 지역에 여러 기독교 민주당 정치 단체가 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쿠바 반체제 인사 오스왈도 파야가 이끄는 Movimiento Cristiano de Liberación (MCL)일 것이다. 그는 2012년 여름 비극적인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으며 노벨 평화상 후보로 지명되었다. 우루과이에서는 우루과이 기독교 민주당이 수적으로는 작지만 1971년 좌파 광범위 전선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2. 아시아
동아시아에서는 기독교가 주요 종교가 아니기 때문에 기독교 민주주의 운동은 널리 퍼져 있지 않다.5.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기독교가 주요 종교가 아니기 때문에 동아시아에서 기독교 민주주의 운동은 널리 퍼져 있지 않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기독교가 주요 종교인 국가이며,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은 기독교 민주주의적 경향을 보인다.[12] 더불어민주당은 대한민국의 주요 자유주의 정당으로, 보편적인 복지 국가 건설을 지지한다.[12] 그러나 기독교의 영향으로 인해 사회 문제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경향을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반차별법, 동성 결혼, 시민 연합, 낙태에 반대한다.[13][14][15][16]5. 3. 중부 및 동부 유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등에서 기독교 민주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공산주의 붕괴 이후, 이 지역의 많은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들은 유럽 국민당에 가입했다.5. 4. 기타 지역
그리스에서는 신민주주의당이 기독교 민주당으로 여겨지지만, 종종 기독교 민주주의와 자유보수주의 사이를 오가기도 한다.영국의 기독교 민주주의는 산발적이고 통일되지 않았다. 1909년 사회주의에 대한 가톨릭 대안을 전파하기 위해 설립된 가톨릭 사회 길드(Catholic Social Guild)는 가톨릭 신자들이 노동당 내에서 활동하고 가족, 생활임금, 산업 내 사회적 파트너십, 그리고 재산 분산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도록 장려했다. 스투르조(Sturzo)가 영국 망명 중에 설립한 인민과 자유 그룹(People and Freedom Group)은 주로 중산층 조직으로, 스페인 내전 중 가톨릭 신자들이 겪은 고통에 대한 반응으로 설립되었으며, 1939년에 "민주주의를 위하여(For Democracy)"라는 강령을 발표했다. 당시 또 다른 기독교 민주주의 단체였던 가톨릭 워커(Catholic Worker)는 노동당 정책을 가톨릭 신자들에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인민과 자유 그룹은 노동당을 기독교 민주주의로 이끌려고 시도하며 기독교 민주주의를 좌파로 묘사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실패하고 노동당에 대한 환멸을 느꼈다. 최근에는 기독교 국민 동맹(Christian Peoples Alliance)이 국가의 기독교 유산을 강조하고 "적극적인 연민, 생명 존중, 사회 정의, 현명한 청지기 직분, 권한 부여 및 화해"의 원칙을 옹호하는 기독교 민주당이다.[34]
호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으로는 민주노동당과 해산된 기독교민주당이 있다.
1955년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ALP)에서 분당하여 결성된 민주노동당(DLP)은 빅토리아주와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산업 그룹 또는 B. A. 산타마리아와 "운동"과 관련된 주 집행위원, 국회의원, 지부 회원(따라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강하게 연관됨)이 당에서 제명되면서 만들어졌다. 1957년 후반에는 퀸즐랜드주에서도 유사한 분열이 발생하여 DLP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 당에는 타즈메이니아주와 뉴사우스웨일스주 출신의 현직 의원도 있었지만, 앞서 언급한 주에서 훨씬 더 강력했다. DLP는 자신을 기독교 민주당이라고 주장하지 않았지만, 역사학자 마이클 포가티는 그렇게 여겼다. 이 당의 목표는 반공주의, 산업, 인구, 행정 및 소유권의 분권화였다.[35] ALP가 공산주의자들로 가득 차 있다고 판단하여 집권 보수당인 자유당과 국민당을 ALP보다 우선시했다.[36] 그러나 자유당보다 도덕적으로 더 보수적이고, 공산주의 반대가 더 강력했으며, 사회적으로 더 동정적이었다. DLP는 1974년 연방 선거에서 큰 패배를 당해 득표율이 거의 3분의 2나 줄었고 ALP 정부가 들어섰다.
DLP는 이후 선거에서 이전의 지지율을 회복하지 못하고 1978년 공식적으로 해산되었지만, 당 내 소규모 그룹은 이 결정을 거부하고 소규모 개혁된 후계 정당(현재 민주노동당)을 만들었다. 2006년 새로운 DLP는 부활을 경험했다. 후계 정당은 빅토리아주 선거에서 수십 년간 고전하다가 빅토리아주 상원이 개편되면서 마침내 의석을 얻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빅토리아주에서의 지지율은 여전히 미미하다(약 2%). 최근 퀸즐랜드주와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주 정당을 재결성했다. 2010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선거에서 DLP는 빅토리아주 상원 의석 6석을 차지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상원에 진출했다.
이전 기독교민주당은 처음에 "호주로의 부름 (프레드 나일 그룹)"으로 알려졌으며,[37] 호주에서 강력한 종교적 보수 정당이었다. 캐나다 기독유산당과 뉴질랜드 기독유산당과 유사한 기독교 우파 정당이다.[38] 2011년 빅토리아주와 서호주 지부의 기독교민주당(CDP)은 새로운 정당인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스천을 결성하기로 결정했고,[39] 이전 기독교민주당은 2022년 거버넌스 문제로 해산되었으며, 당수인 프레드 나일은 새로운 정당인 "정부 안의 그리스도 (프레드 나일 연합)"로 옮겼다.[40]
미국에는 역사적으로 주요 기독교 민주주의 운동이 없었다. 이는 미국의 양당제와 교회와 국가의 분리라는 헌법적 원칙 때문일 수 있다. 그러나 유럽의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에게 미국은 기독교와 민주주의가 어떻게 함께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영감의 원천이었다. 자크 마리탱에게 미국은 기독교 민주주의 이상의 실현이었다. 인베르니치 아체티는 "기독교 민주주의자들 자신의 관점에서 볼 때, 미국은 이미 기독교 민주주의였기 때문에 기독교 민주당이나 운동이 필요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영국의 "국민과 자유 그룹(People and Freedom Group)"의 영향을 받아 미국의 가톨릭 신자들은 미국 도시들에 유사한 그룹들을 설립했다. 미국 연대당(American Solidarity Party)은 기독교 민주당으로 자처하는 미국의 소규모 제3당이다.[20] 공공정의센터(Center for Public Justice)는 기독교 민주주의 공공 정책 기구로, "기독교 세계관의 원칙을 정치 영역에 적용"하고자 한다.[41]
6. 국제 기독교 민주주의 기구
7. 관련 개념
참조
[1]
서적
Christian Democracy and the Fall of Communism
https://www.jstor.or[...]
Leuven University Press
2019
[2]
학술지
Christian Democracy Resurgent: Raising the Banner of Faith in Eastern Europe
https://www.jstor.or[...]
Foreign Affairs
1998
[3]
웹사이트
Christian democracy
https://www.britanni[...]
2022-11-05
[4]
서적
Introduction to Political Science: A Christian Perspective
InterVarsity Press
2017-07-04
[5]
서적
The Christian Democrat International
Rowman & Littlefield
1997
[6]
웹사이트
The American Solidarity Party is growing. Can it succeed?
https://www.pillarca[...]
2021-12-14
[7]
웹사이트
Solidarity? In America
https://www.theameri[...]
The American Conservative
2021-12-21
[8]
웹사이트
Patrick Harris The state of American solidarity SDP Talks
https://www.youtube.[...]
Social Democratic Party
2021-11-14
[9]
웹사이트
Christian Democracy. English addendum to the Norwegian edited volume: Kristendemokrati1F
https://www.kas.de/d[...]
2024-06-04
[10]
웹사이트
Röpke Wilhelm, Encyklopedia PWN: źródło wiarygodnej i rzetelnej wiedzy
https://encyklopedia[...]
2024-06-03
[11]
학술지
Jim Forest, All is Grace: A Biography of Dorothy Day
http://dx.doi.org/10[...]
2012
[12]
웹사이트
민주당 강령 '포용적 복지국가→보편적 복지국가'로 수정
https://m.khan.co.kr[...]
2024-04-24
[13]
웹사이트
기사 인쇄 {{!}} "차별금지법, 내가 가장 센 반대론자···결정은 우리 민주당이 하는 것" 정치권과 개신교의 '반동성애' 결탁
https://www.khan.co.[...]
2024-04-24
[14]
웹사이트
이재명 대표 "21대 국회서 차별금지법 통과 않겠다"
http://www.igoodnews[...]
2024-04-24
[15]
웹사이트
지방선거 앞둔 주요 정당들 "동성애·동성혼 반대"
https://www.newsnjoy[...]
2024-04-24
[16]
웹사이트
이재명 후보, '생명존중의날' 제정 등 기독교계 8대 공약 내놓아
https://n.news.naver[...]
2024-04-24
[17]
학술지
Przyczynek do badań nad upadkiem Stronnictwa Pracy w województwie białostockim po roku 1944
http://dx.doi.org/10[...]
2002
[18]
웹사이트
Prezes Centrum Myśli Chrześcijańsko-Społeczniej prof. Stanisław Gebhardt, współpracownik Roberta Schumana, z gościnnym wykładem na SGH
https://imschuman.co[...]
2024-06-01
[19]
서적
Political exile in the global twentieth century: Catholic Christian democrats in Europe and the Americas
Leuven University Press
2021
[20]
논문
The evolution of the European People's Party after the integration of parties from Western and Eastern Europe
National Documentation Centre (EKT)
2016
[21]
학술지
Book Reviews :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Volume I The Origins to 1795 Volume II 1795 to the Present. Norman Davies. The Oxford University Press. Volumes I and II £27.50 each
http://dx.doi.org/10[...]
1982-04
[22]
웹사이트
Największy błąd Tadeusza Mazowieckiego? - Więź
https://wiez.pl/2018[...]
2024-06-01
[23]
웹사이트
Wałęsa reaktywował partię chadecką
https://info.wiara.p[...]
2024-06-01
[24]
서적
KOŚCIÓŁ WOBEC "SOLIDARNOŚCI", CZYLI WSPARCIE IDEI NIEZALEŻNYCH ZWIĄZKÓW ZAWODOWYCH
https://ruj.uj.edu.p[...]
2014
[25]
간행물
Elections, parties, and the political process
http://dx.doi.org/10[...]
Routledge
2009-10-16
[26]
학술지
Christian Democracy in Poland (19th-21st Century)
https://journals.umc[...]
2018-06-07
[27]
학술지
Why Is There No Christian Democracy in Poland — and Why Should We Care?
http://dx.doi.org/10[...]
2008-07
[28]
웹사이트
Kosiniak-Kamysz: Chadecja Polska to długofalowy projekt
https://www.gazetapr[...]
2024-06-01
[29]
웹사이트
Polska 2050 i PSL pójdą razem do wyborów jako "Trzecia droga"
https://www.rp.pl/po[...]
2024-06-01
[30]
서적
Isaac Newton despre acțiunea la distanță în gravitație - Cu sau fără Dumnezeu?
http://dx.doi.org/10[...]
MultiMedia Publishing
2018-01-30
[31]
학술지
Presidential Elections in Moldova and Parliamentary Elections in Romania
2020-12-01
[32]
웹사이트
Viktor Orbán's Use and Misuse of Religion Serves as a Warning to Western Democracies
https://www.american[...]
American university
2022-05-24
[33]
웹사이트
Christian democracy is to blame for Europe's democratic backsliding
https://theloop.ecpr[...]
European Consortium for Political Research
2022-05-24
[34]
서적
British Gods: Religion in Modern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8-27
[35]
학술지
Why the DLP exists
https://www.jstor.or[...]
1958
[36]
웹사이트
The Democratic Labor Party an overview
https://www.aph.gov.[...]
2022-04-21
[37]
웹사이트
Call to Australia (Fred Nile) Group
https://www.aec.gov.[...]
2011-01-01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38]
웹사이트
Why the Australian Christian right has weak political appeal
http://theconversati[...]
2018-04-12
[39]
웹사이트
Church leaders upset over 'Australian Christians' name
https://www.abc.net.[...]
ABC News (Australia)
2012-07-16
[40]
웹사이트
Fred Nile says the Christian Democratic Party is officially dead – Eternity News
https://www.eternity[...]
2022-03-29
[41]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Christian Politic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01-01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42]
논문
Communists, Socialists and Christian Democrats
[43]
서적
European Politics Toda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01-01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44]
논문
The Philosophic Background of Christian Democracy
1947-01-01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